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785B1 -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 Google Patents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785B1
KR101514785B1 KR1020140074875A KR20140074875A KR101514785B1 KR 101514785 B1 KR101514785 B1 KR 101514785B1 KR 1020140074875 A KR1020140074875 A KR 1020140074875A KR 20140074875 A KR20140074875 A KR 20140074875A KR 101514785 B1 KR101514785 B1 KR 10151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roove
branch
mounting groov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환
박미란
Original Assignee
박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란 filed Critical 박미란
Priority to KR102014007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785B1/ko
Priority to PCT/KR2015/005879 priority patent/WO20151947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가 개시된다. 상기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는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과 분기선을 장착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개구된 본선 장착홈과 분기선 장착홈을 갖춘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은 개구된 일측면의 양단부가 상호 면접하여 전력선 및 접지선이 관통 수용되는 관통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양단부 중 일측단부에는 타측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BRANCH SLEEVE FOR POWER AND GROUND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의 전력을 여러 곳으로 분산시켜서 보내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선의 본선과 분기선이 결합되는 전력선 분기슬리브 및 접지선에 유입되는 낙뢰써지를 신속히 땅속으로 도피시켜서 개폐기, 변압기, 피뢰기, 전력설비 제어용 통신설비 등의 주요기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접지선의 본선과 분기선이 결합되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빗물이나 이슬 등의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부식 발생과 열 발생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접속부분 단선으로 정전은 물론 단선괸 전선에 사람이 접촉시에 감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르기 때문에 인명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접지선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땅속에 유입된 빗물이나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부식이 발생하여 저항이 커져서 접지효과가 미흡하여 낙뢰써지 유입시 유입된 낙뢰써지가 신속히 땅속으로 도피되지 못하여 개폐기, 변압기, 피뢰기, 통신설비 등의 주요기기가 소손되어 정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설비 운영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 인명 및 설비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전력선 및 접지선의 절단부위를 상호간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전선 접속부분을 완전히 밀폐하는 여러 형태의 분기슬리브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은 절단하지 않고 본선의 중간부위에 절단된분기선을 상호간 면접 또는 교차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전선 접속부분에 부식방지 기능을 구비한 분기슬리브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전력선 및 접지선의 분기슬리브는 본선과 분기선이 삽입된 후에 압축기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개구된 단부가 타측 단부의 밑으로 파고들면서 타측 단부를 들어 올리거나 또는 타측단부에 막혀 오므려지는 현상에 의하여 틈새가 형성 된다. 이렇게 형성된 틈새는 본선과 분기선과의 접속불량 현상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불순물이 유입되어 각종 부식이 발생된다. 틈새에서 발생된 부식으로 인하여 저항이 증가하여 열이 발생하고 열이 축적되면 접속부위가 녹아서 본선 또는 분기선과의 단선 및 정전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 또는 분기선이 장착홈에 안착되면서 생기는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본선과 분기선이 장착홈에 압착되을때의 접속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 또는 분기선과 장착홈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수분, 불순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 또는 분기선과 장착홈 사이의 부식 발생과 열 발생을 억제하며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단선 및 정전을 방지하고 접속부의 접속저항을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낙뢰써지의 유입시에 유입된 낙뢰써지를 신속히 땅속으로 도피하여 개폐기, 변압기, 피뢰기, 통신설비 등의 주요기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과 분기선을 장착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개구된 본선 장착홈과 분기선 장착홈을 갖춘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은 개구된 일측면의 양단부가 상호 면접하여 전력선 및 접지선이 관통 수용되는 관통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양단부 중 일측단부에는 타측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는 분기슬리브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 양단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도전성물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물질은 상기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 양단의 내측 테두리 를 따라 형성된 홈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타측단부는 곡선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 양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단부의 체결홈은 상기 타측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단부는 상기 체결홈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일측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의 외부 돌출부는 내부 돌출부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는 