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287B1 - 분기슬리브 - Google Patents

분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287B1
KR102313287B1 KR1020210043391A KR20210043391A KR102313287B1 KR 102313287 B1 KR102313287 B1 KR 102313287B1 KR 1020210043391 A KR1020210043391 A KR 1020210043391A KR 20210043391 A KR20210043391 A KR 20210043391A KR 102313287 B1 KR102313287 B1 KR 10231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connection
branch
open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1004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분기슬리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본선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접속부와; 복수개의 분기선 중 어느 하나인 제1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2접속부; 및 복수개의 분기선 중 다른 하나인 제2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3접속부를 포함하고, 본선 또는 분기선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와 제3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본선 또는 분기선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기슬리브{DIVERGENCE SLEEVE}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선과 인하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 단상 또는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전선로의 전력선에서 주상변압기의 분기선이 분기되어야 한다. 분기선의 분기가 필요한 경우, 분기슬리브가 널리 이용된다. 통상적인 분기슬리브는, 활선 분기고리를 이용하여 분기선을 전력선에서 분기시키는 형태로 제공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기슬리브에 따르면, 전주 상부의 전력선에 결합된 분기슬리브에는 활선분기고리가 결합되고, 활선분기고리와 컷아웃스위치에는 각각 1차 리드선이 연결된다. 그리고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에는 각각 2차 리드선이 연결되며, 이로써 주상변압기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 단상 또는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기주나 변대주와 같은 전주에 여러 개의 분기슬리브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설치되어야 하는 분기슬리브의 수량이 증가될수록 분기슬리브의 설치 개수 및 설치 개소가 증가됨에 따라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야 하는 분기슬리브의 수량이 증가될수록 배전선로의 전기 저항이 증가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전력 품질 저하 및 시공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선가 분기슬리브의 접속 지범에서 발생되는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개수 및 설치 개소가 감소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분기슬리브는, 본선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접속부와; 복수개의 분기선 중 어느 하나인 제1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2접속부; 및 복수개의 분기선 중 다른 하나인 제2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3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선 또는 상기 분기선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에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도선 사이에 배치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의 반경방향 최외곽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오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오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선 또는 상기 분기선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오목홈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개의 접촉돌기가 상기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오목홈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접촉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접촉돌기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돌기와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돌기와 상기 내측면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분기슬리브는, 본선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접속부와; 복수개의 분기선 중 어느 하나인 제1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2접속부; 및 복수개의 분기선 중 다른 하나인 제2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3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는, 각각 상기 본선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에는, 상기 제1접속부 내부에서 상기 본선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를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제1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에는, 상기 제2접속부 내부에서 상기 제1분기선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제2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접속부에는, 상기 제3접속부 내부에서 상기 제1분기선을 수용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제3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분기슬리브의 상기 제2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 중 상기 제3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구부의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위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가 일체로 연결된 슬리브연결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연결체는,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가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를 각각 개방하는 제1형상체, 또는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가 폐쇄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가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 외측에서 상기 본선과 상기 제1분기선 및 상기 제2분기선을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는 제2형상체로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형상체인 상태인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가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형상체 상태의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될 때, 상기 제2접속부의 단부가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경계 부분인 제1경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접속부의 단부가 제1수용부와 상기 제3수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의 경계 부분인 제2경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는 상기 제2접속부의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3접속부의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계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계부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될 때 상기 제1끼움홈 및 상기 제2끼움홈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1결합돌기 간의 맞물림 및 상기 제2경계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 간의 결합이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2수용부에서 상기 제2접속부와 결합되는 제1분기선과 상기 제1수용부에서 상기 제1접속부와 결합되는 본선 및 상기 제2수용부에서 상기 제3접속부와 결합되는 제2분기선이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경계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경계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1접속부와 함께 상기 본선과 밀착되며 상기 본선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상기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제2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의 상기 제2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1형상체일 때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1접속부보다 상기 제2방향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형상체 상태의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될 때,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2경계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본선과 밀착되며 상기 본선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2경계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3결합돌기, 및 상기 제3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3끼움홈이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2경계부 중 다른 하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선과 마주보는 상기 제1접속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1분기선과 