KR100252487B1 -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 Google Patents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487B1
KR100252487B1 KR1019970052895A KR19970052895A KR100252487B1 KR 100252487 B1 KR100252487 B1 KR 100252487B1 KR 1019970052895 A KR1019970052895 A KR 1019970052895A KR 19970052895 A KR19970052895 A KR 19970052895A KR 100252487 B1 KR100252487 B1 KR 10025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rusher
water
tip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396A (ko
Inventor
다가와이츠오
Original Assignee
다가와 이츠오
산고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가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가와 이츠오, 산고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가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가와 이츠오
Publication of KR1998008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023/086Wrecking of buildings of tanks, reservoi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벽이나 천정등의 평판의 해체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데다가 파쇄되는 곳에 안전하고 또한 정확하게 물을 도달하게 함으로써 대폭적인 절수가 가능한 구축물 파쇄기 및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구축물해체 공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아암 지지체(6a,6b)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하는 한쌍의 아암(2a,2b)을 가지고, 아암(2a,2b)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剪斷)칼(48a), (48b)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透孔部)(8)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7a),(7a'), (7b)이 부착되고, 아암(2a),(2b)의 후단부를 유압 실린더로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2a),(2b)의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고, 또한, 파쇄되는 곳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살수 노즐(46a),(46b)에서 아암(2a),(2b)의 선단방향을 향해 물을 파쇄되는 곳을 덮어싸듯이 미스트(mist)상태로 분사한다.

Description

구축물 파쇄기 및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구축물 해체공법
본 발명은 2매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아암 지지체에 추착(樞着) 지지된 한쌍의 파쇄 아암을 유압 실린더로 구동하고, 구축물을 협압(挾壓) 파쇄하는 구축물 파쇄기와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파워 셔블(shovel)등의 작업기계에 부착하여 콘크리트 구축물을 파쇄하는 구축물 해체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공사에 수반하는 기존 건조물의 해체작업등에서 콘크리트 건조물을 파쇄 철거할 경우, 에어 핸머형식의 삭암기(削岩機)에 의한 파쇄나 대강구(大鋼球)로 쳐서 파쇄하는 등의 수단이 이용되는데, 이들 공법은 심한 소음이나 진동을 수반하여 공해 문제를 야기하고, 혹은 위험을 수반하는 등 많은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 유압력등에 의해 건조물을 협압하여 파쇄하는 형식의 구축물 파쇄기를 파워 셔블 등의 작업기의 연결장치로써 부착하여 사용하는 공법이 폭넓게 채용되는데 이르렀다. 그런데, 이 구축물 파쇄기를 사용하는 공법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을 해체하는 작업은 콘크리트 구축물을 파쇄하는 크게 부수는 작업과 또한 파괴한 채로의 상태에서 콘크리트 파편이 너무 커서 반출작업에 지장을 줌과 동시에 재이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파괴한 후 발생하는 콘크리트 파편을 작게 파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해체해야 할 콘크리트 구축물의 벽, 마루, 기둥, 들보등을 대 분할용 파쇄기(80)를 이용하여 각각 대략 3m 이하 크기인 블록(82)이 되도록 파괴하고, 지상에 낙하시킨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 지상에 낙하한 블록(82)을 다시 대 분할용 파쇄기(80)를 이용하여 각각 대략 60cm 이하인 블록 덩어리로 부순다. 다음에 이들 대략 60cm 이하의 블록 덩어리를 소분할용 파쇠기(84)를 이용하여 각각 대략 20m 이하의 크기안 소편(小片)(86)으로 잘게 부수면서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등을 분리한다. 다만, 분리된 철근등은 모아서, 운반차량에 실어 반출되며, 예를 들면, 산업 폐기물로써 처리된다. 또한, 잘게 부서진 소편(86)은 예를 들면, 해체 현장에 깔아 재이용된다.
대 분할용 파쇄기(80)에는 일반적으로 아암 선단에 콘크리트 구축물을 협압하여 파쇄하는 압괴칼을 구비함과 동시에, 아암 중간부의 추착점 근방에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콘크리트를 압괴칼로 압괴했을 시에 노출되는 철근, 철골등을 절단하는 전단칼을 구비한 구축물 파쇄기가 이용된다. 한편, 소 분할용 파쇄기(84)에는 개폐하는 한쌍의 아암의 추착부에서 선단부의 중간부에 투공부를 설치한 구축물파쇄기가 이용되고, 이러한 구축물 파쇄기에 의해 상술한 각 블록(82)을 압괴하여 작게 부수는 작업을 행한다.
한편, 콘크리트 건조물을 협압하여 파쇄할 시에는, 분진이 발생하여 비산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주택밀집지역에 있어서의 기존 건조물의 해체작업에 수반하는 새로운 공해문제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는 현장 작업원이 지상에서 혹은 해체중인 빌딩의 높은 곳으로 올라가 살수기에 연결된 호수등을 이용하여 구축물 파쇄기의 부근에 물을 분류(噴流)상태로 분출시켜, 분진의 비산을 방지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5층 건물인 철근 콘크리트 빌딩의 5층 부분의 파쇄등의 높은 곳 작업에서는 현장작업원이 지상에서 호스 등으로 구축물 파쇄기의 부근에 물을 분사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어쩔 수 없이 해체중인 빌딩의 높은 곳에 작업원이 올라가 호스등으로 구축물 파쇄기의 부근에 물을 분사시킬 경우에는 빌딩이 해체중이므로 큰 위험이 따르게 된다. 또한 지상에서 호스등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경우라도 콘크리트 덩어리가 작업원의 머리위로 낙하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최근 구축물 파쇄기에 분사 살수 장치를 부착, 급수 탱크에서 송수호스를 통하여 송수한 물을 이 분사 살수장치에 의해 분진 발생 장소에 살수하는 구축물 파쇄기가 개발되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축물 파쇄기의 일예를 도 2에 도시한다. 즉, 이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축물 파쇄기(51)의 파쇄 아암(52)의 근본부(根本部)에 폭방향에 걸쳐 다수의 분수 파이프(53)가 설치되고, 각 분수 파이프(53)의 선단에는 내측을 향하도록 살수 노즐(54)이 부착된다. 이 구축물 파쇄기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셔블 카의 아암에 부착되고, 급수 탱크에서 퍼올린 물이 송수 호스를 통하여 분수 파이프(53)로 공급되며, 살수 노즐(54)에서 분쇄 아암(52)의 선단방향을 향해 흘러 분사 살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축물을 파괴하는 크게 부수는 작업, 상기 파괴 작업에 의해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 등의 분리작업, 또한 콘크리트 파편을 작게 부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파괴에 의해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이 크면,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 등이 결합한 상태로 되는 경우가 많고, 콘크리트 파편을 작게 부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또한, 크게 부수는 작업,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 등의 분리작업, 나아가, 콘크리트 파편을 작게 부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서는 최저 3대의 유압 셔블 카등의 작업기계와 각각의 작업에 적합한 연결기구로써의 3대의 구축물 파쇄기, 또한 최저 3인의 오퍼레이터(구축물 파쇄기의 조작자)를 필요로 하는데, 좁은 해체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3대의 유압 셔블 카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3인의 오퍼레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해체 코스트가 증대한다. 