본선 또는 분기선이 장착홈에 안착되면서 생기는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본선과 분기선이 장착홈에 압착되어 접속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 또는 분기선과 장착홈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수분, 불순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의 본선 또는 분기선과 장착홈 사이의 부식 발생과 열 발생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단선 및 정전 발생을 억제하며, 접지선의 본선 또는 분기선과 장착홈 사이의 부식이 발생하여 접속저항이 커져서 접지효과가 미흡하여 낙뢰써지 유입시 개폐기, 변압기, 피뢰기, 통신설비 등의 주요기기가 소손되어 정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와 전력선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와 전력선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와 전력선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100)는 전력선인 본선(200)의 피복이 제거된 부분(210)이 수용되는 본선 장착홈(10)과 본선 장착홈(10)의 하단에 형성되며 분기선(300)의 피복이 제거된 부분(310)이 수용되는 분기선 장착홈(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10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 또는 동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선 장착홈(10)에는 전력선인 본선이 장착되며 분기선 장착홈(20) 보다 넓은 직경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선(200)은 본선 장착홈(1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본선 장착홈(10)에 안착되며 본선 장착홈(10)의 개구된 일측면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폐쇄됨으로써 관통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선 장착홈(10)의 개구된 일측면 양단부 중 일측단부(11)에는 타측단부(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13)이 마련되어 있다. 타측단부(12)는 외부 압력에 의하여 체결홈(13)의 내측면을 따라 일측단부(11)에 안착됨으로써 관통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선 장착홈(10)의 타측단부(12)에는 예를들면 아치형의 형상이 양각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11)의 체결홈(13)에는 아치형에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3)의 외부 돌출부(15)는 내부 돌출부(16)와 비교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타측단부(12)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분기선 장착홈(20)의 양단에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홈에는 도전성 물질(14)이 도포될 수 있다. 도전성 물질(14)은 본선(200)이 장착홈에 안착되면 본선(200)과 장착홈(10)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워주게 된다.
분기선 장착홈(20)에는 전력선인 분기선(300)이 장착되며 본선 장착홈(10) 보다 좁은 직경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선(300)은 분기선 장착홈(2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분기선 장착홈(20)에 안착되며 분기선 장착홈(20)의 개구된 일측면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폐쇄됨으로써 관통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분기선 장착홈(20)의 개구된 일측면 양단부 중 일측단부(21)에는 타측단부(22)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23)이 마련되어 있다. 타측단부(22)는 외부 압력에 의하여 체결홈(23)의 내측면을 따라 일측단부(21)에 안착됨으로써 관통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분기선 장착홈의 타측단부(22)에는 예를들면 아치형의 형상이 양각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21)의 체결홈(23)에는 아치형에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3)의 외부 돌출부(25)는 내부 돌출부(26)와 비교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타측단부(22)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분기선 장착홈(20)의 양단에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홈에는 도전성 물질(26)이 도포될 수 있다. 도전성 물질(26)은 분기선이 장착홈에 안착되면 분기선(300)과 장착홈(20)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워주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와 전력선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선 장착홈과 분기선 장착홈의 타측단부에는 삼각형 형상이 양각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의 체결홈에는 삼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의 외부 돌출부는 내부 돌출부와 비교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타측단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의 개념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는 본선 장착홈과 분기선 장착홈의 개구된 방향이 상호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배전선로 분기슬리브는 S형, T형, C형 등 다양한 형태의 분기슬리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곡선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 양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의 체결홈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이 음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분기슬리브
10: 본선 장착홈
20: 분기선 장착홈
200: 본선
300: 분기선

Claims (7)

