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586B1 -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 Google Patents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586B1
KR100675586B1 KR1020050066514A KR20050066514A KR100675586B1 KR 100675586 B1 KR100675586 B1 KR 100675586B1 KR 1020050066514 A KR1020050066514 A KR 1020050066514A KR 20050066514 A KR20050066514 A KR 20050066514A KR 100675586 B1 KR100675586 B1 KR 10067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piston
chamb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878A (ko
Inventor
이원해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58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유압브레이커의 실린더본체 내부의 하부챔버 위에 타격용 피스톤의 피스톤링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 하부 공타방지턱과, 상기 바이패스챔버 위에 타격용 피스톤링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 상부 공타방지턱 및 상기 상부 공타방지턱에서 유압을 저압통로로 보내주기 위한 유압회수통로를 더 포함하여 타격용 피스톤의 공타작동시 고압통로를 통해 하부챔버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을 저압통로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타격용 피스톤이 상승행정을 하지 못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실린더본체의 하부챔버와 프런트헤드 상부 내측 각각에 제1 및 제2 센서를 장착하여 유압회로의 유압공급라인에 설치된 세렉트 스위치를 온/오프하도록 구성하여 유압브레이커의 공타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유압브레이커, 실린더본체, 타격용 피스톤, 치즐, 제1 및 제2 센서, 유압회로, 세렉트스위치

Description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Oil hydraulic brak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의 공타작동시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브레이커 2 : 헤드캡
3 : 실린더본체 4 : 프런트헤드
5 : 치즐 6 : 유압회로
7 : 고압통로 8 : 저압통로
9 : 세렉트 스위치 9a,9b : 제1 및 제2 센서
31 : 타격용 피스톤 31a,31b : 상,하측 피스톤링
32 : 고압연결구 33 : 저압연결구
34 : 유압밸브 34a : 밸브체
35 : 어큐뮤레이터 36a : 상부챔버
36b : 하부챔버 36c : 바이패스챔버
37a : 상부 공타방지턱 37b : 하부 공타방지턱
37c : 리턴통로 71 : 고압분기통로
72 : 연결통로 81 : 유압회수통로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장착되는 유압브레이커의 치즐을 타격하는 피스톤의 불필요한 공타작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압브레이커로의 유압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에 장착되는 유압브레이커는 굴삭기의 유압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한 유압브레이커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타격용 피스톤이 프런트헤드에 장착되어 있는 치즐을 타격하여 암반 등과 같은 파쇄목적물을 파쇄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브레이커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운전자)는 굴삭기의 붐대를 작동시켜서 유압브레이커의 치즐을 파쇄목적물에 눌러준 상태에서 푸트스위치를 밟아서 유압공급장치를 온(on)작동시키게 되면 고압의 유압이 유압브레이커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타격용 피스톤이 왕복작동하면서 치즐을 타격하게 되므로서 파쇄목적물을 파쇄시키게 된다.
