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001A - 굴삭기용 버켓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001A
KR20130142001A KR1020120065203A KR20120065203A KR20130142001A KR 20130142001 A KR20130142001 A KR 20130142001A KR 1020120065203 A KR1020120065203 A KR 1020120065203A KR 20120065203 A KR20120065203 A KR 20120065203A KR 20130142001 A KR20130142001 A KR 2013014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ucket
excavator
housin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주)만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만선 filed Critical (주)만선
Priority to KR102012006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001A/ko
Publication of KR2013014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디가 마련된 버켓유닛과, 제1 및 제2바디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은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버켓 유닛이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로 구성되므로 파지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이 굴착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용 버켓{Bucket for excavator}
본 발명은 버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붐에 설치되어 굴삭작업 뿐만 아니라 파지대상물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집게부재가 마련된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위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버켓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버켓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굴삭기에 별도의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422호에는 굴삭기용 조경, 석축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굴삭기용 조경, 석축장비는 굴삭기 아암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버켓과, 상기 버켓에 대향설치되어 버켓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집게와, 상기 버켓의 후방 상단 일측과 상기 집게의 연장부 상단 일측에 결합되어 집게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버켓의 후방 상단 타측과 상기 집게의 연장부 상단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제2유압실린더가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집게 장치는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버켓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밀착되야 하는데 집게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밀착판이 오히려 아암에 밀착되지 않는 방해 구조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집게부재가 굴착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켓 유닛이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로 구성되어 파지대상물을 파지하는 굴삭기용 버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은 굴삭기의 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디가 마련된 버켓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바디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개구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굴삭작업시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파지대상물을 파지시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에 접하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1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접하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2톱니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톱니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상호 결합 시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버켓유닛은 상기 제2바디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굴삭작업시 지면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굴삭투스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는 단부가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제2바디의 회전 중심 축선과 동축상에 설치되며, 일측 외주면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헬리컬기어 형태의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단부에 각각 작동유가 유출입되는 제1 및 제2포트가 형성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의 제1가이드부와 맞물려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은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버켓 유닛이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로 구성되므로 파지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이 굴착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이 장착된 굴삭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의 구동부에 대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동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피스톤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피스톤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 대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굴삭기용 버켓(10)은 굴삭기(1)의 붐(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디(30,40)가 마련된 버켓유닛(20)과, 상기 제1 및 제2바디(30,40)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제1바디(30)는 상부에 굴삭기(1)의 붐(3)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33)이 형성되며, 내부에 토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31)이 마련되며,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31)으로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개구부(32)가 형성된다. 제1바디(30)는 후방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단면을 갖고, 제1개구부(3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바디(30)는 파지대상물을 파지시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 하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1톱니(34)가 형성된다. 제1톱니(34)는 제1바디(30)의 좌우측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톱니(34)는 제1 및 제2바디(30,40)가 상호 결합시 후술되는 제2바디(40)의 제2톱니(46)에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바디(30)는 전면 좌우측 가장자리에 파지대상물을 파지시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3톱니(35)가 형성된다. 제3톱니(35)들은 제1바디(30)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40)는 상기 제1개구부(32)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1바디(3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바디(3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굴삭작업시 상기 수용공간(31)으로 상기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부(3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개구부(41)가 형성된다.
제2바디(40)는 제1바디(30)의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암부재(42,43)와, 제1 및 제2암부재(42,43) 사이에 상기 제2개구부(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제1 및 제2암부재(42,43)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파지편(4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암부재(42,43)는 상단이 제1바디(30)의 양측면 상단부에 전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암부재(42,43)는 하단부가 제1바디(30)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암부재(42,43)는 제1바디(30)의 제3톱니(35)에 대향되는 위치의 후단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4톱니(45)가 형성된다. 제4톱니(45)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편(44)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바디(30) 전면의 좌우측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파지편(44)은 양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암부재(42,43)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파지편(44)은 제1 및 제2암부재(42,43)가 제1바디(30)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 제1바디(3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접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암부재(42,43)의 회동 중심 축선으로부터 제1바디(30)의 하측 가장자리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기 회동 중심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제1 및 제2암부재(42,4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편(44)은 제1바디(30)의 제1톱니(34)에 대향되는 후단부에 다수의 제2톱니(46)가 형성된다. 제2톱니(46)들은 파지편(44)에 좌우측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및 제2바디(30,40)가 상호 결합시 제1톱니(34)들에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켓유닛(20)은 제2바디(40)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굴삭투스(50)를 구비한다. 상기 굴삭투스(50)는 굴삭작업시 용이하게 지면에 인입될 수 있도록 제2바디(40)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착작업을 수행할 경우, 제1 및 제2바디(30,40)를 상호결합시킨 버켓유닛(20)으로 지면을 굴삭한다. 지면으로부터 굴삭된 토사는 제2바디(40)의 제2개구부(41) 및 제1바디(30)의 제1개구부(32)를 통해 제1바디(30)의 수용공간(31)으로 인입되어 이송된다.
