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09Y1 - 이동형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09Y1
KR200492909Y1 KR2020200001751U KR20200001751U KR200492909Y1 KR 200492909 Y1 KR200492909 Y1 KR 200492909Y1 KR 2020200001751 U KR2020200001751 U KR 2020200001751U KR 20200001751 U KR20200001751 U KR 20200001751U KR 200492909 Y1 KR200492909 Y1 KR 200492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connection
base plat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토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토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토즈
Priority to KR2020200001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가스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타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배기장치{PORTABLE EXHAUST APPARATUS}
본 고안은 이동형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장치는 근로자가 작업하고 있는 작업장 안에 유해한 분진, 가스, 증기 등의 발생원이 존재하고 있을 때, 이것이 실내에 확산되지 않도록 발생원 근처에서 흡입하여 배출하는 환기장치로서, 후드(hood)로 발생원을 흡입하여 덕트(duct)를 통해 옥외로 배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반도체 제조 설비는 반도체 웨이퍼를 다양한 환경과 공정 하에서 처리하고 가공한다. 이와 같은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공정들은 대부분 각종 유독 가스 및 용액 하에서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설비들은 다양하고 열악한 환경 하에서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각종 유해 가스로 인해 설비가 부식되거나 변형되어 설비의 수명이 짧아져,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생산 설비의 유지비용도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배기장치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배출되기 위해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장 내에서 가스 발생원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천장에 연결된 덕트를 분리하여 배기장치의 위치를 이동시켜 재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원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대차가 구비된 이동형 배기장치를 사용하였다.
종래의 이동형 배기장치는 이동 휠을 통해 이동된 후 스토퍼를 사용하여 이동 휠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이동된 위치 상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 방식은 다양한 바닥판의 형태 및 표면에 대응되지 못하여 고정력이 저하되므로, 배기장치의 덕트와 천장에 연결되는 배출관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유해가스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형 배기장치가 설치되는 작업 공간은 대부분 협소하고, 배관이나 방지턱, 설비의 보호커버 등의 간섭으로 이동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작업 공정 및 작업자들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었으며 배기장치의 이동이 어렵거나 협소공간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349932호 (2004.04.29 등록)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협소한 공간 내에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이동형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단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어 가스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타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에 관통 연결되는 잠금핀을 포함하여,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제2 브라켓에 관통시켜 상기 타공홀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브라켓, 상기 제3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브라켓 및 상기 제4 브라켓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밀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고 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연결되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단부와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 프레임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며 공간의 크기에 따라 지지부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체결부 및 흡착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베이스판에 대응하여 고정될 수 있어 활용성 및 고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배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배기장치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부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배출부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배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배기장치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부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프레임부(100), 지지부(300), 배출부(500) 및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배기장치는 반도체 제조 라인의 베이스판(1) 상에 설치되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1)은 제1 면(2) 및 제2 면(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2)은 일반적인 편평한 면이고, 제2 면(3)은 복수개의 타공홀(3a)이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배기장치(10)는 후술할 고정부(700)를 통해 베이스판(1)의 제1 면(2) 또는 제2 면(3)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부(100)가 쓰러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프레임부(100)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3 프레임(130), 제4 프레임(140) 및 연결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베이스판(1)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의 하단부에는 이동부(16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제1 연결구(11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제1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120)의 일단부는 제1 연결구(11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연결구(112)를 힌지축으로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120)은 연결프레임(150)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20)의 타단부는 고정레버(122)가 연결되어, 제3 프레임(130)과 제2 프레임(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레버(122)는 퀵 릴리즈 레버(Quick release lever)로써, 고정레버(122)를 조작함에 따라 제2 프레임(120)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일단부는 제2 프레임(1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연결구(132)가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레임(130)은 제2 프레임(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프레임(12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프레임(130)을 제2 프레임(120)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한 뒤 고정레버(122)를 통해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3 프레임(130)을 제2 프레임(120)으로 원하는 만큼 인입 또는 인출시킨 후 고정레버(122)를 통해 제3 프레임(130)을 가압 고정시켜, 제3 프레임(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4 프레임(1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일단부는 제2 연결구(132)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배출부(500)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4 프레임의 일단부는 제2 연결구(13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제2 연결구(132)를 힌지축으로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3 프레임(130)은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제4 프레임(140)을 매개로 연결된 배출부(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부(50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후에 고정레버(122)에 의해 제3 프레임(130) 길이가 고정되므로 배출부(500)의 위치도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5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프레임(150)의 일단부는 제1 연결구(11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프레임(120) 외면에 연결된 이동부재(1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120)이 제1 연결구(112)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 시, 이동부재(152)가 제2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연결프레임(150)이 제1 연결구(112)를 힌지축으로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15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이동부재(152)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2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부(160)는 축부재(162) 및 이동휠(164)을 포함할 수 있다.