한편, 1대의 유압 셔블 카등을 이용하여, 이들 작업을 모두 행하려면, 이제까지의 구축물 파쇄기를 제거하고, 다음 작업에 적합한 연결기구로써의 구축물 파쇄기로 교환하는 작업에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해체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다수의 연결기구를 필요로 하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의 살수는 살수기에서 호스를 연결하고, 직접 사람손에 의해 살수하는 것이 주체로 되는데, 4-5층 높이의 중고층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 해체공사에서의 파쇄시에 발생하는 먼지 방지의 살수는 지상에서의 경우, 필요로 하는 부분에 물이 잘 도달하지 않는다. 바람에도 영향을 받는 상층에서는 멀리서 살수되어 생각하는 장소에 물이 도달하지 않고, 또한, 위험도도 높은 등 문제점이 많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분사 살수장치가 붙은 구축물 파쇄기라도, 파쇄 아암의 선단 방향을 향해 물을 흐르는 상태로 분사할 뿐이므로, 필요로 하는 부분에 물이 잘 도달하지 않는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필요로 하는 부분 이외에 다량의 물을 사용하므로, 이 분사 살수 장치가 붙은 구축물 파쇄기는 물을 비경제적으로 사용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물부족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파쇄현장에도 절수에 협력할 필요가 있는데, 이 구축물 파쇄기는 절수효과라는 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고려도 되어있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분사 살수장치가 붙은 구축물 파쇄기는 급수 파이프의 보호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구축물과의 간섭이나 충돌에 의해 이 급수 파이프가 파손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살수 노즐이 측판의 외측에 노출되어 부착되기 때문에, 살수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노즐 커버가 필요했다. 그러나, 노즐 커버 자체, 측판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 외부 부착 부재인 것에 다름없고 강도의 충격이 작용한 경우, 이들 부재가 기부에서 파손하여 잘려나갈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벽이나 천정 등의 평판의 해체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데다가 파쇄되는 곳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물을 도달하게 함으로써 대폭적 절수가 가능한 구축물 파쇄기 및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구축물 해체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축물 파쇄기 및 구축물 해체공법으로써, 살수 노즐이나 급수 파이프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내구성이 있는 분사 살수 구조를 구비한 구축물 파쇄기 및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구축물 해체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에 의해 크게 부수거나 작게 부수는 작업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에 의한 분사 살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구축물 파쇄기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의 측면도.
도 6는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의 전체구성에서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의 살수 노즐을 메우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의 살수 노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a)는 그 측면도, (b)는 그 단면도, (c)는 그 정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구축물 파쇄기를 일반적인 급수 시스템에 적용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구축물 파쇄기의 분사 살수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구축물 파쇄기의 분사 살수 상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함과 동시에, 천정을 해체할 시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해체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도는 천정을 해체할 시에, 철근과 분리하지 않는 큰 콘크리트 파편이 천정에 매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도는 벽을 해체할 시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해체공법의 설명도.
도 15도는 마찬가지로, 벽을 해체할 시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해체공법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축물 파쇄기2a : 아암
2b : 아암3 : 링크 기구
3a : 회동부3b : 회동부
3c : 회동부4 : 유압 실린더
4a : 실린더 외통5 : 작업용 브라켓
6a : 측판6b : 측판
7a : 파쇄칼7b : 파쇄칼
8 : 투공부(두께없는 부)9 : 환형상 플랜지
10 : 핀11 : 핀
12 : 연결 지레13 : 핀
14 : 링크 편(片)15 : 핀
16 : 피스톤 로드17 : 단이 있는 관통공
18 : 단이 있는 관통공19 : 환형상 플랜지
20 : 외주 플랜지21 : 볼트
22 : 환상체23 : 스테이 부재
24 : 장착공25 : 장착공
26 : 너트27 : 너트
28 : 피스톤29 : 실린더 헤드
30 : 원주상 돌출부31 : 환상 홈
32 : 환상홈33 : 유로
34 : 유로35 : 링
36 : 링37 : O링
38 : O링39 : 스냅 링
40 : 유압 공급구41 : 유압 공급구
42 : 급수공43 : 관로
44 : 급수 파이프45 : 급수 파이프
46 : 살수 노즐46a : 선회 용수철
46b : 분출구47 : 구멍부
48a : 전단칼48b : 전단칼
49 : 커버부재50 : 급수로
51 : 구축물 파쇄기52 : 파쇄아암
53 : 분수 파이프54 : 살수 노즐
55 : 송수 호스56 : 펌프
57 : 급수 탱크58 : 스위치
59 : 모터 밸브70 : 아암 박스
70A : 하단부72 : 금속관
90 : 콘크리트 파편100 : 와력(기와돌)
200 : 가는 모래, 먼지300 : 3층 부분
300a : 마루400 : 4층 부분(철근 콘크리트 평판)
410 : 철근420 : 철근
500 : 안내(미스트)상태의 물
600 : 벽610 : 기둥
620 : 도괴(倒壞)면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구축물 파쇄기는 아암 지지체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이 부착되고, 상기 아암의 후단부에는 상기 아암을 개폐시키도록 작동하는 링크 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로 상기 아암의 후단부를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고, 또한, 파쇄되는 곳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상기 아암의 선단방향을 향해 물을 상기 파쇄되는 곳을 덮어싸듯이 미스트상태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구축물 파쇄기는 상기 분사 살수 수단은 선회 용수철을 통함으로써 상기 물을 선회류로 하여 방출하는 살수 노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기재의 구축물 파쇄기는 상기 살수 노즐은 상기 링크 기구의 회동부보다 선단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청구항 7 기재의 구축물 해체공법은 청구항 1과 같은 구축물 파쇄기를 작업기계의 작업기용 브라켓에 부착,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미스트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1) 철근 콘크리트제의 벽 혹은 천정 평판의 일측을 따라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동하면서 상기 아암의 개폐에 의한 평판의 압괴동작을 반복 행하여 상기 평판의 일측을 압괴하는 공정과 (2) 상기 평판의 콘크리트를 압괴한 후에 노출되는 철근을 상기 전단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1), (2)의 공정을 반복 행함으로써 평판을 콘크리트 파편과 절단된 철근으로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청구항 8기재의 구축물 해체공법에서 상기 (1)의 공정은 상기 아암의 개페에 의한 평판의 압괴동작에 의해서도 철근에 부착하여 낙하하지 않는 콘크리트 파편을, 