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74Y1 -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74Y1
KR200492774Y1 KR2020180003201U KR20180003201U KR200492774Y1 KR 200492774 Y1 KR200492774 Y1 KR 200492774Y1 KR 2020180003201 U KR2020180003201 U KR 2020180003201U KR 20180003201 U KR20180003201 U KR 20180003201U KR 200492774 Y1 KR200492774 Y1 KR 200492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upport
fastening
shape
pai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57U (ko
Inventor
이규순
전기홍
Original Assignee
이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순 filed Critical 이규순
Priority to KR2020180003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7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는 건축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단부를 통해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형강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는, 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복수의 형강지지부; 복수의 상기 형강지지부 사이를 연결하고, 한 쌍의 상기 결속플레이트 사이의 체결을 위해 볼트체결공을 구비하여 맞은편 상기 결속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결속플레이트는 일측의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형강지지부가 감싸고 남은 나머지 상기 형강의 둘레를 타측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형강지지부가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section steel connecting apparatus for iron frames of a structure}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 사이의 연결을 위한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골조를 형성하는 형강 사이를 연결하게 되고, 이때는 주로 볼트체결방식이 사용된다.
볼트의 체결을 위해 형강에는 먼저 다수의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형강들 사이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 건축골조용 형강의 연결과정에서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추가되고, 연결부재를 형강에 체결하고 다시 연결부재 사이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볼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형강의 연결작업성을 개선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기둥과 보 사이가 대각보에 의해 지지되어 강도가 보강되는 골조의 경우, 배설방향이 다른 상태로 연결되는 형강들의 숫자가 증가하여 형강 사이의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이 좁고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형강 사이를 연결하는 작업이 힘들고, 형강 사이의 연결강도를 충분히 보장하기가 어려웠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68677호
건축물의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방향이 다른 복수의 형강을 연결하는 연결작업성을 개선하고 형강 사이의 연결강도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는 건축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단부를 통해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형강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는, 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복수의 형강지지부; 복수의 상기 형강지지부 사이를 연결하고, 한 쌍의 상기 결속플레이트 사이의 체결을 위해 볼트체결공을 구비하여 맞은편 상기 결속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결속플레이트는 일측의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형강지지부가 감싸고 남은 나머지 상기 형강의 둘레를 타측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형강지지부가 감싸도록 마련된다.
상기 형강은 상기 골조의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형강과, 상기 골조의 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직형강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형강과, 상기 수직형강과 수평형강 사이에 일단이 대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대각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형강지지부는, 상기 수직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형강지지부; 상기 수평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형강지지부; 상기 대각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3형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상기 제1형강지지부와 제2형강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 상기 제1형강지지부와 제3형강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 상기 제2형강지지부와 제3형강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플레이트는 상기 제3형강지지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형강은 상기 골조의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형강과, 상기 골조의 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직형강의 일단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형강과, 한 쌍의 상기 수평형강과 수직형강 사이에 각각 대각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각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형강지지부는, 상기 수직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형강지지부; 한 쌍의 상기 수직형강의 둘레를 감싸는 한 상의 제2형강지지부; 한 쌍의 상기 대각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3형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한 쌍의 상기 제2형강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 상기 제1형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3형강지지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체결부; 한 쌍의 상기 제2형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3형강지지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3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는 상기 제1형강지지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형강은 골조의 기둥과 보 사이에 일단이 대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한 쌍의 대각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형강지지부는 상기 대각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중앙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 4개의 대각형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대각형강지지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에 의하면, 배설방향이 다른 복수의 형강을 복수의 형강지지부가 체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를 통해 동시에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건축물의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방향이 다른 복수의 형강을 연결하는 연결작업성을 개선하고 형강 사이의 연결강도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의 사시도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에 의해 형강들 사이가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일측 결속플레이트를 통해 형강들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가 결속되어 형강들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건축골조용 