마주보는 제2접속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분기선과 마주보는 제3접속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본선이나 상기 제1분기선 또는 제2분기선을 찍어 누르거나 파고들면서 상기 본선이나 상기 제1분기선 또는 제2분기선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촉돌기와 리드선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각 리드선과 분기슬리브의 접속 지점에서 발생되는 저항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분기슬리브가 설치된 배전선로에서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며 해당 배전선로의 전력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드선과 접촉돌기 간의 결합에 의해 리드선과 분기슬리브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리드선에 대한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분기슬리브로 둘 이상의 분기선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기슬리브의 설치 개수 및 설치 개수가 감소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공사비가 절감되도록 하며, 시공 불량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한편, 전력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선과 분기선들의 배열이 일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본선과 분기선들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분기슬리브의 설치 및 분기선들의 연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의 제1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제2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슬리브에 구비되는 접촉돌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의 제1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제2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슬리브에 구비되는 접촉돌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분기슬리브의 제1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의 제1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제2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100)는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부(100)는, 본선(10) 접속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속부(120)는, 복수개의 분기선 중 어느 하나인 제1분기선(20)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접속부(130)는, 복수개의 분기선 중 다른 하나인 제2분기선(30)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슬리브(100)가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 즉 총 3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기슬리브(100)가 4개 이상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도 있는 등 접속부의 개수를 달리하는 분기슬리브의 다양한 변형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슬리브(100)가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분기슬리브(100)는, 가공케이블 전선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장소에서 알루미늄선과 동선의 압축 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되는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는, 각각 본선(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선(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을 "전후방향"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방향 일측은 "전방"을 의미하며, 제1방향 타측은 "후방"을 의미한다.
제1접속부(100)에는, 제1수용부(110a)와 제1개구부(11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0a)는, 제1접속부(100) 내부에서 본선(1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구부(110b)는, 제1수용부(110a)를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開口)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좌우방향"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2방향 일측은 "좌측"을 의미하며, 제2방향 타측은 "우측"을 의미한다.
즉 제1접속부(100)의 내부에는 본선(10)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0a)가 마련될 수 있고, 제1접속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제1수용부(110a)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개방하는 제1개구부(11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부(120)에는, 제2수용부(120a)와 제2개구부(12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수용부(120a)는, 제2접속부(120) 내부에서 제1분기선(2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구부(120b)는, 제2수용부(120a)를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접속부(120)의 내부에는 제1분기선(20)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120a)가 마련될 수 있고, 제2접속부(120)의 우측 또는 좌측에는 제2수용부(120a)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개방하는 제2개구부(12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3접속부(130)에는, 제3수용부(130a)와 제3개구부(13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3수용부(130a)는, 제3접속부(130) 내부에서 제2분기선(3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개구부(130b)는, 제3수용부(130a)를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3접속부(130)의 내부에는 제2분기선(30)을 수용하는 제3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고, 제3접속부(130)의 우측 또는 좌측에는 제3수용부(130a)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개방하는 제2개구부(12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는,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을 "상하방향"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3방향 일측은 "상측"을 의미하며, 제2방향 타측은 "하측"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부(100)가 제2접속부(120)와 제3접속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접속부(120)가 최상측에 배치되고, 제1접속부(100)가 그 하부에 배치되며, 제3접속부(130)가 최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접속부(120)와 제1접속부(100) 및 제3접속부(130)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1개구부(110b)와 제2개구부(120b) 및 제3개구부(130b) 중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구부의 좌우방향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최상측에 배치된 제2개구부(120b)와 그 하부에 배치된 제1개구부(110b)의 좌우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최하측에 배치된 제3개구부(130b)와 그 상부에 배치된 제1개구부(110b)의 좌우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개구부(120b)는 제2접속부(120)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2수용부(120a)를 우측으로 개방할 수 있고, 제1개구부(110b)는 제1접속부(100)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1수용부(110a)를 좌측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개구부(130b)는, 제3접속부(130)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3수용부(130a)를 우측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는,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슬리브연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분기슬리브(100)는,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슬리브연결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는, 상부에 배치된 "⊃" 형상의 제2접속부(120)와 하부에 배치된 "⊂" 형상의 제1접속부(100)가 연결된 형상, 즉 "S"가 좌우로 반전된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속부(100)와 제3접속부(130)는, 하부에 배치된 "⊃" 형상의 제3접속부(130)와 그 상부에 배치된 "⊂" 형상의 제1접속부(100)가 연결된 형상, 즉 "S"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3개의 접속부를 갖는 슬리브연결체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별물로 마련된 여러 개의 부품을 이용하는 대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슬리브연결체만을 이용하여 3개 이상의 접속부를 갖는 분기슬리브(100)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분기선을 하나의 분기슬리브(100)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리브연결체는, 제1형상체와 제2형상체로 변화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형상체일 때, 슬리브연결체는 제1개구부(110b)와 제2개구부(120b) 및 제3개구부(130b)가 제1수용부(110a)와 제2수용부(120a) 및 제3수용부(130a)를 각각 개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제1형상체 상태인 슬리브연결체가 상하방향으로 압착되어 제2형상체로 변화될 수 있다. 슬리브연결체가 제2형상체로 변화되면, 제1개구부(110b)와 제2개구부(120b) 및 제3개구부(130b)가 폐쇄되며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 외측에서 본선(10)과 제1분기선(20) 및 제2분기선(30)을 각각 개별적으로 감쌀 수 있다.
