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99Y1 - 스크린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크린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99Y1
KR200493099Y1 KR2020160000591U KR20160000591U KR200493099Y1 KR 200493099 Y1 KR200493099 Y1 KR 200493099Y1 KR 2020160000591 U KR2020160000591 U KR 2020160000591U KR 20160000591 U KR20160000591 U KR 20160000591U KR 200493099 Y1 KR200493099 Y1 KR 200493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screen panel
support plate
panel assembly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851U (ko
Inventor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160000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9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린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방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지지철판과, 상기 제1지지철판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1지지철판과 접착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코너 마감재와, 상기 제1지지철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평행되게 이격 배치된 제2지지철판과, 상기 제2지지철판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지지철판과 접착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2코너 마감재를 포함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마감 천의 마감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린 패널 조립체{Pannel Assembly of Screen}
본 고안은 스크린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패널의 단부 마감 부위를 마감 천을 이용하여 천의 끝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도록 하는 한편, 조립성이 향상된 스크린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은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사무실 내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각 부서의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의 업무집중력을 향상하거나 또는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스크린은 '칸막이'라고도 칭한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크린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 스크린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고, 높이 및 두께에 따라 분류되며, 스크린의 높이는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의 경우는 사무실의 협소화에 따라 최근에는 사무실 종사자의 테이블과 테이블 간을 구획하기 위해 스크린을 소형화하여 테이블에 스크린을 고정하는 방식이 애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은 2개의 지지판을 맞대어 중첩시킨 후 자석 등의 자성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결합시켜 2개의 지지판의 벌어짐을 예방하는 한편, 2개의 지지판의 틈새를 마감하기 위한 연질 플라스틱 압출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은 일면 및 타면 전체를 마감 천으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천의 끝 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종래의 스크린의 경우, 2개의 스크린 패널의 일면을 각각 마감 천으로 마감한 후, 마감 천으로 마감된 일면 각각이 양면 외관을 이루도록 결합시킨 다음 양 패널 단부 전체를 압출물로 마감시키거나, 마감 천이 각각 만나는 부분(파팅라인)을 연질의 플라스틱 압출물로 마감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은, 별도의 마감재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한 한편, 별도의 마감재가 시간이 흐를수록 결착력이 저하되어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0434호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434호 (2006.06.26.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면서도, 스크린 패널의 단부 마감 공정이 용이한 스크린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장방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지지철판과, 상기 제1지지철판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1지지철판과 접착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코너 마감재와, 상기 제1지지철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평행되게 이격 배치된 제2지지철판과, 상기 제2지지철판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지지철판과 접착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2코너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압출 마감재 중 어느 하나에는 대향하는 지지철판의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돌출 결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압출 마감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 결합 리브가 억지 끼움되는 억지 끼움 슬릿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코너 마감재 및 상기 제2코너 마감재 중 어느 하나에는 대향하는 지지철판의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후크 형상의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코너 마감재 및 상기 제2코너 마감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는 후크 형상의 제2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철판 및 제2지지철판과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 각각의 외면을 감싸는 제1마감 천 및 제2마감 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결합 리브는, 일면과 타면에 상기 억지 끼움 슬릿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탈거 방향으로의 경사각보다 작은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억지 끼움 슬릿은, 내측면에 상기 돌출 결합 리브의 삽입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탈거 방향으로의 경사각보다 큰 제2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요철부 및 상기 제2요철부는 쐐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의 상호 면접하는 단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철판 및 상기 제2지지철판 사이에 배치되는 심재 플레이트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 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골판 또는 종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 플레이트의 소정의 두께는,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마감 천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재가 결합되고, 이와 같은 마감재에 의하여 간단하게 제1스크린 패널 및 제2스크린 패널이 결합되므로, 마감과 동시에 결합이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둘째, 마감재에 자석 등의 결합 유지 요소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조립 후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가진다.