상기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미스트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다시 상기 구축물 파쇄기의 아암에서 압괴함으로써 소편으로 하여 낙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파편이 철근에 부착하여 낙하하지 않은 채로 전단칼에 의해 절단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파편이 지상으로 낙하한 충격에 의해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다시 구축물 파쇄기의 아암에서 압괴하여 소편으로하여 낙하시키므로, 이 두번의 압괴에 의한 분진의 발생, 또한, 지상에 낙하한 콘크리트 파편이 낙하의 충격으로 부서져 흩어짐에 따른 분진의 발생과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기재의 구축물 해제공법은 청구항 1과 같은 구축물 파쇄기를 작업기계의 작업기용 브라켓에 부착,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미스트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1) 철근 콘크리트제의 벽의 평판 및 상기 평판을 지지하는 기둥의 상부에 연설(連設)하는 구축물과 상기 평판 및 기둥에 굴곡하여 연설하는 구축물을 파괴하고, 상기 벽의 평판과 상기 평판을 지지하는 기둥을 독립시키는 공정, (2) 그후, 상기 독립한 평판 및 기둥을 무너뜨리는 방향의 상기 기둥의 근원 부분의 일부 콘크리트를 파쇄함과 동시에 이때 노출된 철근을 일부 절단하는 공정,
(3) 그후, 상기 구축물 파쇄기의 아암 선단부에서 상기 독립한 평판 혹은 상기 평판을 지지하는 기둥의 상단부를 감싸듯 지지하고, 무너뜨리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던지 압압하여 상기 평판 및 궁주를 무너뜨리는 공정 및 (4) 무너진 벽의 평판을 파쇄하여 철근을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 기재의 구축물 파쇄기는 청구항 2기재의 구축물 파쇄기에서 상기 아암 지지체의 하단부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상기 살수 노즐을 상기 구멍부에 메워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아암 지지체를 상기 살수 노즐의 프로텍터로써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구축물 파쇄기는 상기 아암 지지체의 하단부에 상기 살수 노즐에 연결된 급수로를 매설하고, 상기 급수로를 상기 아암 지지체의 내측에 붙어 회전하는 급수 파이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기재의 구축물 파쇄기는 상기 구멍부와 감합하는 교환 가능한 중공(中空)의 커버부재를 가지며,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상수 노즐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구축물 파쇄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의 사시도, 도 4는 구축물 파쇄기(1)의 정면도, 도 5는 구축물 파쇄기(1)의 측면도, 도 6는 구축물 파쇄기(1)의 정면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축물 파쇄기(1)는 개략적으로 한쌍의 아암(2a),(2b)과 링크 기구(3) 및 유압 실린더(4)와 작업기용 브라켓(5) 및 아암 지지체를 구성하는 2매의 측판(6a),(6b)에 의해 구성된다. 한쌍의 아암(2a),(2b)의 각각은 대략 「く」자형의 갈고리상으로 형성된다. 아암(2a)의 최선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릭(7a),(7a'), (7a)이 아암(2a)의 두께방향으로 중합(重合)하여 다수 병설되며, 아암(2b)의 최선단부에는 클릭(7a),(7b)이 아암(2b)의 두께 방향으로 중합하여 다수 병설되어 있다. 아암(2a)의 최선단부 중심부에 부착된 클릭(7a')은 다른 클릭(7a)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며, 그 선단부 방향이 내측으로 향하고, 다른쪽 아암(2b)의 협압면에 대해 다른 클릭(7a)보다 가까운 거리에 있다. 아암(2a),(2b)의 협압면의 대략 중앙에는 각각 클릭(9a),(9b)이 설치된다. 다만, 아암(2a),(2b)의 각각에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당한 곳에 투공부(두께없는 부)(8)가 설치된다. 이들 투공부(8)는 작게 부수는 작업에서 투과공(8)을 삽입 통과하여 아래로 낙하하는 크기의 흙이나 콘크리트 덩어리는 해체현장의 토지에 깔고 리사이클 가능한데 대해 그 이상의 크기인 콘크리트 덩어리는 리사이클 불가능하여 트럭등으로 현장에서 실어내므로, 그 배분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동시에 투과공(8)은 아암(2a),(2b)의 협압면에 토사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아암(2a),(2b)의 경량화를 도모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48a,48b은 철근 등을 절단하기 위한 전단칼이고, 칼날이 망가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적당히 교환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대로, 아암 지지체를 구성하는 측판(6a),(6b)은 상호 간격을 두고 환형상 플랜지(9)와 일체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이고, 아암(2a),(2b)의 각각은 측판(6a),(6b)을 관통하여 부착된 핀(10),(10)을 통하여 측판(6a),(6b)의 하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軸支)된다. 또한, 아암(2a),(2b)의 외측부에는 핀(11),(11)을 통하여 연결지레(12),(12)의 일단이 추착되고, 또한, 연결지레(12),(12)의 타단이 핀(13),(13)을 통하여 링크편(14)의 양측에 추착되어 있다. 즉, 아암(2a),(2b)을 개폐구동하기 위한 링크기구(3)는 연결지레(12),(12)와 링크편(14) 및 핀(11),(13)에 의해 구성된다. 링크편(14)은 그 중앙부를 관통하는 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16)의 선단에 고정 장착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6a),(6b)을 구비한 환상 플랜지(9)의 중앙부에는 유압 실린더(4)의 실린더 외통(4a)을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17)이 형성되고, 다른 환형상 플랜지(19)에는 다시 1개의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플랜지(19)와 실린더 외통(4a)(의 외주 플랜지(20))와는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환형상 플랜지(9)와 환형상 플랜지(19)는 볼트(21)를 매개로 고정장착되며, 측판(6a)(6b)을 구비한 환형상 플랜지(9)와 실린더 외통(4a) 및 환형상 플랜지(19)가 일체화된다. 작업기용 브라켓(5)은 도 3∼6 및 도 7(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상체(22)의 양측에 스테이 부재(23),(23)를 고정 설치한 구조를 가지고, 스테이 부재(23),(23)의 각각에는 작업기의 붐(boom) 선단에 감합하기 위한 장착공(24),(25)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환상체(22)는 유압실린더(4)의 실린더 외통(4a)을 포위하도록 하여 실린더 외통(4a)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며, 실린더 외통(4a)의 상단부, 즉 실린더 저면 근방에 나합(螺合)된 너트(26),(2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즉, 작업기용 브라켓(5)은 측판(6a),(6b)을 구비한 환형상 플랜지(9) 및 이와 일체의 실린더 외통(4a)에 대해 회전자유롭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다. 유압 실린더(4)는 도 7(a)에 도시하는 대로 피스톤(28)을 일체로 구비한 피스톤 로드(16)와 실린더 외통(4a) 및 실린더 헤드(29)에 의해 구성된다.
도 7(a)에 도시하는 대로, 실린더 외통(4a)의 실리더 저면에는 원주상의 돌출부(30)가 설치되고, 이 돌출부(30)의 외주면에는 2조의 환상홈(31),(32)이 설치된다. 한쪽 환상홈(31)은 실린더외통(4a)의 주벽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33)를 거쳐 유압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 측 유실(油室)에 연결하고, 또한 다른쪽의 환상홈(32)은 유압 실린더(4)의 실린더 저면을 관통하는 유로(34)를 통하여 피스톤측 유실에 연결한다. 원주상의 돌출부(30)에는 링(35),(36)이 회전 가능하게 감입 삽입되며, O링(37),(37) 및 O링(38),(38)을 통하여 돌출부(30)의 주위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탈 고정을 구성하는 스냅링(39)으로 축방향의 이동이 금지된다. 링(35)의 측면에는 환상홈(31)에 대향하는 압유(壓油) 공급부(40)가 형성되고, 또한 링(36)의 측면에는 환상홈(32)에 대향하는 압유 공급구(41)가 형성되며, 작업기의 유압원에서의 유압 호스가 접속된다. 따라서, 아암(2a),(2b)을 구비한 측판(6a),(6b)과 유압 실린더(4)가 작업기용 브라켓(5)에 대해 선회한 경우라도 압유 공급구(40),(41)에 접속한 호스에 꼬임이 발생하지 않고, 즉 링(35),(36)이 작업기용 브라켓(5)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환상홈(31),(32)에 대한 압유의 공급이 확보된다.
