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28Y1 -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 Google Patents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28Y1
KR200492128Y1 KR2020180001209U KR20180001209U KR200492128Y1 KR 200492128 Y1 KR200492128 Y1 KR 200492128Y1 KR 2020180001209 U KR2020180001209 U KR 2020180001209U KR 20180001209 U KR20180001209 U KR 20180001209U KR 200492128 Y1 KR200492128 Y1 KR 200492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upport cap
fixing
insulating material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23U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생고뱅이소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이소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생고뱅이소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2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단열재 시공 시,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중에 의해 단열재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스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에 고정되는 지지캡; 및 지지캡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FASTENER FOR FIXING HEAT INSULATOR}
본 고안은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단열재 시공 시,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중에 의해 단열재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스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시,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내부로의 열유입을 적게 하기 위하여 단열재 공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단열재의 시공 시, 종래에는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 못을 박아 고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못의 면적이 적어 단열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시공 후 단열재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KR 20-0189515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재 시공 시,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중에 의해 단열재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에 고정되는 지지캡; 및 지지캡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지지캡은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중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가압부; 중공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평면부; 및 가압부와 평면부 간에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에 박히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고정핀은 내부가 비고 단열재에 박히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중공을 통과하는 첨단부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원통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부에 밀착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원통부의 외주면에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원통부의 타측 단부를 통해 원통부의 내부에 벽체에 박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원통부의 타측 단부에 원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덮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앵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는 1차로 지지캡이 단열재에 고정되고, 2차로 고정핀이 지지캡과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이중방식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대비 안정적으로 단열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캡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비해 단열재에 밀착되는 면적이 보다 넓게 확보되어 안정적으로 받쳐줌으로써 단열재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캡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를 통해 벽체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일측”은 도 1에 도시된 고정핀(120)이 지지캡(110)에 결합되는 방향이다.
이하,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100, 이하, ‘화스너’라 함)는 지지캡(110), 고정핀(120)을 포함한다.
상기 화스너(100)는 1차로 건물의 벽체(W)에 설치되는 단열재(10, 도 8 도시, 이하 같은 도면 참고)에 상기 지지캡(110)이 고정되고, 2차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이중방식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지지캡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지지캡의 저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캡(110)은 가압부(113), 평면부(112), 앵커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113)는 원형의 플레이트로써, 상기 고정핀(120)의 일측이 삽입되는 중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20)의 타측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12)는 상기 중공(1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113)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111)을 기준하여 상기 가압부(113)는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113a)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13)의 일면에는 상기 중공(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돌기(113b)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111)을 기준하여 상기 가압부(113)와 평면부(112)의 일면에는 상기 절개부(113a) 간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분할라인(L)이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부(113)에 상기 고정핀(120)의 밀착 시, 외력에 의해 상기 절개부(113a)가 일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가압돌기(113b)와 분할라인(L)이 견고히 단열재를 눌러줌으로써 단열재 시공 시 상기 지지캡(110)이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캡(110)의 회전억제 및 고정력을 보다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돌기(113b)는 상기 중공(1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113)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할라인(L)은 상기 중공(111)을 기준하여 방사방향으로 그 두께가 점차 감소되어 경사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단열재를 눌러주는 범위를 상기 가압부(113) 측으로 집중시켜 전술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앵커부(114)는 일측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113)와 평면부(112) 간에 돌출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앵커부(114)가 단열재에 박히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캡(110)이 단열재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부(114)는 상기 가압부(113)와 평면부(112) 간에 배치되는 연결부(114a), 상기 연결부(114a)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쐐기(11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캡(110)의 고정력을 보다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앵커부(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113)의 둘레를 따라 상기 분할라인(L) 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13)의 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돌기(113c)가 돌출형성되며, 후술되는 상기 고정핀(120)의 머리부(122)가 상기 결합돌기(113c)에 걸림으로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으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고정핀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120)은 상기 중공(111)에 삽입되어 단열재에 박히는 몸체부(121), 상기 몸체부(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113)에 밀착되는 머리부(1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21)는 내부가 빈 원통부(121a), 상기 고정핀(120)이 단열재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상기 원통부(121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첨단부(121b)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121a)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부(121a’)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121a’)를 통해 단열재에 박힌 상기 고정핀(120)이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첨단부(121b)는 고정부재(P)가 배치되는 지지부(121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P)가 상기 고정핀(120)으로부터 배출되어 벽체에 박히도록 상기 지지부(121b’)의 내부에 개방공(121b’’)이 형성된다.
즉, 별도의 타정공구가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P)를 격발하게 되면 상기 개방공(121b’’)을 통해 고정부재(P)의 일측이 외부로 배출되어 벽체에 박히게 되고, 머리부분인 타측이 상기 지지부(121b’)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P)는 콘크리트 못, 피스를 비롯하여 일정 강성을 띤 막대 형태의 소재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덮개부(122a)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2a)를 통해 상기 원통부(121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타정공구가 상기 원통부(121a)의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덮개부(122a)는 상기 원통부(121a)의 내측으로 꺾이게 되고, 상기 원통부(121a)로부터 분리될 시, 상기 덮개부(122a)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를 가리게 된다.
시공자가 상기 화스너(100)를 보다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상기 화스너(100)는 걸림돌기(13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돌기(130)는 상기 평면부(112)에 형성되는 캡측 돌기(131), 상기 머리부(122)에 형성되는 핀측 돌기(1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130)를 통해 시공자가 상기 지지캡(110)과 고정핀(120)을 보다 견고히 잡은 상태로 단열재 상 시공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단열재 시공의 완성도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화스너(100)는 단열재로부터 배출되는 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통기부(140)는 상기 중공(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첨단부(121b), 평면부(112), 가압부(113), 머리부(122)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141~144)을 포함한다.
즉, 단열재의 내부로부터 상기 첨단부측 통공(141)으로 유입되는 습기는 상기 원통부(121a)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단열재(10)의 측면에는 기공(12’)이 미세 타공된 방수부재(12)가 부착되며(도 8 도시), 상기 방수부재(12)에 상기 화스너(100)가 밀착된다.
즉, 상기 기공(12’)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기가 상기 평면부, 가압부, 머리부측 통공(142~144)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밀착부위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화스너를 통해 벽체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단열재(10)는 벽체(W)에 설치되는 기준트랙(20) 상에 배치되고, 우선 상기 지지캡(110)이 단열재(10)에 박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0)을 상기 지지캡(110)에 삽입하고 단열재(10)에 박게 되면 상기 머리부(122)가 상기 결합돌기(113c)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캡(110)과 고정핀(120)간 체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별도의 타정공구가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P)를 격발하게 되면 상기 개방공(121b’’)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P)의 일측이 외부로 배출되어 벽체(W)에 박히게 되고, 머리부분인 타측이 상기 지지부(121b’)에 걸리게 됨으로써 단열재(10)의 고정작업이 마무리된다.
이후, 인접한 단열재(10) 간 실링을 위해 테이핑(40) 작업이 진행되고, 단열재(10)의 측면에 마감재(30)를 설치함으로 단열재(10)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스너는 1차로 상기 지지캡(110)이 단열재에 고정되고, 2차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과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이중방식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대비 안정적으로 단열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캡(110)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비해 단열재에 밀착되는 면적이 보다 넓게 확보되어 안정적으로 받쳐줌으로써 단열재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110 : 지지캡
111 : 중공 112 : 평면부
113 : 가압부 114 : 앵커부
120 : 고정핀 121 : 몸체부
122 : 머리부 130 : 걸림돌기
131 : 캡측 돌기 132 : 핀측 돌기
140 : 통기부 141 : 첨단부측 통공
142 : 평면부측 통공 143 : 가압부측 통공
144 : 머리부측 통공

