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452Y1 -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452Y1
KR200369452Y1 KR20-2004-0027100U KR20040027100U KR200369452Y1 KR 200369452 Y1 KR200369452 Y1 KR 200369452Y1 KR 20040027100 U KR20040027100 U KR 20040027100U KR 200369452 Y1 KR200369452 Y1 KR 200369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hydraulic
supply
piston
chi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붕구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막
Priority to KR20-2004-0027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452Y1/ko
Priority to PCT/KR2004/003419 priority patent/WO2006033504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0Devices for cleaning or cooling tool or work
    • B25D17/22Devices for cleaning or cooling tool or work using pressure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6Lubr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14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 B25D9/145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for hydraulically actuated hammers having an accumul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4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moved rectilinearly, e.g. road-breaker apparatus with reciprocating tools, with drop-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02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gravity feed or drip lubrication
    • F16N7/0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gravity feed or drip lubrication with oil flow promoted by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에 연결되는 형태로 상부에 연결구(111)를 형성하고, 전면 측에 대략 주름관 형태로 유압이 연결되는 유압연결구(112)를 형성하며, 전면의 하부에는 윤활재가 수동으로 공급되도록 통공 형태의 윤활재 공급공(113)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114)를 상하 좌우 복수로 형성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방진구(114)로 고정되어 유압연결구(112) 측에서 인입된 유압이 전면 상부에 형성된 유압공급구(123)에 연결되어 메인유압밸브(122)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 메인유압밸브(122)에서 공급된 유압의 힘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21)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피스톤(121)에 의해 압축되어 하부로 타격력을 형성하도록 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실(124)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으로 피스톤(121)의 급격한 하강으로 발생되는 오일의 변동으로 인한 누유를 방지하도록 오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오일 임시 보관구(125)를 형성하며, 하부에 피스톤(121)으로 타격되는 위치에 치즐핀(126a)과 지지구(127)로 지지되어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치즐(126)을 형성하되, 치즐(126)의 지지부분의 하부에 치즐(126)은 통과하면서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커버(128)를 형성하고, 전면 하부에 지지구(127)의 일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통공형태의 수동공급공(129)을 형성한 메인바디(120)와, 상기 메인바디(120)의 상부의 전면 측으로 윤활재가 공급되는 윤활재 공급밸브(131)를 형성하여 내부로 윤활재 공급유로(132)를 따라서 하부 지지구(127)의 타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 공급구(133)를 통하여 자동으로 윤활재를 공급하고, 윤활재 공급구(133)의 타측으로 외부와 연결되어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연결구(134)를 형성한 윤활재 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 {Hydraulic Hitting type Crushing Device with Auto Lubricant Part and Compressed Air Supporting Part}
본 고안은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 등의 건설장비에 설치되어 암반 등을 파쇄하는 파쇄장치의 외부 하우징의 상부측에서 치즐과 연결되어 치즐을 윤활시키는 윤활재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하우징의 상부측에서 피스톤의 하부측으로 공압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분사함에 따라 피스톤 내에 유입되는 각종 먼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우천 시나 수중과 같은 악조건의 작업 시에도 피스톤 내부에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부에서 윤활재를 자동으로 계속 공급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경제적이며, 물과 먼지로부터 파쇄장치의 부품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범용성을 증대시킨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토목현장에서 파쇄 장비로 널리 쓰이는 유압 파쇄장치는 굴삭기(Excavator) 등과 같은 건설기계의 전면에 장착하여 건설기계의 유압원을 이용하여 암반이나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을 파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처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른 필요성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압파쇄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암반(4)를 파쇄하기 위하여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부착되도록 하여 하부에 상하 왕복운동으로 암반(4)을 파쇄하는 치즐(3)이 형성된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의 몸체내부로 건설기계에 형성된 유압유를 유압밸브(16)로 고압 및 저압으로 조절하면서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2)의 상부에 상부 유압실(6)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유압실(7)에 공급하여 상부로 상승시키면 상부에 질소가 충진되어 형성된 압축개스실(5)을 압축시킨 상태로 정점에서 압축된 가스의 힘으로 하부의 치즐(3)을 타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유압파쇄장치는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실린더(1)의 상부를 연결하여 파쇄되는 피 파쇄물의 위치로 이송한 상태에서 건설기계에 형성된 유압원의 유압을 유압밸브(16) 측으로 공급하면 고압과 저압에 따라 유압유를 조절하면서 상부 유압실(6)과 하부 유압실(7)에 적절하게 유압유를 공급하면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2)이 상부로 상승한다.
