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53Y1 -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53Y1
KR200492553Y1 KR2020190001628U KR20190001628U KR200492553Y1 KR 200492553 Y1 KR200492553 Y1 KR 200492553Y1 KR 2020190001628 U KR2020190001628 U KR 2020190001628U KR 20190001628 U KR20190001628 U KR 20190001628U KR 200492553 Y1 KR200492553 Y1 KR 200492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rizontal plate
rib
ho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75U (ko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202019000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5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스위치 노브가 스위치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평판이 형성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서 상기 수평판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푸쉬될 시 접점되는 스위치부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스위치 커버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하면을 덮고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외측에 상하로 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 노브를 당김 동작 시 상기 스위치부를 푸쉬하여 접점시키는 푸쉬돌기와,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판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A SHIFT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오디오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편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종 편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스위치 장치들이 설치된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기존의 스위치 장치는 편의 장치 부근에 설치되어 왔다. 이 경우, 운전자가 운전 중에 상기 스위치 장치까지 손을 뻗쳐서 상기 스위치 장치를 조작하여야 하였으므로, 주변을 주시하기가 곤란하여서 자동차 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각종 편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스위치 장치들이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서, 운전자는 운전 중에 주변을 그대로 주시한 채로, 상기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스위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처럼 운전자가 수동 조작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소위 "스포츠 모드"가 구현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스포츠 모드가 구현된 자동변속기는, 운전석의 일측에 마련된 변속 레버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고속단으로 변경되고, 변속 레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저속단으로 변경되도록 작동된다.
최근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에 상기 스포츠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어서, 운전자에게 접근 용이성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8549호(2016.05.09. 공고; 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차량의 패들 쉬프트 스위치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도 3을 참조하면, 패들 스위치 바디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손가락으로 당기는 부분인 패들 스위치 노브는 힌지 결합부를 통해 상기 패들 스위치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패들 스위치 바디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일 때, 상기 패들 스위치 노브는 상기 패들 스위치 바디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패들 스위치 노브를 당김 동작하면, 상기 패들 스위치 노브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도 3에서 도면부호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패들 스위치 노브에는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리에는 상기 패들 스위치 바디 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서, 상기 패들 스위치 노브는 상기 패들 스위치 바디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패들 스위치 노브가 상기 패들 스위치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고리 및 돌기의 결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스위치 노브가 스위치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평판이 형성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서 상기 수평판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푸쉬될 시 접점되는 스위치부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스위치 커버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하면을 덮고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외측에 상하로 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 노브를 당김 동작 시 상기 스위치부를 푸쉬하여 접점시키는 푸쉬돌기와,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판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를 향하는 상기 이탈방지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판이 삽입되는 회동제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동제한 홈의 상하두께는 상기 수평판의 상하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회동제한 홈의 상하두께와 상기 수평판의 상하두께의 차이만큼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기 일단부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힌지리브가 상하로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리브 및 상기 힌지리브 사이에 회동제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제한 돌기는 상기 스위치 노브를 사용자가 당길 시 상기 스위치 노브가 최대로 회동되기 전에 상기 수평판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일단부를 향하는 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에 가까워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판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판 각각은, 상면과 경사면이 상기 메인 리브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동제한 홈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판 및 상기 메인 리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푸쉬돌기, 상기 제2 관통홀, 상기 이탈방지리브, 상기 제3 관통홀 및 상기 힌지리브 각각은,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측면보다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는 테두리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 리브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바디의 내부에 수평판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스위치 노브에는 상기 수평판에 형성된 제2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수평판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가 상기 수평판에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 노브가 상기 스위치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중에서 스위치 바디 및 스위치 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중에서 스위치 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1)(2)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3)의 배면에 설치된다.
스티어링 휠(3)은 운전석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된 구성으로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조향을 위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즉, 자동차의 전진 중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좌우측 차륜이 좌측으로 회전되어서, 상기 자동차는 좌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후진 중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좌우측 차륜이 우측으로 회전되어서, 상기 자동차는 우회전될 수 있다.
