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086A -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 Google Patents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086A
KR20150120086A KR1020140045809A KR20140045809A KR20150120086A KR 20150120086 A KR20150120086 A KR 20150120086A KR 1020140045809 A KR1020140045809 A KR 1020140045809A KR 20140045809 A KR20140045809 A KR 20140045809A KR 20150120086 A KR20150120086 A KR 2015012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hamber
piston
pressur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576B1 (ko
Inventor
김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비
Priority to KR102014004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5Control during special operating conditions
    • F15B2211/853Control during special operating conditions during sto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5Prevention of failur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어떠한 작업조건에서든 공타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이 멈춰지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는, 실린더의 하부와 상부에 프런트헤드와 백헤드가 각각 구비되고, 실린더의 측면으로는 유압을 공급과 배출 및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어큐뮤레이터가 구비되고, 프런트헤드와 실린더 및 백헤드 사이에 걸쳐져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및 프런트헤드의 선단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치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피스톤(16)은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다른 소경부(161), 제1대경부(162), 제1중경부(163), 제2대경부(164) 및 제2중경부(165)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실린더(12)는 하부로부터 고압챔버(A1), 밸브전환챔버(A2), 저압챔버(A3) 및 실린더상부 수압챔버(A4)를 구비하고; 제어밸브(14)는 제1유압밸브챔버(V1)와 제2유압밸브챔버(V2) 및 제3유압밸브챔버(V3)를 구비하며; 어큐뮤레이터(15)는 고압을 공급받고, 실린더의 고압챔버(A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피스톤의 선단(先端)이 프런트헤드(11)의 단(段)이 진 부분을 타격하는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의 작동이 멈추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 having the function of idle blow}
본 발명은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어떠한 작업조건에서든 공타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이 멈춰지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브레이커는 굴삭기의 아암에 버켓 대신에 장착되어 각종 토목공사나 건물 기초공사에서 암석이나 콘크리트 파쇄 등에 사용되는 유압장비로, 타격장치의 본체 내에는 상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이 내장되어 있고, 피스톤 하부에는 암석을 파쇄하기 위한 치즐(chisel)이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피스톤은 타격장치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반복하며, 특히 하강시에 유압의 힘으로 빠른 속도로 하강하여 치즐을 강하게 타격하여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파쇄대상물을 파쇄하게 된다.
유압브레이커의 치즐이 타격하여 파쇄목적물을 완전히 파쇄시켰을 때는 치즐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면서 치즐의 선단을 받쳐 주었던 파쇄대상물이 없어진 상태가 되는데, 이때 치즐은 자중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프런트헤드 밑으로 내려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하단과 치즐의 상단은 치즐이 내려간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이 상승했다가 하강하면서 타격을 하게 될 경우에는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프런트헤드의 내벽면에 단(段)이 진 부분을 타격하면서 유압브레이커 자체에 충격을 주게 되는 공타작동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공타가 연속해서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에너지로 인하여 유압브레이커의 구성부품에 충격을 주게 되며, 충격이 누적되게 되면 유압브레이커의 구성부품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유압브레이커의 내구성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유압브레이커로 파쇄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파쇄대상물이 완전히 파쇄되어 치즐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면, 대부분의 굴삭기 운전자는 이를 경험상으로 직감하고 피스톤의 공타작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압브레이커의 유압 흐름을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피스톤의 공타 횟수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굴삭기 운전자가 파쇄의 종료를 인지하고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을 멈추는데 까지는 아무리 숙련된 운전자라도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 때까지 수 회의 공타가 계속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압브레이커의 공타 방지를 위해 특허등록 제675586호, 특허등록 제985931호, 특허등록 제1077531호, 특허등록 제1199079호, 특허등록 제1285286호 등 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285286호는 공타 방지를 위해 별도의 공타 방지 라인과 공타 방지 라인을 단속(斷續)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조절수단을 on/off하도록 된 구조인데, 이러한 기술도 작업중 공타가 발생하면 기계에서 자동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운전자가 공타를 인지하여 후속조치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유압브레이커가 작동을 멈출 때까지 계속되는 공타로 인한 기계손상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첫번째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브레이커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유압브레이커 