그런데 유압브레이커의 치즐이 파쇄목적물을 타격하여 완전히 부숴뜨렸을 때에는 치즐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치즐은 자중에 의해 치즐핀이 허용하는 간격만큼 프런트헤드 밑으로 내려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한 타격용 피스톤의 하단과 치즐의 상단은 서로 이완된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에도 타격용 피스 톤이 왕복작동을 하게 될 경우에는 타격용 피스톤은 치즐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빈공간을 타격하는 공타작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공타작동시 피스톤이 프런트헤드의 내벽면에 부딪치면서 충격을 주게되면 프런트헤드 내부에 장착된 조립부품(스톱핀, 트러스트링, 프런트커버 등)이 손상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사용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굴삭기 운전자는 유압브레이커로 파쇄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파쇄목적물이 완전히 파쇄되었을 때에는 이를 경험상으로 직감하고 타격용 피스톤의 공타작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유압브레이커로 공급 순환되는 유압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타격용 피스톤의 공타 횟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브레이커에 유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는 운전자의 발로서 온/오프 조작되는 푸트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유압브레이커로 파쇄목적물의 파쇄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푸트스위치를 발로 밟아서 유압브레이커로 유압이 공급되게 하며, 파쇄목적물을 완전히 파쇄되어 치즐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면, 운전자는 이를 경험상으로 느끼게 되면 그 즉시 발로서 푸트스위치를 오프(off) 조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운전자가 발로서 푸트스위치를 오프작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짧지만(대략 0.4∼0.6초) 그 짧은 시간동안에도 유압이 유압브레이커로 공급되기 때문에 타격용 피스톤은 적어도 3회 이상 공타작동을 진행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브레이커로 파쇄목적물을 파쇄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 파쇄목적물이 파쇄되어 치즐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더 내려가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유압브레이커로 공급되는 유압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므로서 타격용 피스톤의 불필요한 공타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공타방지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허공에 떠있던 치즐을 파쇄목적물에 올려놓고 파쇄작동을 재개할 때에는 유압이 자동적으로 정상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파쇄작동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유압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질소가스가 충진되는 헤드캡과, 타격용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본체와, 치즐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프런트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외부 일측에는 고압의 유압을 상,하부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연결구와, 유압을 유압탱크로 보내는 저압연결구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고,저압 연결구 하측에는 유압밸브와 어큐뮤레이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실린더실에는 타격용 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한 상부챔버와, 타격용 피스톤을 상승시키기 위한 하부챔버와, 상기한 상,하부 챔버 사이에 형성되어 타격용 피스톤을 상승시켰던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바이패스 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연결구로 유압을 공급하고, 또 상기한 저압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탱크가 마련된 유압회로를 구비하여 타격용 피스톤을 상,하로 왕복운동시켜서 치즐을 타격하여 파쇄목적물을 파쇄하도록 구성된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 위에 타격용 피스톤의 피스톤링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 하부 공타방지턱과, 상기 바이패스챔버 위에 타격용 피스톤링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 상부 공타방지턱 및 상기 상부 공타방지턱에서 유압을 저압통로로 보내주기 위한 유압회수통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회로의 유압공급라인에는 전기 및 전자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 작동하여 유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세렉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부 공타방지턱에는 타격용 피스톤이 공타작동시 상부 공타방지턱의 유압이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되는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세렉트 스위치를 오프작동시키기 위한 제1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프런트헤드의 내측 상부에는 타격용 피스톤의 하단이 한차례 접촉한 후 이완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세렉트 스위치를 온작동시키기 위한 제2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1 센서는 유압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유압센서이며, 상기한 제2 센서는 타격용 피스톤이 한차례 접촉한 후 이완되는 작동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커의 공타작동시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유압브레이커(1)는 헤드캡(2), 실린더본체(3), 프런트헤드(4)로 구성되며, 상기한 헤드캡(2)에는 