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720B1 - 전선용 분기 슬리브 - Google Patents

전선용 분기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720B1
KR100821720B1 KR1020060068078A KR20060068078A KR100821720B1 KR 100821720 B1 KR100821720 B1 KR 100821720B1 KR 1020060068078 A KR1020060068078 A KR 1020060068078A KR 20060068078 A KR20060068078 A KR 20060068078A KR 100821720 B1 KR100821720 B1 KR 10082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sleeve
preventing means
separation preventing
open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613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상이군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상이군경회 filed Critical 대한민국상이군경회
Priority to KR102006006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7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bent configuration, e.g. slotted b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상의 본선과 인하용 분기선을 연결시키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본선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수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인하용 분기선이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하부에 형성된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제1수용부의 개구부에는, 측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입에 의한 상기 본선의 삽입은 허용되나, 삽입된 본선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한 이탈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전선, 분기, 연결, 이탈, 탄성,수용

Description

전선용 분기 슬리브 {divergence sleeve for cable}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제1수용부 3 : 이탈방지수단
4 ; 제2수용부 6 : 가이드홈
20 : 개구부 32 : 절개홈
34 : 탄성부재 36 : 돌출부
38 : 멈춤돌기 62 : 광폭부
64 : 협소부
본 발명은 배전선로상의 본선과 인하용 분기선을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작업시 본선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어 탈선에 의한 숏트 및 감전과 같은 전기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본선인 알루미늄 전선에는 특고압전선과 특고압전선이 분기선으로 연결되는데, 본선과 분기선은 분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종래 분기 슬리브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8529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20-0198529호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분기 슬리브(A')는 본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부(2')가 상부에 형성되고, 인하용 분기선이 삽입되는 제2수용부(3')가 하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제1수용부(2')는 본선이 측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되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수용부(3')는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통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선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하 '활선상태'라 함)에서 제1수용부(2')의 삽입홈을 통해 측방에서 본선을 삽입하고, 제2수용부(3')에 인하용 분기선을 삽입한 후 분기 슬리브(A')를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로 압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분기 슬리브는 작업과정에서 본선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고, 본선의 이탈시 숏트사고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선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주의를 기울여 작업하는 관계로 작업진행속도가 느리고, 본선의 이탈시 선로고장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선의 삽입홈에 소정의 이탈방지수단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본선이 작업도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사고의 위험이 배제된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진행속도가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는,
본선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수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인하용 분기선이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하부에 형성된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제1수용부의 개구부에는, 측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입에 의한 상기 본선의 삽입은 허용되나, 삽입된 본선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한 이탈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은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은 상부측이 개구부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의 경사진 상부측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개구부의 하부에는 이탈방지수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가이드홈은 폭이 넓은 광폭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협소부가 하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은 가이드홈의 광폭부 내벽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교호되게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은 가이드홈의 협소부의 단부에 걸려지는 멈춤돌기가 일단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서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A)는, 본선(100)이 삽입되는 개구부(20)가 형성된 제1수용부(2)가 상부에 형성되고, 인하용 분기선(200)이 삽입되는 제2수용부(4)가 하부에 형성된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2)의 개구부(20)에는, 측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입에 의한 본선(100)의 삽입은 허용되나, 삽입된 본선(100)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소정의 이탈방지수단(3)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전선용 분기 슬리브(A)는 비전도성의 금속재질로써 그 단면형상이 타원형태이며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본선(100)이 삽입되는 제1수용부(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인하용 분기선(200)이 삽입되는 제2수용부(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제1수용부(2)에는 이탈방지수단(3)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제1수용부(2)는 본선(10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직선형태의 통로이며, 측부에는 본선(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본선(100)의 직경보다 크게 절개되어 상기 제1수용부(2)와 통하는 개구부(2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전술한 개구부(20)의 하단에는 이탈방지수단(3)이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6)이 형성된다.
가이드홈(6)은 폭이 넓고 단면이 " U "자 형상인 광폭부(62)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폭부(62)와 통하되 폭이 좁은 슬릿형태의 협소부(64)가 하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탈방지수단(3)은 전술한 제1수용부(2)의 개구부(20)에 설치됨으로써 제1수용부(2) 내에 결합된 본선(100)이 연결작업 중 불시에 개구부(20)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는다.
이탈방지수단(3)은 개구부(20)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금속재질의 박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상부측이 개구부(20)의 내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절곡된 상부측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절개홈(32)이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탄성부재(34)가 자동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4)의 경사도(θ)는 가상의 수직선을 0°로 설정하였을때 대략 15°∼35°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탈방지수단(3)에는 상기 가이드홈(6)의 광폭부(62) 내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의 전면과 후면에 다수개의 돌출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6)는 교호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싱가공에 의해 엠보싱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인 펀칭가공 후 절곡시켜 돌출부(36')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가공법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탈방지수단(3)에는 전술한 가이드홈(6)의 협소부(64)에 끼워져 삽입될때 반대편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일측 단부에 멈춤돌기(38)가 더 형성된다.
멈춤돌기(38)는 주로 프레싱가공에 의해 형성되나 이외에도 펀칭 후 절곡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수단(3)은 돌출부(36,36')의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6)의 협소부(64)에 삽입되는 평판부(37)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분기 슬리브(A)를 설치하기 전에 본선(100)의 적당한 지점의 피복을 제거하여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인하용 분기선(200)의 끝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결합부(220)을 형성해둔다(도 1 참조).
이후,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수용부(2)에 마련된 개구부(20)의 가이드홈(6)에 이탈방지수단(3)을 끼워넣어 결합시키면, 돌출부(36,36')가 가이드홈(6)의 광폭부(62)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이탈방지수단(3)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게 되고, 또한 이탈방지수단(3)을 끼워넣을때 멈춤돌기(38)가 가이드홈(6)의 협소부(64) 끝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과도한 삽입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이때, 이탈방지수단(3)의 탄성부재(34)는 제1수용부(2)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후, 피복이 제거된 본선(100)을 개구부(20)의 측방으로부터 압입하여 밀어넣으면 탄성부재(34)가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일순간 밀려나면서 본선(100)이 제1 수용부(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본선(100)이 제1수용부(2)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부재(34)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본선(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주게 됨으로써 불시에 본선(100)이 이탈되어 발생될 수 있는 숏트사고 및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2수용부(4)에 인하용 분기선(200)을 삽입한 후 압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전선용 분기 슬리브(A)를 압축시켜 제1 및 제2수용부(2,4)를 오므림으로써 본선(100)과 인하용 분기선(200)이 전선용 분기 슬리브(A)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이 인가된 활선상태에서 본선과 인하용 분기선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연결작업 중 본선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기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0)

