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21Y1 -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21Y1
KR200492921Y1 KR2020180002373U KR20180002373U KR200492921Y1 KR 200492921 Y1 KR200492921 Y1 KR 200492921Y1 KR 2020180002373 U KR2020180002373 U KR 2020180002373U KR 20180002373 U KR20180002373 U KR 20180002373U KR 200492921 Y1 KR200492921 Y1 KR 200492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ranch
insertion groove
main line
bran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32U (ko
Inventor
박미란
Original Assignee
일렉트릭솔루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릭솔루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렉트릭솔루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2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2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을 틈새 없이 완전히 감싸면서 압착하듯이 변형되어 결선하는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기초부의 상하 양쪽에 형성된 주선결선부의 주선삽입홈 및 분기선결선부의 분기선삽입홈 가장자리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 삽입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다른 한쪽 단부에 상기 삽입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압축기로 가압하여 압축 시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주선과 상기 분기선을 각각 감싸듯이 변형되면서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기초부의 한쪽에, 상기 주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주선을 감싸는 변형 시 상기 주선삽입홈과 상기 주선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선결선부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1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부의 다른 한쪽에,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분기선을 감싸는 변형 시 상기 분기선삽입홈과 상기 분기선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기선결선부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2보강부가 형성된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BRANCH SLEEVE FOR POWER LINE}
본 고안은 전력선의 주선(본선)과 분기선 또는 장력이 걸리지 않는 점퍼선을 접속 및 결선하는 데 사용하는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로 압축 시 주선과 분기선을 틈새 없이 완전히 감싸면서 압착하듯이 변형됨으로써 결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수분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막아 그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을 위한 송배전 선로를 구성하는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 연결 및 접속부분은 빗물이나 이슬 등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면 부식과 열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접속부분의 단선으로 정전을 유발함은 물론 감전사고의 위험이 평상 시보다 몇 배 이상 높아지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은 이른바 분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결속 및 접속함으로써 수분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막아 그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445호에 배전선로 접속용 분기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선(110) 접속용 제1접속부(101) 및 분기선(120) 접속용 제2접속부(102)를 갖춘 본체(1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기 슬리브(1)는 그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 내에 피복을 제거한 상태의 주선(110)과 분기선(120)을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제1접속부(101) 및 제2접속부(102)의 가장자리 단부가 본체(100)의 대응 부분과 부딪쳐 찌그러지듯이 오므려지면서 서로 맞닿는 부분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를 통해 빗물, 금속성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부식 물질이 스며들어 부식과 접속불량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전기 저항 증가 및 그에 따른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접속부분이 녹아서 주선(110)과 분기선(120)의 단선 및 정전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4785호에 본 고안자가 연구 및 개발한 전력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의 주선(200)을 삽입하기 위한 주선삽입홈(10) 및 전력선의 분기선(300)을 삽입하기 위한 분기선삽입홈(20)의 가장자리 양단부 중 일단부(11)(21)에 그 타단부(12)(22)의 형상과 대응되는 체결홈(13)(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3)(23)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외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외부돌출부(15)(2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3)(23)의 안쪽 가장자리에 상기 외부돌출부(15)(25)보다 길이가 짧은 내부돌출부(16)(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기로 압축 시 상기 타단부(12)(22)는 상기 외부돌출부(15)(25)의 안쪽 면을 따라 상기 체결홈(13)(23)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돌출부(15)(25)는 상기 타단부(12)(22)를 상기 내부돌출부(16)(26) 쪽으로 가압하면서 변형됨으로써 전력선의 주선(200) 및 분기선(300)과 접촉부분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기계적 특성상 주선삽입홈(10) 및 분기선삽입홈(20)에 주선(200) 및 분기선(300)을 각각 삽입한 후 별도의 압축기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주선삽입홈(10)과 분기선삽입홈(20)의 안쪽 부분이 찌그러지듯이 기형적으로 오므려지고, 이로 인해 주선삽입홈(10)과 분기선삽입홈(20) 사이의 기초부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면서 압축 상태가 불량하고, 빗물이나 이슬 등의 수분 또는 이물질이나 부식 물질이 주선(200)과 분기선(300)을 타고 스며들어 부식과 저항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돌출부(15)(25) 