  1. 전력선 및 접지선의 본선과 분기선을 장착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개구된 본선 장착홈과 분기선 장착홈을 갖춘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은 개구된 일측면의 양단부가 상호 면접하여 전력선이 관통 수용되는 관통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양단부 중 일측단부에는 타측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타측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외부 돌출부는 내부 돌출부보다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타측단부가 상기 외부 돌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홈에 안착되고, 상기 외부 돌출부는 상기 타측단부의 안착시 상기 체결홈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타측단부에 대하여 상기 내부 돌출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 양단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도포되는 도전성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물질은 상기 본선 장착홈 및 분기선 장착홈 양단의 내측 테두리 를 따라 형성된 홈에 도포되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단부는 곡선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 양각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는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74875A 2014-06-19 2014-06-19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KR10151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875A KR101514785B1 (ko) 2014-06-19 2014-06-19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PCT/KR2015/005879 WO2015194792A1 (ko) 2014-06-19 2015-06-11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875A KR101514785B1 (ko) 2014-06-19 2014-06-19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785B1 true KR101514785B1 (ko) 2015-05-06

Family

ID=5339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875A KR101514785B1 (ko) 2014-06-19 2014-06-19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4785B1 (ko)
WO (1) WO201519479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102229133B1 (ko) * 2019-10-02 2021-03-18 코스탈 주식회사 나동선 접속용 s형 접지 슬리브 제조방법
KR102255226B1 (ko) 2020-11-24 2021-05-25 (합)동양엔지니어링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2313287B1 (ko) * 2021-04-02 2021-10-14 김건우 분기슬리브
KR102313288B1 (ko) * 2021-04-02 2021-10-14 김건우 분기슬리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972Y1 (ko) * 1999-10-25 2000-05-15 한국전력공사 고리형 접속구조를 구비한 분기스리브 카바
KR200219458Y1 (ko) *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인하선 접속용 분기고리
KR200272235Y1 (ko) *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276546B1 (ko) * 2012-02-29 2013-06-24 박종복 전선 분기 컨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20B1 (ko) * 2006-07-20 2008-04-15 대한민국상이군경회 전선용 분기 슬리브
KR101036943B1 (ko) * 2010-07-06 2011-05-25 주식회사 승호전기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전선 장착형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접속 시공방법
KR200470445Y1 (ko) * 2012-10-15 2013-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 선로 접속용 분기슬리브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972Y1 (ko) * 1999-10-25 2000-05-15 한국전력공사 고리형 접속구조를 구비한 분기스리브 카바
KR200219458Y1 (ko) *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인하선 접속용 분기고리
KR200272235Y1 (ko) *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276546B1 (ko) * 2012-02-29 2013-06-24 박종복 전선 분기 컨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20190003032U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지트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200492921Y1 (ko) * 2018-05-31 2021-01-11 일렉트릭솔루션즈 주식회사 전력선 분기접속용 슬리브
KR102229133B1 (ko) * 2019-10-02 2021-03-18 코스탈 주식회사 나동선 접속용 s형 접지 슬리브 제조방법
KR102255226B1 (ko) 2020-11-24 2021-05-25 (합)동양엔지니어링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2313287B1 (ko) * 2021-04-02 2021-10-14 김건우 분기슬리브
KR102313288B1 (ko) * 2021-04-02 2021-10-14 김건우 분기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792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785B1 (ko)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US7229302B1 (en) Power strip
EP3293839A3 (en) Protection of a surge arrester with a better protection against failure from thermal overload in case of a temporary overvoltage in an electrical grid line
CN104200935B (zh) 防护伞裙及具有该防护伞裙的绝缘子组件
CN203058174U (zh) 线杆防鸟筑巢装置
US9986635B2 (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ith conductive mesh
KR100659023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WO2016029885A3 (zh) "8"字型弹性接触件及使用该接触件的电连接器
EP2280457A3 (de) Überspannungsschutzelement
CN201699254U (zh) 防雷防过压保护插座
US10388438B2 (en) Push on arrester
CN106711720A (zh) 一种配电高压地线接地装置
CN202503194U (zh) 一种用于输电线路悬挂式避雷装置
EP3010091B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208268248U (zh) 一种联轴器过载保护结构
EP4062439A4 (en) CIRCUIT PROTECTIVE DEVICE WITH PTC DEVICE AND BACKUP FUSE
KR200489625Y1 (ko) 접지형 콘센트
EP3963684A4 (en) DISCONNECT DEVICE AND OVERVOLTAGE PROTECTION ASSEMBLY EQUIPPED WITH THE DEVICE
CN104466446A (zh) 地线固定结构及壳体、压缩机及箱胆壳体、设备及冰箱
CN204333305U (zh) 地线固定结构及壳体、压缩机及箱胆壳体、设备及冰箱
CN204835138U (zh) 一种分段式电网输电线结构
CN204537778U (zh) 防闪络并联间隙下招弧角
CN204332551U (zh) 带防雨雪护套的一体化防雷绝缘子和验电接地环
KR101671309B1 (ko)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비일괄 공동접지 장치
Feng et al. Simulation and analysis of lighting invasion wave performance for 35 kV sub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