운전자는 변속 스위치 장치(1)(2)를 조작하여 자동차에 설치된 자동변속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변속 스위치 장치(1)(2)는,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1 변속 스위치 장치(1)와,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 속도를 증가시키는 제2 변속 스위치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제1 변속 스위치 장치(1)에 포함된 스위치 노브를 한번 당길 때마다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 속도는 한단계씩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제2 변속 스위치 장치(2)에 포함된 스위치 노브를 한번 당길 때마다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 속도는 한단계씩 증가될 수 있다.
제1 변속 스위치 장치(1) 및 제2 변속 스위치 장치(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하 제2 변속 스위치 장치(2)만을 예로 들고, 명칭은 변속 스위치 장치(2)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중에서 스위치 바디 및 스위치 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중에서 스위치 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2)는, 스티어링 휠(3)의 배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바디(10)와, 스위치 바디(10) 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과, 스위치 바디(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당김 동작되는 스위치 노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는 상하면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은 스위치 커버(40)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의 내부에는 수평판(11)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은 수평판(1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에는 스위치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푸쉬될 시 인쇄회로기판(20)에 인쇄된 회로와 접점되어서, 인쇄회로기판(20)이 스위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된 러버 컨택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된 컨택트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스위치부는 푸쉬될 시 인쇄회로기판(20)에 인쇄된 회로와 접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면, 다양한 타입으로 실시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는 스위치 바디(10)에 일단부가 힌지(50) 결합되어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는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는 테두리 리브(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리브(31)는 스위치 바디(10)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11)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1 관통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는 제1 관통홀(12)을 관통하는 푸쉬돌기(32)가 형성될 수 있다.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30)를 당김 동작 시 푸쉬돌기(32)는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부를 푸쉬할 수 있다.
수평판(11)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2 관통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3)은 제1 관통홀(12)보다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는 제2 관통홀(13)을 관통하고 수평판(11)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33)는 수평판(11)에 걸림되어서, 스위치 노브(30)가 스위치 바디(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 커버(40)는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스위치 바디(10) 내로 삽입되어,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수평판(11)의 상면에는 체결보스(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14)는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까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1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지지리브(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은 체결보스(14) 및 지지리브(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체결보스(14) 및 지지리브(15) 각각은,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40)는 스크류(1)를 통해 체결보스(14)와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1)는 스위치 커버(40)의 상면에서부터 스위치 커버(40) 및 인쇄회로기판(20)에 각가 형성된 스크류 홀을 관통한 후 체결보스(14)에 형성된 스크류 홈으로 삽입되어서, 스위치 커버(40) 및 인쇄회로기판(20)을 체결보스(14)에 체결할 수 있다.
스크류(1)는 체결보스(14)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인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체결보스(14)에 하나씩 체결될 수 있다.
수평판(11)의 하면에는 체결보스(14)와 대응되는 부분에 볼록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14)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 홈은 볼록부(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40)의 하면에는 스크류(1)가 관통하는 스크류 홀이 내부에 형성된 링형의 가이드 리브(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41)는 체결보스(14)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41)는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40)의 하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연장리브(42)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리브(4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은 지지리브(15)에 접촉되고,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은 연장리브(42)에 접촉되어, 인쇄회로기판(20)은 지지리브(15) 및 연장리브(42) 사이에서 상하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는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타단부는 스위치 바디(10)의 측면보다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의 테두리의 크기는 스위치 노브(30)의 테두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위치 바디(10)는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는 스위치 바디(10)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테두리 리브(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리브(31)는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되고, 스위치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은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타단부를 향하는 이탈방지리브(33)의 일측에는, 수평판(11)이 삽입되는 회동제한 홈(33D)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제한 홈(33D)의 상하두께는 수평판(11)의 상하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30)는 회동제한 홈(33D)의 상하두께와 수평판(11)의 상하두께의 차이만큼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30)를 당김 동작하였을 시, 수평판(11)의 상면은 회동제한 홈(33D)의 상면에서 이격되고, 수평판(11)의 하면은 회동제한 홈(33D)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30)를 당김 동작 해제하였을 시, 수평판(11)의 상면은 회동제한 홈(33D)의 상면에 접촉되고, 수평판(11)의 하면은 회동제한 홈(33D)의 하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힌지(50)는 수평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스위치 바디(10)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일단부의 상면에는 힌지(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리브(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리브(34)는 힌지(50)의 양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리브(34)는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11)에는 힌지리브(34)가 상하로 관통하는 제3 관통홀(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통홀(17)은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리브(34)는 한 쌍의 제3 관통홀(17)을 하나씩 관통할 수 있다.