즉 슬리브연결체가 제2형상체로 변화되면, 제1개구부(110b)가 폐쇄되면서 제1접속부(100)가 본선(10)을 반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며 본선(10)과 접속될 수 있고, 제2개구부(120b)가 폐쇄되면서 제2접속부(120)가 제1분기선(20)을 반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며 제1분기선(20)과 접속될 수 있으며, 제3개구부(130b)가 폐쇄되면서 제3접속부(130)가 제2분기선(30)을 반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며 제2분기선(30)과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제2수용부(120a)와 제1수용부(110a) 및 제3수용부(130a)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제2수용부(120a)에 수용된 제1분기선(20)과 제1수용부(110a)에 수용된 본선(10)과 제3수용부(130a)에 수용된 제2분기선(30)이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와 제3접속부(1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슬리브연결체가 제2형상체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형상체 상태의 슬리브연결체가 상하방향으로 압착되어 제2형상체로 변화될 때, 제2접속부(120)의 단부가 제1경계부(115)에 결합되며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3접속부(130)의 단부가 제2경계부(125)에 결합되며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경계부(115)는, 제1수용부(110a)와 제2수용부(120a)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접속부(100)와 제2접속부(120)의 경계 부분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경계부(125)는, 제1수용부(110a)와 제3수용부(130a)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접속부(100)와 제3접속부(130)의 경계 부분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제2접속부(120)는 제1결합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3접속부(130)는 제2결합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21)는, 제2접속부(120)의 상측 및 좌측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돌기(131)는, 제3접속부(130)의 하측 및 우측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경계부(115)에는 제1끼움홈(116)이 마련될 수 있고, 제2경계부(125)에는 제2끼움홈(12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끼움홈(116)은 제1경계부(115)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끼움홈(116)에는 제1결합돌기(12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끼움홈(126)은 제2경계부(125)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끼움홈(126)에는 제2결합돌기(13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제1개구부(110b) 측에 배치되며, 제1경계부(115)로부터 제2경계부(12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제2경계부(125)와 결합되어 제1개구부(110b)를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0)는, 제1접속부(100)와 함께 본선(10)과 밀착되며 본선(10)을 감쌈으로써, 본선(10)과 접속되며 본선(10)을 제1수용부(110a)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140)는 연결부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돌기(141)는 연결부(140)의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경계부(125)에는 연결부끼움홈(127)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끼움홈(127)은 제2경계부(125)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끼움홈(127)에는 연결부돌기(14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선(10)과 분기선들(20,30)은 복수개의 도선(1)이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선(10)과 분기선들(20,30)에는, 오목홈(2)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2)은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복수개의 도선(1)들 사이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도선(1) 사이마다 오목홈(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2)은,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의 반경방향 최외곽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접촉돌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150)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 모두에 접촉돌기(15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본선(10)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1접속부(110)의 내측면, 제1분기선(20)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2접속부(120)의 내측면, 및 제2분기선(30)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3접속부(130)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돌기(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부(110)에 마련되는 접촉돌기(150)는, 제1접속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본선(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속부(120)에 마련되는 접촉돌기(150)는, 제2접속부(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분기선(2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접속부(130)에 마련되는 접촉돌기(150)는, 제3접속부(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분기선(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접촉돌기(150)는, 각각 오목홈(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오목홈(2)에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오목홈(2)은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의 반경방향 최외곽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접촉돌기(150)는, 제1접속부(110), 제2접속부(130), 또는 제3접속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홈(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촉돌기(150)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2)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오목홈(2)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도선(1)이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형태로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이 형성됨에 따른 결과이다.