셋째, 가벼운 심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스크린 패널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제1스크린 패널과 제2스크린 패널 및 심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제1스크린 패널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구성 중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제1압출 마감재 및 제1코너 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제1스크린 패널과 제2스크린 패널 및 심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제1스크린 패널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 패널(10)과 제2스크린 패널(20) 및 제1스크린 패널(10)과 제2스크린 패널(20) 사이에 삽입 수용되는 심재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스크린 패널(10)은, 장방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지지철판(15)과, 제1지지철판(15)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11)와, 제1지지철판(15)과 접착 결합되고,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11)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1코너 마감재(13)를 포함한다. 제1압출 마감재(11)는 제1지지철판(15)의 4변 테두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제2스크린 패널(20)은, 장방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2지지철판(25)과, 제2지지철판(25)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21)와, 제2지지철판(25)과 접착 결합되고,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21)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1코너 마감재(13)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1)는, 제1스크린 패널(10)의 제1지지철판(15)과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스크린 패널(20)의 제1지지철판(15)과 제2압출 마감재(21)의 외면을 감싸는 제1마감 천(17) 및 제2마감 천(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철판(15) 및 제2지지철판(25)은 실질적으로 제1스크린 패널(10) 및 제2스크린 패널(2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는 제1스크린 패널(10) 및 제2스크린 패널(20)의 4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마감 천(17) 및 제2마감 천(27)은, 제1스크린 패널(10) 및 제2스크린 패널(20)의 일측면 전부를 차폐시키되,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의 단부 전부를 감싸는 정도로 제1스크린 패널(10) 및 제2스크린 패널(20)의 단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1스크린 패널(10)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스크린 패널(10)의 각 변을 이루는 4개의 제1압출 마감재(11)와 제1스크린 패널(10)의 각 모서리를 이루는 4개의 제1코너 마감재(13)를 정렬한 후, 제1코너 마감재(13)와 인접하는 제1압출 마감재(11)를 상호 연결 조립한다.
다음으로, 제1지지철판(15)을 제1스크린 패널(10)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제1압출 마감재(11)에 단차지게 형성된 부착단(14,24)에 접착 결합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마감 천(17)을 제1지지철판(15)의 양면 중 제1스크린 패널(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일측면 전부가 차폐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압출 마감재(11)의 단부를 감싸는 정도로 부착 결합시킨다.
한편, 제2스크린 패널(20)의 조립 과정은 제1스크린 패널(10)과 그 조립 과정이 동일한 바 여기서는 제1스크린 패널(10)의 조립 과정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구성 중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제1압출 마감재 및 제1코너 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압출 마감재(11)와 제2압출 마감재(21) 중 어느 하나에는 대향하는 지지철판의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돌출 결합 리브(19)가 형성되고, 제1압출 마감재(11)와 제2압출 마감재(21)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 결합 리브(19)가 억지 끼움되는 억지 끼움 슬릿(29)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결합 리브(19)는, 일면과 타면에 억지 끼움 슬릿(29)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탈거 방향으로의 경사각보다 작은 제1요철부(19a)가 형성되고, 억지 끼움 슬릿(29)은, 내측면에 돌출 결합 리브(19)가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탈거 방향으로 경사각보다 큰 제2요철부(29a)가 형성된다.
돌출 결합 리브(19)가 억지 끼움 슬릿(29)에 끼움될 때에는 제1요철부(19a) 및 제2요철부(29a)의 경사각이 큰 면이 상호 접하면서 끼워지므로 삽입이 용이한 한편, 돌출 결합 리브(19)가 억지 끼움 리브에 일단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제1요철부(19a) 및 제2요철부(29a)가 쐐기 결합되므로 일정한 분리력이 제공되지 않고서는 상호 이탈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제1스크린 패널(10) 및 제2스크린 패널(20)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각 구성요소(제1압출 마감재(11), 제1코너 마감재(13), 제1지지철판(15) 및 제1마감 천(17), 그리고 제2압출 마감재(21), 제2코너 마감재(23), 제2지지철판(25) 및 제2마감 천(27))가 결합이 완료된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 결합 리브(19) 및 억지 끼움 슬릿(29)이 상호 결합시키는 동작으로 하나의 스크린 패널 조립체(1)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압출 마감재(11)는, 도 6a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6)가 형성된 제1마감 본체(18)와, 제1마감 본체(18)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2압출 마감재(21)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전술한 돌출 결합 리브(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공부(16)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소정의 자성을 가진 제1자석 패널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제1중공부(16)의 단부측에는 전술한 제1코너 마감재(13)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마감 본체(18) 중 돌출 결합 리브(19)가 구비된 방향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제2압출 마감재(21)와 면접되는 부위는 제2압출 마감재(21)를 향하여 소정길이 경사진 제1경사면(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압출 마감재(21)는, 도 6b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중공부가 