이렇게, 피스톤(2)이 상승되면 상부에 형성된 압축개스실(5)의 질소 가스가 압축되면서 용적이 압축되어 상승하는 압력에 의해 피스톤(2)에 타격력을 형성하여 하부에 지지된 치즐(3)을 타격하면서 피 파쇄물을 파쇄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유압파쇄장치는 피스톤(2)이 타격력을 가지면서 높은 속도로 유동하여 치즐(3)을 타격함에 따라 지지부분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증대되어 치즐(3)의 지지부분과 피스톤(2)의 타격위치가 변경되어 타격시 충격이 치즐(3)로 집중되지 않고 다른 부품 측으로 타격을 가하게 되어 다른 부품에 큰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피스톤(2)의 운동에너지가 모두 유압파쇄장치 내부부품의 변형 에너지 및 열, 소음, 진동 등으로 변환되게 되므로 중대한 손상을 입히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치즐(3)의 지지부분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윤활재를 수동으로 작업자가 직접 투입하여 파쇄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원활한 윤활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지지부분의 마모가 심화되어 피스톤(2)의 타격력이 타 부품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유압파쇄장치를 장착하여 암반 및 콘크리트 등의 파쇄 작업 시에 피 파쇄물 주위에 발생되는 분진과 파쇄물의 가루가 피스톤(2) 상승으로 유압파쇄장치 내부의 기압이 하강됨에 따라 흡입되어 유압파쇄장치가 파손되거나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반 및 콘크리트 파쇄 시에 작업 조건에 따라 우천 및 수중과 같은 물 속에서 작업을 실시하면 피스톤(2)의 상승에 의한 기압차로 유압파쇄장치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유압부품 및 압력개스실(5) 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피스톤(1)의 유동 시에 공급되는 윤활재와 물이 혼입되어 피스톤이 부식되고 윤활작용이 급격히 감소하여 유압파쇄장치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실린더(1) 내부에 피스톤이 상하 운동을 하면서 치즐(3)을 타격하는 유압파쇄장치는 소음발생이 심하고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어 소음공해가 발생되고, 진동에 따른 외부 하우징의 휨 현상으로 인해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피스톤을 유압으로 상승시켜 압축가스의 힘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치즐을 타격하여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에 있어서, 빠른 속도와 강한 압력으로 하강하여 타격되는 치즐을 지지하는 지지부분에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부에서 지지부분 측으로 자동으로 윤활재가 공급되는 윤활재 공급부를 형성하여 피스톤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바디의 상부에 윤활재 공급유로를 통해서 자동으로 윤활재가 공급되고 고장 시에는 수동으로 공급되도록 수동 공급공을 외부로 관통시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상하 작동 시에 지지부분의 마모를 최소화 하여 수명을 증대하고 자동으로 윤활재를 공급하여 공정을 간편화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암반 및 콘크리트 등의 파쇄 작업 시에 피스톤 상승으로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 내부의 기압이 하강됨에 파쇄물 주위에 발생되는 분진 및 파쇄물의 가루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바디 하부의 치즐 지지부분에 차단커버를 형성하여 분진 및 파쇄물 가루 흡입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고장을 방지시켜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조건에 따라 우천 시나 수중과 같은 악조건의 물속 작업 시에 피스톤 상승에 따른 기압차에 따른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메인바디 상부의 내부 측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부를 형성하여 공기압을 지속적으로 분사시켜 에어 커튼 형태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기압차에 따라 역류되는 수분을 차단시켜서 수분에 의한 부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우천 시나 수중 작업 등의 악조건 하에서도 작업을 실시함으로 공기를 단축시키며, 범용성을 확대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연결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작동하여 피 파쇄물을 파쇄하도록 형성된 메인바디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방진구를 상하 측면에 형성하여 진동을 최소화하고, 하부에 먼지의 흡입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차단커버를 하부에 형성하므로 방진구에 의해 진동이 최소화되어 소음이 감소하고, 하부에 차단커버가 먼지흡입 차단효과를 동시에 가짐에 따라 방진구와 차단커버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발생 및 먼지흡입을 최소화하여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바디를 방진구로 고정하여 상부를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연결한 하우징의 측부에 타격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휨현상을 최소화하도록 측부보강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마모에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 보강재를 형성하여 타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상하부 치즐의 상하 작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쇄장치 110 : 하우징