이에 대응하여, 접촉돌기(150)는 오목홈(2)의 개수와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개수와 배치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속부(110)에는 본선(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홈(2)에 대응되는 개수의 접촉돌기(150)가 제1접속부(110)의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접촉돌기(150)는, 오목홈(2)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접촉돌기(150)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각각의 접촉돌기(150)는, 각 오목홈(2)에 끼워지며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기슬리브(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접속부(120)가 위치한 슬리브연결체의 상단과 제3접속부(130)가 위치한 슬리브연결체의 하단을 각각 공구로 눌러 슬리브연결체를 상하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연결체가 상하방향으로 압착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끼움홈(116)과 제2끼움홈(126) 및 연결부끼움홈(127)의 폭이 좁아지며 제1결합돌기(121)와 제2결합돌기(131) 및 연결부돌기(141)에 대한 제1경계부(115) 및 제2경계부(125)의 좌우방향 압박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경계부(115)와 제1결합돌기(121) 간의 맞물림 결합과 제2경계부(125)와 제2결합돌기(131) 및 연결부돌기(141) 간의 맞물림 결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됨으로써, 분기슬리브(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분기슬리브(100)가 본선(10) 및 분기선들(20,3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접속부(120)와 제1접속부(100) 및 제3접속부(130)가 제3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이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1분기선(20)과 본선(10) 및 제2분기선(30)이 제3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상기와 같이 본선(10)과 분기선들(20,30)의 배열이 일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본선(10)과 분기선들(20,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제2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본선(10)과 분기선들(20,3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분기슬리브(100)의 설치 및 분기선들(20,30)의 연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하나의 분기슬리브(100)로 둘 이상의 분기선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기슬리브(100)의 설치 개수 및 설치 개수가 감소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공사비가 절감되도록 하며, 시공 불량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한편, 전력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기슬리브(100)와 본선(10) 및 분기선(20,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분기슬리브(100)의 각 접속부에 마련된 각각의 접촉돌기(150)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2)에 끼워지며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돌기(150)가 오목홈(2)에 끼워지며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결합됨에 따라, 접촉돌기(150)와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 만큼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100) 간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100) 간의 접촉 면적이 확장된 만큼,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100)의 접속 지점에서 발생되는 저항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100)는, 분기슬리브(100)가 설치된 배전선로에서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며 해당 배전선로의 전력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접촉돌기(150) 간의 결합에 의해,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100) 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본선(10) 및 분기선들(20,30)에 대한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접촉돌기의 다른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슬리브에 구비되는 접촉돌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접촉돌기(150a)가 연결플레이트(150b)에 설치된 형태로 분기슬리브(100)에 접촉돌기(15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와 제3접속부(13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접촉돌기(150a) 사이에 연결플레이트(150b)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접촉돌기(150a)는 연결플레이트(150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150b)는,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와 제3접속부(13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접촉돌기(150a)는, 연결플레이트(150b)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오목홈(1)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돌기(150a)가 연결플레이트(15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돌기(150a)와 연결플레이트(150b)가 일체로 형성된 부품이 슬리브연결체와 별도로 제작된 후, 슬리브연결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연결플레이트(150b)가 제1접속부(110)나 제2접속부(120)나 제3접속부(130)의 내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제1접속부(110)나 제2접속부(120)나 제3접속부(130)와 접촉돌기(150a)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에서는, 접촉돌기(150a)와 연결플레이트(150b)가 일체로 형성된 부품이 슬리브연결체와 별도로 제작된 후 슬리브연결체에 결합되는 형태로 접촉돌기(150a)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돌기(150a)의 형성이 좀 더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범용으로 제작된 슬리브연결체에 별도로 제작된 접촉돌기(150a) 관련 부품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분기슬리브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재고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분기슬리브의 제2예]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온열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의 제1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제2형상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 도 9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기슬리브에 본선 및 분기선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슬리브(200)는 연결부(140; 도 1 참조)를 구비하는 대신,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와 크기가 다른 제1접속부(210)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접속부(210)는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에 비해 반경방향 크기가 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부(120)와 제1접속부(210) 및 제3접속부(130)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은,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분기슬리브(100; 도 1 참조)와 유사하다.