파지작업을 수행할 경우, 제1 및 제2바디(30,40)를 상호 분리시키고, 상호 분리된 제1 및 제2바디(30,40) 사이에 파지대상물이 인입되도록 굴삭기(1)의 붐(3)을 이동시킨다. 제1 및 제2바디(30,40) 사이에 파지대상물이 인입되면 제2바디(40)를 제1바디(30) 방향으로 인접되게 회동시켜 파지대상물을 파지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10)은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버켓 유닛이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30,40)로 구성되므로 파지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이 굴착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는 하우징(110)과 피스톤(130) 및 회전축(12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20)은 양단부가 제1바디(3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각각 제1 및 제2암부재(42,43)의 상단부에 고정되되, 제1 및 제2암부재(42,43)의 회동 중심 축선과 동축상에 설치된다. 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암부재(42,43)가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암부재(42,43)에 지지되어 있는 파지편(44)이 회전축(120)과 함께 소정각도 회전한다.
회전축(120)은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통해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헬리컬기어 형태의 제1기어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기 피스톤(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내부공간(111)을 갖는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우측과 좌측에는 각각 내부공간(111)으로 작동유가 주입될 수 있게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3)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포트(112)와 제2포트(113)에는 작동유가 공급될 수 있는 유압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좌측 내주면에는 제2가이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14)는 후술하는 피스톤(130)이 작동유의 유입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회전하지 않고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인데, 하우징(110)의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요홈이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스플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20)이 관통할 수 있는 우측커버(115)와 좌측커버(116)가 마련되는데, 이 우측커버(115)와 좌측커버(116)의 내측면에는 각각 인입홈(117)이 소정 직경의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30)은 유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축(120)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다.
피스톤(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 피스톤(130)을 중심으로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1)이 우측공간과 좌측공간으로 구획되며, 우측공간과 좌측공간은 상기 제1포트(112) 및 제2포트(113)와 각각 연통되어 유입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13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즉, 상기 제1포트(112)를 통해 우측공간으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피스톤(130)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포트(113)를 통해 좌측공간으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피스톤(130)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피스톤(130)의 우측에는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우측공간과 좌측공간 사이에서 작동유가 유출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실링부재(131)가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피스톤(130)의 좌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114)에 대응하는 제1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가이드부(132)는 제2가이드부(114)와 마찬가지로 피스톤(130)의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요홈이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스플라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부(132)의 돌출부가 제2가이드부(114)의 요홈으로 삽입되고 제2가이드부(114)의 돌출부가 제1가이드부(132)의 요홈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작동유의 유입을 통해 피스톤(13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피스톤(130)에는 상기 회전축(1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공(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피스톤(130)의 내주면 좌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20)의 제1기어부(121)와 대응하는 제2기어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2기어부(134)는 제1기어부(121)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13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가이드부(132,114)에 의해 하우징(110)에 대하여 피스톤(130)이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기어부(121,134)를 통해 치합되어 있는 회전축(120)이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피스톤(130)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에는 각각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인입홈(117)에 대응하는 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135)는 피스톤(13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좌측면의 돌기(135)는 좌측커버(116)의 인입홈(117)으로 인입되고, 우측면의 돌기(135)는 우측커버(115)의 인입홈(117)으로 인입된다.
상기 피스톤(13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일측 공간으로는 작동유가 유입되고 타측공간에서는 작동유가 배출되면서 피스톤(130)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작동유가 배출되더라도 상기 인입홈(117)에는 작동유가 일부 잔류하게 되므로 돌기(135)가 인입홈(117)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잔류하는 작동유에 의해 피스톤(13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이 하우징(110)의 우측커버(115) 또는 좌측커버(116)의 내측면과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인입홈(117)에 잔류하는 작동유에 의한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돌기(135)가 피스톤(13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길이가 상기 인입홈(117)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35)의 돌출길이가 인입홈(117)의 깊이와 같거나 인입홈(117)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피스톤(130)이 이동한 상태에서 피스톤(13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과 우측커버(115) 또는 좌측커버(116)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작동유가 피스톤(13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어느 일측공간으로 진입할 때 작동유의 진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도 6에는 구동부(100)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피스톤(140)은 제1부재(142)와, 제1부재(142)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부재(144)를 포함한다.
