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76Y1 - 전기구이기구 - Google Patents
전기구이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3276Y1 KR200493276Y1 KR2020190001696U KR20190001696U KR200493276Y1 KR 200493276 Y1 KR200493276 Y1 KR 200493276Y1 KR 2020190001696 U KR2020190001696 U KR 2020190001696U KR 20190001696 U KR20190001696 U KR 20190001696U KR 200493276 Y1 KR200493276 Y1 KR 2004932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wire
- electric
- wire
- side wall
- tub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상부는 개방되고 하벽 및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통프레임부재;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한 지점에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결합하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지점에 대향하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한 지점에 설치되는 거치부;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평상태로 배치될 때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는 열선부재; 상기 열선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선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거치부 상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에서 상기 열선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형성된 상기 전선통과공을 통과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전기구이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는 숯불 대신에 전기에 의한 가열원을 사용하면서도, 석쇠상에 육류 등 구이대상을 얹어놓고 숯불로 굽는 숯불구이기구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기구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 대신에 전기에 의한 가열원을 사용하면서도, 석쇠상에 육류 등 구이대상을 얹어놓고 숯불로 굽는 숯불구이기구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구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숯불에 의한 직화방식으로 육류를 구워먹는 숯불직화구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숯불 직화구이 방식은 육류의 맛을 좋게 하기 때문에 특히 한국인들에게 선호되어 왔다. 그러나, 숯불 직화구이 방식은 숯불을 가열원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숯불을 준비하는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의 화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숯불을 대신하여 전기에 의한 가열원을 사용하는 다양한 전기구이기구가 제안되어 왔고 현재 일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전기구이기구는 숯불구이기구와 동등한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 대신에 전기에 의한 가열원을 사용하면서도, 석쇠상에 육류 등 구이대상을 얹어놓고 숯불로 굽는 숯불구이기구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구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벽 및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통프레임부재;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한 지점에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결합하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지점에 대향하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한 지점에 설치되는 거치부;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평상태로 배치될 때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는 열선부재; 상기 열선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선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거치부 상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에서 상기 열선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형성된 상기 전선통과공을 통과하는 전선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구이기구는 상기 열선부재 하부에서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하벽 상에 배치되는 물수용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구이기구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외부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어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함 내부에는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함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전원스위치 또는 온도조절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함의 내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의 외부로 유출되는 외부전선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결합하는 경첩부재 및 상기 경첩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열선부재 및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평상태일 때에는 상기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의 말단부가 상기 전선통과공에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직상태로 변화될 때에는 상기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의 말단부는 상기 전선통과공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기구이기구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석쇠 안착부재 및 상기 석쇠 안착부재에 안착되는 석쇠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는 숯불 대신에 전기에 의한 가열원을 사용하면서도, 석쇠상에 육류 등 구이대상을 얹어놓고 숯불로 굽는 숯불구이기구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전기구이기구는 고기를 맛있게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적용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열선부재,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및 거치부의 수평상태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적용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열선부재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가 수평상태일 때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적용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열선부재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들어올렸을 때의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적용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열선부재,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및 거치부의 수평상태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적용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열선부재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가 수평상태일 때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에 적용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열선부재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들어올렸을 때의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10)는 통프레임 부재(100)를 포함한다. 통프레임 부재(10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벽(110) 및 측벽(120)으로 이루어진다. 측벽(120)의 적당한 높이 지점에는 전선통과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통프레임 부재(100)는 도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도 사각형 통 형상 또는 그 밖의 다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선통과공(122)과 대향하는 측벽(120)의 위치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는 거치부(124)가 형성된다. 거치부(124)는 측벽(120)과 분리불가능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에 의하여 측벽(12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일 수도 있다. 거치부(124)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의 말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선통과공(122)보다 높은 측벽(120)의 위치에는 전체에 걸쳐서 또는 부분적으로 걸림턱(12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26)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석쇠 안착부(700)가 안착되는 곳이다.
측벽(120)의 전선통과공(122) 바로 위의 측벽(120) 지점에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가 결합한다.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의 결합 위치는 거치부(124)와 대향하는 위치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는 통프레임 부재(100)의 측벽(120)에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는 예를 들어, 경첩부재(210)와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첩부재(210)는 두 개의 평면 부재가 하나의 힌지축에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경첩부재(210)의 제1 평면부재는 통프레임부재(100)의 측벽(120)에 결합한다. 이때, 그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분리불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는 경첩부재(210)의 제2 평면부재와 결합한다. 이때,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는 경첩부재(210)의 제2 평면부재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열선부재(300) 및 전선(510)을 수용한다.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는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한 측면에 없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전선(510)이 수용되고 전선(510)은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 내부에서 열선부재(300)와 연결된다.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는 경첩부재(210)의 제2 평면부재에 결합하기 때문에 경첩부재(210)의 제1 평면부재에 대하여, 즉 통프레임부재(100)의 측벽(120)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프레임 부재(100)의 측벽(120)은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는 곧 수평상태가 된다.