111 : 연결구 112 : 유압연결구
113 : 윤활재공급공 114 : 방진구
115 : 측부보강재 116 : 하부보강재
120 : 메인바디 121 : 피스톤
122 : 메인유압밸브 123 : 유압공급구
124 : 압축가스실 125 : 오일임시보관구
126 : 치즐 126a : 치즐핀
127 : 지지구 128 : 차단커버
129 : 수동공급공 130 : 윤활재 공급부
131 : 윤활재 공급밸브 132 : 윤활재 공급유로
133 : 윤활재 공급구 134 : 윤활재연결구
140 : 공압 공급부 141 : 공압 공급밸브
142 : 공압 공급유로 143 : 공압 공급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는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에 연결되는 형태로 상부에 연결구를 형성하고, 전면 측에 대략 주름관 형태로 유압이 연결되는 유압연결구를 형성하며, 전면의 하부에는 윤활재가 수동으로 공급되도록 통공 형태의 윤활재 공급공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를 상하 좌우 복수로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방진구로 고정되어 유압연결구 측에서 인입된 유압이 전면 상부에 형성된 유압공급구에 연결되어 메인유압밸브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 메인유압밸브에서 공급된 유압의 힘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어 하부로 타격력을 형성하도록 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실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으로 피스톤의 급격한 하강으로 발생되는 오일의 변동으로 인한 누유를 방지하도록 오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오일 임시 보관구를 형성하며, 하부에 피스톤으로 타격되는 위치에 치즐핀과 지지구로 지지되어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치즐을 형성하되, 치즐의 지지부분의 하부에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커버를 형성하고, 전면 하부에 지지구의 일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통공형태의 수동공급공을 형성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의 전면 측으로 윤활재가 공급되는 윤활재 공급밸브를 형성하여 내부로 윤활재 공급유로를 따라서 하부 지지구의 타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 공급구를 통하여 자동으로 윤활재를 공급하고, 윤활재 공급구의 타측으로 외부와 연결되어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연결구를 형성한 윤활재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진동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으로돌출시켜 측부보강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마모에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 보강재를 형성하여 타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상하부 치즐의 상하 작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전면 측으로 공압이 공급되는 공압 공급밸브를 형성하여 내부로 공압 공급유로를 거쳐서 피스톤의 일측으로 형성된 공압공급구로 공압을 분사시키도록 형성된 공압 공급부에서 공기를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공기 차단막을 피스톤의 하부 측에 형성함에 따라 이물질의 혼입 및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100)는 상부를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에 연결하고 내부에 각 부품을 설치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121)을 상하로 작동시켜 하부에 형성된 치즐(126)을 타격하여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메인바디(120)와, 상기 메인바디(120)의 일측으로 자동으로 윤활재를 치즐(126)의 지지구(127)에 공급하는 윤활재 공급부(130)와, 상기 메인바디(120)의 일측으로 공압을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공기차단막을 피스톤(121)의 하부 측으로 형성하는 공압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에 연결되는 형태로 상부에 연결구(111)를 형성하고, 전면 측에 대략 주름관 형태로 유압이 연결되는 유압연결구(112)를 형성하며, 전면의 하부에는 윤활재가 수동으로 공급되도록 통공 형태의 윤활재 공급공(113)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114)를 상하 좌우 복수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측부에는 진동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는 측부보강재(115)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마모에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 보강재(116)를 형성하여 타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상하부 치즐(126)의 상하 작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고압과 저압의 유압원에서 이송되는 유압을 하우징(110)에 연결하는 유압연결구(112)는 대략 주름관 형태로 형성하여 진동과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114)는 진동을 흡수하는 우레탄 재질로 메인바디(120)의 상부와 하부 측부에 복수개로 설치하여 메인바디(120)의 진동을 최소화 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인바디(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방진구(114)로 고정되어 유압연결구(112) 측에서 인입된 유압이 전면 상부에 형성된 유압공급구(123)에 연결되어 