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040B1 -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040B1
KR102437040B1 KR1020210176245A KR20210176245A KR102437040B1 KR 102437040 B1 KR102437040 B1 KR 102437040B1 KR 1020210176245 A KR1020210176245 A KR 1020210176245A KR 20210176245 A KR20210176245 A KR 20210176245A KR 102437040 B1 KR102437040 B1 KR 10243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sided
induction
unit
ind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피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월드 filed Critical (주)피스월드
Priority to KR102021017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040B1/ko
Priority to PCT/KR2022/007965 priority patent/WO20231065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5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내측면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인덕션용 양면팬의 일측면을 가열시키는 제1인덕션유닛; 상기 본체부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내측면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상기 양면팬의 타측면을 가열시키는 제2인덕션유닛;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양면팬에서 조리 중 배출되는 수분과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수거통; 및 상기 제1인덕션유닛 및 상기 제2인덕션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DOUBLE-SIDED INDUCTION RANGE SYSTEM}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팬 및 하부팬과 패킹되는 상부팬으로 이루어지는 양면팬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조리를 위한 가열 장치로서, 전자 렌지, 가스 렌지, 오븐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내 공기의 오염 문제, 실내 온도의 상승 문제 등의 이유로 최근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인덕션 렌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채택한 가열 조리 기구로서, 높은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인덕션 렌지는 산소의 소모가 없고, 폐가스의 배출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인덕션 렌지는 자기장이 미치는 범위가 비교적 협소하여 인덕션 렌지 자체의 상판 바로 위에 전용 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가정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단면 후라이팬 등을 이용하여 생선이나 고기류 등을 굽는 경우, 그 과정에서 냄새나 연기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에 대해, 하부팬과 상부팬이 힌지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닫힘 상태에서 밀폐 결합되는 양면팬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인덕션 렌지의 대중적인 보급에 따라 인덕션용 양면팬이 개발되어 유통 중에 있다.
그러나, 인덕션 렌지의 경우 자기장을 이용한 유도 가열 방식을 갖는 바, 인덕션 렌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용 양면팬을 사용하는 경우, 양면팬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인덕션 렌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인덕션용 양면팬을 사용하는 경우, 조리 대상물에 따라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 조리 조건을 미리 저장하여 조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인덕션 렌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406960000 (2019.10.30)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841110000 (2020.02.26) 인덕션가열용 회전식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 가열시스템 {ROTATABLE COOKING DEVICE FOR INDUCTION HEATING AND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00570000 (2021.01.04)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INDUCTION RANGE HAVING FUNCTION FOR AUTOMATIC DOUBLE SIDE ROAST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덕션용 양면팬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조리 대상물에 따라 인덕션용 양면팬의 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덕션용 양면팬에서 배출되는 수분과 기름을 수거하여 사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조리 대상물에 따라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각 조리 대상물에 따른 레시피를 제공하여 가열 세기 등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내측면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인덕션용 양면팬의 일측면을 가열시키는 제1인덕션유닛; 상기 본체부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내측면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상기 양면팬의 타측면을 가열시키는 제2인덕션유닛;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양면팬에서 조리 중 배출되는 수분과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수거통; 및 상기 제1인덕션유닛 및 상기 제2인덕션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인덕션유닛이 힌지 회동에 의해 연직 상방을 향하면서 상기 제1내측면이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2인덕션유닛은 상기 제2내측면이 상기 제1내측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인덕션유닛과 상기 제2인덕션유닛 사이에는 상기 양면팬이 수용되는 가열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인덕션유닛이 힌지 회동에 의해 상기 제1내측면이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2인덕션유닛은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의 각도가 30도 내지 90도 이내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내측면 및 상기 제2내측면은 자기장투과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양면팬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면팬에는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기름받이부가 삽입되는 직선형개구와, 상기 양면팬이 상기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곡선거치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수거통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인덕션유닛 및 상기 제2인덕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양면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인덕션용 양면팬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 대상물에 따라 인덕션용 양면팬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인덕션용 양면팬에서 배출되는 수분과 기름을 수거하여, 사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대상물에 따라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각 조리 대상물에 따른 레시피를 제공하여 인덕션 렌지의 가열 세기 등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양면팬에서 수분과 기름이 기름수거통으로 수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에서 양면팬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양면팬에서 수분과 기름이 기름수거통으로 수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에서 양면팬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본체부(1000), 제1인덕션유닛(100), 제2인덕션유닛(200), 기름수거통(300),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한 인덕션용 양면팬(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양면팬(2000)은 예를 들어, 하부팬과, 하부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팬과, 하부팬 및 상부팬에 각각 설치되는 손잡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팬과 상부팬의 외측면 각각에는 양면 인덕션 렌지의 유도 가열에 의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IH판(Induction Heating Plate)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면팬(2000)에서 하부팬 및 상부팬의 내측면은 조리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팬은 조리를 위한 가열 과정에서 열기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덮개 역할을 한다. 