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081B1 -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 Google Patents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081B1
KR100921081B1 KR1020070071734A KR20070071734A KR100921081B1 KR 100921081 B1 KR100921081 B1 KR 100921081B1 KR 1020070071734 A KR1020070071734 A KR 1020070071734A KR 20070071734 A KR20070071734 A KR 20070071734A KR 100921081 B1 KR100921081 B1 KR 10092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roller
extension bar
button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639A (ko
Inventor
김응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81B1/ko
Priority to US11/942,434 priority patent/US7939775B2/en
Publication of KR2009000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01H23/3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with stable centre positions and one or both end positions un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01H23/146Tumblers having a generally tubular or conical elongated shape, e.g. do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작부에 해당하는 버튼(20)과 감지부에 해당하는 디텍터(40)를 갖는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이 소개된다. 버튼(20)은 전자제어장치(10)의 전면 패널(11)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컨트롤러(21)와, 이 컨트롤러(21)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21)로부터 전자제어장치(10)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바(22)를 구비한다. 디텍터(40)는 연장바(22)과의 간섭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스위치(42)와, 스위치(42)의 회동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텍터 바디(41)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유닛은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공조제어장치, 버튼, 스위치

Description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Button Unit for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버튼유닛에 관한 것이다.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중앙부에는 오디오 기기나 공조장치의 제어를 위한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전자제어장치의 전면 패널에는 장치의 온/오프 및 동작 제어를 위한 버튼유닛이 설치된다.
일례로서, 도 1에는 공조제어장치(1)의 전면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전면 패널에는 버튼유닛(2,3)이 설치되며, 이들 버튼유닛(2,3)을 이용하여 풍량이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버튼유닛(2,3)의 상단을 누르면 풍량이나 온도가 증가하고, 하단을 누르면 반대로 감소한다. 이와 같은 버튼유닛(2,3)은 스프링의 압력이나 러버의 압축율을 이용하는데, 흔히 택(Tack) 스위치라고 불리운다.
참조 가능한 종래기술로는, JP2001-210192 A(2001.08.03), JP2001-266712 A(2001.09.28)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유닛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단가가 높아 차량 제조원가의 상승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버튼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은, 특징적인 구조의 버튼과 이 버튼의 동작을 감지하는 디텍터로 구성된다.
버튼은, 전자제어장치의 전면 패널에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트롤러와, 이 컨트롤러의 회동점으로부터 전자제어장치 내부로 연장되어 컨트롤러 회동시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선단에 포크부가 형성된 연장바를 구비한다.
디텍터는, 연장바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어 연장바과의 간섭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의 회동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텍터 바디를 구비한다.
스위치는 연장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례로서, 연장바의 선단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스위치 선단은 연장바와 간섭될 수 있도록 공간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바의 선단에는 분기된 포크부가 마련되며, 스위치 선단은 포크부의 브랜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연장바의 포크부와의 간섭시 포크부가 미끄러지면서 스위치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진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위치와 연장바 간의 간섭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선단측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컨트롤러에는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된 놉(21a)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는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컨트롤러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놉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디텍터 바디는 스위치의 회동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방식에 의해 불연속적인 접점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버튼 유닛의 구조를 간소하고 단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접점에 따른 전기적 신호값들은, 예를 들면 전기제어장치의 제어부로 송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은,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며, 응답성 또한 종래와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버튼유닛의 버튼(20)에 대하여 살펴본다.
버튼(20)은 브래킷(12)을 매개로 공조제어장치(10)의 전면 패널(11)에 설치된 컨트롤러(21)와, 공조제어장치(10) 내부로 연장된 연장바(22)로 구성된다. 버튼(20)은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여, 버튼(20)의 컨트롤러(21)를 상향시키면 연장바(22)는 하향되는 구조를 갖는다.
버튼(20)의 컨트롤러(21)는 브래킷(12) 내측에 설치되어 브래킷(12)의 개구부(미도시)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컨트롤러(21)의 외면에는 돌출된 놉(21a)이 형성된다. 놉(21a)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컨트롤러(21)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가로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다.
버튼(20)의 연장바(22)는 컨트롤러(21)의 후면, 특히 회동축(24)이 놓여진 부위로부터 공조제어장치(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컨트롤러(21) 회동시 컨트롤러(21)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컨트롤러(21) 하향시 연장바(22)는 상향되며, 컨트롤러(21) 상향시 연장바(22)는 하향된다. 연장바(22)의 선단에는 분기되어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브랜치를 갖는 포크부(23)가 마련되며, 이들 브랜치 사이의 공간부(23a)에 후술하는 스위치의 선단이 배치된다.
한편, 회동축(24)은 전면 패널(11) 혹은 이외의 공조제어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디텍터(40)에 대하여 살펴본다.
디텍터(40)는, 스위치(42)와 이 스위치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디텍터 바디(41)로 구성된다.
먼저, 스위치(42)는 포크부(23)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어 있어, 연장바(22)의 회동시 포크부(23)에 간섭될 수 있다. 연장바(22) 회동시 연장바(22)에 의해 스위치(42)는 회동축(44)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동된다. 회동방향은 연장바(22)의 회동방향과 동일하다. 이러한, 스위치(42)는 경사진 슬라이드부(42a)를 구비하며, 연장바(22)는 스위치(42)와의 간섭시 슬라이드부(42A) 위를 미끄러질 수 있다. 스위치(42)는 선단측으로 점차 폭이 좁아져서, 도 3에서 보듯이,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디텍터 바디(41)는 스위치(4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자, 스위치(42)의 회동각에 따라 여러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디텍터 바디(41)에는 회동축(44)이 설치되며, 스위치(42)의 회동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접점의 형성하기 위한 전로회로가 마련된다. 스위치(42)의 회동각에 따른 접점 형성을 위한 전기회로는 통상의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 접점은 리드(43)에 연결되어 있어, 각 접점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는 리드(43)에 연결된 공조제어장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또는 마이컴으로 송출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버튼유닛은, 스위치 1개로 버튼 조작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
도 1은 종래 버튼유닛이 전면 패널에 설치된 공조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유닛의 버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유닛의 디텍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유닛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유닛이 전면 패널에 설치된 공조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공조제어장치 11: 전면 패널
12: 브래킷 20,30: 버튼
21: 컨트롤러 21a: 놉
22: 연장바 23: 포크부
24, 44: 회동축 40: 디텍터
41: 디텍터 바디 42: 스위치
43: 리드