및 내부돌출부(16)(26)의 길이와 형상으로 인해 고가인 알루미늄 금속 재료가 많이 들어가고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고안자가 보유하거나 본 고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514785 B1 KR 200272235 Y1 KR 200219458 Y1 KR 200181972 Y1 KR 100821720 B1 KR 101036943 B1 KR 200470445 Y1 KR 1020110064775 A JP 2000030769 A JP 2001326000 A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전력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압축기로 압축 시 전력선의 주선 및 분기선과 접촉부분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확실하고 완벽하게 막아 수분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은 물론 접속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전력선의 주선 및 분기선과 접촉부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을 결선하기 위해 기초부의 상하 양쪽에 주선결선부와 분기선결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선결선부에 주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선결선부에 분기선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 삽입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다른 한쪽 단부에 상기 삽입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압축기로 가압하여 압축 시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주선과 상기 분기선을 각각 감싸듯이 변형되면서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접속 및 결속하며, 상기 기초부의 한쪽에, 상기 주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주선을 감싸는 변형 시 상기 주선삽입홈과 상기 주선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선결선부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1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부의 다른 한쪽에,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분기선을 감싸는 변형 시 상기 분기선삽입홈과 상기 분기선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기선결선부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2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피복을 제거한 상태의 주선 및 분기선을 주선삽입홈 및 분기선삽입홈에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 시 주선삽입홈 및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삽입단부가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 안쪽 면을 따라 안내되어 체결홈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체결홈이 삽입단부를 안쪽으로 가압하면서 틈새 없이 완전히 감싸듯이 변형되기 때문에 전력선의 주선 및 분기선과 접촉부분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확실하고 완벽하게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접속 및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제1보강부에는 상기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가 상기 주선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노치는, 상기 기초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가 주선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한층 더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분기선삽입홈의 안쪽 부분이 찌그러지듯이 기형적으로 오므려지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안쪽 면에 도전성 물질을 각각 도포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주선삽입홈과 주선 및 분기선삽입홈과 분기선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아울러 동과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슬리브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력선 간의 접촉 부분에 전해 부식 현상 및 산화 피막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도전성 물질은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 안에 도포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주선삽입홈과 주선 및 분기선삽입홈과 분기선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그 사이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고안의 실시 태양은, 제1 및 제2보강부가 기초부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압축기로 압축 시 주선삽입홈 및 분기선삽입홈과 기초부를 이어주는 부분의 변형을 막아 주선삽입홈 및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주선과 분기선을 각각 완전하게 감싸면서 압착하듯이 자연스럽게 변형되고, 이로 인해 전력선의 주선 및 분기선과 접촉부분에 틈이 형성(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고 완벽하게 막을 수 있어 압축 및 접속불량은 물론 그 틈새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스며들어 부식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례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일례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을 결선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을 결선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사용하는 "상하", "안쪽 면", "바깥쪽 면", "일단", "타단"과 같은 방향 및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들은 슬리브의 형상 및 구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슬리브의 형상 및 구조를 임의의 특정한 위치 또는 방향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인발성형을 이용하여 일정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전력선의 주선(W1)과 분기선(W2)을 결선하기 위해 기초부(10)의 상하 양쪽에는 주선결선부(20)와 분기선결선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주선결선부(20)에는 주선(W1)의 피복이 제거된 일부분을 삽입 및 접속하기 위한 주선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분기선결선부(30)에는 분기선(W2)의 피복이 제거된 일부분을 삽입 및 접속하기 위한 분기선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부(10)의 한쪽에는 주선삽입홈(2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주선(W1)을 