또한, 특히 뒤집기 어려운 생선 등의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때, 양면팬(2000)을 180도 돌려 상부팬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부팬을 통해 조리 대상물의 윗면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부팬이 하부팬과 밀폐 결합된 상태에서 양면팬(2000)을 가열하면, 그 내부 조리 대상물에서 수분, 기름, 유증기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양면팬(200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하부팬의 단부에는 예를 들어, 하부팬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수분, 기름, 유증기 등은 배출공을 통해 양면팬(20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팬(2000)에는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받이부(2100)가 형성될 수 있다. 양면팬(2000)에서 힌지 회동은 하부팬과 상부팬의 힌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힌지 회동은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양면팬(2000)을 개폐할 때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부(2100)는 힌지 결합되는 위치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케이스(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케이스(1050)는 곡면 등을 포함하는 외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0)에는 각 종 전기 및 전자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는 단 1개의 제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인덕션유닛(100)과 제2인덕션유닛(200)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제1인덕션유닛(100)과 제2인덕션유닛(200)에 대한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모드전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드전환부는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을 대기모드에서 가열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전원버튼을 가압하여, 양면 인덕션 렌지가 On이 되면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은 오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에는 가열을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양면팬(2000)을 가열시킬 수 없다. 한편, 본체부(1000)는 대기모드에서 가열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해 양면팬(2000)이 양면 인덕션 렌지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근접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근접센서부를 통해 양면팬(2000)이 양면 인덕션 렌지에 거치되었다는 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수신되면 양면 인덕션 렌지는 대기모드에서 비로소 가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0)는 입력부(1400), 표시부(1500), 레시피메모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입력부(1400), 표시부(1500), 레시피메모리부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400)는 본체부(1000)의 전면에 터치식 또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원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으로 양면 인덕션 렌지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Up/Down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으로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의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0)는 본체부(10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양면 인덕션 렌지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레시피메모리부는 조리 대상물에 따라 조리 조건, 조리 시퀀스 등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레시피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메모리부는 외부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레시피메모리부는 예를 들어, 계절에 따라 레시피모드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제1인덕션유닛(100)과 제2인덕션유닛(200)에 대한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0)의 상면에는 직선형개구(1100), 곡선거치면(12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직선형개구(1100)는 양면팬(2000)의 기름받이부(2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직선형개구(1100)는 본체부(1000)의 상면에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곡선거치면(1200)은 양면팬(2000)이 본체부(10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양면팬(2000) 내부에서 조리 중 발생하는 수분과 기름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려 배출공을 통해 기름받이부(2100)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부(1000)는 기름수거통(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름수거통(300)은 본체부(1000)의 내부에 수납되며 양면팬(2000)에서 조리 중 배출되는 수분과 기름을 수거할 수 있다. 이런, 기름수거통(300)은 특히, 직선형개구(1100)의 연직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름받이부(2100)로 이동한 수분과 기름은 중력에 의해 기름받이부(2100)에서 수직 낙하하여 기름수거통(300)으로 수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름수거통(300)은 상면이 개구되어 기름받이부(2100)에서 낙하하는 수분과 기름을 수용하고 이를 저장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름수거통(30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부(1000)에서 인입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바닥면은 기름수거통(300)의 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기름수거통(300)의 전면부는 후면부에 비해 수분과 기름을 더 깊이 저장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기름수거통(300)을 인입출하거나, 기름수거통(300)을 세척할 때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체부(1000)의 상면에는 과열감지부(1300)가 형성될 수 있다. 과열감지부(1300)는 곡선거치면(1200)에 일부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과열감지부(1300)는 곡선거치면(1300) 거치되는 양면팬(2000)의 표면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과열감지부(1300)는 양면팬(2000)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되는 과열상한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과열감지부(1300)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값이 과열상한값을 초과하면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가열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는 과열에 따른 화재 등의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인덕션유닛(100)은 본체부(1000)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내측면(110)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인덕션용 양면팬(2000)의 일측면을 가열시킨다. 제1인덕션유닛(100)은 자기장을 이용해 양면팬(2000)의 일측면에 열을 유도시키는 간접적 방식으로 양면팬(2000) 내의 조리 대상물에 대한 일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가열방향은 m1이다. 여기서, 제1인덕션유닛(100)의 제1내측면(110)은 양면팬(2000)의 일측면의 크기(면적)를 전부 포함하는 크기(면적)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1인덕션유닛(100)은 양면팬(2000)의 일측면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시킬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인덕션유닛(100)은 양면팬(2000)의 일측면을 면대면 방식으로 전면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인덕션유닛(100)은 원형코일(120), 코일베이스부(130), 인덕션유닛케이스(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코일은 코일베이스부에 복수 회 동심 형태로 권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는 원형코일이 권취된 코일베이스부를 수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인덕션유닛(100)은 원형코일을 통한 통상적인 유도 가열 방식으로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인덕션유닛(100)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인덕션유닛(100)은 본체부(1000) 중 특히 본체부(10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미리 설정되는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다.