링(35)의 압유 공급구(40)에서 기름을 흘려보내면 유로(33)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측 유실에 기름이 공급되며, 축퇴(縮退)하는 피스톤 로드(16)가 링편(14)을 빼내 연결지레(12),(12)가 아암(2a),(2b)의 외측부를 밀어 아암(2a),(2b)을 열고, 피스톤측 유실의 기름이 유로(34) 및 압유 공급구(41)를 매개로 작업기측의 오일 탱크로 반환된다. 또한 링(36)의 유압 공급구(41)에서 기름을 흘려보내면, 유로(34)를 통하여 유압 공급구(4)의 피스톤측 유실에 기름이 공급되고, 돌출하는 피스톤 로드측(16)가 링크편(14) 및 연결지레(12),(12)를 매개로 아암(2a),(2b)의 외측부를 밀어 아암(2a),(2b)을 닫고, 피스톤 로드측 유실의 기름이 유로(33) 및 유압 실린더(40)를 통하여 작업기측의 오일 탱크로 반환된다. 또한, 원주상의 돌출부(30)의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부(3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급수공(42)이 천설되고, 실린더 저면내를 직경방향으로 가로질러 도 6 및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외통(4a)의 주벽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로(43)에 연결한다. 관로(43)는 실린더 외통(4a)의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부에 급수 파이프(44)가 접속된다. 또한, 급수공(42)의 개구부에는 회전 이음매를 매개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측에서 급수용의 호스가 접속된다.
실린더 외통(4a)의 주벽내에 설치한 유로(33) 및 관로(43)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고 있는데, 이들은 실린더 외통(4a)의 주벽부에 축방향 및 직경방향의 구멍을 천설한 후, 불필요한 개구부를 테이퍼 나사나 용접 등의 수단으로 막은 것이다. 실린더 외통(4a)의 주벽 두께를 도 7(b)에서는 파선으로 표시한다. 실린더 외통(4a)의 하단부에 접속한 급수 파이프(44)는 다시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6b)의 이면에 붙어서 측판(6b)의 하단부 근방까지 도달하고, 또 한쪽의 측판(6a)을 향하는 급수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로 나누어지도록 접속한다. 그리고, 급수 파이프(45)를 파생시킨 급수 파이프(44)와 급수 파이프(45)는 그대로 측판(6b)의 이면에 붙여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측판(6b),(6a)의 하단부에 매설되는 살수 노즐(46),(46)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살수 노즐(46),(46)은 링크 기구(3)의 회동부(3a),(3b),(3c)보다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부(3a),(3b),(3c)에 분무된 물 때문에 회동부(3a),(3b),(3c)의 그리스를 씻어내버리는 일이 없다.
도 8에 살수 노즐(46),(46)의 매설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살수 노즐(46),(46)은 도 8에 도시하는 대로, 측판(6a),(6a)으로 구성되는 아암 박스(70)의 하단부(70A)(주물에 의해 내용물이 구성된다)에 설치된 구멍부(47),(47)에 메워 고정 설치된다. 또한 아암 박스(70)의 하단부(70A)에는 살수 노즐(46),(46)에 연결된 급수로(50)도 매설되어 있고, 급수로(50)는 측판(6b)의 이면에 붙은 급수 파이프(44)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파이프(44)는 고무 또는 비닐 호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측판(6b)에 고정된 금속관(72)내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이 금속관(72)에 의해 가드된다. 또한 구멍부(47),(47)에는 교환 가능한 커버부재(49),(49)가 감합되어 있고, 이들 커버 부재(49),(49)는 중앙이 파내져 있으므로, 커버부재(49),(49)를 매개로 살수 노즐(46),(46)에서 물이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9(a)∼(c)에 각 살수 노즐(46)의 구조를 도시한다. 각 살수 노즐(46)은 도 9(a),(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용수철(46a)과 분출구(46b)를 가지고 있고, 압력이 걸린 물이 선회 용수철(46a)을 통과함으로써, 고속의 선회류가 만들어져, 이 고속의 선회류가 분출구(46b)에서 방출되고, 균일한 미세한 물분자로 이루어지는 안개(미스트)상태의 물이 아암(2a),(2b)(도 3∼도 6참조)의 중앙부에서 분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하는 데는, 상술한 급수공(42)의 개구부를 회전 이음매를 매개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카의 아암에 뻗어 설치되어 셔블 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송수 호스(55)를 통하여 펌프(56), 급수 탱크(57)에 연결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유압 셔블 카의 회전석(캐빈)에서 작업원이 스위치(58)를 ON으로 하면, 모터 밸브(59)의 밸브가 열리는 상태로 되고, 펌프(56)에 의해 급수 탱크(57)에서 퍼올려진 물이 송수 호스(55)를 통하여 도 3∼6에 도시하는 구축물 파쇄기의 급수공(42)에 공급되며, 이 물은 관로(43), 급수 파이프(44), 급수 파이프(45)를 통하여 높은 수압이 걸리고, 살수 노즐(46),(46)로 유입한다. 이 고수압이 걸린 물은 선회 용수철(46a)에 의해 고속의 선회류로 되어 각 살수 노즐(46)의 분출구(46b)에서 방출되며, 각 커버부재(49)가 파내진 중앙부를 통과하여 균일한 미세한 물 분자로 이루어지는 안내(미스트)상태로 분사된다. 다만, 스위치(58)나 모터 밸브(59)등은 설치하지 않고, 송수 호스(55)에 밸브와 그 개폐용의 레버 핸들을 설치하며, 작업원이 유압 셔블 카의 운전석(캐빈)에서 레버 핸들을 적당히 조작하여 급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에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한 분사 살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살수 노즐(46)(도 8∼9 참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와 같이 직업 아암(2a),(2b)의 충합부(衝合部) 또는 파쇄대상물을 향해 물이 살포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분무된 안개(미스트)상태의 물(500)이 아암(2a),(2b) 및 파쇄 대상물을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카텐처럼 외측부터 감싸듯이 된다. 따라서, 파쇄작업에서 발생한 먼지나 쓰레기가 멀리까지 날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즉, 파쇄 아암의 중앙부에서 안개 상태의 물(500)을 분사하고, 파쇄대상물의 철근 콘크리트 부분에서 발생하는 미크로에 가까운 먼지까지 넓게 감싸듯이 덮고, 파쇄작업에서 발생한 먼지나 쓰레기를 폭넓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살수되는 물에 낭비가 없고, 종래방법의 살수에 비해 70% 이상의 절수가 가능하다.