축부재(162)는 제1 프레임(11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부재(162)는 길이방향 중심부가 제1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휠(164)은 제1 프레임(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휠(164)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축부재(16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동휠(164)을 통해 이동형 배기장치(10)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는 고정부(700)를 통해 이동형 배기장치(10)를 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지지부(300)는 연결브라켓(310), 지지부재(320) 및 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310)은 중심부에 제1 프레임(110)이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브라켓(310)은 양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부(31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브라켓(310)은 중심부에 연결된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합부(312)에는 지지부재(320)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3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연결브라켓(3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2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결합부(312)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베이스판(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20)는 결합부(312)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20)는 연결부재(330)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재(320)는 회전함에 따라 제1 프레임(110)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에 대한 지지부재(320)의 각도를 작게 할 경우 지지부재(320)가 펼쳐지는 범위를 좁힐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에 대한 지지부재(320)의 각도를 크게 할 경우에는 지지부재(320)가 펼쳐지는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보다 넓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10)에 대한 지지부재(320)의 각도를 크게 할 경우 지지부재(320)가 펼쳐지는 범위를 넓힐 수 있어 열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20)의 회전 각도를 최대로 하였을 때 600×600mm의 공간에 적용 가능하고, 지지부재(320)의 회전 각도를 최소로 하였을 때 300×300mm의 공간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재(320)는 연결브라켓(31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프레임(110)에 대한 각도와 무관하게 한 쌍의 지지부재(320)는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부재(320) 사이가 벌어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배기장치(10)를 기계설비(미도시) 일측에 설치할 경우, 기계설비의 코너부를 한 쌍의 지지부재(320) 사이에 배치시키고, 한 쌍의 지지부재(320)는 기계설비의 코너부 양측면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즉, 이동형 배기장치(10)는 기계설비 코너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설비들 사이의 협소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간 차지를 최소화하므로 작업자들의 이동이 용이하였다. 설치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지지부재(3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형 배기장치(10)가 협소공간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3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3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33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3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20)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경우, 연결브라켓(310)이 이동됨과 동시에 연결부재(330)가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지지부재(320)의 이동이 제한되어, 지지부재(3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지지부(300)는 연결브라켓(310), 지지부재(320) 및 연결부재(330)의 구성을 포함하여 지지부재(320)가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면적의 공간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배출부(500)는 후드(510), 연결부(520), 신축관(55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드(510)는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곳이 배치되어 유해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후드(510)는 유해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하도록 하단부에 형성된 입구가 넓게 벌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후드(510)의 상단부에는 제1 어댑터(512)가 형성되어, 제1 어댑터(512)를 통해 연결부(52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520)는 후드(510) 및 신축관(55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520)의 하단부에는 후드(510)의 제1 어댑터(512)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신축관(55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20)가 프레임부(100)와 연결됨으로써, 배출부(500)와 프레임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520)는 측면에 제4 프레임(14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4 프레임(140)을 매개로 배출부(500)와 연결된 제3 프레임(130)은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배출부(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520)는 측면에 고정부재(522)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522)에는 호스(136)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호스(136)의 타단부는 차압계(1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520) 및 차압계(134)는 호스(136)를 통해 연통되며, 차압계(134)에서 유해가스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다.
