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290B1 -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290B1
KR100717290B1 KR1020070002900A KR20070002900A KR100717290B1 KR 100717290 B1 KR100717290 B1 KR 100717290B1 KR 1020070002900 A KR1020070002900 A KR 1020070002900A KR 20070002900 A KR20070002900 A KR 20070002900A KR 100717290 B1 KR100717290 B1 KR 10071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nut
coupling
pip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판상
안형진
Original Assignee
안판상
안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판상, 안형진 filed Critical 안판상
Priority to KR102007000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7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exterior clamping plates or sh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철강재로 된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결합 되는 보울트와 너트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므로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데에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결합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작업공정과 공사기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데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토목공사 용도로서 흄관(또는 토관)에 사용될 때 우천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마주 접하면서 이어져 구성되는 관(104)이 결합부(96)에 의해 결합 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96)는, 상기 관(104) 외주에 결합 되는 반원형 모양의 상,하부커버(106,108)와,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일측에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다수개의 홀(114)을 구비하는 플렌지(110,112)와, 상기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형성된 각각의 홀(114) 입구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너트(98)와,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힌지축(116)과, 상기 플렌지(110,112) 각각의 홀(114)에 결합 되면서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설치된 너트(98)에 결합되는 보울트(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94,140,163)에 설치되는 결합부(96,120,141,173)에 너트(98,122,148,168)가 용접되어 고정 설치된 관계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결합부(96,120,141,173)에 전달되면 보울트(102,126,150,174)만 영향을 받아 풀림이 적게 되므로 결합성이 우수하면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
흄관, 토관, 이형관, 밸브, 휀스

Description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부의 분리 단면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다른 타입인 결합부의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다른 타입인 상부커버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예의 다른 타입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휀스의 정면도.
도 6 은 도 5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4,140,163:연결부재 96,120,141,173:결합부
98,122,148,168:너트 100,124,167:고정부재
102,126,150,174:보울트 104,142:관
106,130:상부커버 108,132:하부커버
110,112,134,136,144:플렌지 114,138,146,165:홀
116:힌지축 160:휀스
162:안내파이프 164:지주
166:러그 170:그물망
172:프레임
본 발명은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강재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관(토관, 흄관, 이형관, 파이프, 밸브 등)이나 휀스 등에 너트를 매설하거나 내,외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므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영향을 보울트만 전달받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작업공정을 감소시켜 공사기간이 단축되게 하며, 또한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토목공사 용도로서의 흄관(또는 토관)으로 사용될 때 결합상태가 안정되도록 한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부재를 이루는 관이나, 판넬, H형강 사각형 프레임 등을 보울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여러 개를 연결하므로서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교량이나 건축물에 적용될 때 통과하는 차량 등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은 진동에 의해 보울트와 너트가 종종 풀려지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대해 주기적으로 정비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더욱이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관을 토목공사 용도로 사용하면,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흄관(또는 토관)의 경우에는 우천시 지면으로 노출되어 연결부분에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에 대해 정비작업을 실시하면 유지 및 보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곤란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결합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비작업 주기를 줄일 수 있게 하므로서, 구조물에 대한 유지 및 보수비용의 저렴화가 실현될 수 있게 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을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흄관(또는 토관)에 적용할 경우 결합부분에 대해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호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관은 경미한 지진이나 우천시에 연결부분이 분리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인 실용신안공개번호 제91-2869호를 도 1에서 살펴 보면, 먼저 2개의 연결관(4,4a) 사이에 접속관(1)이 끼워져 결합 되는데, 상기 접속관(1)은 연결관(4,4a)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관(3,3a)이 중간부에 돌출윤(2)을 구비하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윤(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패킹(5,5a)과 소켓(6,6a)이 위치하면서 연결관(4,4a)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소켓(6,6a)의 둘레에 형성된 플렌 지(7,7a)에는 보울트(8)와 너트가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4,4a)은 보울트(8)와 너트로 결합된 소켓(6)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결합순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접속관(1)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관(3,3a)에 연결관(4,4a)을 끼워 결합하면, 돌출윤(2) 끝단부에 상기 연결관(4,4a)이 접하면서 결합 되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관(4,4a)의 양측에 패킹(5,5a)과 소켓(6,6a)을 순차적으로 각각 결합하여 돌출윤(2) 양측에 배치한다.
