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013B1 - 원통형 용접테이블 - Google Patents

원통형 용접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013B1
KR102422013B1 KR1020220055767A KR20220055767A KR102422013B1 KR 102422013 B1 KR102422013 B1 KR 102422013B1 KR 1020220055767 A KR1020220055767 A KR 1020220055767A KR 20220055767 A KR20220055767 A KR 20220055767A KR 102422013 B1 KR102422013 B1 KR 10242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ust
layer
vacuum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대영
Original Assignee
노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대영 filed Critical 노대영
Priority to KR102022005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박스가 구비되고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면에 용접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 모듈이 설치된 바디부, 바디부와 다리부에 삽입되어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통형 용접테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통형 용접테이블{Cylindrical welding table}
본 발명은 원통형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박스가 구비되고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면에 용접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 모듈이 설치된 바디부, 바디부와 다리부에 삽입되어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통형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대형 구조물에 사용되는 파이프는 소형인 경우에는 파이프 제작 공장에서 일괄 생산되지만, 일정한 규격으로만 생산되고 있어, 생산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러한 생산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파이프와 파이프를 용접하여 사용하나, 파이프 양단부를 용접할 때 전체 용접선이 균일하게 용접되지 않으면, 파이프를 사용할 때 용접강도가 약한 곳에 균열이 생기게 되지만, 용접선 선체를 균일하게 용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숙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기존 원통형 피가공물의 용접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743호 "박판 원통 직선 자동용접장치"(등록일자 : 2005.06.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박판 파이프의 상하 위치를 설정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의해 상하 위치가 결정된 박판 파이프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용접 토오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용접 작업을 진행시키는 토오치 이동부로 구성되는 박판 원통 직선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용접장치의 중앙부에 용접 작업시 박판 파이프의 용접면 하부에서 용접면을 받쳐주어 박판 파이프의 용접 변형 방지를 위한 원통 형태의 용접 받침대를 횡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용접 받침대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박판 파이프를 내부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받침대 이동 롤러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종래의 원통형 용접테이블은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파이프 용접 시에 롤링 동작을 통해 용접을 용이하게 하였으나, 용접 시에 발생하는 용접 분진을 제거할 수 없어 용접 환경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또한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야 하는 등 신체에 무리가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된 바디부가 구비된 원통형 용접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상면에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 흡입 모듈이 구비된 원통형 용접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와 다리부 사이에 삽입되어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통형 용접테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용접테이블은 지면 위에 지지되며 '┌┐' 형상으로 외측면에 전원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ㅡ'자 형상으로 상면에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해 롤링(rolling)하는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측면 각 말단부에 'ㅗ'자 형상으로 설치된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롤러부 및 상기 제 2 롤러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롤러대 및 제 2 롤러대, 상기 제 1 롤러대 및 상기 제 2 롤러대 각각에 구비되는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대 및 상기 제 2 롤러대 각각의 측면에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 각각의 외측면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회전핀 및 제 2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 모터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된 상측면에 복수 개로 천공되어 용접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은, 상면이 분진을 흡입하도록 복수 개로 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융착되어 분진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의 필터부, 상기 바디부의 하측면의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의 전원을 인가하는 흡입 모터,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 양측면 상단부에 구비되고, 분진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링층, 상기 필터링층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탈부착 가능한 거름층, 상기 거름층 하단에 구비되고, 필터링된 분진에 남은 초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필터링하는 흡착재층, 상기 흡착재층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 흡입을 위해 진공이 생성된 진공층, 상기 진공층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 흡입을 위한 진공층을 생성하기 위해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진공관, 상기 필터부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관과 일체로 연통되며 상기 진공관을 타고 흐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진공관과 연결되어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흡입력을 전달하고, 상기 필터링층, 상기 거름층, 상기 흡착재층, 상기 진공층, 및 상기 진공관은 일체로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 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진공관 내에 공기가 이동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진공층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링층, 상기 거름층, 상기 흡착재층으로 분진이 흡입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다리부가 체결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본체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다리부에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지주,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박스의 제어에 의해 승강운동을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승강지주, 상기 하부지주 및 상기 승강지주에 삽입되어 내부에 가스가 유동하여 압력이 형성되기 위해 밀폐된 직육면체 형상의 가스 실린더, 상기 바디부, 상기 승강지주, 및 상기 가스 실린더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부면에 