제1부재(142)는 중앙에 회전축(1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단부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부(141)를 구성하기 위한 제1스플라인(1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부재(144)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재(144)는 상술한 것처럼 제1부재(142)의 좌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제2부재(144)는 외주면에 제1부재(142)의 내주면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145)를 가지며, 이 나사부(145)의 좌측 단부에 좌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4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장부(146)는 내경이 나사부(145)의 내경과 동일하지만 외경이 나사부(145)의 외경보다 크다. 연장부(146)의 우측면에는 상기 제1부재(142)의 좌측 단부가 안착되며 연장부(146)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부재(142)의 제1스플라인(143)과 함께 제1가이드부(141)를 형성하는 제2스플라인(147)이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142)와 제2부재(144)를 체결할 때 상기 제1스플라인(143)과 제2스플라인(147)의 돌출부와 요홈의 위치를 일치시켜 일체화된 제1가이드부(141)를 형성하게 한다.
아울러 나사부(145)와 연장부(146)의 내경은 상술한 것처럼 동일하며, 그 내경에는 상기 제2기어부(1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부(148)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헬리컬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120)의 제1기어부(121)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피스톤(140)은 상호 결합되는 제1부재(142)와 제2부재(144)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제2기어부(148)가 마련되어 있는 제2부재(144)와 제1부재(142)를 상호 다른 재질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피스톤(140)은 작동유의 압력을 받으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힘을 받게 되므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강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120)과 하우징(11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7에는 구동부(1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피스톤(150) 역시 강재의 제1부재(152)와, 인청동을 주조하여 제작한 제2부재(1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제2부재(154)도 내주면에 제2기어부(159)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청동을 주조하여 제작한 뒤 제1부재(152)와 제2부재(154)를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스플라인(153)과 제2스플라인(158)에 의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51)가 헬리컬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가이드부(151)와 대응하는 하우징(110)의 제2가이드부(114) 역시 제1가이드부(151)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헬리컬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부재(152)와 제2부재(154)는 제1부재(152)의 하단부를 관통해 제2부재(154)의 나사부(155)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통해 상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1부재(152)의 하단 내주면과 나사부(15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100)는 작동유의 유입으로 피스톤(15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피스톤(150)이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120)을 동일각도로 회전시킨다고 가정할 때, 제1 및 제2실시 예보다 제3실시 예의 경우 피스톤(150)의 이동거리가 짧아도 회전축(120)의 회전량은 같아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전체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틸팅 액추에이터(100)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8에는 하우징(1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는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 내주면에 피스톤(150)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내벽과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화기 위한 완충부(1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170)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장착부재(171)와, 장착부재(171)로부터 피스톤(150)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부재(172)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에는 상기 장착부재(17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부재(171)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의 장착홈(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부재(171)가 체결나사를 통해 하우징(11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172)가 피스톤(150)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피스톤(150)이 작동유의 유입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피스톤(150)의 단부가 스프링에 접촉한 뒤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진행하게 되므로 스프링이 완충작용을 하여 하우징(110)과 피스톤(150)이 고속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피스톤(150)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유가 주입될 때 상기 완충부(170)의 스프링부재(172)에 의해 피스톤(15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이 하우징(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제1포트(113) 또는 제2포트(114)를 통해 작동유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으로 더욱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어 피스톤(150)의 슬라이딩 구동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도면에는 하우징(110)의 우측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110)의 하부측에도 완충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인입홈(117) 및 이에 대응하는 피스톤(150)의 돌기(135)에 의한 완충 및 이격 작용을 보완하여 그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완충부(170)를 더 구비하고 있어 틸팅 액추에이터(100)의 구동 안정성 및 효율을 더욱 높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굴삭기용 버케