내부가 고압으로 유지되면서 작동을 멈추게 되고, 치즐의 선단을 파쇄대상물에 대고 굴삭기의 하중을 가하면서 눌러줘야 고압이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첫번째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브레이커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유압브레이커 내부의 압력을 전체적으로 저압으로 변경시키면서 작동을 멈추게 하고, 굴삭기의 하중을 가하지 않고 치즐의 선단이 파쇄대상물에 닿아 눌러지면 저압이 해제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는, 실린더의 하부와 상부에 프런트헤드와 백헤드가 각각 구비되고, 실린더의 측면으로는 유압을 공급과 배출 및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어큐뮤레이터가 구비되고, 프런트헤드와 실린더 및 백헤드 사이에 걸쳐져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및 프런트헤드의 선단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치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피스톤(16)은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다른 소경부(161), 제1대경부(162), 제1중경부(163), 제2대경부(164) 및 제2중경부(165)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실린더(12)는 하부로부터 고압챔버(A1), 밸브전환챔버(A2), 저압챔버(A3) 및 실린더상부 수압챔버(A4)를 구비하고; 제어밸브(14)는 제1유압밸브챔버(V1)와 제2유압밸브챔버(V2) 및 제3유압밸브챔버(V3)를 구비하며; 어큐뮤레이터(15)는 고압을 공급받고, 실린더의 고압챔버(A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피스톤(16)의 선단(先端)이 프런트헤드(11)의 단(段)이 진 부분을 타격하는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의 작동이 멈추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가 저압챔버(A3)를 차단해 주도록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의 저압챔버(A3) 상부에 연통챔버(T3)를 더 구비하고,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피스톤의 제2대경부(164)가 고압챔버(A1)를 폐쇄시키며, 제1대경부(162)가 연통챔버(T3)는 개방하고 저압챔버(A3)를 폐쇄하면서 연통챔버(T3)와 저압챔버(A3)를 관로로 연결하도록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는,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첫번째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브레이커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공타를 하고난 피스톤의 제1대경부가 고압이 리턴되는 유로를 폐쇄하여 피스톤의 상부와 하부 모두가 고압으로 유지되면서 피스톤의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첫번째 공타 이후에는 근원적으로 공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시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고압이 리턴되는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치즐의 선단을 파쇄대상물에 대고 굴삭기의 하중을 가하면서 눌러주면 치즐이 정상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고압이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에서 저압으로 공타를 방지할 경우에는,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첫번째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브레이커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피스톤의 제1대경부보다 상부에 형성된 연통챔버가 개방되어 피스톤의 상부를 저압 라인과 연결시킴으로써 유압브레이커 내부의 압력이 전체적으로 저압으로 변경되게 되어 피스톤의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첫번째 공타 이후에는 근원적으로 공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시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굴삭기의 하중을 가하지 않고 치즐의 선단을 파쇄대상물에 대고 눌러주면 치즐이 곧바로 정상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저압이 해제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굴삭기에 유압브레이커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하기 위해 하강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피스톤이 치즐을 정상적으로 타격한 후 상승하기 직전(타격 순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공타 발생시 고압으로 피스톤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공타 발생시 저압으로 피스톤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타방지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중 첫번째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브레이커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유압브레이커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저압으로 변경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첫번째 공터 이후에는 공타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다는 점이다.
유압브레이커(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타격하면 피스톤(16)이 치즐(17)의 상단을 타격하고 그때의 타격에너지가 작업물에 전달되어야 되는데, '공타'라 함은 연속되는 타격으로 작업물이 파쇄되어 치즐(17)이 정상적인 타격 위치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피스톤(16)이 하강하게 되면, 피스톤이 치즐의 상단을 타격하지 못하고 프론트헤드(11)의 단(段)이 진 부분(111)을 타격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작업자가 감지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작동을 중지시키지 않으면 다시 피스톤(16)이 상승해서 프런트헤드(11)의 단이 진 부분(111)을 타격하는 공타가 연속해서 발생하게 되며, 이때의 충격에너지는 유압브레이커 구성부품에 충격을 주게 되고, 충격이 계속해서 누적되게 되면 유압브레이커의 구성부품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유압브레이커의 내구성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압브레이커(10)는 굴삭기의 붐(boom) 선단에 체결 장착되어, 굴삭기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탱크로부터 오일펌프가 펌핑해 준 고압의 오일을 공급받아 피스톤(16)를 작동시켜 치즐(17)을 타격하고, 타격후 저압으로 바뀐 저압의 오일은 다시 오일탱크로 회귀하게 된다.