가스가 유동하여 상기 승강지주 내에 압력이 형성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는 실린더축, 상기 가스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축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가스 통공이 형성되어 가스로 인해 상기 가스 실린더 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스 실린더 내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축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주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지주는 상기 다리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승강지주 및 상기 하부지주는 일직선 상에 형성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축이 하강할 때 상기 가스 실린더 내부에 있는 가스가 상기 축헤드의 상기 가스 통공을 통과하여 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지주를 밀어내어 상기 바디부가 일정한 속도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실린더축이 상승할 때 상기 승강지주에 잔류하는 가스가 다시 상기 축헤드의 상기 가스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가스 실린더로 유동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주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어박스의 제어에 의해 돌출과 함몰 동작을 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 실린더의 상측면에는 상기 승강지주의 돌기가 돌출 동작을 할 때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를 고정할 수 있는 돌기홈이 형성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이 동작되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부,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박스가 구비되고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면에 용접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 모듈이 설치된 바디부, 바디부와 다리부에 삽입되어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통형 용접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바디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바디부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바디부의 분진 흡입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다리부의 높이 조절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다리부의 높이 조절 모듈의 높이 조절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다리부의 높이 조절 모듈의 높이 조절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용접 테이블은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지면 위에 지지되며 '┌┐' 형상으로 외측면에 전원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3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박스(300)는 후술할 흡입 모터 및 높이 조절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310), 분진 흡입 모듈이 동작되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부(320), 분진 흡입 모듈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바디부(20) 및 다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는 'ㅡ'자 형상으로 상면에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해 롤링(rolling)하는 제 1 롤러부(21) 및 제 2 롤러부(22)가 설치될 수 있다.
다리부(30)는 바디부(20)의 하측면 각 말단부에 'ㅗ'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바디부(20)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롤러부(21) 및 제 2 롤러부(22)는 바디부(20)의 상면에 '└┘'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롤러대(21c) 및 제 2 롤러대(22c), 제 1 롤러대(21c) 및 제 2 롤러대(22c) 각각에 구비되는 제 1 롤러(21a) 및 제 2 롤러(22a), 및 제 1 롤러대(21c) 및 제 2 롤러대(22c) 각각의 측면에 제 1 롤러(21a) 및 제 2 롤러(22a) 각각의 외측면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회전핀(21b) 및 제 2 회전핀(2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바디부(20)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롤러부(21) 및 제 2 롤러부(22)의 동작 원리와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 철재 파이프(P)는 제 1 롤러부(21) 및 제 2 롤러부(22)에 안착하게 된다.
바디부(20)에서 제 1 롤러부(21)와 제 2 롤러부(22) 사이의 거리는 제 1 회전핀(21b) 및 제 2 회전핀(22b) 사이의 거리가 철재 파이프(P)의 지름보다 작아야 한다.
그 이유는 회전핀 사이의 거리가 철재 파이프(P)의 지름보다 크면 용접을 위한 파이프 롤링 시 파이프(P)가 롤러부 사이에 끼여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롤러부(21) 및 제 2 롤러부(22)의 롤링 동작은 제어박스(30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20)는 안착부(23), 분진 흡입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3)는 바디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흡입 모터(127)를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분진 흡입 모듈(100)은 제 1 롤러부(21) 및 제 2 롤러부(22)가 설치된 상측면에 복수 개로 천공되어 용접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바디부(20)의 분진 흡입 모듈(100)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진 흡입 모듈(100)은 플레이트(110), 필터부(120), 흡입 모터(127), 모듈 하우징(128)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상면이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천공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플레이트(110)의 하측면에 융착되어 분진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흡입 모터(127)는 바디부(20)의 하측면의 안착부(23)에 설치되어 분진 흡입 모듈(100)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28)은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결합되어 필터부(1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28)의 일측에는 흡입 모터(127)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129)이 결합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필터링층(121), 거름층(122), 흡착재층(123), 진공층(124), 진공관(125), 및 배출관(126)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층(121)은 내부 양측면 상단부에 구비되고, 분진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고 탈부착이 가능하다.
거름층(122)은 필터링층(121)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고 탈부착이 가능하다.
흡착재층(123)은 거름층(122) 하단에 구비되고, 필터링된 분진에 남은 초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진공층(124)은 흡착재층(123)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 흡입을 위한 진공이 생성될 수 있다.
진공관(125)은 진공층(124)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 흡입을 위한 진공층(124)을 생성하기 위해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배출관(126)은 필터부(120)의 중심에 설치되고, 진공관(125)과 일체로 연통되며 진공관(125)을 타고 흐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분진 흡입 모듈(100)의 실시예와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분진 흡입 모듈(100)을 동작하기 위해 흡입 모터(127)는 전원 케이블(129)로 연결되어 진공관(125)과 연결되어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흡입력을 전달하게 된다.