열선부재(300)는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의 내부에서 전선(510)과 연결되고,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의 개방측 측면에 대항하는 측벽을 관통하여 통프레임 부재(100) 내부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즉, 열선부재(300)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에 의하여 지지되어 그것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통프레임 부재(100)의 중앙에 배치된다. 열선부재(300)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의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열선부재(300)는 도면에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선부재(300)는 통상적으로는 예를 들어 220V의 교류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열선부재(300)는 저항성 발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열선부재(300)는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는 열선부재(300) 아래에서 그것과 결합된다.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와 열선부재(300) 간의 결합은 분리가능하게 또는 분리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는 열선부재(300)와 결합된 후 열선부재(300)로부터 연장되어 그것의 말단부가 거치부(124) 상에 얹혀져서 지지된다. 이로써 열선부재(300)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에서 열선부재(300)를 지지하는 부분은 도면에는 3개의 발에 의하여 열선부재(300)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510)은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에서 열선부재(300)와 연결되고,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220)의 개방된 측면 그리고 통프레임부재(100)의 측벽(120)에 형성된 전선통과공(122)을 통하여 통프레임부재(100) 외부로 유출된다.
전선(510)이 유출되는 통프레임부재(100)의 측벽(120) 외부에는 제어함(500)이 마련된다. 제어함(500) 내부에는 전선(510)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52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520)에는 열선부재(300)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함(500)의 상면에는 전원스위치 및 온도조절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부(530)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부(530)는 제어함(500)의 상면 대신에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530)는 인쇄회로기판(520)과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전선(512)이 인쇄회로기판(520)에 연결되어 제어함(500)의 외부로 유출된다. 외부전선(512)의 말단에는 전원 콘센트에 외부전선(510)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가 마련되어 있다.
열선부재(300) 하부에서 통프레임 부재(100)의 하벽(110) 상에는 물수용통 부재(600)가 배치된다. 물수용통 부재(600)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 열선부재(300)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의 일체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동시킴으로써 통프레임 부재(100)의 중앙으로부터 열선부재(300) 등을 옮긴 후에 통프레임 부재(100)의 하벽(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물수용통 부재(600)를 통프레임 부재(100) 내부에 안치시키는 것은 서랍형으로 물수용통을 배치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물수용량을 많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전기구이기구(10)는 석쇠 안착부재(700) 및 석쇠(800)를 포함한다. 석쇠 안착부재(700)는 통프레임 부재(100)의 측벽(120)에 마련된 걸림턱(126)에 걸려서 지지된다. 석쇠(800)는 석쇠 안착부(700)에 안착된다. 이때, 석쇠(800)는 숯불구이기구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0.4 ~ 1.0 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는 와이어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실석쇠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기구이기구(1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200), 열선부재(300) 및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400)가 일체로 결합된 부재를 들어올린 상태, 즉 수직상태로 하면 물수용통 부재(600)를 통프레임 부재(100)의 하벽(110) 상에 안치시키거나 물수용통 부재(600)를 통프레임 부재(100) 밖으로 빼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 상태로 하여 통프레임 부재(100)의 하벽(110) 및 측벽(120)에 대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프레임 부재(100) 내부에 물수용통 부재(600)를 안치시킨 후에는 열선부재(300) 등이 일체화된 부재를 내려서 수평상태로 한다. 그런 후 제어함(500) 상면에 배치된 전원스위치를 눌러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온도조절스위치를 사용하여 열선부재(220)의 발열량을 조절한다.
그런 후 석쇠(800)에 육류와 같은 구이대상물을 얹어 굽는다. 이때, 물수용통 부재(600)에는 물이 수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물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열선부재(300)의 발열이 물수용통 부재(600)에도 일부 전달되어 물수용통 부재(600)에 수용된 물이 약간씩 증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이 증발하여 형성되는 수증기는 상승하여 석쇠(800) 상에 놓여진 육류에 공급된다. 그러면, 육류는 빨리 마르지 않게 되어 육질을 즐기기에 적당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구이기구(10)는 숯불 대신에 전기에 의한 가열원, 즉 열선부재(300)를 사용하면서도, 숯불로 굽는 효과와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고기를 맛있게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다.
