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43B1 -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43B1
KR101036943B1 KR1020100065040A KR20100065040A KR101036943B1 KR 101036943 B1 KR101036943 B1 KR 101036943B1 KR 1020100065040 A KR1020100065040 A KR 1020100065040A KR 20100065040 A KR20100065040 A KR 20100065040A KR 101036943 B1 KR101036943 B1 KR 10103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revention plate
sleeve
main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호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호전기
Priority to KR102010006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장착형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접속부위를 연결 압착하여 분기시키는 전선 장착형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삽입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 때 상기 전선에 의해 내측으로 꺾여졌다가 탄성력에 의해 삽입된 전선을 물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삽입은 허용하나 삽입된 전선의 이탈은 방지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SLEEVE OF WIRE CONNECTIONG HAVING FIX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접속부위를 연결 압착하여 분기시키는 전선 장착형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삽입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 때 상기 전선에 의해 내측으로 꺾여졌다가 탄성력에 의해 삽입된 전선을 물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삽입은 허용하나 삽입된 전선의 이탈은 방지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의 전선작업시 전선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설치될 수 있어 탈선에 의한 숏트 및 감전과 같은 전기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본선인 알루미늄 전선에는 특고압전선과 특고압전선이 분기선으로 연결되는데, 본선과 분기선은 분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종래 분기 슬리브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4461호에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20-0324461호의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의 상부측은 전력본선이 삽입되는 본선측 장착홈이 형성되고, 하부측은 1차 리드선 및 1차 인하선이 삽입되기 위한 리드측 장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선측 장착홈은 본선이 측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장착홈이 형성되고, 리드측 장착홈은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통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선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본선측 장착홈을 통해 측방에서 본선을 삽입하고, 리드측 장착홈에 1차 리드선 및 1차 인하선을 삽입한 후 분기 슬리브를 압착기(미도시)로 압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분기 슬리브는 작업과정에서 본선 또는 리드선이 이탈될 우려가 있고, 본선의 이탈시 숏트사고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작업과정에서 본선 또는 리드선이 이탈될 우려가 있고, 본선의 이탈시 숏트사고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접속부위를 연결 압착하여 분기시키는 전선 장착형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삽입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 때 상기 전선에 의해 내측으로 꺾여졌다가 탄성력에 의해 삽입된 전선을 물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삽입은 허용하나 삽입된 전선의 이탈은 방지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판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삽입면에 부착된 이탈방지판의 이탈방지톱니가 꺾여지도록 전선을 삽입면을 통하여 삽입홈 및 개방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꺾여진 이탈방지톱니가 탄성력에 의해 삽입홈 및 개방부에 삽입된 전선을 물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홈 및 개방부에 전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기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선과 인하용 분기선을 연결하는 작업과정에서 본선 또는 인하용 분기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이탈방지톱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이탈방지판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1)는 금속재질로서, 그 단면형상이 타원형태이며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본선이 삽입되는 본선 수용부(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인하용 분기선이 삽입되는 인하용 분기선 수용부(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1)의 좌우측 양단부에는 이탈방지판(30a)이 부착된다.
상기 본선 수용부(10)는 본선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직선형태의 통로이며, 측부에는 본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본선의 직경보다 크게 절개되어 상기 본선 수용부(10)와 통하는 개방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하용 분기선 수용부(20)는 좌우측 끝단에 각각 상기 인하용 분기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하용 분기선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인하용 분기선 삽입홈(21)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이탈방지판(30a)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판(30a)은 상기 슬리브(1)의 좌우측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선 및 인하용 분기선의 삽입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1)는 본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11)의 일측에 이탈방지판(30b)이 더 부착된다. 상기 이탈방지판(30b)는 본선이 개방부(11)를 통과하여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판(30a,30b)은 다수개의 톱니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톱니(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이탈방지판(30a,30b) 및 이탈방지톱니(31)는 빗물로 인해 녹이 슬거나 부식을 방지하고, 압착시 전선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선 또는 인하용 분기선을 일측에서 압입하면 상기 이탈방지톱니(31)는 압입되는 본선 또는 인하용 분기선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꺾이게 되고, 상기 본선 또는 인하용 분기선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이탈방지톱니(31)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선 또는 인하용 분기선에 물리게 되어 상기 본선 또는 인하용 분기선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톱니(31)를 통해 상기 삽입된 본선이 연결작업 중 불시에 개방부(11)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인하용 분기선이 연결작업 중 불시에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30a,30b)은 주로 프레싱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판(30a,30b)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슬리브에 부착될 수 있으며, 리벳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를 설치하기 전에 본선의 적당한 지점의 피복을 제거한 후, 인하용 분기선의 끝단부의 피복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후,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이 제거된 본선(100)을 개방부(11)의 측방으로부터 압입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이탈방지톱니(31)가 압입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본선(100)이 일순간 본선 수용부(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본선(100)이 본선 수용부(1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이탈방지톱니(31)는 탄성력에 의해 본선(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잡아주게 됨으로써 불시에 본선(100)이 이탈되어 발생될 수 있는 숏트사고 및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선(100)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인하용 분기선(200)을 인하용 분기선 수용부(20) 내에 삽입하면 상기 이탈방지톱니(31)에 의해 상기 인하용 분기선(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압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를 압착시켜 본선 수용부(10) 및 인하용 분기선 수용부(20)를 오므림으로써 본선(100)과 인하용 분기선(200)이 상기 이탈방지판(30a,30b)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1)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슬리브(1')는 베이스(40)의 양측에 본선(100') 및 인하용 분기선(200')을 수용할 수 있는 본선 수용부(10') 및 인하용 분기선 수용부(2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는 베이스(40)에 이탈방지판(30')이 부착되며, 상기 이탈방지톱니(31)를 통해 삽입되는 본선(100') 및 인하용 분기선(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는 일측 끝단에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5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0)에는 전선(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30")이 더 부착된다.
상기 이탈방지판(30")은 상기 삽입홈(50)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삽입홈(50)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탈방지판(3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톱니(31)를 통해 상기 전선(300)의 삽입은 허용하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 :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10 : 본선 수용부 11 : 개방부
20 : 인하용 분기선 수용부 21 : 인하용 분기선 삽입홈
30a,30b : 이탈방지판 31 : 이탈방지톱니
100 : 본선 200 : 인하용 분기선