Claims (5)

  1.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에 고정되는 지지캡; 및
    상기 지지캡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중공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가압부와 평면부 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에 박히는 앵커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내부가 비고 상기 단열재에 박히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과하는 첨단부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상기 원통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 밀착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타측 단부를 통해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상기 벽체에 박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의 타측 단부에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덮개부가 형성되는 화스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화스너.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1209U 2018-03-20 2018-03-20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KR200492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09U KR200492128Y1 (ko) 2018-03-20 2018-03-20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09U KR200492128Y1 (ko) 2018-03-20 2018-03-20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3U KR20190002423U (ko) 2019-09-30
KR200492128Y1 true KR200492128Y1 (ko) 2020-08-12

Family

ID=6808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09U KR200492128Y1 (ko) 2018-03-20 2018-03-20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53B1 (ko) * 2020-05-20 2020-09-0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92194Y1 (ko) * 2020-06-24 2020-08-26 주식회사 탑시스템 이물질유입방지기능을 구비한 결로방지용 패시브 패스너
FR3140390A1 (fr) * 2022-09-29 2024-04-05 Fischer Dispositif d’entretoisement et ensembl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e parement sur un mu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244A (ja) * 2002-09-09 2004-04-02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シート類の押さえ固定用ワッシャ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15Y1 (ko) 2000-02-08 2000-07-15 주식회사그룹원 단열재 고정용 단열볼트
KR101195345B1 (ko) * 2011-03-25 2012-10-29 이기현 단열재 시공을 위한 벽체고정용 화스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244A (ja) * 2002-09-09 2004-04-02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シート類の押さえ固定用ワッシャ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3U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128Y1 (ko)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US9945414B1 (en) Thermal break washer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0486373Y1 (ko) 패널 고정용 볼트캡
US20150167294A1 (en) Concrete Insert
KR100741995B1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200423279Y1 (ko) 단열재용 인서트
WO2013122510A1 (ru) Дюб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х плит
US2840867A (en) Hollow building wall ventilating device
JP4871570B2 (ja) サッシ枠
EA029236B1 (ru) Дюб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х плит
JP4402981B2 (ja) 荷重受支持ブラケット
KR101825785B1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와샤
KR200394297Y1 (ko) 단열재용 인서트
JP3239129U (ja) ドリフトピンキャップ
JP6699997B2 (ja) 瓦固定用ねじ釘
JP4164875B2 (ja) 笠木
KR102501981B1 (ko) 우산형 데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
US20050206194A1 (en) Door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2248394B1 (ko)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3206Y1 (ko) 휀스 베이스의 이중지지구조
US20220186767A1 (en) Cap for waterproofing nail
JP2605261Y2 (ja) 幅 木
KR20210001954U (ko) 단열재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