연강 연결기구의 사시도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가 결속되어 형강들 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건축골조용 연강 연결기구의 사시도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가 결속되어 형강들 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를 구성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은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에 의해 형강들 사이가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일측 결속플레이트를 통해 형강들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가 결속되어 형강들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10)는 건축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단부를 통해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형강(1,2,3)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형강(1,2,3)은 H형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형강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또 형강(1,2,3)으로는 초고강도 내진용 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결속플레이트(20)는 형강(1,2,3)의 둘레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와, 볼트체결공(29)을 구비하여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부(24,25,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는 동일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태로 마련되고, 복수의 체결부(24,25,26)는 서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결속플레이트(20)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와 체결부(24,25,26)가 한 몸을 이루도록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단하고 절곡가공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 중 일측 결속플레이트(20)의 형강지지부(21,22,23)와 타측 결속플레이트(20)의 형강지지부(21,22,23)는 상호 협력하여 형강(1,2,3)의 둘레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는 일측 결속플레이트(20)의 형강지지부(21,22,23)가 감싸고 남은 나머지 형강의 둘레를 타측 결속플레이트(20)의 형강지지부(21,22,23)가 감싸도록 마련됨에 따라 형강(1,2,3)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온전히 감싸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체결부(24,25,26)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 사이의 체결을 위해 맞은편 결속플레이트(20)에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각 결속플레이트(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 사이를 연결하여 형강지지부(21,22,23) 사이의 연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건축골조용 연결기구(10)는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가 체결부(24,25,23)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를 통해 복수의 형강(1,2,3) 사이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건축물의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방향이 다른 복수의 형강(1,2,3)을 연결하는 연결작업성을 개선하고 형강(1,2,3) 사이의 연결강도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형강(1,2,3)은 골조의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형강(1)과, 골조의 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형강(1)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형강(2)과, 수직형강(1)과 수평형강(2) 사이에 일단이 대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대각형강(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형강(2)을 통해 형성되는 골조의 보는 기둥의 상단에 연결되는 천장보와, 기둥의 하단에 연결되는 바닥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보 또는 바닥보를 형성하는 수평형강(2)과 기둥을 구성하는 수직형강(1) 사이가 대각형강(3)를 통해 대각방향으로 지지되는 골조는 대각방향으로 응력이 분산되고 강도가 보강되어 지진대피시설과 같이 일반 건축물에 비해 큰 강도가 요구되는 건축물에 보다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형강지지부(21,22,23)는 수직형강(1)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형강지지부(21)와, 수평형강(2)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형강지지부(22)와, 대각형강(3)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3형강지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형강지지부(21,22,23)는 각각 해당 형강(1,2,3)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가 체결부(24,25,26)를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일측 결속플레이트(20)의 각 형강지지부(21,22,23)들은 해당 형강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고, 타측 결속플레이트(20)의 형강지지부(21,22,23)들은 일측 결속플레이트(20)의 형강지지부(21,22,23)가 감싸고 남은 나머지 형강(1,2,3)들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게 되므로, 각 형강(1,2,3)들의 둘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를 통해 온전히 감싸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제1 내지 제3형강지지부(21,22,23)는 해당 형강(1,2,3)의 단부 쪽에 인접한 부위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결속플레이트(20)는 상호 지지되는 형강(1,2,3)들의 단부 쪽을 덮도록 마련된 덮개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8)는 제1내지 제3형강지지부(21,22,23)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24,25,26)는 제1형강지지부(21)와 제2형강지지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24)와, 제1형강지지부(21)와 제3형강지지부(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25)와, 제2형강지지부(22)와 제3형강지지부(23) 사이를 연결하는 제3체결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24)는 제1형강지지부(21)와 제2형강지지부(22)의 단부 외측을 따라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체결부(25)는 제1형강지지부(21)와 제3형강지지부(23)를 단부 내측에서 연결하고, 제3체결부(26)는 제2형강지지부(22)와 제3형강지지부(23)를 단부 내측에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체결부(24,25,26)에는 각각 복수의 볼트체결공(29)이 마련될 수 있다.
결속플레이트(20)는 제3형강지지부(23)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어서 생산측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10)를 이용하여 수직형강(1)과 수평형강(2)과 대각형강(3)을 연결할 때는 먼저 바르게 세워진 수직형강(1)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수평형강(2)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하고, 대격형강(3)을 그 일단이 수직형강(1)과 수평형강(2) 사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강(1,2,3)들은 대응하는 단부 사이가 상호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조립 될 수 있다. 형강(1,2,3)들 사이의 가조립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조립은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를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형강(1,2,3)들 사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결속플레이트(20)의 체결작업에 앞서 형강(1,2,3)들 사이를 일시적으로만 간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조립 과정에서 형강(1,2,3)들의 단부 사이는 부분적으로만 간단히 용접될 수 있다.