메인유압밸브(122)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 메인유압밸브(122)에서 공급된 유압의 힘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21)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피스톤(121)에 의해 압축되어 하부로 타격력을 형성하도록 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실(124)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으로 피스톤(121)의 급격한 하강으로 발생되는 오일의 변동으로 인한 누유를 방지하도록 오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오일 임시 보관구(125)를 형성하며, 하부에 피스톤(121)으로 타격되는 위치에 치즐핀(126a)과 지지구(127)로 지지되어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치즐(126)을 형성하되, 치즐(126)의 지지부분의 하부에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커버(128)를 형성하고, 전면 하부에 지지구(127)의 일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통공형태의 수동공급공(129)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메인유압밸브(122)는 피스톤(121)의 상부와 하부에 유압을 공급하여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피스톤(121)의 상부에 형성된 압축가스실(124)은 내부에 질소 등과 같은 압축가스를 충진 한 상태에서 피스톤(121)이 메인유압밸브(122)에서 공급되는유압에 의해 상부로 작동하면 압축되고, 압축된 힘으로 하부로 타격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치즐(126)의 지지부분의 하부에 형성된 차단커버(128)는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지지구(127)의 일측에 형성된 수동공급공(129)은 치즐(126)의 지지구(127)와 연통되도록 통공으로 형성하여 윤활재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재 공급부(130)는 메인바디(120)의 상부의 전면 측으로 윤활재가 공급되는 윤활재 공급밸브(131)를 형성하여 내부로 윤활재 공급유로(132)를 따라서 하부 지지구(127)의 타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 공급구(133)를 통하여 자동으로 윤활재를 공급하고, 윤활재 공급구(133)의 타측으로 외부와 연결되어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연결구(13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인바디(120)의 상부 전면 측으로 공압이 공급되는 공압 공급밸브(141)를 형성하여 내부로 공압 공급유로(142)를 거쳐서 피스톤(121)의 일측으로 형성된 공압공급구(143)로 공압을 분사시키도록 형성된 공압공급부(140)에서 공기를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공기 차단막을 피스톤(121)의 하부 측에 형성함에 따라 이물질의 혼입 및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하우징(110)의 연결구(111)로 연결시켜서 하부에 형성된 치즐(126)이 피 파쇄물의 위치로 이송되어 파쇄위치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치즐(126)이 이송된 상태에서 진동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대략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유압연결구(112)에 연결된 유압원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유압공급구(123)에서 메인유압밸브(122)로 공급시키고, 메인유압밸브(122)에서 공급된 유압을 피스톤(121)의 하부측으로 공급시켜 피스톤이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121)이 상승하면 상부에 형성된 압축가스실(124)에 충진된 가스가 체적이 줄면서 압축되어 임계점에 도달하면 팽창하면서 강한 타격력으로 피스톤(121)을 하강시키고 하강된 피스톤(121)으로 하부에 형성된 치즐(126)을 타격한다.
여기서, 피스톤(121)의 상승 시에 대기와의 압력의 차로 인해 외기를 내부로 흡입함에 따라 외부의 작업 조건에 따라 수중이나 우천 시와 같은 악조건의 수중 작업 시에 흡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부에 형성된 공압 공급부(140)의 공압 공급밸브(141)에 공압 공급유로(142)로 연결된 공압 공급부(143)를 일측으로 형성하여 피스톤(121)의 하부 일측으로 지속적으로 공압을 분사시켜 공기 차단막이 형성되므로, 수분 및 여타 이물질의 흡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압축가스실(124)의 가스의 팽창으로 피스톤(121)을 하강시켜 치즐(126) 타격 시에 발생되는 급격한 하강에 따라 상승할 때 사용된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측으로 오일임시보관구(125)를 형성하여 오일을 임시 보관하도록 한다.
이렇게, 피스톤(121)이 압축가스실(124)에서 발생된 타격력으로 치즐(126)을 타격하면 지지구(127)와 치즐핀(126a)으로 지지된 치즐(126)이 피 파쇄물에 타격에너지를 전달하여 파쇄되도록 한다.
여기서, 치즐(126)을 지지하는 지지구(127)의 일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 공급부(130)의 윤활재 공급밸브(131)와 윤활재 공급유로(132)로 연결된 윤활재 공급구(133)를 형성하여 지지구(127)의 마찰을 최소화 하도록 자동으로 윤활재를 계속 공급하면서 피 파쇄물을 타격하여 파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윤활재 공급부(130)가 고장 등으로 작동이 불가하면 지지구(127)의 타측으로 통공형태로 형성된 수동공급공(129)으로 윤활재를 주입하여 작업을 계속 실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피스톤(121)의 작동으로 치즐(126)의 타격에 의해 피 파쇄물의 타격 시에 피스톤(121)과 치즐(126)이 형성된 메인바디(120)를 상하 좌우로 복수의 우레탄 재질의 방진구(114)로 하우징(110)에 고정하여 진동을 흡수하여 수명을 증대하고 진동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다.