Claims (4)

  1.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접속부위를 연결 압착하여 분기시키는 전선 장착형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삽입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 때 상기 전선에 의해 내측으로 꺽여졌다가 탄성력에 의해 삽입된 전선을 물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삽입은 허용하나 삽입된 전선의 이탈은 방지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이 있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의 삽입면에 부착된 이탈방지판의 이탈방지톱니가 꺾여지도록 전선을 삽입면을 통하여 삽입홈 및 개방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꺽여진 이탈방지톱니가 탄성력에 의해 삽입홈 및 개방부에 삽입된 전선을 물어 고정하는 단계;
    상기 삽입홈 및 개방부에 전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기로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KR1020100065040A 2010-07-06 2010-07-06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KR10103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40A KR101036943B1 (ko) 2010-07-06 2010-07-06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40A KR101036943B1 (ko) 2010-07-06 2010-07-06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943B1 true KR101036943B1 (ko) 2011-05-25

Family

ID=4436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040A KR101036943B1 (ko) 2010-07-06 2010-07-06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92A1 (ko) * 2014-06-19 2015-12-23 박미란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1910935B1 (ko) * 2012-06-26 2018-12-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배선 고정장치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102486627B1 (ko) * 2022-08-05 2023-01-10 강곤 저압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018A (ja) * 2000-02-03 2001-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分岐コネクタ
KR20080008613A (ko) * 2006-07-20 2008-01-24 대한민국상이군경회 전선용 분기 슬리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018A (ja) * 2000-02-03 2001-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分岐コネクタ
KR20080008613A (ko) * 2006-07-20 2008-01-24 대한민국상이군경회 전선용 분기 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35B1 (ko) * 2012-06-26 2018-12-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배선 고정장치
WO2015194792A1 (ko) * 2014-06-19 2015-12-23 박미란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102486627B1 (ko) * 2022-08-05 2023-01-10 강곤 저압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4421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KR101036943B1 (ko)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JP5953590B2 (ja) 圧着端子付き電線、および圧着端子を電線に圧着する方法
WO2014038400A1 (ja) 接続構造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US9252519B2 (en) Wire branching connector
JP5592512B2 (ja) 電線分岐用圧縮スリーブ
KR100821720B1 (ko) 전선용 분기 슬리브
US2164021A (en) Ground-wire clamp
KR20210089844A (ko)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KR20130030560A (ko) 저압전선 연결용 내장 클램프 금구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CN207474722U (zh) 一种铰链螺栓紧固的b形线夹
KR101838541B1 (ko) 배전가공 전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120018474A (ko) 다이오드 체결수단이 개선된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
JP7383660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圧着装置
JP4513104B2 (ja) ケーブルの末端処理
CN1294423A (zh) 连接端子及包含所述端子的连接器
JP2013102630A (ja) 引留クランプ
CN208923780U (zh) 一种安装在绝缘子串金具上的防鸟挡板
KR20120115786A (ko) 이탈방지형 이질금속 슬리브
KR101103939B1 (ko) 송전탑 매설지선의 정비 방법 및 그 구조
JP5020108B2 (ja) 耐張クランプ用分岐アダプタ
KR20120005261U (ko) 인렛소켓용 일체형 단자
KR200193156Y1 (ko) 데드 엔드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