도 12에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한 다른 분사 살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예를 들면 5층 건물의 중고층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해체공사에서 4층 부분을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해 파쇄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등을 이용한 중고층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해체공사에서는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순서대로 부수어가는 공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도 12는 4층 부분을 부수는 것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4층 부분(400)을 부술때에는, 3층 부분(300)의 마루(300a)위에 기와돌(100)이나 미세한 흙, 먼지(200)등이 점점 쌓여가고, 3층의 마루(300a)두께보다 두꺼운 층으로 퇴적해 가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경우, 후에 3층 부분(300)을 부술때에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으로 끼워 3층의 마루(300a)를 파괴할시에, 상술한 기와돌(100)이나 가는 모래 먼지(200)등의 두꺼운 층이 털썩 낙하하면서 주위에 분진을 흩날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3층 부분(300)을 부수기전부터 가능한한 이러한 기와돌(100)이나 흙 먼지(200)등의 층에 물을 부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12에 도시한 분사 살수 상태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하면, 4층 부분(400)을 부술시에, 작업원이 스위치(58)(도 10참조)를 ON으로 하면 4층 부분(400)의 파쇄되는 곳뿐만 아니라, 3층의 마루(300a)위의 기와돌(100)이나 흙 먼지(200)등의 층에도 분무된 안내(미스트)상태의 물(500)이 안개 커텐처럼 내려지게 된다. 따라서, 다음에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으로 끼우고 3층의 마루(300a)를 파괴했을 시에, 기와돌(200)이나 가는 모래 먼지(200)등의 층이 털썩 낙하하면서 주위에 분진을 흩날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4층 부분(400)을 부술 때에 분무된 물이 4층 부분(400)에 닿지 않아도 아래 3층의 기와돌이나 흙 먼지(200)등의 층에 걸리게 되므로, 살수되는 물에 전혀 낭비가 없고, 또한 절수 효과를 높히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수 노즐(46),(46)은 측판(6a),(6b)으로 구성되는 아암 박스(70)의 하단부(70A)설치된 구멍부(47),(47)에 메워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파쇄대상이 되는 건축물등에 직접 충돌하지 않고, 각 살수 노즐(46)의 분출구(46b)가 무너지거나 변형되는 파손이 회피된다. 살수 노즐(46),(46)을 보호하는 프로텍터는 측판(6a),(6b) 그 자체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매우 단단하고 근원에서 잘려나가지도 않는다. 또한, 살수 노즐(46),(46)에 물을 공급하는 관로의 일부는 실린더 외통(4a)의 내부에 직접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파괴 불가능하고, 또한,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급수 파이프(44),(45)도 측판(6b),(6a)의 이면에 붙어 배관되므로, 파쇄대상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함부로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부(47),(47)에 교환 가능한 커버부재(49),(49)가 감합되므로,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등의 해체, 파쇄중에 아암 박스(70)의 선단부(70A)측이 예를 들면 H형강철을 포함하는 기둥이나 들보 등에 부딪쳐도 구멍부(47),(47)는 커버부재(49),(49)에 의해 커버되므로, 구멍부(47),(47)가 금방 무너져 버리지 않는다. 커버부재(49),(49)가 손상되어도 살수 노즐(46),(46)에서의 물의 분출이 방해되면, 파쇄현장에서 손상된 커버 부재(49),(49)를 새로운 것으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내구성있는 분사 살수 구조로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구축물 파쇄기(1)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을 해체하는 일방법으로써,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구축물 해체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실시형태의 구축물 해체공법에 있어서는, 철근 콘크리트벽이나 천장등의 평판을 압괴하기 위해서는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을 연자세에서 구축물 파쇄기(1)를 이동시키고, 살수 노즐(46)에서 물을 안개(미스트)상태로 분무하면서 벽이나 천정 등의 철근 콘크리트 평판을 연 아암(2a),(2b)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아암(ab)의 선단부를 닫아 끼워 압압하다. 콘크리트는 폭이 넓은 아암(2a),(2b)전면에 의해 압괴되며, 소편이 된 콘크리트 파편은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에 설치된 투공부(8)를 통하여 낙하한다.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해체공법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괴되었는데, 작은 파편이 되지 않은 콘크리트 파편(90)이 발생하고, 상기 파편이 크기 때문에, 철근에 부착하여 낙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의 해체공법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콘크리트 파편(90)이 부착하는 철근을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에 설치된 전단칼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콘크리트 파편(90)을 지상에 낙하시켰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 파편(90)이 지상에 낙하했을 시의 충격에 의해 큰 진동과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제2 실시형태의 해체공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 지지체(6a),(6b)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된 한쌍의(폭 넓은)아암(2a),(2b)을 가지고, 아암(2a),(2b)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10a),(10b)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8)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7a),(7a'),(7b)이 부착되고, 아암(2a),(2b)의 후단부를 유압 실린더로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2a),(2b)의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는 구축물 파쇄기(1)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평판을 폭넓은 아암(2a),(2b) 전체면에 걸쳐 압괴하므로, 종래의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해체공법과 달리,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괴되었지만, 작은 파편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콘크리트 파편(90)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콘크리트 파편(90)이 지상에 낙하했을 시의 충격에 의해 큰 진동과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그와 같은 콘크리트 파편(90)이 일부에 발생한 경우라도 다시 큰 콘크리트 파편(90)을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으로 압괴함으로써 콘크리트 파편(90)을 작은 파편으로 하여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은 파편이 흩어져 낙하할 뿐이므로, 큰 진동과 소음은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살수 노즐(6)에서 물을 안개(미스트)상태를 분무하면서 구축물 파쇄기(1)를 벽이나 친정등의 철근 콘크리트 평판의 일측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철근 콘크리트 평판을 맞물려 부수고, 철근 콘크리트 평판의 일측을 압괴시킨 후는 철근만으로 된다. 여기서, 이 철근을 구축물 파쇄기(1)에 설치된 전단칼(48a),(48b)에 의해 절단하고, 다시, 구축물 분쇄기(1)에서 마찬가지로 철근 콘크리트 평판의 일측을 압괴시키고, 다음에 철근을 절단한다. 이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의 벽이나 천정의 평판은 파괴되며, 작은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으로 분리되게 된다. 콘크리트 파편은 이미 소편으로 되어 있으므로, 새롭게 작게 부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작게 부수는 것이 필요한 경우라도 얼마 안되고, 구축물 파쇄기(1)에서 이 작게 부수는 것이 필요한 콘크리트 파편을 압괴함으로써 작은 파편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콘크리트 파편이 낙하하는 것은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이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작게 부수는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철근 콘크리트벽을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압괴하여 파괴하는 것이 주위의 상황등으로 곤란한 경우에는 벽과 상기 벽을 지지하는 기둥을 독립시킨 후,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의 근원을 무너뜨리는 쪽의 일부 콘크리트를 파쇄하고, 또한 철근도 일부 절단한 후, 벽 혹은 기둥의 상부를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으로 감싸듯 지지하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너뜨리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던지, 혹은 무너뜨리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벽과 기둥을 함께 무너뜨린다. 그후, 상술한 철근 콘크리트 평판의 파쇄와 같은 방법등에 의해 상기 벽을 파쇄하고, 작은 콘크리트 파편과 철근으로 분리한다.