이후로 상기 소켓(6,6a)의 플렌지(7,7a)에 보울트(8)와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하므로서 연결관(4,4a)이 접속관(1)에 결합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연결관(4,4a) 여러개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소켓(6)에 보울트(8)와 너트를 개별적으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증가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연결관(4,4a)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될 경우 통과하는 차량 등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보울트(8)와 너트에 풀림현상이 빨리 일어나게 되어 조임 작업을 실시하는 주기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연결관(4,4a)의 유지 및 보수비용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철강재 로 된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결합 되는 보울트와 너트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므로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결합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작업공정과 공사기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토목공사 용도로서 흄관(또는 토관)에 사용될 때 우천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호 마주 접하면서 이어져 구성되는 관(104)이 결합부(96)에 의해 결합 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96)는, 상기 관(104) 외주에 결합 되는 반원형 모양의 상,하부커버(106,108)와,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일측에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다수개의 홀(114)을 구비하는 플렌지(110,112)와, 상기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형성된 각각의 홀(114) 입구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너트(98)와,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힌지축(116)과, 상기 플렌지(110,112) 각각의 홀(114)에 결합 되면서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설치된 너트(98)에 결합되는 보울트(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 2a,2b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94)(도2a참조) 여러 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끝단부가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94)는 결합부(96)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96)(도2b참조)는 너트(98)와 고정부재(100)와 보울트(10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94)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관(104)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결합부(96)에는 관(104)의 외주면에 결합 되는 상,하부커버(106, 108)가 반원형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일단부에는 플렌지(110,112)가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 되며, 상기 각각의 플렌지(110,112)에는 다수개의 홀(114)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타단부에는 개,폐시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축(116)이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 외면에는 너트(98)가 각각의 홀(114) 입구에 위치하면서 용접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와는 달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6)의 플렌지(110) 외면에도 각각의 홀(114) 입구에 너트(113)를 용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보울트(102)(도2b참조)는 상부커버(106)의 홀(114)에 결합되면서 하부커버(108)의 너트(98) 또는 상부커버(106)의 너트(113)(도2c참조)를 포함 하여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관(104)(도2b참조)은 상,하부커버(106,108)에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결합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2개의 관(104)(도2b참조)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하부커버(106,108)를 힌지축(116)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104)의 측단부 외주에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06,108)는 힌지축(116)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관(104)의 외주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울트(102)를 상부커버(106)의 플렌지(110)에 형성된 홀(114)에 결합하면서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설치된 너트(98)에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06,108)는 관(104)의 외주 면에 더욱 밀착하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관(104)은 각각의 보울트(102)로 결합 되는 상,하부커버(106,10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102)가 플렌지(110,112)에 결합 되면, 상기 보울트(102)는 너트(98,113)에 결합되어 상,하부커버(106,108)가 관(104)(도2b참조)의 외주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 되는 여러 개의 관(104)이 토목공사에 적용될 경우에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흄관(또는 토관) 형태로 만들어져 매설되는데, 이때 흄관(또는 토관)은 상,하부커버(106,108)에 의해 견고히 결합 되면서 연결되어 있게 되므로 경미한 지진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흄관(또는 토관)의 결합부분이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상기 관(104)을 지하에 매설하여 유체나 통신용케이블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와 관(104)을 금속으로 제조하여 결합부분에 대해 용접을 실시하거나 실링작업을 실시하므로서 기밀이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하부커버(106,108)에 의해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 관(104)은 설치 상태가 견고하여 안전성 면에서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3a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중선에는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120)를 외주에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결합부(120)에는 지중선의 외주 면에 결합 되는 상,하부커버(130,132)가 분리된 구조를 하면서 반원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커버(130,132) 양단부에는 플렌지(134,136)가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플렌지(134,136)에는 다수개의 홀(138)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134,136)에는 고정부재(124)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24)는 보울트(126)와 너트(12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너트(122)는 하부커버(132)의 양측에 형성된 플렌지(136)의 홀(138) 입구에 용접되면서 외측면에 위치한다.
계속하여 상기 보울트(126)는 상부커버(130)의 플렌지(134)에 형성된 홀(138)에 결합 되면서 하부커버(132)의 플렌지(136)에 설치된 너트(1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중선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120)가 견고히 결합 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결합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중선에 상,하부커버(130,132)(도3a참조)를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30,132)는 지중선의 외주에 밀착하게 되고, 플렌지(134,136)는 상호 마주 접하여 있게 된다.