  1. 본선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수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인하용 분기선이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하부에 형성된 전선용 분기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2)의 개구부(20)에는, 측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입에 의한 상기 본선(100)의 삽입은 허용되나, 삽입된 본선(100)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한 이탈방지수단(3)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상부측이 상기 개구부(20)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의 경사진 상부측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절개홈(32)이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탄성부재(34)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이탈방지수단(3)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이드홈(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6)은 폭이 넓은 광폭부(62)가 상부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협소부(64)가 하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상기 가이드홈(6)의 광폭부(62) 내벽에 밀착되는 돌출부(36,3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6,36')는 상기 이탈방지수단(3)의 전면과 후면에 교호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돌출부(36,36')의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6)의 협소부(64)에 삽입되는 평판부(37)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력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 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상기 가이드홈(6)의 협소부(64)의 단부에 걸려지는 멈춤돌기(38)가 일단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분기 슬리브.
KR1020060068078A 2006-07-20 2006-07-20 전선용 분기 슬리브 KR10082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78A KR100821720B1 (ko) 2006-07-20 2006-07-20 전선용 분기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78A KR100821720B1 (ko) 2006-07-20 2006-07-20 전선용 분기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13A KR20080008613A (ko) 2008-01-24
KR100821720B1 true KR100821720B1 (ko) 2008-04-15

Family

ID=3922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78A KR100821720B1 (ko) 2006-07-20 2006-07-20 전선용 분기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92A1 (ko) * 2014-06-19 2015-12-23 박미란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43B1 (ko) * 2010-07-06 2011-05-25 주식회사 승호전기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277A (ja) * 1994-06-14 1995-12-22 Fujikura Ltd 電線の導体接続構造
KR19990065530A (ko) * 1998-01-14 1999-08-05 엄정욱 동선과 알루미늄선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슬리브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슬리브
JP2000030769A (ja) 1998-07-07 2000-01-28 Fujikura Ltd 圧縮型分岐スリーブ
KR200272235Y1 (ko)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277A (ja) * 1994-06-14 1995-12-22 Fujikura Ltd 電線の導体接続構造
KR19990065530A (ko) * 1998-01-14 1999-08-05 엄정욱 동선과 알루미늄선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슬리브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슬리브
JP2000030769A (ja) 1998-07-07 2000-01-28 Fujikura Ltd 圧縮型分岐スリーブ
KR200272235Y1 (ko)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92A1 (ko) * 2014-06-19 2015-12-23 박미란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13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365B1 (ko) 전기접촉부재
JP6543196B2 (ja) 電気圧着コンタクトデバイス
EP0037758B1 (fr) Appareillage électrique à connexion automatique, notamment connecteur pour conducteurs électriques
CN203721935U (zh) 用于连接导线的连接端子
US4906212A (en) Electrical pin and socket connector
JP7080876B2 (ja) 導体接続端子
JP5166191B2 (ja) 絶縁除去端子
WO2012017802A1 (ja) 圧着端子
US7063561B2 (en) Clamping connector for flexible ribbon cables
KR100821720B1 (ko) 전선용 분기 슬리브
JPS63264880A (ja) 切断・クランプスリーブ接点
AU719953B2 (en) Method of forming electrical connector
GB2177952A (en) Conductor insertion tool
JPH0626150B2 (ja) 電線自動露出コネクタ
JP2009517822A (ja) ガイド手段を備えた電気端子
CN203721910U (zh) 用于连接导线的电连接器
US6183288B1 (en) Resilient device all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be made in a connection terminal
EP3118936A1 (de) Steckverbinder und verformungswerkzeug hierzu
EP0320310B1 (en) High contact pressur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for multi-strand wire
US9252519B2 (en) Wire branching connector
KR20210089844A (ko)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FI91815B (fi) Sähköliitin
DE102005021375B4 (de)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Airbag-Zündsysteme
US10559897B1 (en) Push-in electrical terminal with insulation contact
US8870612B2 (en) Crimpe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