이후에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 사이를 결속시켜 형강(1,2,3)들 사이를 완전히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 사이를 상호 맞대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대응하는 체결부(24,25,26)들 사이는 상호 일치된 상태로 포개어지고, 대응하는 형강지지부(21,22,23)들 사이에는 해당 형강(1,2,3)의 둘레가 완전히 감싸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호 일치된 체결부(24,25,26)의 볼트체결공(29)에 볼트(100)를 체결함에 따라,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 사이는 결속되고, 이에 따라 수직형강(1)과 수평형강(2)과 대각형강(3)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 사이에 단부들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강(1,2,3)들 사이의 결속구조는 수평형강(2)의 반대 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평형강(2)과 대각형강(3)은 골조의 기둥을 형성하도록 세워져 고정된 한 쌍의 수직형강(1) 사이에 유동이 방지된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건축골조용 연결기구(10)로써, 제2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는 5개의 서로 지지되는 형강(1,2,3)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를 통해 연결되는 5개의 형강(1,2,3)은 골조의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형강(1)과, 기둥 양측의 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형강(1)의 일단 양측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형강(2)과, 한 쌍의 수평형강(2)과 수직형강(1) 사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대각형강(3)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플레이트(30)의 형강지지부(31,32,33)는 수직형강(1)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형강지지부(31)와, 수평형강(2)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형강지지부(32)와, 대각형강(3)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3형강지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형강지지부(32)는 한 쌍의 수평형강(2)의 둘레 일부를 각각 감싸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3형강지지부(33)는 한 쌍의 대각형강(3)의 둘레 일부를 각각 감싸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형강지지부(31,32,33)는 각각 해당 형강(1,2,3)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가 체결부(34,35,36)를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일측 결속플레이트(30)의 각 형강지지부(31,32,33)들은 각 해당 형강(1,2,3)들 둘레의 절반을 감싸고, 타측 결속플레이트(30)의 형강지지부(31,32,33)들은 일측 결속플레이트(30)의 형강지지부(31,32,33)들이 감싸고 남은 나머지 형강(1,2,3)들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게 되므로, 각 형강(1,2,3)들의 둘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를 통해 온전히 감싸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5개의 형강지지부(31,32,33)는 해당 형강(1,2,3)의 단부 쪽에 인접한 부위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결속플레이트(30)는 상호 지지되는 형강(1,2,3)들의 단부 쪽을 덮는 덮개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8)는 5개의 형강지지부(31,32,33) 사이에 형강지지부(31,32,33)들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34,35,36)는 한 쌍의 제2형강지지부(3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34)와, 제1형강지지부(31)와 제3형강지지부(3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35)와, 제2형강지지부(32)와 제3형강지지부(33) 사이를 연결하는 제3체결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34)는 일자형태로 마련되어 한 쌍의 제2형강지지부(3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체결부(35)는 제1형강지지부(31)와 한 쌍의 제3형강지지부(33)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3체결부(36)는 한 쌍의 제2형강지지부(32)와 한 쌍의 제3형강지지부(33)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속플레이트(30)의 생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는 서로 동일한 모양과 사이즈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결속플레이트(30)는 제1형강지지부(31)의 중심선(b)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를 체결하여 형강(1,2,3)들 사이를 연결할 때도 형강(1,2,3)들 사이를 가조립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30) 사이를 일치된 상태로 맞대어 결속시키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는 건축골조용 연결기구(10)로써, 제3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한 쌍의 대각형강(3)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속플레이트(40)의 형강지지부(41)는 각각 대각형강(3)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4개의 대각형강지지부(41)를 포함하고, 4개의 대각형강지지부(41)는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중앙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대각형강지지부(41)는 각각 대각형강(3)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가 체결부(44)를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일측 결속플레이트(40)의 대각형강지지부(41)들은 각 대각형강(3) 둘레의 절반을 감싸고, 타측 결속플레이트(40)의 대각형강지지부(41)들은 일측 결속플레이트(40)의 형강지지부(41)들이 감싸고 남은 나머지 형강(3)들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게 되므로, 각 대각형강(3)들의 둘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를 통해 온전히 감싸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4개의 대각형강지지부(41)는 대각형강(3) 간의 교차부 쪽에 인접한 부위의 대각형강(3)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결속플레이트(40)는 상호 교차되는 대각형강(3)들의 교차부를 덮는 덮개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48)는 결속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서 4개의 대각형강지지부(41) 사이를 연결하도록 대각형강지지부(41)들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44)는 각각의 대각형강지지부(41) 사이를 연결하는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결속플레이트(40)의 생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는 서로 동일한 모양과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결속플레이트(40)는 대각형강지지부(41)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덮개부(48)가 결속플레이트(6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마련될 경우를 감안하면, 결속플레이트(40)는 적어도 한 쌍의 대각형강지지부(4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를 체결하여 상호 교차된 대각형강(3) 사이를 연결할 때도 대각형강(3)들 사이를 가조립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40) 사이를 일치된 상태로 맞대어 결속시키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 수직형강 2: 수평형강