이후로 상기 보울트(126)를 상부커버(130)에 형성된 플렌지(134)의 홀(138)에 결합하면서 하부커버(132)의 플렌지(136)에 설치된 너트(122)에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30,132)는 지중선 외주에 견고히 결합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지중선 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하부커버(130,132)가 지중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지중선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하부커버(130,132)는 필요에 따라서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30) 양측에 형성되는 플렌지(134)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홀(138)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홀(138) 입구에는 너트(122)가 플렌지(134) 외면에 위치하면서 용접되어 고정된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커버(130)가 지중선 외주에 결합 되면, 상기 상부커버(130)에 설치된 너트(122)와 하부커버(132)(도3a참조)에 설치된 너트(122)에 보울트(126)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120)는 지중선 외주에 견고히 결합 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4a,4b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40)(도4a참조) 여러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40)는 결합부(141)를 통하여 상호 결합 되면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140)는 관(142)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142) 양단부에는 플렌지(144)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144)에는 다수개의 홀(146)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41)는 플렌지(144)와 너트(148)와 보울트(150)로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148)는 상기 관(142)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플렌지(144)에 형성된 각각의 홀(146) 입구에 용접되면서 플렌지(144) 배면 측에 설치되고, 상기 관(142) 일측에 위치한 다른 플렌지(144)의 홀(146)은 너트가 설치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상기 보울트(150)는 관(142)의 플렌지(144)에 형성된 홀(146)에 결합되면서 다른 관(142)의 플렌지(144)에 설치된 너트(148)에 결합 되는데, 이로 인 해 상기 관(142)은 플렌지(144)에 결합된 보울트(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달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142) 일측에 형성된 플렌지(144)에는 타측에 위치한 다른 플렌지와 동일하게 너트(148)를 홀(146) 입구에 용접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렌지(144)(도4a참조)를 일체로 형성하는 관(142)은, 이형관[T자관, Y자관, +자관, 엘보우(ellbow), 레듀샤(reducer), 드레인(drain) 등]이나 각종 밸브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148)를 플렌지(144)에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결합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2개의 관(142)(도4a참조)을 연결시키면 플렌지(144)가 상호 마주 접하는데, 이때 상기 관(142)의 플렌지(144)에 형성된 홀(146)에 보울트(150)를 결합하면서 다른 관(142)의 플렌지(144)에 설치된 너트(148)에 결합하면, 상기 관(142)은 상호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달리 상기 플렌지(144)(도4b참조)에 보울트(150)가 결합 되면, 상호 마주 접하는 2개의 상기 플렌지(144)에 설치된 각각의 너트(148)를 보울트(150)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2개의 관(142)은 보울트(150)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여러개의 관(142)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 그리 고 토목공사 등에 적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 예를 도 5,6에서 살펴 보면, 먼저 도로와 인도의 경계용으로 사용되는 휀스(fence)(160)(도5참조)에 2개의 안내파이프(162)가 상,하부에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내파이프(162)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주(164)가 등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하부가 각각 안내파이프(162)에 용접되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내파이프(162)와 지주(164)는 하나의 연결부재(163)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주(164) 양측 외주 면과 상,하부에는 고정부재(167)인 러그(166)가 관통된 홀(165)을 형성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접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지주(164) 사이에 경계 보호용 그물망(170)이 설치되는데, 상기 그물망(17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짜여진 프레임(172)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2)은 결합부(173)를 통하여 러그(166)에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170)은 프레임(172)과 함께 러그(166)에 결합 되어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73)는, 상기 러그(166)의 일면에 위치하면서 홀(165) 입구에 용접되는 너트(168)와, 상기 프레임(172)과 러그(166)에 결합 되면서 너트(168)에 결합되는 보울트(17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휀스(16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그물망(170)(도5참조)을 결합하고 있는 프레임(172)을 러그(166) 의 일면에 밀착시키면서 보울트(174)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울트(174)는 프레임(172)과 러그(166)의 홀(16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너트(168)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72)은 그물망(170)과 함께 러그(166)에 고정되어 있게 되고, 상기 그물망(170)은 안내파이프(162)와 지주(16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휀스(160)는 도로 경계용 이외에 보안용이나 방호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94,140,163)에 설치되는 결합부(96,120,141,173)에 너트(98,122,148,168)가 용접되어 고정 설치된 관계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결합부(96,120,141,173)에 전달되면 보울트(102,126,150,174)만 영향을 받아 풀림이 적게 되므로 결합성이 우수하면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결합부(96,120,141,173)에 너트(98,122,148,168)가 용접되어 있어서 조립이 용이한데, 이로 인해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94,140,163)를 비롯해 흄관(또는 토관) 등에 대해 우수한 작업성을 나타내게 되고, 또한 연결작업을 할 때 작업공정이 감소 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Claims (4)