질소가스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한 실린더본체(3)의 내부에는 타격용 피스톤(31)이 왕복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한 실린더본체(3)의 외부 일측에는 고압연결구(32)와 저압연결구(33)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고,저압 연결구의 하측으로는 유압공급방향을 절환시켜주는 유압밸브(34)와 유압을 압축 및 방출시키는 어큐뮤레이터(3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프런트헤드(4)에는 치즐(5)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치즐(5)의 상단은 프런트헤드(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고 하단은 프런트헤드(4)의 하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헤드(4)에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는 두개의 치즐핀(도시 생략)은 치즐(5)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이동홈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한 치즐(5)의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 치즐(5)이 프런트헤드(4)에서 이완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헤드(4)에 장착된 치즐(5)은 실린더본체(3)의 타격용 피스톤(31)에 의하여 파쇄목적물을 파쇄하는 타격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한 치즐(5)의 하단(52)을 파쇄목적물에 올려놓게 되면 치즐(5)은 그 상단(51)이 플런트헤드(5)의 상측공간(53) 상방으로 돌출되어 타격용 피스톤(31)의 타격영역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타격용 피스톤(31)은 실린더본체(3)의 벽면 내부에 형성된 유압통로들을 순환하는 유압에 의하여 상,하로의 왕복운동 즉, 상승행정과 하강행정을 반복하면서 치즐(5)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본체(3)의 실린더실 내면과 실린더본체의 벽면에 형성된 각 챔버들과 각 유압통로는들은 기존의 유압브레이커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각 챔버 및 각 유압통로들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유압의 순환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하여 타격용 피스톤(31)을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치즐(5)을 타격작동을 하는 상승 및 하강행정을 도면에서 간략하게 도시한 유압통로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타격용 피스톤(31)이 치즐(5)을 타격하는 하강행정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굴삭기의 유압회로(6)의 유압공급라인(61)을 통해 고압연결구(32)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은 고압연결구(32)를 통해 고압통로(7)로 흐르게 되며, 고압통로(7)를 흐르는 유압은 고압분기통로(71)로도 흐르게 되지만, 이때에는 유압밸브(34)의 밸브체(34a)가 타격용 피스톤(31)의 하강행정 완료시에는 고압분기통로(71)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고압연결구(32)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은 고압통로(7)를 통해 하부챔버(36b)로 흐르게 되며, 이때 상기한 타격용 피스톤(31)이 하강행정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하측 피스톤링(31b)이 하부챔부(36b) 영역내에 있게 되므로서 하부챔버(36b)로 유입된 고압의 유압은 하측 피스톤링(31b)에 작용하여 타격용 피스톤(31)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챔버(36b)로 유입된 유압이 타격용 피스톤(31)을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타격용 피스톤(31)이 도 2의 도시와 같이 하측 피스톤링(31b)이 바이패스챔버(36c) 바로 위까지 상승행정을 하게 되면 타격용 피스톤(31)을 상승시키던 유압은 바이패스챔버(36c)에 연결되어 있는 리턴통로(37c)를 통해 유압밸브(34)로 흘러서 밸브체(34a)를 절환작동(도면상 상측으로 밀어올림)시킨 후 저압통로(8)로 흐르게 된다.
상기에서 타격용 피스톤(31)을 상승시켰던 고압의 유압이 바이패스통로(36c)→리턴통로(37c)→유압밸브(34)→저압통로(8)로 빠져나가게 되더라도 하측 피스톤링(31b)과 하부챔버(36b) 사이는 여전히 고압상태이다. 한편, 상기에서 리턴통로(37c)로 흐르는 유압에 의해 유압밸브(34)의 밸브체(34a)가 절환작동되었을 때에는 고압분기통로(71)를 흐르는 고압의 유압은 유압밸브(34)를 통해 연결통로(72)로 흘러 상부챔버(36a)로 유입되며, 이와 같이 상기한 상부챔버(36a)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은 타격용 피스톤(31)의 상측 피스톤링(31a)에 작용하게 되는데, 상측 피스톤링(31a) 상부의 단면적이 하측 피스톤링(31b) 하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챔버(36a)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이 타격용 피스톤(31)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타격용 피스톤(31)이 하강행정을 할 때에는 하측 피스톤링(31b)과 하부챔버(36b) 사이에 있던 유압은 리턴통로(37c)로 흘러 유압밸브(34)를 통해 저압통 로(8)로 빠지게 되므로서 타격용 피스톤(31)은 하부챔버(36b) 및 상부챔버(36a) 각각에 교대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에 의하여 상승행정과 하강행정을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타격용 피스톤(31)의 상승 및 하강행정은 기존의 유압브레이커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압브레이커(1)로 파쇄목적물을 패쇄시키는 타격작동을 진행하여 파쇄목적물을 완전히 파쇄시킴에 따라 치즐(5)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거나 또는 파쇄작동을 일시 중단하기 위해 치즐(5)을 파쇄목적물에서 들어올렸을 때 상기 치즐(5)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갔을 때 타격용 피스톤(31)의 타격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부챔버(36b)의 상단과 연결되는 부위에 하측 피스톤링(31b)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하부 공타방지턱(37b)을 형성하며, 바이패스챔버(36c)의 상측에도 상측 피스톤링(31a)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상부 공타방지턱(37a)을 형성하고, 또 상기한 상부 공타방지턱(37a)에는 저압통로(8)로 유압이 흐르게 하는 유압회수통로(81)를 형성하였다.