3: 대각형강 10: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20: 결속플레이트 21: 제1형강지지부
22: 제2형강지지부 23: 제3형강지지부
24: 제1체결부 25: 제2체결부
26: 제3체결부 28: 덮개부
29: 볼트체결공

Claims (5)

  1. 건축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단부를 통해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형강(1,2,3)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를 구비하는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결속플레이트(20)는,
    상기 형강의 둘레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
    상기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 사이를 연결하고, 한 쌍의 상기 결속플레이트(20) 사이의 체결을 위해 볼트체결공(29)을 구비하여 맞은편 상기 결속플레이트(20)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체결부(24,25,26);
    상호 지지되는 복수의 형강(1,2,3)들의 단부 쪽을 덮도록 상기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 사이를 연결하는 덮개부(28);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결속플레이트(20)는 일측의 상기 결속플레이트(20)의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가 상기 형강(1,2,3)들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고, 타측의 상기 결속플레이트(20)의 복수의 형강지지부(21,22,23)가 상기 형강(1,2,3)들의 둘레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복수의 상기 형강(1,2,3)은 상기 골조의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형강(1)과, 상기 골조의 보를 형성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수직형강(1)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형강(2)과, 상기 수직형강(1)의 일단과 수평형강(2)의 일단 사이에 일단이 대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대각형강(3)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형강지지부(21,22,23)는 상기 수직형강(1)의 둘레 절반을 감싸는 제1형강지지부(21)와, 상기 수평형강(2)의 둘레 절반을 감싸는 제2형강지지부(22)와, 상기 대각형강(3)의 둘레 절반을 감싸는 제3형강지지부(23)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부(24,25,26)) 상기 제1형강지지부(21)와 제2형강지지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24)와, 상기 제1형강지지부(21)와 제3형강지지부(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25)와, 상기 제2형강지지부(22)와 제3형강지지부(23) 사이를 연결하는 제3체결부(26)로 마련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20)는 상기 제3형강지지부(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구조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20)는 상호 일치하도록 상호 동일한 모양과 사이즈를 구비하며,
    상기 골조는 지진대피시설의 골조이고,
    상기 제1체결부(24)는 상기 제1형강지지부(21)와 덮개부(28)와 제2형강지지부(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3201U 2018-07-11 2018-07-11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KR200492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01U KR200492774Y1 (ko) 2018-07-11 2018-07-11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01U KR200492774Y1 (ko) 2018-07-11 2018-07-11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57U KR20200000157U (ko) 2020-01-21
KR200492774Y1 true KR200492774Y1 (ko) 2020-12-08

Family

ID=6922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01U KR200492774Y1 (ko) 2018-07-11 2018-07-11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290B1 (ko) * 2007-01-10 2007-05-15 안판상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KR100727593B1 (ko) * 2006-09-27 2007-06-14 박상목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282A (ko) * 2010-12-28 2012-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레임 연결구조
KR101868677B1 (ko) 2016-01-29 2018-06-18 최상은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93B1 (ko) * 2006-09-27 2007-06-14 박상목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KR100717290B1 (ko) * 2007-01-10 2007-05-15 안판상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57U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76216A (ja) 仕口部の接合装置、仕口部の接合構造、及び仕口部の接合方法
JP2010084490A (ja) 鉄筋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鉄筋籠用半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61542B1 (ko) 리브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 및 그 제조방법
JP2002088909A (ja) 鋼製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接合構造
KR200492774Y1 (ko)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KR20210077197A (ko) 기둥-보 연결구조
KR101929531B1 (ko) 트러스 구조부재
KR102122889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WO2012117615A1 (ja) ユニット建物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6893799B2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KR20200069282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JP2006265897A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2641227B1 (ko) H형강 및 절곡강판을 이용한 선조립 src기둥용 조립체
JP2001262706A (ja) 柱梁の接合構造
JP6543137B2 (ja) 柱梁架構の耐震改修構造
KR102175363B1 (ko) 기둥과 보의 접합을 위한 접합부 코어
JP2018162645A (ja) 柱梁接合構造
KR100766301B1 (ko)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JP2016176215A (ja) 仕口部の接合装置、仕口部の接合構造、及び仕口部の接合方法
JP200525639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梁と鉄骨造間柱との貫通接合部における補強配筋方法
JP2021165477A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及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の施工方法
JP2021046713A (ja) ユニット建物
JP6497482B2 (ja) 柱梁接合構造
JPH0941564A (ja) 鉄骨組立柱およびその柱・梁接合構造
JP6647142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