  1. 상호 마주 접하면서 이어져 구성되는 관(104)이 결합부(96)에 의해 결합 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96)는,
    상기 관(104) 외주에 결합 되는 반원형 모양의 상,하부커버(106,108)와,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일측에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다수개의 홀(114)을 구비하는 플렌지(110,112)와,
    상기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형성된 각각의 홀(114) 입구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너트(98)와,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힌지축(116)과,
    상기 플렌지(110,112) 각각의 홀(114)에 결합 되면서 하부커버(108)의 플렌지(112)에 설치된 너트(98)에 결합되는 보울트(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2. 반원형 모양의 상,하부커버(130,132)가 외측에 다수개의 홀(138)을 구비한 플렌지(134,136)를 형성하면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플렌지(134,136)에 고정부재(124)가 설치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4)는,
    상기 하부커버(132)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홀(138) 입구에 용접되는 너 트(122)와,
    상기 상부커버(130)의 홀(138)과 하부커버(132)의 홀(138)에 순차적으로 결합 되면서 너트(122)에 결합되는 보울트(1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3. 다수개의 홀(146)을 구비한 플렌지(144)를 양단부에 형성한 관(142)이 결합부(141)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관(142) 타측에 위치한 플렌지(144)의 홀(146) 입구에 용접되어 고정 설치되는 너트(148)와,
    상기 관(142)에 대응하는 다른 관(142)에 형성된 플렌지(144)의 홀(146)에 결합 되면서 너트(148)에 결합되는 보울트(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4. 상,하부로 배치되어 평행을 이루는 안내파이프(162) 사이에 여러개의 지주(164)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주(164)에 홀(165)을 형성한 러그(166)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러그(166)에 그물망(170)을 구비한 프레임(172)이 결합부(173)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73)는,
    상기 러그(166) 일면에 위치하면서 홀(165) 입구에 용접되는 너트(168)와,
    상기 프레임(172)과 러그(166)에 결합 되면서 너트(168)에 결합되는 보울트(1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KR1020070002900A 2007-01-10 2007-01-10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KR10071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00A KR100717290B1 (ko) 2007-01-10 2007-01-10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00A KR100717290B1 (ko) 2007-01-10 2007-01-10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342A Division KR20070056538A (ko) 2005-11-30 2005-11-30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290B1 true KR100717290B1 (ko) 2007-05-15

Family

ID=3827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900A KR100717290B1 (ko) 2007-01-10 2007-01-10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18B1 (ko) * 2012-12-13 2013-07-10 강순석 가로등 지주의 강풍 내압장치
KR20200000157U (ko) * 2018-07-11 2020-01-21 이규순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985A (ja) * 1987-11-06 1989-09-21 Knight Jr John B 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985A (ja) * 1987-11-06 1989-09-21 Knight Jr John B 水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123698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18B1 (ko) * 2012-12-13 2013-07-10 강순석 가로등 지주의 강풍 내압장치
KR20200000157U (ko) * 2018-07-11 2020-01-21 이규순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KR200492774Y1 (ko) * 2018-07-11 2020-12-08 이규순 건축골조용 형강 연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960B1 (ko)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58830B1 (ko)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CN105256838A (zh) 管廊预制件及预制式综合管廊
KR1006658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장치
CN110872846A (zh) 一种装配式钢波纹综合管廊
KR100717290B1 (ko)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200409411Y1 (ko)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JP4033804B2 (ja) 鋼管柱の地際の腐食部補修装置と補修方法
JP5351605B2 (ja) 地中構造物
KR20070056538A (ko)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KR20100000979A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JP2007032042A (ja) 可撓継手構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可撓ジョイント
KR100707816B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101361660B1 (ko) 맨홀 조립체
JP5169924B2 (ja) 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並びに床版橋の構築方法
KR101059542B1 (ko) 맨홀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JP3902482B2 (ja) マンホールと配管との接続構造
KR200389206Y1 (ko) 연결구가 양단에 구성된 관
KR200205746Y1 (ko)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JPH04181088A (ja) 金属ベローズ付伸縮管継手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