이러한 제1접속부(210)를 갖는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200)에서, 제1개구부(110b)는 제1수용부(110a)의 제2방향 일측, 예컨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구부(120b) 및 제3개구부(130b)는, 제2수용부(120a) 및 제3수용부(130a)의 제2방향 타측, 예컨대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슬리브연결체가 제1형상체일 때,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는 제1접속부(100)보다 제2방향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상체 상태의 슬리브연결체가 제3방향,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압착되어 제2형상체로 변화될 때, 제1경계부(215)와 상기 제2경계부(225)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접속부(210)는, 제1개구부(110b)를 폐쇄하면서 본선(10)과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부(2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선(10)을 감싸며 본선(10)과 접속될 수 있다.
제1경계부(215)와 제2경계부(225) 중 어느 하나에는 제3결합돌기(228)가 형성될 수 있고, 제1경계부(215)와 제2경계부(225) 중 다른 하나에는 제3끼움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경계부(225)에 제3결합돌기(228)가 형성되고 제1경계부(215)에 제3끼움홈(217)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3결합돌기(228)는, 제2경계부(125)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경계부(115)에는 제3끼움홈(217)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끼움홈(217)에는 제3결합돌기(228)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결합돌기(228)와 제3끼움홈(217) 간의 결합에 의해 제1경계부(215)와 상기 제2경계부(225)가 서로 결합되면서 제1접속부(210)를 통한 본선(10)의 접속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200)에서는 제1접속부(210)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에 비해 큰 크기로 마련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140)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제1접속부(210)의 고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접속부(210)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에 비해 큰 크기로 마련된 구조에서는,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일렬로 배열되지 않고,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서로 밀집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삼각 형상을 이루며 밀집된 형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서로 밀집된 형태로 배열되며 본선(10) 및 분기선들(20,30)에 대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기슬리브(200) 및 이에 고정되어 서로 연결되는 본선 및 분기선들(20,3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기슬리브(200)의 설치 상태 및 분기선들(20,30)의 연결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분기슬리브(200)의 설치 개소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200)는 접촉돌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250)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 모두에 접촉돌기(25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접촉돌기(150)는, 각각 오목홈(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오목홈(2)에 끼워질 수 있다.
분기슬리브(200)와 본선(10) 및 분기선(20,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분기슬리브(200)의 각 접속부에 마련된 각각의 접촉돌기(250)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2)에 끼워지며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돌기(250)가 오목홈(2)에 끼워지며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결합됨에 따라, 접촉돌기(250)와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 만큼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200) 간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200) 간의 접촉 면적이 확장된 만큼,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200)의 접속 지점에서 발생되는 저항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분기슬리브(200)는, 분기슬리브(200)가 설치된 배전선로에서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며 해당 배전선로의 전력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접촉돌기(150) 간의 결합에 의해,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분기슬리브(200) 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본선(10) 및 분기선들(20,30)에 대한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 및 제3접속부(130)가 서로 밀집된 형태로 배열되며 본선(10) 및 분기선들(20,30)에 대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본선(10) 또는 분기선(20,30)과 접촉돌기(150) 간의 결합에 의한 결합력이 더해지므로, 분기슬리브(200) 및 이에 고정되어 서로 연결되는 본선 및 분기선들(20,30)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접촉돌기의 다른 예]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슬리브에 구비되는 스크류돌기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접촉돌기(250a)가 연결플레이트(150b)에 설치된 형태로 분기슬리브(200)에 접촉돌기(25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120)와 제3접속부(13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접촉돌기(250a) 사이에 연결플레이트(250b)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접촉돌기(250a)는 연결플레이트(250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촉돌기(250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접촉돌기(150a; 도 7 참조)와 마찬가지로 연결플레이트(25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돌기(250a)와 연결플레이트(250b)가 일체로 형성된 부품이 슬리브연결체와 별도로 제작된 후, 슬리브연결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돌기(250a)의 형성이 좀 더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 및 재고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 본선
20 : 제1분기선
30 : 제2분기선
100,200 : 분기슬리브
110,210 : 제1접속부
110a : 제1수용부
110b : 제1개구부
115,215 : 제1경계부
116 : 제1끼움홈
217 : 제3끼움홈
120 : 제2접속부
120a : 제2수용부
120b : 제2개구부
121 : 제1결합돌기
125,225 : 제2경계부
126 : 제2끼움홈
127 : 연결부끼움홈
228 : 제3결합돌기
130 : 제3접속부
130a : 제3수용부
130b : 제3개구부
131 : 제2결합돌기
140 : 연결부
141 : 연결부돌기
150,150a,250a : 접촉돌기
150b,250b : 연결플레이트

Claims (6)

  1.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도선이 꽈배기 형상으로 꼬여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본선과 복수개의 분기선을 연결시키는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본선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접속부; 복수개의 분기선 중 어느 하나인 제1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2접속부; 및 복수개의 분기선 중 다른 하나인 제2분기선과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3접속부를 포함하되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본선 또는 상기 분기선과 마주하며 접촉하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접촉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인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에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도선 사이에 배치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의 반경방향 최외곽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오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본선 또는 분기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오목홈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본선 또는 상기 분기선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오목홈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촉돌기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오목홈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분기슬리브이고,