흡입 모터(127)가 동작하여 진공관(125) 내에 공기가 이동하여 배출관(1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층(124)이 형성되어 필터링층(121), 거름층(122), 흡착재층(123)으로 분진이 흡입되게 된다.
이때 필터링층(121), 거름층(122), 흡착재층(123), 진공층(124) 및 진공관(125)은 일체로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게 된다.
분진 흡입 모듈(100)을 바디부(20)의 상면과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용접 시에 발생하는 스파크가 옆으로 튀어 종래에는 분진 흡입 모듈(100)을 사용하게 되면 흡입된 스파크가 화재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필터링층(121), 거름층(122)의 깊이를 깊게 그리고 내연성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스파크가 튀는 만일의 안전 사고에 대비하여 화재 사고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관(126)을 통해서 공기가 지속적으로 밖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스파크가 분진 흡입 모듈(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다리부(30)의 높이 조절 모듈(200)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는 바디부(20)와 다리부(30)가 체결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모듈(200)은 하부지주(210), 승강지주(220), 가스 실린더(230), 실린더축(240), 및 축헤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주(210)는 다리부(30)에 설치되고 다리부(30)의 상부와 대응하기 위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승강지주(220)는 바디부(20)에 설치되되 분진 흡입 모듈(100)보다 아래에 설치되고 제어박스(300)의 제어에 의해 승강운동을 할 수 있으며, 하부지주(210)의 형상과 대응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스 실린더(230)는 하부지주(210) 및 승강지주(220)에 삽입되어 내부에 가스가 유동하여 압력이 형성되기 위해 밀폐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축(240)은 바디부(20), 승강지주(220), 및 가스 실린더(230)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부면에 가스가 유동하여 승강지주(220) 방향으로 가스가 유동하여 승강지주(220) 내에 압력이 형성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축헤드(250)는 가스 실린더(230) 내부에 설치되고, 실린더축(240)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가스 통공(260)이 형성되어 가스로 인해 가스 실린더(230) 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면서 가스 실린더(230) 내를 유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높이 조절 모듈(200)의 조립관계와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지주(220)는 바디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지주(210)는 다리부(30) 내부에 삽입되고 승강지주(220) 및 하부지주(210)는 일직선 상에 형성되게 된다.
도 5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어박스(300)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축(240)이 하강할 때 가스 실린더(230) 내부에 있는 가스가 축헤드(250)의 가스 통공(260)을 통과하여 압력을 형성하여 승강지주(220)를 밀어내면서 바디부(20)가 일정한 속도에 의해 하강하고 실린더축(240)이 상승할 때 승강지주(220)에 잔류하는 가스가 다시 축헤드(250)의 가스 통공(260)을 통과하여 가스 실린더(230)로 유동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다리부(30)의 높이 조절 모듈(200)의 높이 조절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지주(220)의 내측면에는 제어박스(300)의 제어에 의해 돌출과 함몰 동작을 수행하는 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접 테이블의 다리부(30)의 높이 조절 모듈(200)의 높이 조절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스 실린더(230)의 상측면에는 승강지주(220)의 돌기(221)가 돌출 동작을 할 때 삽입되어 바디부(20)를 고정할 수 있는 돌기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지주(220)의 돌기(221)는 제어박스(300)의 제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될 수도 있고, 함몰 가능한 홈이 구비되어 함몰될 수도 있다.
