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36A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36A
KR20170029136A KR1020150126084A KR20150126084A KR20170029136A KR 20170029136 A KR20170029136 A KR 20170029136A KR 1020150126084 A KR1020150126084 A KR 1020150126084A KR 20150126084 A KR20150126084 A KR 20150126084A KR 20170029136 A KR20170029136 A KR 2017002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main
main bus
ba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일렉
Priority to KR102015012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136A/ko
Publication of KR2017002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Abstract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는, 차단기와 메인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바 키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와 상기 분기 부스바를 결합하기 위한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로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각각, 상기 분기 부스바 위에 배치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 양쪽에 연결되어 아래로 신장하는 보조 지지부, 상기 보조 지지부 위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상기 보조 지지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신장하여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사이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 부스바를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STRUCTURE FOR COMBINING BUS BARS}
본 발명은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 부스바와 메인 부스바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부스바 키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은 공장, 건물, 아파트와 같은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동시에 과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고 부하 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종래의 분전반은 전원측으로부터 전력을 인입하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주 배선용 차단기와, 주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메인 부스바와, 주 배선용 차단기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메인 부스바로부터 전류 경로를 분기하기 위해 상기 메인 부스바와 상기 분기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기 부스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전반은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서로 나사 접속하기 위해서 구멍 가공 및 구멍의 내주 면에 나사 면을 형성하는 소위 탭(TAP) 가공이 필요하고 또한 이러한 가공을 위한 특정설비를 필요로 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대량 생산이 어렵다. 또, 종래의 분전반은 다수의 수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어 비용이 상승한다. 또, 종래의 분전반은 사용, 제조, 또는 현장설치 중 회로 추가 등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메인 부스바 및 분기 부스바의 구멍 가공 및 탭 가공으로 인해 그러한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
최근에는 분기 부스바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분기 부스바가 내장된 부스바 키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스바 키트는 분전반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많은 작업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 인접한 부스바 키트까지 모두 분전반에서 분리해야 하는 등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13-0067213호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부스바 키트를 제안하였고, 특허 제10-1344929호로 특허등록을 받았다.
본 발명은 상기 부스바 키트에서 분기 부스바와 메인 부스바를 더욱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는, 차단기와 메인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바 키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와 상기 분기 부스바를 결합하기 위한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로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각각, 상기 분기 부스바 위에 배치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 양쪽에 연결되어 아래로 신장하는 보조 지지부, 상기 보조 지지부 위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상기 보조 지지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신장하여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사이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 부스바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각각,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지지부는 상기 부스바 키트 내부의 상기 분기 부스바 위에 배치되는 구조체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홈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기 부스바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결합되어 "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메인 부스바가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사이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될 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의 일단면은 상기 메인 지지부의 반대쪽을 바라보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는 부스바 키트 내부에 배치되어 부스바 키트에 힘 또는 압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분기 부스바와 메인 부스바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 의해 부스바 키트가 메인 부스바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어 분전반 등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 고장 등에 의한 일부 부스바 키트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분전반 등의 수리가 간편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키트가 적용된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가 적용된 부스바 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스바 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부스바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분전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키트는 배전반, 저압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키트가 적용된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전반(1)은 제1 차단기(10), 제2 차단기(20), 메인 부스바(main bus bar)(30), 및 부스바 키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기(10), 제2 차단기(20), 메인 부스바(30), 부스바 키트(100)를 포함하는 분전반(1)의 구성 부품들은 외함(미도시) 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외함은 상기 구성부품들이 배치되는 메인 판과 상기 메인 판에 연결되어 상기 구성부품들을 덮는 상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기(10)는 주 배선용 차단기로 하나의 분전반(1)에 한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단기(10)는 전원측 단자부(11), 부하측 단자부(12), 및 차단 스위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측 단자부(11)는 전원측과의 접속을 위한 단자부이고, 부하측 단자부(12)는 부하측과의 접속을 위한 단자부이다. 상기 전원측은 전력 공급부(미도시) 및 전력 인입선(미도시)을 의미할 수 있고, 부하측은 메인 부스바(30) 및 제2 차단기(20)를 의미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3)는 전원측 단자부(11)와 부하측 단자부(12) 간 전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차단기(20)는 분기 배선용 차단기로 하나의 분전반(1)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단기(20)는 전원측과의 접속을 위한 전원측 단자부(21), 부하측과의 접속을 위한 부하측 단자부(22), 및 차단 스위치(2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23)는 전원측 단자부(21)와 부하측 단자부(22) 간 전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차단기(20)는 제1 차단기(10)로부터 전력을 분기하여 부하측으로 인출하는 기능을 한다.