또한, 피스톤(121)의 상승과 하강으로 치즐(126)을 타격하여 피 파쇄물 파쇄 시에 치즐(126)의 지지부분의 하부에 형성된 차단커버(128)에서 치즐(126)은 상하로 작동하면서 주위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측부에는 진동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는 측부보강재(115)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마모에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보강재(116)를 형성하여 타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상하부 치즐(126)의 상하 작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는 피스톤을 유압으로 상승시켜 압축가스의 힘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치즐을 타격하여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에 있어서, 빠른 속도와 강한 압력으로 하강하여 타격되는 치즐을 지지하는 지지부분에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부에서 지지부분 측으로 자동으로 윤활재가 공급되는 윤활재 공급부를 형성하여 피스톤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바디의 상부에 윤활재 공급유로를 통해서 자동으로 윤활재가 공급되고 고장 시에는 수동으로 공급되도록 수동 공급공을 외부로 관통시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상하 작동 시에 지지부분의 마모를 최소화 하여 수명을 증대하고 자동으로 윤활재를 공급하여 공정을 간편화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암반 및 콘크리트 등의 파쇄 작업 시에 피스톤 상승으로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 내부의 기압이 하강됨에 파쇄물 주위에 발생되는 분진 및 파쇄물의 가루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바디 하부의 치즐 지지부분에 차단커버를 형성하여 분진 및 파쇄물 가루 흡입에 따른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고장을 방지시켜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조건에 따라 우천 시나 수중과 같은 악조건의 물속 작업 시에 피스톤 상승에 따른 기압차에 따른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메인바디 상부의 내부 측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부를 형성하여 공기압을 지속적으로 분사시켜 에어 커튼 형태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기압차에 따라 역류되는 수분을 차단시켜서 수분에 의한 부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우천 시나 수중 작업 등의 악조건 하에서도 작업을 실시함으로 공기를 단축시키며, 범용성을 확대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부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연결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작동하여 피 파쇄물을 파쇄하도록 형성된 메인바디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방진구를 상하 측면에 형성하여 진동을 최소화하고 하부에 먼지의 흡입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차단커버를 하부에 형성하므로 방진구에 의해 진동이 최소화되어 소음이 감소하고, 하부에 차단커버가 먼지흡입 차단효과를 동시에 가짐에 따라 방진구와 차단커버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발생 및 먼지흡입을 최소화하여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메인바디를 방진구로 고정하여 상부를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연결한 하우징의 측부에 타격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휨현상을 최소화하도록 측부보강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마모에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 보강재를 형성하여 타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상하부 치즐의 상하 작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에 연결되는 형태로 상부에 연결구(111)를 형성하고, 전면 측에 대략 주름관 형태로 유압이 연결되는 유압연결구(112)를 형성하며, 전면의 하부에는 윤활재가 수동으로 공급되도록 통공 형태의 윤활재 공급공(113)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구(114)를 상하 좌우 복수로 형성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방진구(114)로 고정되어 유압연결구(112) 측에서 인입된 유압이 전면 상부에 형성된 유압공급구(123)에 연결되어 메인유압밸브(122)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 메인유압밸브(122)에서 공급된 유압의 힘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21)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피스톤(121)에 의해 압축되어 하부로 타격력을 형성하도록 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실(124)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으로 피스톤(121)의 급격한 하강으로 발생되는 오일의 변동으로 인한 누유를 방지하도록 오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오일 임시 보관구(125)를 형성하며, 하부에 피스톤(121)으로 타격되는 위치에 치즐핀(126a)과 지지구(127)로 지지되어 피 파쇄물을 파쇄하는 치즐(126)을 형성하되, 치즐(126)의 지지부분의 하부에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커버(128)를 형성하고, 전면 하부에 지지구(127)의 일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통공형태의 수동공급공(129)을 형성한 메인바디(120)와,
    상기 메인바디(120)의 상부의 전면 측으로 윤활재가 공급되는 윤활재 공급밸브(131)를 형성하여 내부로 윤활재 공급유로(132)를 따라서 하부 지지구(127)의 타측으로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 공급구(133)를 통하여 자동으로 윤활재를 공급하고, 윤활재 공급구(133)의 타측으로 외부와 연결되어 윤활재를 공급하는 윤활재연결구(134)를 형성한 윤활재 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부에는 진동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으로 돌출시켜 측부보강재(115)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마모에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 보강재(116)를 형성하여 타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상하부 치즐(126)의 상하 작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20)의 상부 전면 측으로 공압이 공급되는 공압 공급밸브(141)를 형성하여 내부로 공압 공급유로(142)를 거쳐서 피스톤(121)의 일측으로 형성된 공압공급구(143)로 공압을 분사시키도록 형성된 공압공급부(140)에서 공기를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공기 차단막을 피스톤(121)의 하부 측에 형성함에 따라 이물질의 혼입 및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 파쇄장치.