유압브레이커(10)의 전체적인 구성은, 실린더(12)의 하부와 상부에 프런트헤드(11)와 백헤드(13)가 각각 구비되고, 실린더(12)의 측면으로는 유압의 공급과 배출 및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14)와 어큐뮤레이터(accumulator)(15)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피스톤(16)은 프런트헤드(11)와 실린더(12) 및 백헤드(13) 사이에 걸쳐져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하면서 프런트헤드(11)의 선단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치즐(17) 상단을 타격하게 된다.
피스톤(16)은 길이방향(상하방향)에서 일정한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다른 소경부(161), 제1대경부(162), 제1중경부(163), 제2대경부(164) 및 제2중경부(165)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피스톤(16)이 실린더(12) 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동안 직경이 달라지기 때문에 피스톤(16)의 대경부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12)에 형성된 챔버(A1, A2, A3, A4)를 개폐하게 되고, 챔버(A1, A2, A3, A4)는 제어밸브(14)에 형성된 챔버(V1, V2, V3)와 함께 연동하여 유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12) 내경의 크기는 피스톤(16)의 제1 및 제2대경부(162, 164)가 실린더를 밀폐시키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하부로부터 고압챔버(A1), 밸브전환챔버(A2), 저압챔버(A3) 및 실린더상부 수압챔버(A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챔버(A1, A2, A3, A4)는 실린더(12)의 내경을 챔버가 형성되지 않은 곳보다 크게 하여 고압 또는 저압의 오일을 저장 및 유통해 주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면서, 피스톤(16)의 제1 및 제2대경부(162, 164)가 놓인 위치에 따라 챔버가 고압라인(H1) 또는 저압라인(L1)과 연결 또는 폐쇄되면서 유압을 조절하는 밸브 역할을 하게 된다.
제어밸브(14)는 제1유압밸브챔버(V1)와 제2유압밸브챔버(V2) 및 제3유압밸브챔버(V3)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실린더(12)에 형성된 챔버(A1, A2, A3, A4)와 연동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유압을 조절하여 피스톤(16)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1유압밸브챔버(V1)는 실린더(12)의 밸브전환챔버(A2)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게 구성되고, 제2유압밸브챔버(V2)는 고압라인(H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저압챔버(A3)는 저압라인(L1)과 연결되어 항시 저압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어큐뮤레이터(15)는 오일펌프로부터 펌핑된 고압의 유압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유압브레이커에 고압을 공급하게 된다. 어큐뮤레이터(15)는 실린더의 고압챔버(A1)와 연통되며 같은 높이에 설치된다.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피스톤이 상승할 때는, 치즐(17)을 작업물에 대고 누르면 피스톤(16)이 위로 상승하면서 피스톤의 제2대경부(164) 하부의 하부수압면(P1)이 고압챔버(A1)와 연결되어 하부수압면(P1)의 하부에 작용하는 고압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압라인(H1)은 제2유압밸브챔버(V2)에 연결되고, 제1유압밸브챔버(V1)는 실린더(12)에 있는 밸브전환챔버(A2)를 통해 저압라인(L1)과 연결되어 제어밸브(14)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피스톤의 제2대경부(164) 하부의 하부수압면(P1)에 고압라인(H1)과 연결되고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 상부의 상부수압면(P2)은 제3유압밸브챔버(V3)를 통해 저압라인(L1)과 연결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고압의 유압이 피스톤(16)을 상측으로 밀어 피스톤을 상승시키게 된다(도 3 참조). 참고로, 도 2 내지 5에서 붉은색으로 표시한 것은 고압을 표시하고, 청색은 저압을 나타낸 것이다.