신축관(550)은 연결부(520)를 통해 후드(510)와 결합되어, 후드(510)에서 흡입된 유해가스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신축관(550)은 외측면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관으로써 접히거나 펼쳐 짐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신축관(550)의 하단부에는 제2 어댑터(55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 배출연결구(55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어댑터(552)는 연결부(520)와 연결되고, 제1 배출연결구(554a)는 바닥 또는 벽에 연결된 흡입라인(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출연결구(554a)의 직경은 45mm일 수 있다. 제1 배출연결구(554a)는 흡입라인과 연결됨으로써, 후드(510) 및 신축관(550)을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입라인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 배출연결구(554b)가 제1 배출연결구(554a) 상에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출연결구(554b)의 직경은 50mm으로 형성되며, 제1 배출연결구(554a)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연결구(554b)가 흡입라인과 연결됨으로써 후드(510) 및 신축관(550)을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입라인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및 제2 배출연결구(554a,554b)는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연결구(554b)가 제1 배출연결구(554a) 상에서 분리시킨 뒤, 와이어를 통해 제1 배출연결구(554a) 일측에 매달린 상태로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배출연결구(554b)는 와이어에 의해 분실이 방지되어 보관이 용이하므로, 제1 배출연결구(554a)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즉, 배출부(500)는 흡입라인의 직경에 따라 제1 배출연결구(554a) 및 제2 배출연결구(554b)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500)는 연장관(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560)은 신축관(550)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520) 및 신축관(550)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장관(560)의 하단부에는 제3 어댑터(56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4 어댑터(5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관(560)의 제3 어댑터(562)는 연결부(520)와 연결되고, 연장관(560)의 제4 어댑터(564)는 신축관(550)의 제2 어댑터(5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관(560)은 하나 또는 복수개가 연결부(520) 및 신축관(550) 사이에 배치되므로 배출부(500)의 전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출연결구(554b)는 신축관(55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출연결구(554b)의 상단부는 바닥 또는 벽에 연결된 흡입라인(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배출부(500)는 후드(510), 연장관(560), 신축관(550) 및 배출연결구(554a,554b)를 포함하여, 후드(510)를 통해 유해가스를 흡입한 뒤 연장관(560) 및 신축관(550)을 통과시키고, 신축관(550)의 상단에 연결된 흡입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배출부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후드(510)의 제1 어댑터(512)에는 연결홈(514) 및 연통홀(516)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520)에는 고정부재(522) 및 결합부재(524)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댑터(5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홈(514)은 제1 어댑터(512)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홈(514)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부는 제1 어댑터(512)의 상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통홀(516)은 제1 어댑터(512)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제1 어댑터(512)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연통홀(516)은 연결홈(5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홈(514) 및 연통홀(516)은 각각 4개씩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홈(514) 및 연통홀(516)이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20)는 측면에 전술한 고정부재(522)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522)는 연결부(520)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다. 결합부재(524)는 연결부(52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524)는 축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부재(524)의 일단부가 연결부(520) 내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어댑터(512) 및 연결부(520)를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부재(524)를 연결홈(514)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홈(514)의 일단부는 제1 어댑터(512)의 상부면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므로, 결합부재(524)가 제1 어댑터(512) 상부면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연결홈(5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통홀(516)은 고정부재(522)와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결합부재(524)가 연결홈(5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어댑터(512) 및 연결부(520)를 상호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댑터(512) 및 연결부(520)를 상호 회전시킬 경우, 결합부재(524)가 연결홈(514)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524)는 연결홈(514)의 폐쇄된 단부까지 이동하여 제1 어댑터(512) 및 연결부(52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제1 어댑터(512) 및 연결부(520)의 고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연통홀(516)의 위치는 고정부재(522)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어 연통홀(516) 및 고정부재(522)는 연통될 수 있다. 