10: 전기구이기구 100: 통프레임 부재
110: 하벽 120: 측벽
122: 전선통과공 124: 거치부
126: 걸림턱 200: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210: 경첩부재 220: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
300: 열선부재 400: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500: 제어함 510: 전선
512: 외부전선 520: 인쇄회로기판
530: 스위치부 600: 물수용통부재
700: 석쇠 안착부재 800: 석쇠
110: 하벽 120: 측벽
122: 전선통과공 124: 거치부
126: 걸림턱 200: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210: 경첩부재 220: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
300: 열선부재 400: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500: 제어함 510: 전선
512: 외부전선 520: 인쇄회로기판
530: 스위치부 600: 물수용통부재
700: 석쇠 안착부재 800: 석쇠
Claims (6)
- 상부는 개방되고 하벽 및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통프레임부재;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한 지점에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결합하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지점에 대향하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의 한 지점에 설치되는 거치부;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평상태로 배치될 때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는 열선부재; 상기 열선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선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거치부 상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열선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에서 상기 열선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형성된 상기 전선통과공을 통과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전기구이기구이고,
상기 전기구이기구는 상기 열선부재 하부에서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하벽 상에 배치되는 물수용통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결합하는 경첩부재 및 상기 경첩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열선부재 및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두 개의 평면부재가 하나의 힌지축에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 구조를 가지는 상기 경첩부재의 제1 평면부재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결합하고, 상기 경첩부재의 제2 평면부재는 상기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구이기구는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에 외부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제어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함 내부에는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함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전원스위치 또는 온도조절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함의 내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의 외부로 유출되는 외부전선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평상태일 때에는 상기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의 말단부가 상기 전선통과공에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열선부재 제1 지지부재가 수직상태로 변화될 때에는 상기 열선부재/전선 수용부재의 말단부는 상기 전선통과공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기구. -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프레임부재의 상기 측벽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기구이기구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석쇠 안착부재 및 상기 석쇠 안착부재에 안착되는 석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696U KR200493276Y1 (ko) | 2019-04-24 | 2019-04-24 | 전기구이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696U KR200493276Y1 (ko) | 2019-04-24 | 2019-04-24 | 전기구이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416U KR20200002416U (ko) | 2020-11-03 |
KR200493276Y1 true KR200493276Y1 (ko) | 2021-03-03 |
Family
ID=7319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696U KR200493276Y1 (ko) | 2019-04-24 | 2019-04-24 | 전기구이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276Y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2078A (ja) * | 1994-08-12 | 1996-02-27 | Kanazawa Kogyo Kk | 電気調理器の安全装置 |
KR200240904Y1 (ko) | 2001-05-17 | 2001-10-15 | 조필휘 | 구이기 |
KR200439317Y1 (ko) | 2006-10-09 | 2008-04-04 | 장봉열 | 원적외선 조리기가 구비된 테이블 |
KR20070036098A (ko) | 2007-02-22 | 2007-04-02 | 서태일 | 석쇠를 이용한 전기구이기 |
KR101043790B1 (ko) | 2008-12-23 | 2011-06-22 | 주식회사 모닝아트 | 구이기 |
KR101902713B1 (ko) | 2017-12-03 | 2018-09-28 | 주식회사 에스티 | 전기그릴 |
-
2019
- 2019-04-24 KR KR2020190001696U patent/KR200493276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416U (ko) | 2020-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03981B1 (ja) | 空気循環式電気ロースター | |
US20150265099A1 (en) | Combination Gas and Charcoal Grill | |
CA2978596A1 (en) | Multipurpose electric cooking grill | |
US20160309963A1 (en) | Lid holding device | |
KR200493276Y1 (ko) | 전기구이기구 | |
US7339137B1 (en) | Electric grilling appliance | |
KR20150098144A (ko) | 찜기용 스팀 공급장치 | |
KR20080032672A (ko) | 매입형 석쇠 승강장치 | |
CN208876207U (zh) | 带有耐热透明门的旋转置物篮架烤肉炉 | |
US20040079353A1 (en) | Roaster with cover | |
KR102233279B1 (ko) |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 |
KR20130000624U (ko) | 휴대용 조리기구 | |
KR20140003166U (ko) | 휴대용 바베큐 회전장치 | |
JP3138866U (ja) | 自動豆乳煮込み器 | |
KR101519722B1 (ko) |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 |
KR102437040B1 (ko) |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 |
KR200242492Y1 (ko) |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 |
CN110916524A (zh) | 一种站立式电烤炉 | |
KR102675944B1 (ko) | 고주파 솔레노이드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온도제어식 전기구이기 | |
JP6084736B1 (ja) | バーベキューグリル及び網焼き器 | |
CN215914208U (zh) | 炸桶组件以及具有该炸桶组件的空气炸锅 | |
US6638028B1 (en) | Stovetop blower apparatus for preventing boil over | |
KR20150130072A (ko) | 유/무선 통합 제어기능을 갖는 꼬치구이기 | |
KR101518421B1 (ko) | 조리용 스팀 공급장치 | |
CN213248344U (zh) | 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