형성된 제2마감 본체(28)와, 제2마감 본체(28)의 일측에 형성되되 돌출 결합 리브(19)가 삽입 안착되도록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전술한 억지 끼움 슬릿(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중공부에도, 미도시 되었으나, 제1자석 패널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자성을 가진 제2자석 패널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제2중공부의 단부측에는 전술한 제2코너 마감재(23)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마감 본체(28) 중 억지 끼움 슬릿(29)이 구비된 방향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제1압출 마감재(11)의 제1경사면(12)과 면접되도록 제1압출 마감재(11)를 향하여 소정길이 경사진 제2경사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12)과 제2경사면(22)은,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가 상호 결합되면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 단부를 감싸도록 마감하는 제1마감 천(17) 및 제2마감 천(27)을 소정의 결착력으로 계속하여 마감시킴과 아울러, 제1자석 패널과 제2자석 패널의 상호 자성에 따라 그 결착력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제1코너 마감재(13) 및 제2코너 마감재(23) 중 어느 하나에는 대향하는 지지철판의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후크 형상의 제1걸림돌기(13b)가 형성되고, 제1코너 마감재(13) 및 제2코너 마감재(23) 중 다른 하나에는 제1걸림돌기(13b)에 걸림되는 후크 형상의 제2걸림돌기(23b)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코너 마감재(13)는,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인접하는 제1압출 마감재(11)의 제1중공부(16)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단부(13c)가 형성된 제1코너마감 본체(13a)와, 제1코너마감 본체(13a)의 일면에 형성되되 제2코너 마감재(23)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전술한 제1걸림돌기(13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코너 마감재(23)는,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인접하는 제2압출 마감재(21)의 제2중공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삽입단부가 형성된 제2코너마감 본체(23a)와, 제2코너마감 본체(23a)의 일면에 형성되되 제1코너 마감재(13)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3b)와 후크 걸림되도록 제1코너 마감재(13)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전술한 제2걸림돌기(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코너 마감재(13)의 제1걸림돌기(13b)와 제2코너 마감재(23)의 제2걸림돌기(23b)는,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가 돌출 결합 리브(19)와 억지 끼움 리브 사이에 삽입 끼움 방식이라는 점과는 상이한 후크 걸림 결합 방식을 채택한 것 외에는 제1코너 마감재(13) 및 제2코너 마감재(23)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필수 구성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지지철판(15) 및 제2지지철판(25)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심재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여기서, 심재 플레이트(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골판 또는 종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심재 플레이트(30)는, 양면에 각각 제1지지철판(15) 및 제2지지철판(25)의 내측면과 면접 부착되도록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얇게 형성된 제1지지철판(15) 및 제2지지철판(25)의 요동을 방지하면서도 중량이 매우 가벼운 바, 전체적인 스크린 패널 조립체(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심재 플레이트(30)의 소정의 두께는,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작은 것으로 설정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압출 마감재(11) 및 제2압출 마감재(21)에 각각 기 부착된 제1지지철판(15) 및 제2지지철판(25)의 내면이 심재 플레이트(30)의 양면에 면착되는 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1)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압출 마감재(11)와 제1지지철판(15)과 제1코너 마감재(13) 및 제1마감 천(17)을 이용하여 제1스크린 패널(10)을 조립함과 동시에, 제2압출 마감재(21)와 제2지지철판(25)과 제2코너 마감재(23) 및 제2마감 천(27)을 이용하여 제2스크린 패널(20)을 조립한다.
다음으로, 제2스크린 패널(20)의 내측이 노출되도록 제2스크린 패널(20)을 거치한 후, 심재 플레이트(30)를 제2스크린 패널(20), 즉 제2지지철판(25)의 내측면과 면 접착시킨다. 이때, 별도의 접착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조립된 제2스크린 패널(20)을 하측에 위치시킨 후, 제1압출 마감재(11)의 돌출 결합 리브(19)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압출 마감재(21)의 억지 끼움 슬릿(29)에 삽입되도록 결합시키면 그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때, 돌출 결합 리브(19) 및 억지 끼움 슬릿(29)은 제1요철부(19a) 및 제2요철부(29a)의 상호 쐐기 결합에 의하여 결합이 완료되므로, 임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제1자석 패널 및 제2자석 패널에 의하여 오랜 기간 벌어짐이 방지되고, 제1경사면(12)과 제2경사면(22)의 견고한 압착에 의하여 제1마감 천(17) 및 제2마감 천(27)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완전히 제거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시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스크린 패널 조립체 10: 제1스크린 패널
11: 제1압출 마감재 12: 제1경사면
13: 제1코너 마감재 14,24: 부착단
15: 제1지지철판 16: 제1중공부
17: 제1마감 천 18: 제1마감 본체
19: 돌출 결합 리브 19a: 제1요철부
20: 제2스크린 패널 21: 제1압출 마감재
22: 제2경사면 23: 제2코너 마감재
25: 제2지지철판 26: 제2중공부
27: 제2마감 천 28: 제1마감 본체
29: 억지 끼움 슬릿 29a: 제2요철부
30: 심재 플레이트

Claims (10)

  1. 장방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지지철판과;
    상기 제1지지철판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1지지철판과 접착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압출 마감재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코너 마감재와;
    상기 제1지지철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평행되게 이격 배치된 제2지지철판과;