반대로 피스톤이 타격(하강)할 때는,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 상부의 상부수압면(P2)이 고압라인(H1)과 연결되게 되면 상부수압면(P2)의 상부에 작용하는 고압의 유압이 하부수압면(P1)의 하부에 작용하는 고압의 유압보다 더 크기 때문에 피스톤(16)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치즐(17)에 타격에너기를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16)이 상승하여 밸브전환챔버(A2)에 고압이 공급되면 밸브를 구동시키는 제1유압밸브챔버(V1)에도 고압이 공급되어 제어밸브(14)가 상승 위치로 되고, 제어밸브(14)가 상승 위치로 되면, 제어밸브(14)에 의해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 상부의 상부수압면(P2)이 저압라인(L1)과 연결이 끊기고 고압라인(H1)과 연결되면서 피스톤(16)이 하강하게 된다(도 2 참조).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치즐(17)에 타격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며, 이때 피스톤의 제1중경부(163)와 실린더(12) 내벽 사이의 간격에 의해 제1유압밸브챔버(V1)의 고압이 저압챔버(A3)와 연결되면서 제1유압밸브챔버(V1)가 저압으로 전환되어 제어밸브(14)가 상승위치에서 하강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타격후 피스톤(16)이 상승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밸브(14)가 이동하게 되어 피스톤(16)이 치즐(17)을 타격후 상승하게 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작동하게 된다.
피스톤 작동중 처음 공타가 발생하면, 피스톤(16)이 정상적인 타격 위치보다 더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제1대경부(162)가 항시 저압상태에 있는 저압챔버(A3)는 폐쇄하고 밸브전환챔버(A2)는 개방하면서 고압이 리턴되는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유압밸브챔버(V1)의 고압이 실린더의 밸브전환챔버(A2)를 통해 저압상태에 있는 저압챔버(A3)와 연결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제1유압밸브챔버(V1)가 저압으로 변경되지 못하고 계속 고압상태에 놓이게 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공타가 발생하면,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에 의해 저압상태에 있는 저압챔버(A3)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1유압밸브챔버(V1)가 저압으로 바뀌지 못하게 되므로, 제1유압밸브챔버(V1)의 고압이 계속 유지되어 제어밸브(14)가 상승위치에서 고정되면서 피스톤(16)의 실린더상부 수압챔버(A4)가 계속해서 고압라인(H1)과 연결되게 되어 피스톤(16)이 다시 상승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공타가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타가 처음 발생하는 순간 고압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가 저압챔버(A3)를 차단해 주면서 방향전환밸브(A2)는 개방시켜야 하므로, D2와 D1의 비율 즉 D2/D1가 0.4∼1.1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 D1은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하는 순간 고압챔버(A1)의 하단과 하부수압면(P1) 사이의 간격이고, D2는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하는 순간 저압챔버(A3)의 하단과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의 하단 사이의 간격이다.
지금까지는 고압에 의해 공타를 방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했으나, 이하에서는 저압에 의해 공타를 방지하는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저압에 의해 공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12)에서 저압챔버(A3)의 상부에 연통챔버(T3)를 더 형성하여,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연통챔버(T3)가 저압챔버(A3)와 실린더상부 수압챔버(A4)를 연결해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피스톤(16)의 제2대경부(164)가 고압챔버(A1)를 폐쇄시키고, 제1대경부(162)가 연통챔버(T3)는 개방하고 저압챔버(A3)를 폐쇄하면서 연통챔버(T3)와 저압챔버(A3)가 관로로 연결되어 유압브레이커 내부 전체를 저압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피스톤(16) 작동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공타가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정상작동으로의 복귀시에는 유압브레이커 내부 전체가 저압이기 때문에 치즐(17)의 선단을 작업물에 대고 살짝 눌러주면 피스톤(16)이 상승하면서 고압챔버(A1)에 고압이 공급되면서 정상적인 작동위치로 바뀌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압브레이커 11 : 프런트헤드
12 : 실린더 13 : 백헤드
14 : 제어밸브 15 : 어큐뮤레이터(accumulator)
16 : 피스톤 161 : 소경부
162 : 제1대경부 163 : 제1중경부
164 : 제2대경부 165 : 제2중경부
17 : 치즐(chisel)
A1 : 고압챔버 A2 : 밸브전환챔버
A3 : 저압챔버 A4 : 실린더상부 수압챔버
H1 : 고압라인 L1 : 저압라인
P1 : 하부수압면 P2 : 상부수압면
T3 : 연통챔버
V1 : 제1유압밸브챔버 V2 : 제2유압밸브챔버
V3 : 제3유압밸브챔버

Claims (3)

  1. 실린더(12)의 하부와 상부에 프런트헤드(11)와 백헤드(13)가 각각 구비되고, 실린더(12)의 측면으로는 유압을 공급과 배출 및 제어하는 제어밸브(14)와 어큐뮤레이터(15)가 구비되고, 프런트헤드(11)와 실린더(12) 및 백헤드(13) 사이에 걸쳐져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6) 및 프런트헤드(11)의 선단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치즐(17)을 구비하여 구성된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6)은,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다른 소경부(161), 제1대경부(162), 제1중경부(163), 제2대경부(164) 및 제2중경부(165)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12)는 하부로부터 고압챔버(A1), 밸브전환챔버(A2), 저압챔버(A3) 및 실린더상부 수압챔버(A4)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밸브(14)는 제1유압밸브챔버(V1)와 제2유압밸브챔버(V2) 및 제3유압밸브챔버(V3)를 구비하며,