이하, 본 제2실시형태의 구축물 해체공법에 대해 도 13∼1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3을 참조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천장(각 층을 구분하는 플로어)을 해체하는 해체공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구축물 파쇄기(1)를 작업기용 브라켓(5)을 통하여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유압 셔블 카에 부착, 아암(2a),(2b)이 파괴하려는 천정의 철큰 콘크리트 평판(400)을 대략 직각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아암(2a),(2b)의 한쪽을 고정물에 당접시켜 압압하고 작업기용 브라켓(5)에 대해 아암 지지체(측판)(6a),(6b)를 회전시켜 상기 아암 지지체(6a),(6b)의 회전위치를 정한다. 이 경우 아암 지지체(6a),(6b)의 의 회동 중심축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중량이 발란스가 취해지므로, 아암(2a),(2b)을 수평방향으로 열어도 아암 등의 중량에 의해 회전 모먼트가 발생하지 않고(혹은 발생해도 작게, 아암 지지체와 작업기용 브라켓(5) 사이의 회동 저항보다도 작다), 아암 지지체(6a),(6b)는 회동하지 않고 그 아암을 연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축물 파쇄기(1)르 이동시켜, 살수 노즐(46)에서 물을 안개(미스트)상태로 분무하면서 아암(2a),(2b) 최선단의 클릭(7a),(7a'),(7b)으로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끼워 지지해 파쇄작업을 행한다. 아암(2a),(2b)은 갈고리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여 있으므로 아암(2a),(2b)을 크게 열어 구축물을 끼워 지지한 경우라도 클릭(7a),(7a'),(7b)의 선단부만이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포착한다. 특히 아암(2a)의 최선단부의 중심부에 부착된 클릭(7a')은 다른 클릭(7a)보다 그 선단부의 방향이 내측을 향하고, 다른쪽 아암(2b)의 협압면에 대해 다른 클릭(7a)보다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아암(2a),(2b)을 닫으며, 아암(2a)측에서는 다른 클릭(7a)보다도 중앙의 클릭(7a')이 우선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 당접한다. 또한, 다른쪽 아암(2b)측에서 클릭(7b) 혹은 그 근방 나아가서는 클릭(9b)이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 당접한다. 또한, 아암(2a),(2b)을 닫으면, 아암(2a)측에서는 중심의 클릭(7a')만이 철근 콘크리트 평판(50)에 당접하고, 다른쪽 아암(2b)과 함께 협압하게 되므로,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는 중심의 클릭(7a')의 당접 위치에 집중하여 응력이 가해지고, 이 위치에서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는 금 혹은 균열이 발생하여 취약해진다. 그리고, 아암(2a),(2b)이 닫혀지면, 전체의 클릭(7a),(7a'),(7b)이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 당접하고, 협압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하는데, 이미, 금 혹은 균열이 생겨 취약해진 이 협압부분은 간단하게 압괴된다.
이와 같이, 중심의 클릭(7a')에서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 대해 집중적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강력한 협압력을 집중시키고, 우선,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에 금이나 균열이 발생해 취약화되고, 다음에, 전체의 클릭(7a),(7a'),(7b),(9a),(9b)으로 취약해진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협압하여 아암 폭 전체 영역에 걸쳐 폭 넓게(양 아암의 폭에 의해 폭넓게)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압괴한다. 이 때문에 파쇄된 콘크리트 파편은 작아지고, 아암에 설치된 투공부(8)를 통하여 흘러 낙하되고, 이 투공부(8)의 구멍의 크기 이하의 소편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아암(2a),(2b)의 협압부 이외의 주변 개소에 아암(2a),(2b)의 압괴작용의 영향에 의해 금이나 균열이 발생하여 콘크리트가 파쇄되어도, 그 콘크리트 파편은 큰 경우가 많다. 콘크리트 파편이 크면 철근과 분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철근은 천정위치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근과 분리하지 않는 큰 콘크리트 파편이 천정에 매달린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는 다시 이 큰 콘크리트 파편을 구축물 파쇄기(1)로 압괴한다. 이에 따라 이 큰 콘크리트 파편을 부수어 작은 콘크리트 파편으로 하여 낙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압괴한 후, 아암(2a),(2b)을 열고, 천정의 평판(400)의 일측을 따라 구축물 파쇄기(1)를 이동하고, 상술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압괴한다. 이하, 천정의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의 일측을 일단에서 타단까지 압괴한 후(도 13에서는 천정의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의 좌단에서 우방향으로 순차 압괴 파쇄한 상태를 도시한다), 노출된 철근을 콘크리트 파편(1)의 전단칼(48a),(48b)에 의해 절단한다. 이 경우,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압괴하는 일측의 변방향으로 뻗는 철근(도 13에서 좌에서 우로 뻗는 철근)(410)은 구축물 파쇄기(1)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 절단할 수 있는데, 철근(4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철근(420)은 전단칼(48a),(48b)의 방향(전단칼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되므로, 이 철근(420)은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 선단 등에서 상방향, 혹은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구부러지고,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 지지체(6a),(6b)를 작업기용 브라켓(5)에 대해 회전시켜, 아암(2a),(2b)의 개폐방향을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면의 방향과 일치시키고, 철근(420)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한 후에 노출된 철근(410),(420)을 절단한 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의 일단에서 타단, 혹은 타단에서 일단까지 압리하고, 철근(410),(420)을 노출시켜, 철근을 절단한다. 이하 이 작업을 반복 실행하고,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분쇄하여 해체한다. 또한, 벽과 같이 세워 설치하는 철근 콘크리트 평판을 압쇄할 경우도, 상기 벽의 일측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압괴, 파괴하여 작은 콘크리트 파편으로 함과 동시에, 노출된 철근을 전단칼(48a),(48b)로 절단하고, 이 벽의 일측변을 압괴, 파쇄하고, 노출된 철근을 절단하는 작업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벽의 철근 콘크리트 평판을 파쇄 해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을 압괴, 파쇄하고, 낙하한 콘크리트 파편은 작은 파편으로 되는데, 때로는 큰 파편이 혼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을 연 상태로 하여 아암(2a),(2b)에 의해 큰 콘크리트 파편을 들어올리고, 콘크리트 파편을 작게 부순다. 아암(2a),(2b)은 폭이 넓으므로 콘크리트 파편 등을 자연스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콘크리트 파편을 들어올려, 아암을 닫으므로써, 구축물의 파편을 압입하여 협압한다. 협압된 콘크리트 파편은 투공부(8)를 통하여 흘러 낙하되고, 이 투공부(8)의 구멍의 크기 이하의 소편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 평판(400)의 파괴에 의해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이 큰 것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릭(7a),(7a'),(7b)에 의한 협압에 의해 압괴되어도 되는데, 양 아암(2a),(2b)의 협압면에서 협지할 수 있는 큰 것이면, 상기 협압면에서 협지할 때, 아암(2a)의 선단부의 중간부에 배치하는 클릭(9a),(9b)이 우선 이 이 콘크리트 파편에 닿아 협압되므로, 이 경우도 클릭(9a),(9b)에 의해 집중적으로 힘이 콘크리트 파편에 가해지므로, 파편은 간단하게 압괴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파편을 분쇄하는 파괴력은 핀(10)에서의 거리가 짧은 만큼, 클릭(7a),(7a'),(7b)보다도 클릭(9a),(9b)쪽이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 파편을 간단하게 파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콘크리트 압괴물을 작게 부숴 소정 크기 이하의 소편으로 하고,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해체공법에서, 철근 콘크리트의 벽이나 천정등의 평판을 압괴 파쇄하여 해체할 때, 이 압괴 파쇄에 의해 콘크리트 파편이 대부분 작은 파편으로 부수어지므로, 압괴 파쇄한 후 다시 콘크리트 파편을 작게 부술 필요가 없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평판의 압괴 파쇄에 의해 작은 콘크리트 파편으로 되어, 낙하하고, 철근만이 남으므로, 철근과 콘크리트 파편의 분리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축물을 해체하고, 콘크리트 파편을 재이용하기 위해 작은 콘크리트 파편으로 함과 동시에 철근과 콘크리트 파편을 분리하여 수집하기 까지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해체하려는 구축물의 주위환경에 따라서는, 철근 콘크리트벽을 세운채로 압괴, 파쇄하여 해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해체하려는 구축물에 인접하여 다른 구축물이 있기 때문에, 벽을 입설상태로 압괴, 파쇄하여 해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나, 해체하려는 구축물의 부지가 작고, 해체할 때의 콘크리트 파편이나 철근이 인접하는 다른 부지에 분산하는 경우이다. 또한, 그 후의 반출작업 등을 고려하면, 해체했을 때 콘크리트 파편이나 철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정의 영역내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철근 콘크리트벽을 세운 상태에서 압괴, 파쇄하지 않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벽 및 상기 벽을 지지하는 기둥을 압괴 파쇄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 무너뜨리고, 그후 상기 벽을 압괴, 파쇄하여 해체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이 벽 및 기둥을 무너뜨려 해체하는 해체공법을 설명한다. 우선, 무너뜨리려는 벽 및 기둥에 연설하는 다른 벽, 천정 등을 해체하고, 무너뜨리려는 벽 및 이 벽을 지지하는 기둥만이 입설하는 독립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46)에서 물을 안개(미스트)상태로 분무하면서 기둥의 근원을 무너뜨리는 측의 콘크리트를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해 일부 압괴하고, 파쇄한다. 또한, 압괴, 파쇄함으로써 노출된 철근의 일부를 구축물 파쇄기(1)의 전단칼(48a),(48b)에 의해 절단한다. 무너뜨리려는 벽을 지지하는 전체 기둥에 대해 같은 작업을 행하고, 기둥의 근원 부분에서 무너뜨리려는 방향으로 무너지기 쉽게 한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너뜨리려는 벽 및 기둥의 상부 단부를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으로 협지하고, 살수 노즐(46)에서 물을 안개(미스트)상태로 분무하면서 무너뜨리려는 방향으로 천천히 끌어당겨, 넘어뜨린다. 또한 구축물 파쇄기(1)를 부착한 유압 셔블 카의 위치에 따라서는 벽(600) 혹은 기둥(610)을 구축물 파쇄기(1)의 아암(2a),(2b)으로 협지하여 천천히 압압하여 무너뜨린다.