제2인덕션유닛(200)은 본체부(1000)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내측면(210)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양면팬(2000)의 타측면을 가열시킨다. 즉, 제2인덕션유닛(200)은 자기장을 이용해 양면팬(2000)의 타측면에 열을 유도시키는 간접적 방식으로 양면팬(2000) 내의 조리 대상물을 대한 타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가열방향은 m2이다. 여기서, 제2인덕션유닛(200)의 제2내측면(210)은 양면팬(2000)의 타측면의 크기(면적)를 전부 포함하는 크기(면적)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2인덕션유닛(200)은 양면팬(2000)의 타측면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시킬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인덕션유닛(200)은 양면팬(2000)의 타측면을 면대면 방식으로 전면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인덕션유닛(100)과 제2인덕션유닛(20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 크기, 스펙 등을 갖는다. 즉, 제1인덕션유닛(100)과 제2인덕션유닛(200)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 제2인덕션유닛(200) 역시 제1인덕션유닛(100)과 마찬가지로 원형코일(220), 코일베이스부(230), 인덕션유닛케이스(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원형코일 등에 대한 설명은 이미 상술한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인덕션유닛(200)은 제1인덕션유닛(100)과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유도 가열 방식을 갖는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인덕션유닛(200) 역시 제1인덕션유닛(100)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인덕션유닛(200) 역시 본체부(1000) 중 특히 본체부(10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미리 설정되는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내측면(110) 및 제2내측면(210)은 자기장투과판(p)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인덕션유닛(1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자기장투과판(p)을 투과할 수 있다. 자기장투과판(p)은 구체적으로 대리석, 나무, 유리 등의 비자성체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투과판(p)의 외측면은 평탄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자기장투과판(p)은 그 재질에 따라 두께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인덕션유닛(100)이 힌지 회동에 의해 연직 상방을 향하면서 제1내측면(110)이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면, 제2인덕션유닛(200)은 제2내측면(210)이 제1내측면(11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인덕션유닛(100)과 제2인덕션유닛(200) 사이에는 양면팬(2000)이 수용되는 가열홈부(hh)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내측면(110)과 제2내측면(210)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양면팬(2000)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내측면(110)은 양면팬(2000)의 일측면과 미리 설정되는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또한, 제2내측면(210)은 양면팬(2000)의 타측면과 미리 설정되는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또한, 이 때, 양면팬(2000)은 기름받이부(2100)가 직선형개구(1100)에 삽입되고, 곡선거치면(12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가열홈부(hh)에 수용된다. 즉, 양면팬(2000)은 지면과 수직하게 연직 상방으로 가열홈부(hh)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은 양면팬(2000)의 양 측면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인덕션유닛(100)이 힌지 회동에 의해 제1내측면(110)이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면, 제2인덕션유닛(200)은 제1내측면(110)과 제2내측면(210) 사이의 각도(a)가 30도 내지 90도 이내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인덕션유닛(100)은 수평 상태에서 스토퍼 등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인덕션유닛(100)이 수평하게 배치되면, 제1내측면(110)의 상면에 양면팬(2000)의 일측면 예를 들어, 하부팬이 안착되도록 양면팬(200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양면팬(2000)은 기름받이부(2100)가 본체부(10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직선형개구(1100)의 상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제2인덕션유닛(200)은 제2내측면(210)이 제1인덕션유닛(100)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만큼 힌지 회동될 수 있다. 이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조리 대상물이 주로 바닥면을 통해 조리되고, 윗면에는 미열을 제공하면 충분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또한,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양면팬(20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ts)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부(ts)는 양면팬(2000)의 온도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부(ts)는 조리 대상물이 레시피모드에 부합하는 조리 온도에서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도센서부(ts)릍 통해 측정되는 온도는 표시부(1500)를 통해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부(ts)를 통해 입력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1인덕션유닛(100) 및 제2인덕션유닛(200)의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0: 본체부 100: 제1인덕션유닛
200: 제2인덕션유닛 300: 기름수거통
2000: 양면팬
110: 제1내측면 210: 제2내측면
1100: 직선형개구 1200: 곡선거치면
1300: 과열감지부 1400: 입력부
1500: 표시부
2100: 기름받이부

p: 자기장투과판
hh: 가열홈부 a: 각도
d: 이격 거리 ts: 온도센서부

Claims (8)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내측면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인덕션용 양면팬의 일측면을 가열시키는 제1인덕션유닛;