스위치 노브(30)의 상면에는 이탈방지리브(33) 및 힌지리브(34) 사이에 회동제한 돌기(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제한 돌기(35)는 스위치 노브(30)를 사용자가 당길 시 스위치 노브(30)가 최대로 회동되기 전에 수평판(11)의 하면에 접촉되어서, 스위치 노브(30)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10)를 당길 시 수평판(11)이 회동제한 홈(33D)의 바닥면에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33)는 한 쌍의 사이드 판(33A)과 메인 리브(33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판(33A)은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판(33A) 각각은 스위치 노브(30)의 일단부를 향하는 면이 경사면(33C)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3C)은 상측으로 갈수록 스위치 노브(30)의 타단부에 가까워지게 경사질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33)는 스위치 노브(30)의 일단부를 향하는 면이 경사면(33C)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30)를 당김 동작할 시 스위치 노브(30)가 스위치 바디(10)에 결합되어 있으려는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메인 리브(33B)는 한 쌍의 사이드 판(33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회동제한 홈(33D)은 한 쌍의 사이드 판(33A) 및 메인 리브(33B)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판(33A) 각각은, 상면과 경사면(33C)이 메인 리브(33B)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2) 및 푸쉬돌기(32) 각각은,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3) 및 이탈방지리브(33) 각각은, 힌지(5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관통홀(12)은 힌지(50)의 축방향으로 한 쌍의 제2 관통홀(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푸쉬돌기(32)는 힌지(50)의 축방향으로 한 쌍의 이탈방지리브(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3)의 배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바디(10)의 내부에 수평판(11)이 형성되고, 스위치 바디(10)에 일단부가 힌지(50) 결합되는 스위치 노브(30)에는 수평판(11)에 형성된 제2 관통홀(13)로 삽입되어 수평판(11)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33)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리브(33)가 수평판(11)에 걸림되기 때문에, 스위치 노브(30)가 스위치 바디(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스티어링 휠 10 : 스위치 바디
11 : 수평판 12 : 제1 관통홀
13 : 제2 관통홀 17 : 제3 관통홀
20 : 인쇄회로기판 30 : 스위치 노브
31 : 테두리 리브 32 : 푸쉬돌기
33 : 이탈방지리브 33A : 사이드 판
33B : 메인 리브 33C : 경사면
33D : 회동제한 홈 34 : 힌지리브
35 : 회동제한 돌기 40 : 스위치 커버
50 : 힌지

Claims (9)

  1.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평판이 형성되는 스위치 바디;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서 상기 수평판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푸쉬될 시 접점되는 스위치부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스위치 커버; 및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하면을 덮고,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외측에 상하로 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 노브를 당김 동작 시 상기 스위치부를 푸쉬하여 접점시키는 푸쉬돌기와,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판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를 향하는 상기 이탈방지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판이 삽입되는 회동제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제한 홈의 상하두께는 상기 수평판의 상하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회동제한 홈의 상하두께와 상기 수평판의 상하두께의 차이만큼 회동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기 일단부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힌지리브가 상하로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리브 및 상기 힌지리브 사이에 회동제한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회동제한 돌기는 상기 스위치 노브를 사용자가 당길 시 상기 스위치 노브가 최대로 회동되기 전에 상기 수평판의 하면에 접촉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4. 스티어링 휠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평판이 형성되는 스위치 바디;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서 상기 수평판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푸쉬될 시 접점되는 스위치부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스위치 커버; 및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하면을 덮고,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외측에 상하로 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 노브를 당김 동작 시 상기 스위치부를 푸쉬하여 접점시키는 푸쉬돌기와,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판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일단부를 향하는 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에 가까워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리브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판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리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를 향하는 상기 이탈방지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판이 삽입되는 회동제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판 각각은, 상면과 상기 경사면이 상기 메인 리브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회동제한 홈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판 및 상기 메인 리브에 형성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푸쉬돌기, 