감싸는 변형 시 주선삽입홈(21)과 주선(W1)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선결선부(20)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1보강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10)의 다른 한쪽에는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분기선(W2)을 감싸는 변형 시 분기선삽입홈(31)과 분기선(W2)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기선결선부(30)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2보강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보강부(11)는 주선결선부(20)의 테두리 두께 및 넓이보다 약간 더 두껍고 넓게 기초부(10)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보강부(12)는 분기선결선부(30)의 테두리 두께 및 넓이보다 약간 더 두껍고 넓게 기초부(10)의 다른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보강부(11)에는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22)가 주선(W1)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일부분을 삼각형으로 잘라낸 노치(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는 삽입단부(22)(3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다른 한쪽 단부에는 삽입단부(22)(32)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23)(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별도의 압축기로 가압하여 압축 시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주선(W1)과 분기선(W2)을 각각 감싸듯이 변형되면서 삽입단부(22)(32)가 체결홈(23)(33)에 각각 삽입되어 접속 및 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동 재질로 인발성형함으로써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은 압축에 따른 변형 시 정원(원형)에 가까운 일정한 단면 및 형태를 이루면서 주선(W1)과 분기선(W2)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치(13)는 기초부(10)의 중심부와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22)가 주선(W1)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한층 더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분기선삽입홈(31)의 안쪽 부분이 찌그러지듯이 기형적으로 오므려지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주선삽입홈(21)은 주선(W1)이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고, 분기선삽입홈(31)은 분기선(W2)이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주선삽입홈(21)과 분기선삽입홈(31)은 주선(W1)과 분기선(W2)이 동일한 굵기일 경우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분기선(W2)이 주선(W1)보다 굵기가 가는 경우 주선삽입홈(21)의 내부 폭은 분기선삽입홈(31)의 내부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단부(22)(32)는 압축기로 압축 시와 같은 외부 압력에 의해 체결홈(23)(3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더욱 수월하게 결합 및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아치형, 곡선형이나 다각형 형상 등으로 도드라지게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23)(33)은 삽입단부(22)(32)와 서로 대응하는 아치형, 곡선형이나 다각형 형상 등으로 안으로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삽입단부(22)(32)는 그 끝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거나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대응하는 체결홈(23)(33)은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로 압축 시 삽입단부(22)(32)는 체결홈(23)(33)의 안쪽 면을 따라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체결홈(23)(33)은 삽입단부(22)(32)를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안쪽으로 각각 가압하도록 변형됨으로써 삽입단부(22)(32)가 체결홈(23)(33) 속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틈새는 물론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선삽입홈(21)의 안쪽 면 및 분기선삽입홈(31)의 안쪽 면, 그리고 각각의 체결홈(23)(33)에는 주선(W1) 및 분기선(W2)과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그 사이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이와 더불어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슬리브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력선 간의 접촉 부분에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도전성을 높이며, 전해 부식 현상 및 산화 피막 생성 현상을 방지하도록 방수성(수밀성)을 갖는 동분말, 알루미늄분말 또는 그리스(grease)와 실리콘 카바이드(SiC) 입자 혼합물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주선삽입홈(21)의 단면(곡선) 형상과 동일한 단면(곡선)을 갖는 동판이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물질을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은 주선삽입홈(21)의 안쪽 면 양쪽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 안에 도포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주선삽입홈(21)과 주선(W1)과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그 사이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주선(W1) 및 분기선(W2)을 삽입한 후 전동 유압식 압축기 등으로 압축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달리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삽입단부(22)(32)가 그와 각기 대응하는 체결홈(23)(33)의 안쪽 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삽입되고, 아울러 체결홈(23)(33)의 바깥쪽 부분이 그 각각의 삽입단부(22)(32)를 안쪽으로 가압하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압축 시 찌그러지듯이 기형적으로 오므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보강부(11)(12)가 기초부(10)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압축기로 압축 시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과 기초부(10)를 이어주는 부분의 변형을 막으면서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주선(W1)과 분기선(W2)을 각각 완전하게 