    상기 본체부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내측면을 통해 자기장을 유도하여 상기 양면팬의 타측면을 가열시키는 제2인덕션유닛;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양면팬에서 조리 중 배출되는 수분과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수거통; 및
    상기 제1인덕션유닛 및 상기 제2인덕션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면팬에는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기름받이부가 삽입되는 직선형개구와, 상기 양면팬이 상기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곡선거치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덕션유닛이 힌지 회동에 의해 연직 상방을 향하면서 상기 제1내측면이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2인덕션유닛은 상기 제2내측면이 상기 제1내측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인덕션유닛과 상기 제2인덕션유닛 사이에는 상기 양면팬이 수용되는 가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덕션유닛이 힌지 회동에 의해 상기 제1내측면이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2인덕션유닛은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의 각도가 30도 내지 90도 이내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 및 상기 제2내측면은 자기장투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양면팬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수거통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덕션유닛 및 상기 제2인덕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양면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KR1020210176245A 2021-12-10 2021-12-10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KR10243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45A KR102437040B1 (ko) 2021-12-10 2021-12-10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PCT/KR2022/007965 WO2023106521A1 (ko) 2021-12-10 2022-06-07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45A KR102437040B1 (ko) 2021-12-10 2021-12-10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040B1 true KR102437040B1 (ko) 2022-08-26

Family

ID=831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245A KR102437040B1 (ko) 2021-12-10 2021-12-10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7040B1 (ko)
WO (1) WO20231065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260A (ja) * 2003-04-25 2004-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200414881Y1 (ko) * 2006-02-09 2006-04-25 이예순 양면 동시 고기 구이기
KR20160023346A (ko) * 2014-08-22 2016-03-03 박혜연 토스터 겸용 인덕션
KR101880043B1 (ko) * 2017-04-11 2018-07-19 주식회사 팔 인덕션 방식 고속 구이장치
KR20210063623A (ko) * 2019-11-25 2021-06-02 황상준 다용도 접이식 발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260A (ja) * 2003-04-25 2004-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200414881Y1 (ko) * 2006-02-09 2006-04-25 이예순 양면 동시 고기 구이기
KR20160023346A (ko) * 2014-08-22 2016-03-03 박혜연 토스터 겸용 인덕션
KR101880043B1 (ko) * 2017-04-11 2018-07-19 주식회사 팔 인덕션 방식 고속 구이장치
KR20210063623A (ko) * 2019-11-25 2021-06-02 황상준 다용도 접이식 발열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406960000 (2019.10.30)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841110000 (2020.02.26) 인덕션가열용 회전식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 가열시스템 {ROTATABLE COOKING DEVICE FOR INDUCTION HEATING AND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00570000 (2021.01.04)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INDUCTION RANGE HAVING FUNCTION FOR AUTOMATIC DOUBLE SIDE RO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521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127B1 (en) Cooking device
US10045546B2 (en) Electric food smoker
AU2003205084B2 (en) Roaster
US90274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KR10159063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814331A (zh) 一种多功能烤箱
US11219333B2 (en) Wireless temperature sensin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JP2009066086A (ja) グリル付き加熱調理器
US5543784A (en) Oven occupancy warning apparatus
CN209090958U (zh) 一种多功能烤箱
KR102437040B1 (ko)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US20080142502A1 (en) Food preparation range with built-in cooking pots
CN107920686A (zh) 与烹饪炉箅直接接触的烹饪器具
KR101623975B1 (ko) 조리기기
KR20050079961A (ko) 가스레인지의 자동 소화 장치
JP2009213685A (ja) 加熱調理器
KR101897176B1 (ko) 복합구조를 갖는 인덕션레인지
CN110604463A (zh) 用于运行烹饪设备的方法和烹饪设备
JP6417980B2 (ja) 調理装置
KR200493276Y1 (ko) 전기구이기구
CN209090959U (zh) 多功能烤箱
KR20170141936A (ko) 비등시간조절 및 수분부족경고장치
KR200266749Y1 (ko) 바베큐 가열장치
JP2004242882A (ja) グリル装置
JP2005259626A (ja) 電磁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