즉, 후드(510)의 내부 공간은 연통홀(516) 및 고정부재(522)를 통해 차압계(134)와 연통될 수 있어, 차압계(134)에서 유해가스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어댑터(512) 및 연결부(520)는 연결홈(514) 및 결합부재(524)를 통해 슬라이드 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이 완료된 경우에는 연통홀(516) 및 고정부재(522)의 위치가 일치되므로 차압계(134)에서 후드(510) 내 유해가스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700)는 체결부(710) 및 흡착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10) 및 흡착부(730)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710)는 베이스판(1)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부(100)가 쓰러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체결부(710)는 제1 브라켓(711), 제2 브라켓(712) 및 잠금핀(7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710)는 프레임부(100)가 베이스판(1)의 제2 면(3)상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제2 면(3)의 타공홀(3a)과 체결됨으로써 프레임부(100)를 베이스판(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브라켓(711)은 양단부가 일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711)의 일측면은 제1 프레임(110)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711) 및 제1 프레임(110)은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브라켓(712)은 양단부가 일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712)의 일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에는 잠금핀(713)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브라켓(712)의 일단부는 제1 브라켓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제2 브라켓(712)의 자유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잠금핀(713)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하단 외측면에는 잠금핀(713)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재(71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버튼부재(715)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고리부재(716)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재(714)는 볼 형상으로, 일반적으로 잠금핀(713)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나, 버튼부재(715)를 가압할 경우 잠금핀(713)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잠금핀(713)은 제2 브라켓(712)을 관통하여 베이스판(1)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710)가 베이스판(1)의 제2 면(3) 상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잠금핀(713)을 제2 면(3)의 타공홀(3a)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712)을 회전시켜 베이스판(1)과 평행하게 배치시킨 후, 잠금핀(713)을 관통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버튼부재(715)를 눌러 돌기부재(714)를 잠금핀(713) 내부로 인입시켜, 잠금핀(713)이 타공홀(3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후 버튼부재(715)에 외력을 제거할 경우 돌기부재(714)가 다시 돌출되어 잠금핀(713)이 베이스판(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체결부(710)와 베이스판(1)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버튼부재(715)를 눌러 돌기부재(714)를 잠금핀(713) 내로 인입시킨 후, 고리부재(716)를 당김으로써 잠금핀(713)을 타공홀(3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후 제2 브라켓(71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베이스판(1)과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체결부(710)는 제1 브라켓(711), 제2 브라켓(712) 및 잠금핀(713)의 구성을 포함하여, 제2 브라켓(712)의 관통홀 및 제2 면(3)의 타공홀(3a)에 잠금핀(713)을 체결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0)를 베이스판(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흡착부(730)는 제3 브라켓(731), 제4 브라켓(732) 및 흡착패드(7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착부(730)는 프레임부(100)가 베이스판(1)의 제1 면(2)상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제1 면(2)의 상부면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부(100)를 베이스판(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브라켓(731)은 양단부가 일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731)의 일측면은 제1 프레임(110)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라켓(731) 및 제1 프레임(110)은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브라켓(731)은 체결부(710)의 제1 브라켓(711)과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브라켓(732)은 양단부가 일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브라켓(732)의 일단부는 제3 브라켓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제4 브라켓(732)의 타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흡착패드(733)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은 제4 브라켓(732)에 고정될 수 있고, 하부면은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될 경우 진공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패드(733)의 상부면 중심에는 레버(734)가 결합되어 있어, 흡착패드(733)를 대상물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레버(734)를 조작함으로써 흡착패드(733) 및 대상물 사이에 진공을 형성시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부(730)가 베이스판(1)의 제1 면(2) 상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흡착패드(733)를 제1 면(2)의 상면에 진공 흡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브라켓(732)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흡착부(730)를 제1 면(2)에 밀착시킨 뒤, 레버(734)를 조작함으로써 흡착패드(733)를 제1 면(2)에 진공 흡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흡착부(730)와 베이스판(1)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레버(734)를 조작함으로써 흡착패드(733) 및 제1 면(2) 사이에 형성된 진공을 제거하여 분리시킬 수 있고, 이후 제4 브라켓(73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베이스판(1)과 이격시킬 수 있다.