감싸듯이 자연스럽게 변형되기 때문에 전력선의 주선(W1) 및 분기선(W2)과 접촉부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기계적 특성으로 인한 압축 및 접속불량은 물론 그 틈새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 등의 스며들어 부식을 일으키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달리 주선결선부(20)와 분기선결선부(30)의 전체적인 면적 감소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안쪽 면에는 동분말, 알루미늄분말 또는 그리스(grease)와 실리콘 카바이드(SiC) 입자 혼합물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그 각각의 단면(곡선) 형상과 동일한 단면(곡선)을 갖는 동판이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물질을 부착함으로써 주선(W1) 및 분기선(W2)과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그 사이로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아 그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도전성을 높이며 접촉 부분에 전해 부식 현상 및 산화 피막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전력선의 주선(W1)과 분기선(W2)을 결선하기 위해 기초부(10)의 상하 양쪽에는 주선결선부(20)와 분기선결선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주선결선부(20)에는 주선(W1)의 피복이 제거된 일부분을 삽입 및 접속하기 위한 주선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분기선결선부(30)에는 분기선(W2)의 피복이 제거된 일부분을 삽입 및 접속하기 위한 분기선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부(10)의 한쪽에는 주선삽입홈(2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주선(W1)을 감싸는 변형 시 주선삽입홈(21)과 주선(W1)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선결선부(20)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1보강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10)의 다른 한쪽에는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분기선(W2)을 감싸는 변형 시 분기선삽입홈(31)과 분기선(W2)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기선결선부(30)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2보강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보강부(11)에는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22)가 주선(W1)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노치(13)가 기초부(10)의 중심부와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보강부(11)는 기초부(10)의 중심부 한쪽에서 주선결선부(20) 쪽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약간 튀어나오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노치(13)의 모양은 상술한 실시 예 1의 일부분을 삼각형으로 잘라낸 노치(13)와 달리 한쪽 부분이 기초부(10)에서 체결홈(33) 쪽을 향해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분기선결선부(30)의 가장자리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작업용 압축기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22)가 주선(W1)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한층 더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분기선결선부(30)에 발생하는 편하중 등의 힘을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분산시켜 분기선삽입홈(31)의 안쪽 부분이 찌그러지듯이 기형적으로 오므려지는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한층 원활하고 안정적인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 2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전력선의 주선(W1)과 분기선(W2)을 결선하기 위해 기초부(10)의 상하 양쪽에는 주선결선부(20)와 분기선결선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주선결선부(20)에는 주선(W1)의 피복이 제거된 일부분을 삽입 및 접속하기 위한 주선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분기선결선부(30)에는 분기선(W2)의 피복이 제거된 일부분을 삽입 및 접속하기 위한 분기선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부(10)의 한쪽에는 주선삽입홈(2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주선(W1)을 감싸는 변형 시 주선삽입홈(21)과 주선(W1)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선결선부(20)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1보강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10)의 다른 한쪽에는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분기선(W2)을 감싸는 변형 시 분기선삽입홈(31)과 분기선(W2)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기선결선부(30)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2보강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보강부(11)에는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22)가 주선(W1)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노치(13)가 기초부(10)의 중심부와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선삽입홈(21) 및 분기선삽입홈(31)의 가장자리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는 삽입단부(22)(3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다른 한쪽 단부에는 삽입단부(22)(32)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23)(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분기선삽입홈(31)의 삽입단부(32)와 체결홈(33)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는 알루미늄 재질로 인발성형하는 과정에서 분기선삽입홈(31)의 삽입단부(32)와 체결홈(33)이 알루미늄 재질의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서로 달라붙거나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 3에 따른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기초부 11: 제1보강부
12: 제2보강부 13: 노치
20: 주선결선부 21: 주선삽입홈
22: 삽입단부 23: 체결홈
30: 분기선결선부 31: 분기선삽입홈
32: 삽입단부 33: 체결홈
W1: 주선 W2: 분기선

Claims (3)