상기 제2 관통홀, 상기 이탈방지리브, 상기 제3 관통홀 및 상기 힌지리브 각각은, 상기 힌지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부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측면보다 돌출 배치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상면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는 테두리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리브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KR2020190001628U 2019-04-19 2019-04-19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KR200492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28U KR200492553Y1 (ko) 2019-04-19 2019-04-19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28U KR200492553Y1 (ko) 2019-04-19 2019-04-19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75U KR20200002375U (ko) 2020-10-28
KR200492553Y1 true KR200492553Y1 (ko) 2020-11-04

Family

ID=7300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28U KR200492553Y1 (ko) 2019-04-19 2019-04-19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53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832A (ja) 2000-12-01 2002-06-11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4158295A (ja) 2002-11-06 2004-06-03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9202831A (ja) 2008-02-29 2009-09-10 Toyota Motor Corp 変速操作部材の組付け方法、操舵ハンドルおよび変速操作部材
JP2010244858A (ja) 2009-04-06 2010-10-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1514730B1 (ko) 2013-12-13 2015-04-23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패들 쉬프트 스위칭 장치
KR101618549B1 (ko) 2014-12-01 2016-05-09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패들 쉬프트 스위치 어셈블리
EP2913562B1 (de) 2014-02-24 2017-04-12 paragon AG Lenkradschaltvorrichtung zur Auslösung von Schaltvorgängen in einem Fahrzeug
KR101839820B1 (ko) * 2018-01-25 2018-03-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버튼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32289T2 (de) * 2000-12-01 2008-05-08 Alps Electric Co., Ltd. Fahrzeugmontierter Lenkschalter
KR101133856B1 (ko) * 2009-09-14 2012-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110130251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의 변속스위치
KR20160081516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패들 스위치 어셈블리
KR20190018277A (ko) * 2017-08-14 2019-02-22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832A (ja) 2000-12-01 2002-06-11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4158295A (ja) 2002-11-06 2004-06-03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9202831A (ja) 2008-02-29 2009-09-10 Toyota Motor Corp 変速操作部材の組付け方法、操舵ハンドルおよび変速操作部材
JP2010244858A (ja) 2009-04-06 2010-10-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1514730B1 (ko) 2013-12-13 2015-04-23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패들 쉬프트 스위칭 장치
EP2913562B1 (de) 2014-02-24 2017-04-12 paragon AG Lenkradschaltvorrichtung zur Auslösung von Schaltvorgängen in einem Fahrzeug
KR101618549B1 (ko) 2014-12-01 2016-05-09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패들 쉬프트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39820B1 (ko) * 2018-01-25 2018-03-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버튼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75U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7935A (en) Brake operated shift lock
KR20210125733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6349616B1 (en) Steering system
KR101703143B1 (ko)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CN108528416B (zh) 适用于车辆的可调制动器设备
US20050077159A1 (en) Remote control button assembly built i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US20150274248A1 (en) Operation device of straddle type vehicle
US9656546B2 (en) Vehicle shifter fluid diverter system
JP5752876B2 (ja) 車両のリアウインドウまたはトランクを開けるための装置
KR200492553Y1 (ko)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JP2020075676A (ja) シフト装置
KR101618549B1 (ko) 차량의 패들 쉬프트 스위치 어셈블리
JP5340251B2 (ja) スイッチ装置
WO2021075301A1 (ja) ドア開閉検出装置及びドア開閉装置
JP2019123432A (ja) シフト装置
KR100921081B1 (ko)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CN104278900B (zh) 用于车门的短距下落机构
KR20110130251A (ko) 자동차의 변속스위치
JPH11321368A (ja) 変速操作装置
JP2011162997A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装置
JP2006306189A (ja) シフトレバー構造
JP2023168904A (ja) シフト装置
KR20130061903A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JP2019018595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877959B1 (ko) 이중 디텐트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