즉, 흡착부(730)는 제3 브라켓(731), 제4 브라켓(732) 및 흡착패드(733)의 구성을 포함하여, 흡착패드(733)를 제1 면(2)에 진공 흡착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0)를 베이스판(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10)는 체결부(710) 및 흡착부(730)로 구성되는 고정부(700)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판(1)의 다양한 표면에 대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베이스판 2: 제1 면
3: 제2 면 3a: 타공홀
10: 이동형 배기장치
100: 프레임부 110: 제1 프레임
112: 제1 연결구 120: 제2 프레임
122: 고정레버 130: 제3 프레임
132: 제2 연결구 134: 차압계
136: 호스 140: 제4 프레임
150: 연결프레임 152: 이동부재
160: 이동부 162: 축부재
164: 이동휠
300: 지지부 310: 연결브라켓
312: 결합부 320: 지지부재
330: 연결부재
500: 배출부 510: 후드
512: 제1 어댑터 514: 연결홈
516: 연통홀 520: 연결부
522: 고정부재 524: 결합부재
550: 신축관 552: 제2 어댑터
554a: 제1 배출연결구 554b: 제2 배출연결구
560: 연장관 562: 제3 어댑터
564: 제4 어댑터
700: 고정부 710: 체결부
711: 제1 브라켓 712; 제2 브라켓
713: 잠금핀 714: 돌기부재
715: 버튼부재 716: 고리부재
730: 흡착부 731: 제3 브라켓
732: 제4 브라켓 733: 흡착패드
734: 레버

Claims (5)

  1.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단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가스를 흡입하며 상단에 원통형의 어댑터가 형성된 후드,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고정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후드로 흡입된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신축관을 포함하는 배출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고 호스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드 내 상기 가스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타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어댑터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어 개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후드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내측면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홈 상부면에 삽입되는 결합부재; 및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호스의 단부가 연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연결부가 상호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연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연결홈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연통홀의 위치가 대응되는 이동형 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에 관통 연결되는 잠금핀을 포함하여,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제2 브라켓에 관통시켜 상기 타공홀에 체결시키는 이동형 배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브라켓;
    상기 제3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브라켓; 및
    상기 제4 브라켓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밀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고 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연결되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단부와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 프레임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KR2020200001751U 2020-05-26 2020-05-26 이동형 배기장치 KR200492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51U KR200492909Y1 (ko) 2020-05-26 2020-05-26 이동형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51U KR200492909Y1 (ko) 2020-05-26 2020-05-26 이동형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09Y1 true KR200492909Y1 (ko) 2020-12-31

Family

ID=7408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751U KR200492909Y1 (ko) 2020-05-26 2020-05-26 이동형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0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932Y1 (ko) 2004-02-04 2004-05-12 주식회사 랩죤 다공성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 겸용 이동식 후드
KR100855606B1 (ko) * 2007-06-22 2008-09-03 박용환 차량용 광고대
KR20180049957A (ko) * 2016-11-04 2018-05-14 (주)엔코아네트웍스 3차원 이동이 가능한 후드가 구비된 오염물질 흡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932Y1 (ko) 2004-02-04 2004-05-12 주식회사 랩죤 다공성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 겸용 이동식 후드
KR100855606B1 (ko) * 2007-06-22 2008-09-03 박용환 차량용 광고대
KR20180049957A (ko) * 2016-11-04 2018-05-14 (주)엔코아네트웍스 3차원 이동이 가능한 후드가 구비된 오염물질 흡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4706B (zh) 用以定位大薄基材於支撐桌上之真空抓持系統
KR200492909Y1 (ko) 이동형 배기장치
JP4790395B2 (ja) 基板吸着機構及び基板検査装置
KR102169403B1 (ko) 진공흡착장치용 진공압형성 지지장치
TW201416597A (zh) 旋轉接頭及採用該旋轉接頭之多氣路工站
CN206406142U (zh) 划线机及划线系统
TW199940B (ko)
CN106956215A (zh) 一种除尘机械手打磨装置
KR102026747B1 (ko) 송풍기용 흡입콘 제조시스템
JP4134193B2 (ja) 静圧気体軸受
JP5822657B2 (ja) 排気ガス処理装置
CN106039865A (zh) 一种可移动式除尘器
KR102422013B1 (ko) 원통형 용접테이블
CN215809041U (zh) 一种吊项式新风机组
JP6870361B2 (ja) 遠隔穿孔装置
CN207195133U (zh) 压缩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208110506U (zh) 一种用于大数据一体机的定位装置
CN112792425A (zh) 一种电路板维修用工作台
CN206326104U (zh) 环保型立式转子压铸机
KR200496392Y1 (ko) 스크러버 배기장치
JPH0798315B2 (ja) 吸着式チャック装置
CN107282542A (zh) 一种缸孔吹扫装置
CN205745667U (zh) 一种垂直管道的支吊装置
JP2020165617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JP2000241016A (ja) 空気調和機の据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