    상기 제1접속부에는, 상기 제1접속부 내부에서 상기 본선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를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제1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접속부에는, 상기 제2접속부 내부에서 상기 제1분기선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제2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접속부에는, 상기 제3접속부 내부에서 상기 제1분기선을 수용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하는 제3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상기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제2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의 상기 제2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 중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구부의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위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가 일체로 연결된 슬리브연결체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연결체는,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가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및 상기 제3수용부를 각각 개방하는 제1형상체, 또는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가 폐쇄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가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 외측에서 상기 본선과 상기 제1분기선 및 상기 제2분기선을 각각 개별적으로 감싸는 제2형상체로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형상체인 상태인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되고,
    상기 제1형상체 상태의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될 때, 상기 제2접속부의 단부가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경계 부분인 제1경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접속부의 단부가 제1수용부와 상기 제3수용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의 경계 부분인 제2경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3접속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속부는 상기 제2접속부의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3접속부의 단부로부터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계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계부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경계부와 제2경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계부와 제2경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제3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될 때 상기 제1끼움홈 및 상기 제2끼움홈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1결합돌기 간의 맞물림 및 상기 제2경계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 간의 결합이 강화되고,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2경계부가 서로 결합되면서 제3끼움홈이 제3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1형상체일 때 상기 제2접속부 및 상기 제3접속부는 상기 제1접속부보다 상기 제2방향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형상체 상태의 상기 슬리브연결체가 상기 제3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제2형상체로 변화될 때, 상기 제1경계부와 상기 제2경계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본선과 밀착되며 상기 본선을 감싸는 분기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43391A 2021-04-02 2021-04-02 분기슬리브 KR10231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91A KR102313287B1 (ko) 2021-04-02 2021-04-02 분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91A KR102313287B1 (ko) 2021-04-02 2021-04-02 분기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287B1 true KR102313287B1 (ko) 2021-10-14

Family

ID=7815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91A KR102313287B1 (ko) 2021-04-02 2021-04-02 분기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2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90Y1 (ko) * 1999-11-02 2000-03-15 양종욱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200272235Y1 (ko) *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150440B1 (ko) * 2012-03-30 2012-06-01 (주)건창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514785B1 (ko) * 2014-06-19 2015-05-06 박미란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90Y1 (ko) * 1999-11-02 2000-03-15 양종욱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200272235Y1 (ko) * 2001-12-18 2002-04-13 박경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150440B1 (ko) * 2012-03-30 2012-06-01 (주)건창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514785B1 (ko) * 2014-06-19 2015-05-06 박미란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2037A1 (ko)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CN1064784C (zh) 连接器模块
KR980012715A (ko) 두 전기 케이블의 신속한 상호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836332A (zh) 具有连接器的接线盒
JP2000516020A (ja) 電気的接続装置
KR20020058056A (ko) 전기플러그-소켓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케이블
US20030161092A1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IE63810B1 (en) A cable connector block in particular for a screened pair cable
KR102313287B1 (ko) 분기슬리브
US682114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rosstalk reduction and control
KR102313288B1 (ko) 분기슬리브
CN109586050A (zh) 一种机械自动化设备的电气线缆连接器
US736183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U2008247297B2 (en) Power outlet
US11336033B2 (en) Socket for shielded connector
KR100789446B1 (ko) 다수의 고체 절연 부하 개폐기간 전기적 접속장치
DK1423889T3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EP1078429A1 (en) Strain relieved leading-in connection for signal cables with twisted wire pairs
KR200490136Y1 (ko) 가공선로와 지중선로의 연결장치
KR20220154197A (ko)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US20030194907A1 (en) Modular receptacle coupler
KR20170029136A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0720980B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CA1146249A (en) Modular wiring systems
CN112366496B (zh) 一种多头线缆及其组装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