KR20-2004-0027100U 2004-09-21 2004-09-21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KR200369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00U KR200369452Y1 (ko) 2004-09-21 2004-09-21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PCT/KR2004/003419 WO2006033504A1 (en) 2004-09-21 2004-12-23 Hydraulic hitting type jackhammer with auto lubricant feeder and pneumatic pressure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100U KR200369452Y1 (ko) 2004-09-21 2004-09-21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452Y1 true KR200369452Y1 (ko) 2004-12-04

Family

ID=3609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100U KR200369452Y1 (ko) 2004-09-21 2004-09-21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69452Y1 (ko)
WO (1) WO200603350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471B1 (ko) 2007-10-08 2008-04-08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1420697B1 (ko) * 2013-03-20 2014-07-2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pcb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766333B1 (ko) * 2016-02-15 2017-08-08 한병희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102299173B1 (ko) * 2021-05-28 2021-09-0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2단 스트로크 유압브레이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0207B2 (en) 2010-12-14 2013-08-06 Caterpillar Inc. Rock claw for demolition hammer
US9102045B2 (en) * 2011-09-29 2015-08-11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easy removal of hydraulic hammer bushing
US9151386B2 (en) 2013-03-15 2015-10-06 Caterpillar Inc. Accumulator membrane for a hydraulic hammer
US9592598B2 (en) * 2013-03-15 2017-03-14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having impact system subassembly
CN106012786B (zh) * 2016-05-31 2018-08-03 福州麦辽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破碎锤的钎杆位移触发机构
CN106087689B (zh) * 2016-08-16 2018-08-03 泉州臻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液压驱动飞轮储能的破碎锤
US11027403B2 (en) 2018-06-18 2021-06-08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CN111059451B (zh) * 2019-12-02 2021-05-04 绍兴市越森木业有限公司 一种五金配件加工用润滑油涂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14Y1 (ko) * 1994-02-17 1996-08-05 김교운 콘크리트 파괴장치
JPH0957653A (ja) * 1995-08-18 1997-03-04 Furukawa Co Ltd 油圧ブレーカの空気導入機構
WO1999067178A1 (en) * 1998-06-25 199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I112333B (fi) * 2001-12-21 2003-11-28 Sandvik Tamrock Oy Sovitelma hydraulisen iskuvasaran työkalun laakeripintojen voitelemiseksi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471B1 (ko) 2007-10-08 2008-04-08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1420697B1 (ko) * 2013-03-20 2014-07-2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pcb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766333B1 (ko) * 2016-02-15 2017-08-08 한병희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102299173B1 (ko) * 2021-05-28 2021-09-0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2단 스트로크 유압브레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3504A1 (en)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9452Y1 (ko)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KR101140697B1 (ko) 실린더의 스크라치발생 방지구조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200416045Y1 (ko) 유압 브레이커의 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 구조
KR100908218B1 (ko) 윤활제 자동공급 유압 브레이커
KR102103906B1 (ko)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101285288B1 (ko) 저소음진동 구조의 유압 브레이커
CN213038457U (zh) 一种破碎锤的防飞溅装置
KR20060099400A (ko) 유압 브레이커의 피스톤 긁힘 방지장치
CN103046600A (zh) 液压破碎锤的活塞接触面强制润滑装置
KR100971295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1336993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KR200439968Y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20040079396A (ko) 소음저감형 브레이커
KR100372049B1 (ko) 크레인을 이용한 천공기
KR100777767B1 (ko) 유압브레이커용 치즐의 물 분사 장치
KR101575059B1 (ko) 스프링 및 압축가스식 브레이커
KR100501735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2317232B1 (ko) 유압 브레이커
KR101595245B1 (ko) 스프링 및 캠 구동식 브레이커
JPH11188662A (ja) 油圧ブレーカの防塵装置
KR200391032Y1 (ko) 유압 타격기기의 어큐물레이터
KR20100050288A (ko) 일체형 브레이커
KR20150120086A (ko)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200427064Y1 (ko) 저중량 구조의 무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10224299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15

Effective date: 200808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