높이 조절 모듈(200)에 의해 종래의 원통형 용접테이블보다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여 용접환경을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세밀한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거나 무릎을 꿇거나 하여 용접동작이 불편했던 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체(10)
바디부(20)
제 1 롤러부(21)
제 1 롤러(21a)
제 1 회전핀(21b)
제 1 롤러대(21c)
제 2 롤러부(22)
제 2 롤러(22a)
제 2 회전핀(22b)
제 2 롤러대(22c)
안착부(23)
다리부(30)
분진 흡입 모듈(100)
플레이트(110)
필터부(120)
필터링층(121)
거름층(122)
흡착재층(123)
진공층(124)
진공관(125)
배출관(126)
흡입 모터(127)
모듈 하우징(128)
전원 케이블(129)
높이 조절 모듈(200)
하부지주(210)
승강지주(220)
돌기(221)
가스 실린더(230)
돌기홈(231)
실린더축(240)
축헤드(250)
가스 통공(260)
제어박스(300)
전원부(310)
압력부(320)
타이머부(330)

Claims (3)

  1. 지면 위에 지지되며 '┌┐' 형상으로 외측면에 전원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설치된 본체;
    를 포함하는, 원통형 용접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ㅡ'자 형상으로 상면에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해 롤링(rolling)하는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측면 각 말단부에 'ㅗ'자 형상으로 설치된 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부 및 상기 제 2 롤러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롤러대 및 제 2 롤러대;
    상기 제 1 롤러대 및 상기 제 2 롤러대 각각에 구비되는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대 및 상기 제 2 롤러대 각각의 측면에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 각각의 외측면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회전핀 및 제 2 회전핀;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 모터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제 1 롤러부 및 제 2 롤러부가 설치된 상측면에 복수 개로 천공되어 용접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은,
    상면이 분진을 흡입하도록 복수 개로 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융착되어 분진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의 필터부;
    상기 바디부의 하측면의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의 전원을 인가하는 흡입 모터;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모듈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 양측면 상단부에 구비되고, 분진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링층;
    상기 필터링층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탈부착 가능한 거름층;
    상기 거름층 하단에 구비되고, 필터링된 분진에 남은 초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필터링하는 흡착재층;
    상기 흡착재층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 흡입을 위해 진공이 생성된 진공층;
    상기 진공층 하단에 구비되고, 분진 흡입을 위한 진공층을 생성하기 위해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진공관;
    상기 필터부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관과 일체로 연통되며 상기 진공관을 타고 흐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진공관과 연결되어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흡입력을 전달하고,
    상기 필터링층, 상기 거름층, 상기 흡착재층, 상기 진공층, 및 상기 진공관은 일체로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 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진공관 내에 공기가 이동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진공층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링층, 상기 거름층, 상기 흡착재층으로 분진이 흡입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이 동작되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부;
    상기 분진 흡입 모듈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부;
    를 포함하는, 원통형 용접테이블.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5767A 2022-05-04 2022-05-04 원통형 용접테이블 KR10242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767A KR102422013B1 (ko) 2022-05-04 2022-05-04 원통형 용접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767A KR102422013B1 (ko) 2022-05-04 2022-05-04 원통형 용접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013B1 true KR102422013B1 (ko) 2022-07-15

Family

ID=8240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767A KR102422013B1 (ko) 2022-05-04 2022-05-04 원통형 용접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1731A (zh) * 2022-12-16 2023-04-18 王丽 一种船舶法兰智能装配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91U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원통형 피가공물 지지장치
KR102088442B1 (ko) * 2019-09-17 2020-03-12 정미정 파이프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91U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원통형 피가공물 지지장치
KR102088442B1 (ko) * 2019-09-17 2020-03-12 정미정 파이프 회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1731A (zh) * 2022-12-16 2023-04-18 王丽 一种船舶法兰智能装配系统
CN115971731B (zh) * 2022-12-16 2023-10-27 唐山海运职业学院有限公司 一种船舶法兰智能装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013B1 (ko) 원통형 용접테이블
KR20130134547A (ko) 칩 제거장치 및 이를 갖는 홀 가공장치
JP2019521519A (ja) 基板支持装置
CN208713108U (zh) 半自动焊接机
WO2018228003A1 (zh) 射吸工具及射吸装置
JP6986486B2 (ja) 粉体塗布装置
KR20160053710A (ko) 진공 흡착장치용 진공펌프
JP5838301B2 (ja) 吸着ノズル及び部品実装装置
JP7382621B2 (ja) 基板洗浄装置
CN108381133B (zh) 一种插针吸取整理装置
US7717317B2 (en) Ball capturing apparatus, solder ball disposing apparatus, ball capturing method, and solder ball disposing method
JP7422383B2 (ja) 基板支持装置及び基板洗浄装置
JP3002373U (ja) 集塵機付溶接作業台
JP2016147299A (ja) 溶接トーチ置台
JP2012187592A (ja) 固定冶具
JP2008130956A (ja) ボール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3236576U (ja) 溶接ヒユ-ム吸込フ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ヒューム回収装置
JP6550619B2 (ja) 溶接ボルトの供給装置
CN220030159U (zh) 缸体固定治具及加工设备
JPH0740276A (ja) 被処理物移送用の吸着装置
KR102448183B1 (ko) 반도체용 세라믹 기판 천공 장치
CN212217741U (zh) 一种工作平台及铣边机
JP5932296B2 (ja) 加工装置
KR101899653B1 (ko) 소재 안착장치
KR20120008596U (ko) 용접기용 토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