벽(600),기둥(610)을 무너뜨렸을 때, 이미 구축물의 다른 부분을 압괴파쇄했을 때에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등이 도괴면(620)에 산재하므로(혹은 적극적으로 콘크리트 파편을 산재시켜 둔다), 이 콘크리트 파편등이 댐퍼의 역할을 하고, 또한, 벽(600)이나 기둥(610)은 근원부분의 철근으로 다른 부분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무너뜨리는 벽(600), 기둥(610)은 안전하게 천천히 무너뜨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벽(600) 및 기둥(610)을 넘어뜨린 후, 상술한 천정을 압괴·파쇄·해체한 요령으로 이 벽을 압괴·분쇄한다. 또한 기둥(610)도 구축물 파쇄기(1)에 의해 마찬가지로 압괴·파괴하여 해체한다. 또한 구축물을 파괴함에 따라 발생하고 지상 또는 플로어면에 떨어진 철근 등의 긴 물체는 아암(2a),(2b)의 선단이 호크상으로 나뉘어지고, 또한 폭 넓게 형성되므로, 아암(2a),(2b)을 열고, 아암 최선단부의 클릭(7a),(7b)을 지상면 또는 플로어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긴 물체를 고효율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되어 산처럼 퇴적된 긴 물체를 별도의 장소에 이동시킬 때나 트럭등의 하대에 실을 때는 이들 길이가 긴 물체를 양 아암(2a),(2b)으로 협지하여 트럭등의 하대까지 반송한 후, 하대상에서 협지를 해체함으로써 하대에 실을 수 있다. 특히 아암(2a),(2b)의 폭이 넓고, 대체로 동일한 폭이므로, 이들 길이가 긴 물체를 감싸듯 지지, 반송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의 해체공법에서는, 세운 철근 콘크리트의 벽을 원하는 방향으로 넘어뜨린 후, 상기 벽을 압괴 파쇄하도록 했으므로, 세운 상태에서 벽을 압괴 파쇄하는 것이 어려울 때도, 간단하게 벽을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압괴 파쇄, 철근의 절단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파편, 철근을 비산시키지 않고, 소정 영역내에 들어가게 할 수 있으므로, 해체후의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다만, 이상에 기술한 제2실시형태에 관한 해체공법에서는 도 13∼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46)에서 물을 안개(미스트)상태로 분무하면서 해체를 행했는데, 구축물 파쇄기(1)는 도 10에 도시한 살수 시스템과 조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살수 노즐(46)에서 물은 분무되지 않지만, 구축물 파쇄기(1)를 이용하여 제2실시형태에 관한 해체공법과 대체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아암 지지체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된 한 쌍의 아암(2a),(2b)를 가지고, 아암(2a),(2b)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48a),(48b)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8)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7a),(7a'),(7b)이 부착되고, 아암(2a),(2b)의 후단부에는 상기 아암을 개폐시키도록 작동하는 링크 기구(3)가 연결되며, 링크 기구(3)를 통하여 유압실린더(4)에서 아암(2a),(2b)의 후단부를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2a),(2b)의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는 구축물 파쇄기(1)를 이용하고, 살수 노즐(46)에서 물이 분무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2실시형태에 관한 해체공법과 같은 해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벽이나 천정등의 평판의 해체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암 지지체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가 형성되고,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이 부착되며, 상기 아암의 후단부에는 상기 아암을 개폐시키도록 작동하는 링크 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매개로 유압 실린더로 상기 아암의 후단부를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므로,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벽이나 천정등의 평판의 해체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쇄 아암의 중앙부에서 안개상태로 된 물을 분사하고, 파쇄대상물의 철근 콘크리트 부분에서 발생하는 미크로에 가까운 먼지까지 넓게 싸도록 엎고, 폭넓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살수되는 물에 전혀 낭비가 없고, 종래 방법의 살수에 비해 70%이상의 절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벽이나 천정 등의 평판의 해체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데다가 파쇄되는 곳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물이 닿게 함으로써 대폭적 절수가 가능한 구축물 파쇄기 및 구축물 해체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축물 파쇄기는 실린더 외통의 내부에 설치한 관로와 측판의 내측에 붙어 배관한 급수 파이프를 매개로 측판 하단부의 살수 노즐에 물을 공급하므로, 구축물 파쇄기를 거칠게 취급한 경우라도 살수 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살수 노즐은 측판의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된 구멍부에 메워 고정 설치되므로, 살수 노즐이 직접 파쇄대상물과 간섭하지 않고, 노즐의 변형이나 손상도 방지된다. 살수 노즐을 보호하는 프로텍터는 측판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매우 튼튼하고, 종래 사용되었던 외부 부착형의 노즐 커버나 노즐 홀더와 같이 파쇄대상물에 걸리지도 않고, 프로텍터 자체가 손상되지도 않는다. 또한, 살수 노즐은 링크기구의 회동부보다 선단측에 설치되므로, 회동부에 분무된 물때문에, 회동부의 그리스를 씻어내는 일이 없다. 또한, 변환 가능한 커버 부재에 의해 살수 노즐이 보호된다.