  1. 전력선의 주선과 분기선을 결선하기 위해 기초부의 상하 양쪽에 주선결선부와 분기선결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선결선부에 주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선결선부에 분기선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 삽입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다른 한쪽 단부에 상기 삽입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압축기로 가압하여 압축 시 상기 주선삽입홈 및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주선과 상기 분기선을 각각 감싸듯이 변형되면서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접속 및 결속하는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의 한쪽에, 상기 주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주선을 감싸는 변형 시 상기 주선삽입홈과 상기 주선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선결선부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1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에, 상기 주선결선부의 삽입단부가 상기 주선을 감싸는 가압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노치가, 상기 기초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초부의 다른 한쪽에, 상기 분기선삽입홈의 가장자리 양단부가 상기 분기선을 감싸는 변형 시 상기 분기선삽입홈과 상기 분기선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기선결선부의 테두리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2보강부가 형성된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2373U 2018-05-31 2018-05-31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200492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73U KR200492921Y1 (ko) 2018-05-31 2018-05-31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73U KR200492921Y1 (ko) 2018-05-31 2018-05-31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2U KR20190003032U (ko) 2019-12-10
KR200492921Y1 true KR200492921Y1 (ko) 2021-01-11

Family

ID=6883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73U KR200492921Y1 (ko) 2018-05-31 2018-05-31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88B1 (ko) * 2021-04-02 2021-10-14 김건우 분기슬리브
KR102305639B1 (ko) * 2021-04-19 2021-09-29 (주)대진방재 배전선로 접속용 분기장치
KR102315882B1 (ko) * 2021-04-28 2021-10-20 이원석 개인 이동 수단의 손잡이용 그립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69A (ja) * 1998-07-07 2000-01-28 Fujikura Ltd 圧縮型分岐スリーブ
KR200262010Y1 (ko) 2001-10-10 2002-02-06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t형 분기슬리브
KR101514785B1 (ko) * 2014-06-19 2015-05-06 박미란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370A (ja) * 1994-04-04 1995-10-20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0181972Y1 (ko) 1999-10-25 2000-05-15 한국전력공사 고리형 접속구조를 구비한 분기스리브 카바
JP2001326000A (ja) 2000-05-18 2001-11-22 Asahi Tec Corp 圧縮分岐スリーブ
KR200219458Y1 (ko)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인하선 접속용 분기고리
KR200272235Y1 (ko)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0821720B1 (ko) 2006-07-20 2008-04-15 대한민국상이군경회 전선용 분기 슬리브
KR20110064775A (ko) 2009-12-09 2011-06-15 서광전기통신공사(주) 가공전선의 전선 결선을 위한 복합슬리브
KR101036943B1 (ko) 2010-07-06 2011-05-25 주식회사 승호전기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KR200470445Y1 (ko) 2012-10-15 2013-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69A (ja) * 1998-07-07 2000-01-28 Fujikura Ltd 圧縮型分岐スリーブ
KR200262010Y1 (ko) 2001-10-10 2002-02-06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t형 분기슬리브
KR101514785B1 (ko) * 2014-06-19 2015-05-06 박미란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2U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921Y1 (ko)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101100950B1 (ko) 단자 커넥터 및 단자 커넥터를 구비한 전선
US8425266B2 (en)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connector
JP4996553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US9293838B2 (en) Aluminum cable provided with crimping terminal
KR101516097B1 (ko)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JP5369249B1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電線
US734217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03354B2 (en) Terminal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20090130923A1 (en) Press-clamping terminal for aluminum wire
KR200470445Y1 (ko)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JP5076072B2 (ja) 圧着端子、及びこの圧着端子を用いた圧着構造
CN103579884A (zh) 压接夹具
US7754968B2 (en) Sleeve adapted for a crimping process
JP5030232B2 (ja)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JP5119532B2 (ja)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JP5654161B2 (ja) 電線接続構造体、コネクタ、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圧着用金型
DE102009038092B3 (de) Buchsenkontaktelement
JP5412166B2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構造
JP2012195298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WO2006027239A1 (de) Kontakthülse für litzenanschlüsse
JP6017061B2 (ja) ワイヤハーネス、端子と被覆導線との接続方法、金型
WO2018092585A1 (ja) 圧着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