메인 부스바(30)는 제1 차단기(10)의 부하측 단자부(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인 부스바(30)는 전기적 도체로 형성되며, 각각 교류의 상과 중성(N)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메인 부스바(30)는 교류의 R상, S상, 및 T상과 중성(N) 용으로 4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부스바 키트(100)는 메인 부스바(30)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부스바 키트(100)는 메인 부스바(30)와 제2 차단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제2 차단기(20)가 3상 3선용 차단기인 경우 3개의 부스바 키트(100)가 연결될 수 있다.
부스바 키트(100)의 상부면에 각 상을 구분할 수 있는 색상을 갖는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상은 흑색, S상은 적색, T상은 청색, N상은 백색 또는 회색의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가 적용된 부스바 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스바 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2의 부스바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부스바 키트(100)는 절연 케이스(110), 분기 부스바(120), 부스바 커넥터(130), 및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케이스(110)는 전면 몸체(111), 후면 몸체(112) 및 상부 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몸체(111)와 후면 몸체(112)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연 케이스(110)는 그 양측벽에 분기 부스바(120)의 접속부(122)가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판(113)은 전면 몸체(111)와 후면 몸체(112)가 결합된 절연 케이스(110)의 몸체 상단부에 배치되어 그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부 판(117)은 절연 케이스(110)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방식 또는 원터치 방식 등에 의해 탈부착 될 수 있다.
전면 몸체(111)와 후면 몸체(112)는 부스바 커넥터(130)를 지지할 수 있는 커넥터 지지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지지대(115)는 부스바 커넥터(130)의 상부 부재(131)와 하부 부재(133) 사이에 배치되어 부스바 커넥터(130)를 지지할 수 있다. 커넥터 지지대(115)는 부스바 커넥터(130)의 연결 부재(132)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지지대(115)는 전면 몸체(111)와 후면 몸체(112)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면 몸체(111)와 후면 몸체(112)의 결합에 의해 전면 몸체(111)와 후면 몸체(112)의 커넥터 지지대(115)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커넥터 지지대(115)는 스프링(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는 스프링 지지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홈에 제공된 상기 스프링은 상부 부재(131)를 지지함으로써 부스바 커넥터(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면 몸체(111) 및 후면 몸체(112) 중 적어도 하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5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체 지지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 지지대(116)는 전면 몸체(111)에 연결되어 후면 몸체(112)로 신장하거나 후면 몸체(112)에 연결되어 전면 몸체(111)로 신장할 수 있다. 구조체 지지대(116)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50)의 제1 몸체부(151)와 제2 몸체부(152)의 메인 지지부(151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511)에 삽입되어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5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조체 지지대(116)는 볼트(117)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미도시)을 가지며, 볼트(117)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 분기 부스바(120)를 부스바 커넥터(130)에 밀어서 분기 부스바(120)와 부스바 커넥터(130)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분기 부스바(120)는 몸체부(121) 및 접속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1)는 절연 케이스(110)의 한정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휘어진 얇은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속부(122)는 절연 케이스(110)의 양측벽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제2 차단기(도 1의 20 참조)의 전원측 단자부(도 1의 21 참조)에 접속될 수 있다.
부스바 커넥터(130)는 분기 부스바(120)와 메인 부스바(30) 사이에 배치되어 분기 부스바(120)와 메인 부스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부스바 커넥터(130)는 상부 부재(131), 연결 부재(132), 및 하부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131)는 분기 부스바(120) 아래에 배치되어 그 하부면과 접촉하고, 하부 부재(133)는 메인 부스바(30) 위에 배치되어 그 상부면과 접촉한다. 연결 부재(132)는 상부 부재(131) 및 하부 부재(133)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50)는 제1 몸체부(151), 제2 몸체부(152), 제1 연결부(153), 및 제2 연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51)와 제2 몸체부(152)는 제1 연결부(153)와 제2 연결부(15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53)는 제1 몸체부(151)의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와 제2 몸체부(152)의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를 서로 연결하고, 제2 연결부(154)는 제1 몸체부(151)의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와 제2 몸체부(152)의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를 서로 연결한다.