    상기 제2지지철판의 4변 테두리 각각에 접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지지철판과 접착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압출 마감재끼리의 인접하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2코너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압출 마감재 중 어느 하나에는 대향하는 지지철판의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돌출 결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압출 마감재와 상기 제2압출 마감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 결합 리브가 억지 끼움되는 억지 끼움 슬릿이 형성된 스크린 패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 마감재 및 상기 제2코너 마감재 중 어느 하나에는 대향하는 지지철판의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후크 형상의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코너 마감재 및 상기 제2코너 마감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는 후크 형상의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크린 패널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철판 및 제2지지철판과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 각각의 외면을 감싸는 제1마감 천 및 제2마감 천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패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 리브는, 일면과 타면에 상기 억지 끼움 슬릿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탈거 방향으로의 경사각보다 작은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억지 끼움 슬릿은, 내측면에 상기 돌출 결합 리브의 삽입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탈거 방향으로의 경사각보다 큰 제2요철부가 형성된 스크린 패널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철부 및 상기 제2요철부는 쐐기 결합되는 스크린 패널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스크린 패널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의 상호 면접하는 단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된 스크린 패널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철판 및 상기 제2지지철판 사이에 배치되는 심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패널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심재 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골판 또는 종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스크린 패널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심재 플레이트의 소정의 두께는, 상기 제1압출 마감재 및 제2압출 마감재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작은 스크린 패널 조립체.
KR2020160000591U 2016-02-02 2016-02-02 스크린 패널 조립체 KR200493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91U KR200493099Y1 (ko) 2016-02-02 2016-02-02 스크린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91U KR200493099Y1 (ko) 2016-02-02 2016-02-02 스크린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51U KR20170002851U (ko) 2017-08-10
KR200493099Y1 true KR200493099Y1 (ko) 2021-02-01

Family

ID=6062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91U KR200493099Y1 (ko) 2016-02-02 2016-02-02 스크린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48U (ko) 2021-08-09 2023-02-16 뷰로맥스 주식회사 스크린 패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86B1 (ko) * 2023-02-01 2023-11-03 (주)선명테크 원터치 체결 구조를 갖는 간편 결합 타입의 슬립형 파티션 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132A (ja) 2006-06-02 2008-01-17 Sekisui Jushi Co Ltd シート張り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574B1 (ko) * 1999-05-19 2003-05-01 이문재 아파트 발코니의 세대칸막이
KR200420434Y1 (ko) 2006-04-14 2006-07-04 (주)라운드파티션 책상용 스크린 파티션 프레임
KR101288383B1 (ko) * 2010-05-04 2013-07-22 뷰로맥스 주식회사 조립식 파티션
KR101429979B1 (ko) * 2012-10-22 2014-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벽체구조
KR20150045279A (ko) * 2013-10-18 2015-04-28 김명우 사무실 파티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무실 파티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132A (ja) 2006-06-02 2008-01-17 Sekisui Jushi Co Ltd シート張り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48U (ko) 2021-08-09 2023-02-16 뷰로맥스 주식회사 스크린 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51U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465B2 (en) Securing member for exterior members and exterior structure
KR20049309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JP6664908B2 (ja) 建築用板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09057777A (ja) コーナー用接合金物及び該コーナー用接合金物を使用したサイディング材の施工方法
KR20170041519A (ko) 파티션 조립체
JP2020029747A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
JP2022136296A (ja) 笠木
JP7119731B2 (ja) 間仕切耐力壁
JP7117621B2 (ja) 格子付きパネル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6037759A (ja) 壁や間仕切りの出隅部の保護構造
KR200279948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JP2012229525A (ja) 建築構造物の壁材に適した複合パネルおよびその複合パネルの取り付け施工方法
KR20049706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KR960000702Y1 (ko) 건축물 실내의 흡음판넬 설치장치
KR200497754Y1 (ko)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KR100660354B1 (ko) 벽면 흡음제 시공을 위한 결합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7089432B2 (ja) 押縁用接続部材および建具
JP2006274756A (ja) 額縁構造戸板
JP2022051947A (ja) 押縁用接続部材および建具
JP6050986B2 (ja) パネル体
JP2988738B2 (ja) ユニット住宅の壁パネル間のジョイント構造
JPS6215398Y2 (ko)
JPH0351461Y2 (ko)
JP2024047781A (ja) 扉体のフレーム構造
JP5835623B2 (ja) 建物の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