또한 타격용 피스톤(31)이 공타작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공타작동시 유압회로(6)의 유압공급라인(61)에는 고압연결구(32)로 고압의 유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세렉트 스위치(9)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상기의 세렉트 스위치(9)를 온/오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센서(9a)(9b)를 실린더본체(3)와 프런트헤드(4)에 장착하였는데, 상기한 제1 센서(9a)는 상부 공타방지턱(37a) 내부의 노출되어 상부 공타방지턱(37a)에 작용되는 유압의 변화 즉, 타 격용 피스톤(31)이 정상적으로 상승 및 하강행정을 할 때의 유압 압력(저압상태)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이며, 이러한 제1 센서(9a)인 압력센서는 공타작동시의 높은 압력이 감지되면 세렉트 스위치(9)를 오프작동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2 센서(9b)는 치즐(5)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갔을 때 그 상단(51)을 타격하는 상태로 하강하게 되는 타격용 피스톤(31)의 하단과 접촉하는 접촉센서로서, 이러한 제2 센서(9b)인 접촉센서는 상기한 타격용 피스톤(31)이 한차례 접촉한 후 이완될 때의 정보를 감지하여 세렉트 스위치(9)를 온작동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3의 도시는 유압브레이커(1)의 공타작동시를 도시한 것으로, 치즐(5)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타격용 피스톤(31)이 하사점 이하로 더 하강하여 치즐(5) 상단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타격용 피스톤(31)의 하측 피스톤링(31b)이 하부챔부(36b)보다 더 밑으로 내려간 상태가 되면, 이때에는 하부챔버(36b)는 그 상방에 형성된 하부 공타방지턱(37b)과 바이패스챔버(36c) 및 상측의 상부 공타방지턱(37a)들과 상,하측 피스톤링(31a)(31b)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부호 생략)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서 결국 상기 하부챔버(36b)에 유입되는 고압의 유압에 의해 상기한 하부 공타방지턱(37b)와 바이패스챔버(36c) 및 상부 공타방지턱(37a) 전부에 고압의 유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공타방지턱(37a)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센서(9a)인 압력센서는 유압이 저압상태에서 고압상태로 변화된 것을 감지하게 된다. 즉, 타격용 피스톤(31)이 정상적으로 타격작동을 할 때에는 상부 공타방지턱(37a)에는 유압이 저압상태이지만 타격용 피스톤(31)이 정상적인 하강행정시 보다 더 밑으로 내려간 공타작동시에는 상부 공타방지턱(37a) 내부는 고압상태가 되므로서, 이와 같이 상부 공타 방지턱(37a)에 작용하는 유압이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되는 것을 압력센서인 제1 센서(9a)가 감지하게 되면 그 즉시로 감지된 고압신호를 세렉트 스위치(9)에 보내게 되면 이에 따라 세렉트 스위치(9)가 오프작동을 하여 유압회로(6)의 유압공급라인(61)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공급라인(61)을 통해서는 더이상 고압통로(7)로 유압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서 타격용 피스톤(31)은 정상적인 타격작동시의 하사점 이하로 한차례 하강작동한 상태에서 정지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유압브레이커(1)의 공타작동은 한번으로 끝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압브레이커(1)의 파쇄작동을 재개하기 위해 치즐(5)을 파쇄목적물 위에 올려 놓게 되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갔던 치즐(5)이 다시 상승하여 타격용 피스톤(31)을 정상작동시의 하사점 위치까지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타격용 피스톤(31)의 하단이 접촉센서인 제2 센서(9b)에서 이완되어지며, 이러한 이완작동을 접촉센서인 제2 센서(9b)가 감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부 공타방지턱(37a)은 하측의 피스톤링(31b)에 의해 하부챔버(36b)와는 차단된 상태(도 1 참조)에서 저압통로(8)에만 연결된 상태가 되어 저압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센서인 제2 센서(9b)가 타격용 피스톤(31)의 이완상태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세렉트 스위치(9)에 보내어 세렉트 스위치(9)를 온작동시키게 되므로서 유압공급라인(61)이 다시 개방되어지며, 이에 따라 유압회로(6)의 유압은 고압통로(7)로 공급되어 타격용 피스톤(31)은 정상적인 상승 및 하강 행정으로 타격작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유압브레이커(1)로 파쇄목적을 파쇄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치즐(5)이 파쇄목적을 완전히 파쇄하거나 또는 치즐(5)을 파쇄목적물에서 들어올렸을 때 타격용 피스톤(31)이 한차례의 공타작동만 하고 정지되게 하므로서 공타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파쇄작동을 다시 진행하기 위해 치즐(5)을 파쇄목적물에 올려 놓게 되면 그 즉시로 세렉트 스위치(9)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서 파쇄작동이 신속히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브레이커로 파쇄목적물을 깨뜨리는 