제1 몸체부(151)와 제2 몸체부(152)는 동일한 형상과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대칭이 되도록 마주볼 수 있다. 제1 몸체부(151)와 제2 몸체부(152)는 각각 메인 지지부(1510), 보조 지지부(1521,1522),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 제1 고정부(1551,1552), 제2 고정부(1561,1562), 및 탄성부(1571,157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부(1510)는 판 형상으로 중앙 영역에 관통홀(1511)을 갖는다. 보조 지지부(1521,1522)는 판 형상으로 메인 지지부 (1510) 양쪽에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다. 메인 지지부(1510)와 보조 지지부(1521,1522)는 결합되어 "ㄷ"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지지부(1510)와 보조 지지부(1521,1522)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는 판 형상으로 보조 지지부(1521,1522) 위에 배치된다.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는 보조 지지부(1521,1522)보다 길이가 짧으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에 의해 덮히지 않고 노출되는 보조 지지부(1521,1522)의 상부면 위에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가 배치된다.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는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와 접촉하는 하단에 배치된 홈(1533,1534)을 가질 수 있고,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는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와 접촉하는 부분에 홈(1533,1534)에 삽입되는 돌출부(1543,1544)를 가질 수 있다.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의 돌출부(1543,1544)가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의 홈(1533,153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와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는 보조 지지부(1521,1522)의 상부를 벗어나도록 서로를 향하여 신장할 수 있다.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와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는 결합되어 "ㄴ" 모양 또는 갈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는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의 마주보는 단면이 메인 지지부(1510)의 반대쪽을 바라보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조 지지부(1521,1522) 사이 및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 사이에 메인 부스바(도 1의 30참조)가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 상기 메인 부스바는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 위에 배치되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551,1552)는 보조 지지부(1521,1522)와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를 관통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제2 고정부(1561,1562)는 보조 지지부(1521,1522)와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를 관통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탄성부(1571,1572)는 철사 모양으로,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와 보조 지지부(1521,1522)를 연결한다. 탄성부(1571,1572)는 제1 고정부(1551,1552)에 감겨져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가 보조 지지부(1521,1522)에 고정된 형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가 제1 고정부(1551,1552)를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1531,1532)와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1541,1542)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는 보조 지지부(1521,1522)에 고정된 형태로 메인 부스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는 탄성부(1571,157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50)는 절연 케이스(110)에 힘을 주지 않는 등 영향을 미치지 않고 메인 부스바(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부스바 키트(100)는 용이하게 분전반(1)에 배치될 수 있어 분전반(1)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고, 고장 등에 의한 일부 부스바 키트(10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분전반(1)의 수리가 간편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분전반 10 : 제1 차단기
20 : 제2 차단기 30 : 메인 부스바
100 : 부스바 키트 110 : 절연 케이스
120 : 분기 부스바 130 : 부스바 커넥터
150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151 : 제1 몸체부
152 : 제2 몸체부 153 : 제1 연결부
154 : 제2 연결부

Claims (8)

  1. 차단기와 메인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바 키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와 상기 분기 부스바를 결합하기 위한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로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각각,
    상기 분기 부스바 위에 배치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 양쪽에 연결되어 아래로 신장하는 보조 지지부,
    상기 보조 지지부 위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상기 보조 지지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신장하여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사이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 부스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각각,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는 상기 부스바 키트 내부의 상기 분기 부스바 위에 배치되는 구조체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홈을 갖고,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와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결합되어 "ㄴ"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는 상기 메인 부스바가 상기 제1 메인 부스바 지지부 사이 및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될 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메인 부스바 지지부의 일단면은 상기 메인 지지부의 반대쪽을 바라보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20150126084A 2015-09-07 2015-09-07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170029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84A KR20170029136A (ko) 2015-09-07 2015-09-07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84A KR20170029136A (ko) 2015-09-07 2015-09-07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36A true KR20170029136A (ko) 2017-03-15

Family

ID=5840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84A KR20170029136A (ko) 2015-09-07 2015-09-07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1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77B1 (ko) 2020-04-06 2020-08-28 조규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KR102474225B1 (ko) * 2022-04-04 2022-12-05 주식회사 아이일렉 탈착이 용이한 부스바 결합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77B1 (ko) 2020-04-06 2020-08-28 조규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KR102474225B1 (ko) * 2022-04-04 2022-12-05 주식회사 아이일렉 탈착이 용이한 부스바 결합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3881C (en)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insulative retainers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1024727B1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산업용 분전반
KR101344929B1 (ko) 부스바 키트
WO2008104743A1 (en) Distribution board
KR20170029136A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170136665A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KR101602720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0464646Y1 (ko)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030043839A (ko) 조립식 분전반
JP6540199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アダプタ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2013257B1 (ko) 분전반용 콘센트
KR200445019Y1 (ko) 단자대
US20100330826A1 (en) Speed Wire Device
EP1218994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power circuit breakers
JP2007179862A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KR20170076034A (ko) 차단기용 착탈식 n상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상 차단기
JP2002142314A (ja) 分電盤の接続導体装置
CA2325300C (en) Current transfer arrangement for circuit interrupter
KR20150103453A (ko)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