Claims (2)

  1. 삭제
  2. 차량 전자제어장치(10)의 전면 패널(11)에 상하방향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컨트롤러(21)와, 이 컨트롤러(21)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21)의 회동점으로부터 전자제어장치(10) 내부로 연장된 연장바(22)를 구비하는 버튼(20); 및
    상기 연장바(22)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어 연장바(22)과의 간섭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스위치(42)와, 이 스위치(4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42)의 회동각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텍터 바디(41)를 구비하는 디텍터(40);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바(22)의 선단에는 분기된 포크부(23)가 마련되며, 스위치(42) 선단은 포크부(23)의 상하방향 회동에 따라 간섭되어 수동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포크부(23)의 브랜치들 사이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42)는, 연장바(2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때 포크부(23)가 스위치(42) 위를 미끌어지면서 스위치(4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진 슬라이드부(42a)가 마련되어 그 측면 형상이 선단측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이며,
    상기 컨트롤러(21)는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놉(2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KR1020070071734A 2007-07-18 2007-07-18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KR10092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734A KR100921081B1 (ko) 2007-07-18 2007-07-18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US11/942,434 US7939775B2 (en) 2007-07-18 2007-11-19 Button unit for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734A KR100921081B1 (ko) 2007-07-18 2007-07-18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39A KR20090008639A (ko) 2009-01-22
KR100921081B1 true KR100921081B1 (ko) 2009-10-08

Family

ID=4026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734A KR100921081B1 (ko) 2007-07-18 2007-07-18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39775B2 (ko)
KR (1) KR100921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4851A (ja) * 2010-01-27 2011-08-11 Panasonic Corp スイッチ装置
JP5372251B2 (ja) * 2010-06-25 2013-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レバー装置および開閉検知装置
US20140262713A1 (en) * 2013-03-13 2014-09-18 Bby Solutions, Inc. Wall switch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920A (ja) * 1995-12-28 1997-07-15 Niles Parts Co Ltd 電子部品内蔵スイッチ装置
JPH1012099A (ja) 1996-06-18 1998-01-16 Hosiden Corp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H10269903A (ja) 1997-03-21 1998-10-09 Jewel Denshi Kk レバー式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3317578A (ja) 2002-04-26 2003-11-07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6066A1 (de) * 1990-08-17 1992-02-20 Abb Patent Gmbh Elektrischer tastwippscha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920A (ja) * 1995-12-28 1997-07-15 Niles Parts Co Ltd 電子部品内蔵スイッチ装置
JPH1012099A (ja) 1996-06-18 1998-01-16 Hosiden Corp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H10269903A (ja) 1997-03-21 1998-10-09 Jewel Denshi Kk レバー式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3317578A (ja) 2002-04-26 2003-11-07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39775B2 (en) 2011-05-10
US20090020401A1 (en) 2009-01-22
KR20090008639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290B2 (en)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 switch on steering wheel
JP5843283B2 (ja) 車両用入力装置
KR100921081B1 (ko)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JP3078389U (ja) ゲーム器のボタン装置
JP6302805B2 (ja) 位置検出装置
KR100921070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20180042517A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JP4046107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10256583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JP2001028221A (ja) 車載用入力装置
JPH08329790A (ja) タッチセンサ付き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2006079407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ユニット
JP4527788B2 (ja) 回動式スイッチ
JP2009301097A (ja) 節度装置
JP2013045503A (ja) 入力装置
JP4522467B2 (ja) 空調装置用操作装置
CN100418171C (zh) 汽车门窗电动开关
KR10251020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47318B1 (ko) 복합스위치 방식의 브로워스위치
KR101428114B1 (ko) 보조버튼을 구비한 햅틱 다이얼장치
CN213655859U (zh) 出水装置及其电容感应旋钮
JP2008251194A (ja) スイッチ装置
JP4379142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JP2019109976A (ja) 入力装置
JP4150559B2 (ja) 回動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