따라서, 살수 노즐이나 급수 파이프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 있는 분사 살수 구조를 구비한 구축물 파쇄기 및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한 구축물 해체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아암 지지체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이 부착되고, 상기 아암의 후단부에는 상기 아암을 개폐시키도록 작동하는 링크 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로 상기 아암의 후단부를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는 구축물 파쇄기로써, 파쇄되는 곳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의 선단방향을 향해 물을 분사 살수하는 분사 살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 살수 수단은 상기 물을 상기 파쇄되는 곳을 덮어싸듯이 미스트상태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살수 수단은 선회 용수철을 통함으로써 상기 물을 선회류로 하여 방출하는 살수 노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파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 노즐은 상기 링크 기구의 회동부보다 선단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파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체의 하단부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상기 살수 노즐을 상기 구멍부에 메워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아암 지지체를 상기 살수 노즐의 프로텍터로써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파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살수 노즐에 연결된 급수로를 매설하고, 상기 급수로를 상기 아암 지지체의 내측에 붙은 급수 파이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파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와 감합하는 교환 가능한 중공의 커버부재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살수 노즐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파쇄기.
  7. 아암 지지체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이 부착되고, 상기 아암의 후단부에는 상기 아암을 개폐시키도록 작동하는 링크 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매개로 유압 실린더로 상기 아암의 후단부를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는 구축물 파쇄기로써, 파쇄되는 곳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의 선단방향을 향해 물을 상기 파쇄되는 곳을 덮어싸듯이 미스트상태로 분사 살수하는 분사 살수 수단을 구비하는 구축물 파쇄기를 작업기계의 작업기용 브라켓에 부착,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미스트 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1) 철근 콘크리트제의 벽 혹은 천정 평판의 일측을 따라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동하면서 상기 아암의 개폐에 의한 평판의 압괴동작을 반복 행하여 상기 평판의 일측을 압괴하는 공정과,
    (2) 상기 평판의 콘크리트를 압괴한 후에 노출되는 철근을 상기 전단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공정,
    상기 (1), (2)의 공정을 반복 행함으로써 평판을 콘크리트 파편과 절단된 철근으로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해체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의 공정은 상기 아암의 개폐에 의한 평판의 압괴동작에 의해서도 철근에 부착하여 낙하하지 않는 콘크리트 파편을 상기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미스트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다시 상기 구축물 파쇄기의 아암에서 압괴함으로써 소편으로 하여 낙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해체공법.
  9. 아암 지지체에 중간부를 추착 지지한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상기 아암의 선단부의 상기 추착 지지부 근방에 절단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칼이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투공부가 형성되며, 최선단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선단에 클릭이 부착되고, 상기 아암의 후단부에는 상기 아암을 개폐시키도록 작동하는 링크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링크 기구를 매개로 유압 실린더로 상기 아암의 후단부를 구동하여 아암 선단부를 개폐시켜 대상물을 아암 폭 영역 전체에서 파쇄하는 구축물 파쇄기로써, 파쇄되는 곳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의 선단 방향을 향해 물을 상기 파쇄되는 곳을 덮어싸듯이 미스트상태로 분사 살수하는 분사 살수 수단을 구비하는 구축물 파쇄기를 작업기계의 작업기용 브라켓에 부착, 상기 구축물 파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 살수 수단에 의해 미스트상태로 물을 분사 살수하면서
    (1) 철근 콘크리트제의 벽의 평판 및 상기 평판을 지지하는 기둥의 상부에 연설하는 구축물과 상기 평판 및 기둥에 굴곡하여 연설하는 구축물을 파괴하고, 상기 벽의 평판과 상기 평판을 지지하는 기둥을 독립시키는 공정,
    (2) 그 후, 상기 독립한 평판 및 기둥을 무너뜨리는 방향의 상기 기둥의 근원부분의 일부 콘크리트를 파쇄함과 동시에 이때 노출된 철근을 일부 절단하는 공정,
    (3) 그후, 상기 구축물 파쇄기의 아암 선단부에서 상기 독립한 평판 혹은 상기 평판을 지지하는 기둥의 상단부를 싸듯이 지지하고, 무너뜨리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던지 압압하여 상기 평판 및 궁주(窮柱)를 무너뜨리는 공정 및,
    (4) 무너진 벽의 평판을 파쇄하여 철근을 절단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물 해체공법.
KR1019970052895A 1997-05-23 1997-10-15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KR100252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37297 1997-05-23
JP97-169372 199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396A KR19980086396A (ko) 1998-12-05
KR100252487B1 true KR100252487B1 (ko) 2000-04-15

Family

ID=1588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895A KR100252487B1 (ko) 1997-05-23 1997-10-15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52487B1 (ko)
AU (1) AU5067598A (ko)
WO (1) WO19980531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105B1 (ko) 2014-10-28 2015-10-02 인영건설 주식회사 거품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64B1 (ko) * 2001-01-11 2004-02-18 고승환 콘크리트구조물의 파쇄 및 철근 절단용 토건중장비 작업기
DE20212540U1 (de) * 2002-08-14 2003-12-24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Schnellkupplung
US7040214B2 (en) * 2004-06-30 2006-05-09 John R. Ramun Regeneration manifold for a hydraulic system
CN106853453A (zh) * 2015-12-09 2017-06-16 王翔 一种混凝土回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12A (ja) * 1991-05-13 1994-02-01 Takachiho Kogyo Kk 反力自由回動式散水圧砕機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構造
JPH09125709A (ja) * 1995-11-07 1997-05-13 Kajima Corp 散水機能を有する解体重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9773A (ja) * 1990-11-13 1992-06-26 Takachiho Kogyo Kk 散水圧砕機
JP2699744B2 (ja) * 1991-12-27 1998-01-19 日立建機株式会社 圧砕作業機
JP3237185B2 (ja) * 1992-04-09 2001-12-10 日立建機株式会社 圧砕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12A (ja) * 1991-05-13 1994-02-01 Takachiho Kogyo Kk 反力自由回動式散水圧砕機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構造
JPH09125709A (ja) * 1995-11-07 1997-05-13 Kajima Corp 散水機能を有する解体重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105B1 (ko) 2014-10-28 2015-10-02 인영건설 주식회사 거품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396A (ko) 1998-12-05
AU5067598A (en) 1998-12-11
WO1998053162A1 (fr) 199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12895A (zh) 一种高层现浇混凝土建筑拆除施工方法
JP3090110B2 (ja) 構築物破砕機及び該構築物破砕機に用いる給水システム
CN111550079B (zh) 建筑物破拆设备及其施工方法
KR100252487B1 (ko)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KR102340894B1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CN210977488U (zh) 一种敞开式外护盾掘进装置
JPH054522Y2 (ko)
JP3927937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用ノズル装置
KR102055552B1 (ko)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JP2004169495A (ja) トロンメルバケット
KR102071876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GB23434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CN113431364A (zh) 旧楼拆除改造工艺
KR100461084B1 (ko) 건설 폐기물 처리용 파쇄장치
JP2008196249A (ja) 地盤補強工法
CN110671120A (zh) 一种敞开式外护盾掘进装置及坍塌巷道掘进方法
KR100470678B1 (ko) 콘크리트 기초 파일의 두부처리공법 및 두부처리장치
JPH10252065A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の既設構造物回収方法及び既設構造物回収装置
KR960009279B1 (ko) 해머드릴을 이용한 암반지층의 수평 타격 파괴식 터널 굴진 방법 및 그 장치
JP2001081714A (ja) アスファルト舗装版の取壊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21910A (ja) チゼルと破砕機
JPH09125709A (ja) 散水機能を有する解体重機
JP2000192481A (ja) 地盤掘下げ装置および筒状地下構造体の形成法
KR102103911B1 (ko) 죠 크러셔
JPH0676689B2 (ja) 既設杭の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