    상기 어큐뮤레이터(15)는 고압을 공급받고, 실린더의 고압챔버(A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피스톤(16)의 선단(先端)이 프런트헤드(11)의 단(段)이 진 부분을 타격하는 공타가 발생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의 작동이 멈추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피스톤의 제1대경부(162)가 저압챔버(A3)를 차단해 주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저압챔버(A3) 상부에 연통챔버(T3)를 더 구비하며,
    공타가 발생하는 순간 피스톤의 제2대경부(164)가 고압챔버(A1)를 폐쇄시키며, 제1대경부(162)가 연통챔버(T3)는 개방하고 저압챔버(A3)를 폐쇄하면서 연통챔버(T3)와 저압챔버(A3)를 관로로 연결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20140045809A 2014-04-17 2014-04-17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574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09A KR101574576B1 (ko) 2014-04-17 2014-04-17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09A KR101574576B1 (ko) 2014-04-17 2014-04-17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086A true KR20150120086A (ko) 2015-10-27
KR101574576B1 KR101574576B1 (ko) 2015-12-04

Family

ID=5442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809A KR101574576B1 (ko) 2014-04-17 2014-04-17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160A (ko) * 2017-02-09 2018-08-2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브레이커, 스크래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크래치 모니터링 방법
CN110144987A (zh) * 2019-05-06 2019-08-20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机破碎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735B1 (ko) 2003-05-06 2007-11-01 이일재 유압타격장치
KR100675586B1 (ko) 2005-07-22 2007-01-30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KR101077531B1 (ko) 2009-03-25 2011-10-27 (주) 케이엠중장비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1072069B1 (ko) 2009-11-11 2011-10-1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브레이커의 타격력 조절 및 공타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160A (ko) * 2017-02-09 2018-08-2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브레이커, 스크래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크래치 모니터링 방법
CN110144987A (zh) * 2019-05-06 2019-08-20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机破碎控制系统
CN110144987B (zh) * 2019-05-06 2021-04-23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机破碎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576B1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40B1 (ko) 투 스트로크 밸브가 장착된 유압브레이커
US8939227B2 (en) Pressure protection valve for hydraulic tool
US4230019A (en) Fluid arrangement
KR20150036848A (ko) 자동 3단 유압 브레이커
KR101574576B1 (ko)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709673B1 (ko) 2단 오토스트로크 유압 브레이커
EP3145677A1 (en) Hydraulic hammer having delayed automatic shutoff
KR20100028900A (ko) 공타 방지를 위한 유압브레이커
KR20090041823A (ko) 유압브레이커의 자동타격조정장치
KR100510966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장치
KR101420696B1 (ko) 파쇄작업시 타격압을 상승시키는 어터치먼트
CN104532897A (zh) 一种自适应智能液气压冲击破碎锤
KR100971295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CN204343357U (zh) 一种自适应智能液气压冲击破碎锤
KR101907432B1 (ko) 유압 타격 장치
CN212318413U (zh) 一种防空打破碎锤用控制装置
KR101336993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KR101575059B1 (ko) 스프링 및 압축가스식 브레이커
KR101595245B1 (ko) 스프링 및 캠 구동식 브레이커
KR101149834B1 (ko) 공타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1472909B1 (ko) 공타 완충 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919708B1 (ko) 유압식 타격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장치
KR101446223B1 (ko) 공타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0524671B1 (ko) 브레이커
KR101899384B1 (ko) 유압식 타격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