파쇄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파쇄목적물이 완전히 깨어져 치즐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면 타격용 피스톤이 한차례만 공타작동을 하고 정지됨과 동시에 유압브레이커로 공급되는 유압이 차단되므로서 유압브레이커의 공타작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므로서 공타작동에 의해 유압브레이커의 부품손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파쇄작동을 재개하기 위해 치즐을 파쇄목적물 위에 올려놓게 되면 그 즉시로 유압브레이커로 유압이 공급되므로서 파쇄작동을 보다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유압브레이커의 제품 신뢰성에 크게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질소가스가 충진되는 헤드캡과, 타격용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본체와, 치즐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프런트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외부 일측에는 고압의 유압을 상,하부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연결구와, 유압을 유압탱크로 보내는 저압연결구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고,저압 연결구 하측에는 유압밸브와 어큐뮤레이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실린더실에는 타격용 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한 상부챔버와, 타격용 피스톤을 상승시키기 위한 하부챔버와, 상기한 상,하부 챔버 사이에 형성되어 타격용 피스톤을 상승시켰던 고압을 유압밸브로 리턴시켜서 저압으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바이패스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챔버 및 하부챔버 각각의 상측에는 타격용 피스톤의 상,하측 피스톤링보다 큰 지름의 내경을 갖는 상,하부 공타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공타방지턱에는 타격용 피스톤의 공타작동시 고압통로를 통해 하부챔버로 유입되는 고안의 유압을 저압통로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타격용 피스톤이 상승행정을 하지 못하도록 상부 공타방지턱에서 유압을 저압통로로 보내주기 위한 유압회수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연결구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라인과 상기한 저압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탱크가 마련된 유압회로를 구비하여 유압으로 타격용 피스톤을 상,하로 왕복운동시켜서 치즐을 타격하여 파쇄목적물을 파쇄하도록 구성된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유압회로의 유압공급라인에는 전기 신호나 전자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 작동하여 유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세렉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부 공타방지턱에는 타격용 피스톤이 공타작동시 상부 공타방지턱의 유압이 저압에서 고압으로 변화되는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세렉트 스위치를 오프작동시키기 위한 제1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프런트헤드의 내측 상부에는 타격용 피스톤의 하단이 한차례 접촉한 후 이완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세렉트 스위치를 온작동시키기 위한 제2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센서는 유압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유압센서이며, 상기한 제2 센서는 타격용 피스톤이 한차례 접촉한 후 이완되는 작동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KR1020050066514A 2005-07-22 2005-07-22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KR10067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14A KR100675586B1 (ko) 2005-07-22 2005-07-22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14A KR100675586B1 (ko) 2005-07-22 2005-07-22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78A KR20070011878A (ko) 2007-01-25
KR100675586B1 true KR100675586B1 (ko) 2007-01-30

Family

ID=3801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514A KR100675586B1 (ko) 2005-07-22 2005-07-22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58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95B1 (ko) 2008-05-01 2010-07-20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0985931B1 (ko) 2008-09-05 2010-10-06 케이테크놀로지(주) 공타 방지를 위한 유압브레이커
KR101077531B1 (ko) * 2009-03-25 2011-10-27 (주) 케이엠중장비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1199079B1 (ko) * 2010-04-30 2012-11-07 대덕대학산학협력단 공타방지 유압브레이커