20: 버켓유닛
30: 제1바디
40: 제2바디
50: 굴삭투스
100: 구동부
110: 하우징
120: 회전축
130: 피스톤

Claims (6)

  1. 굴삭기의 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디가 마련된 버켓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개구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굴삭작업시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파지대상물을 파지시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에 접하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1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접하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2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톱니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상호 결합 시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유닛은
    상기 제2바디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굴삭작업시 지면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굴삭투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단부가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제2바디의 회전 중심 축선과 동축상에 설치되며, 일측 외주면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헬리컬기어 형태의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단부에 각각 작동유가 유출입되는 제1 및 제2포트가 형성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의 제1가이드부와 맞물려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유에 의해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KR1020120065203A 2012-06-18 2012-06-18 굴삭기용 버켓 KR20130142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203A KR20130142001A (ko) 2012-06-18 2012-06-18 굴삭기용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203A KR20130142001A (ko) 2012-06-18 2012-06-18 굴삭기용 버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01A true KR20130142001A (ko) 2013-12-27

Family

ID=4998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203A KR20130142001A (ko) 2012-06-18 2012-06-18 굴삭기용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00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458A1 (en) * 2016-03-23 2017-09-28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KR20200028125A (ko) * 2018-09-06 2020-03-16 최인호 굴삭기 버킷 틸팅유닛
KR20200075698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강진산업 중장비용 팬틸트 버킷 어셈블리
US10774501B2 (en) 2016-03-23 2020-09-15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CN113431113A (zh) * 2021-06-25 2021-09-24 江苏国润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挖斗与挖掘机的连接结构
KR20220081667A (ko) * 2020-12-09 2022-06-16 정경래 틸트 링크
KR102529226B1 (ko) * 2022-09-30 2023-05-08 주식회사 성빈글로벌 미니 굴삭기를 위한 버켓 및 니퍼 겸용 어태치먼트
KR102541969B1 (ko) * 2022-05-13 2023-06-13 이창수 굴삭기용 버켓
KR102541970B1 (ko) * 2022-05-13 2023-06-13 이창수 굴삭기용 회동형 버켓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458A1 (en) * 2016-03-23 2017-09-28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US10774498B2 (en) 2016-03-23 2020-09-15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US10774501B2 (en) 2016-03-23 2020-09-15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KR20200028125A (ko) * 2018-09-06 2020-03-16 최인호 굴삭기 버킷 틸팅유닛
KR20200075698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강진산업 중장비용 팬틸트 버킷 어셈블리
KR20220081667A (ko) * 2020-12-09 2022-06-16 정경래 틸트 링크
CN113431113A (zh) * 2021-06-25 2021-09-24 江苏国润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挖斗与挖掘机的连接结构
CN113431113B (zh) * 2021-06-25 2022-07-29 江苏国润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挖斗与挖掘机的连接结构
KR102541969B1 (ko) * 2022-05-13 2023-06-13 이창수 굴삭기용 버켓
KR102541970B1 (ko) * 2022-05-13 2023-06-13 이창수 굴삭기용 회동형 버켓
KR102529226B1 (ko) * 2022-09-30 2023-05-08 주식회사 성빈글로벌 미니 굴삭기를 위한 버켓 및 니퍼 겸용 어태치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001A (ko) 굴삭기용 버켓
KR101471177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KR101988828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 장치
KR100609494B1 (ko)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WO2014171024A1 (ja) 掘削バケット及び作業車両
JP2011006932A (ja) 掘削機のビット交換装置
CA2926998C (en) Dual action grapple apparatus
AU2013288713B2 (en) Dipper latch mechanism
KR101382967B1 (ko) 인클라인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 장치
KR101446006B1 (ko)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WO2014167319A2 (en) Ground planer
KR102119788B1 (ko) 굴삭기 버킷 틸팅유닛
JP4922210B2 (ja) 掘削作業機の油圧配管構造
JP3818519B2 (ja) アースドリル用掘削具
EP2995726B1 (en) Construction equipment
CN101922163B (zh) 多功能万向快接器
JP5290463B1 (ja) ハンマーグラブ及び低空頭型掘削装置
KR101764708B1 (ko) 중장비의 작업공구용 틸팅장치
CN106436792B (zh) 一种复合铣挖铲
CN206495246U (zh) 一种复合铣挖铲
KR200493657Y1 (ko)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CN206521780U (zh) 带破碎锤的挖掘机斗臂上的钻机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JP3955523B2 (ja) 垂直度計および多段伸縮式アーム作業機
ES1073032U (es) Maquina mecanico-hidraulica para dragados de puertos, rios canales, pantanos lagos y playas a gran profund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