WO2014007477A1 (ko) * 2012-07-03 2014-01-09 Lee Il Jae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CN104532897A (zh) * 2014-12-23 2015-04-22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适应智能液气压冲击破碎锤
KR101574576B1 (ko) 2014-04-17 2015-12-04 주식회사 케이엔비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2019009094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에버다임 화재 진압용 피어싱 장치
KR20190134200A (ko) * 2018-05-25 2019-12-04 디앤에이중공업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공타 방지 온/오프장치
KR102150018B1 (ko) 2020-03-25 2020-08-31 (주) 에이와이중공업 유압 브레이커의 내장형 어큐뮬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89B1 (ko) * 2011-10-17 2013-07-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유압브레이커의 피스톤 접촉면 강제 윤활장치
CN112878408B (zh) * 2021-01-19 2022-10-11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破碎锤及作业车辆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95B1 (ko) 2008-05-01 2010-07-20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0985931B1 (ko) 2008-09-05 2010-10-06 케이테크놀로지(주) 공타 방지를 위한 유압브레이커
KR101077531B1 (ko) * 2009-03-25 2011-10-27 (주) 케이엠중장비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1199079B1 (ko) * 2010-04-30 2012-11-07 대덕대학산학협력단 공타방지 유압브레이커
US9988843B2 (en) 2012-07-03 2018-06-05 Il Jae Lee Impact body for hydraulic impact device
WO2014007477A1 (ko) * 2012-07-03 2014-01-09 Lee Il Jae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KR101373544B1 (ko) 2012-07-03 2014-03-25 이일재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KR101574576B1 (ko) 2014-04-17 2015-12-04 주식회사 케이엔비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CN104532897A (zh) * 2014-12-23 2015-04-22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适应智能液气压冲击破碎锤
KR20190090946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에버다임 화재 진압용 피어싱 장치
KR102031240B1 (ko) * 2018-01-26 2019-10-11 주식회사 에버다임 화재 진압용 피어싱 장치
KR20190134200A (ko) * 2018-05-25 2019-12-04 디앤에이중공업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공타 방지 온/오프장치
KR102063918B1 (ko) 2018-05-25 2020-01-08 디앤에이중공업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공타 방지 온/오프장치
KR102150018B1 (ko) 2020-03-25 2020-08-31 (주) 에이와이중공업 유압 브레이커의 내장형 어큐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78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586B1 (ko) 공타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유압브레이커
KR101550899B1 (ko) 2단 자동 행정을 갖는 유압 브레이커
KR100966740B1 (ko) 투 스트로크 밸브가 장착된 유압브레이커
KR100999867B1 (ko) 유압브레이커
KR101140697B1 (ko) 실린더의 스크라치발생 방지구조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0985931B1 (ko) 공타 방지를 위한 유압브레이커
KR100510966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장치
KR101709673B1 (ko) 2단 오토스트로크 유압 브레이커
KR20090041823A (ko) 유압브레이커의 자동타격조정장치
KR101805038B1 (ko) 유압 타격 장치
KR101077531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1907432B1 (ko) 유압 타격 장치
KR100971295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1199079B1 (ko) 공타방지 유압브레이커
KR960004277B1 (ko) 유압 브레이커의 공타 방지장치
KR101712553B1 (ko) 유압 브레이커
KR101490597B1 (ko) 유압브레이커
KR102317232B1 (ko) 유압 브레이커
KR101446223B1 (ko) 공타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200436846Y1 (ko) 유압 브레이커의 피스톤 행정거리조절장치
KR100524671B1 (ko) 브레이커
KR101149834B1 (ko) 공타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0772735B1 (ko) 유압타격장치
KR101384752B1 (ko) 유압 해머 장치
KR20120050215A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