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394B1 -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394B1 KR102248394B1 KR1020180032246A KR20180032246A KR102248394B1 KR 102248394 B1 KR102248394 B1 KR 102248394B1 KR 1020180032246 A KR1020180032246 A KR 1020180032246A KR 20180032246 A KR20180032246 A KR 20180032246A KR 102248394 B1 KR102248394 B1 KR 1022483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 wall
- insulator
- pressing
- insulat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491 glass wo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수분에 의한 단열재 부식 및 단열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에 배치되는 단열재; 단열재에 고정되는 지지캡과, 지지캡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화스너; 및 단열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단열재에 화스너를 고정하는 단계; 벽체에 상기 화스너를 고정하는 단계; 단열재를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수분에 의한 단열재 부식 및 단열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시,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내부로의 열유입을 적게 하기 위하여 단열재 공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단열재의 시공 시, 종래에는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 못을 박아 고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못의 면적이 적어 단열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시공 후 단열재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가 수분에 노출될 경우 단열재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어 부식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단열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에 의한 단열재 부식 및 단열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되는 기준트랙; 기준트랙에 올려져 벽체에 배치되는 단열재; 단열재에 고정되는 지지캡과, 지지캡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화스너; 및 단열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감재를 포함하고, 지지캡은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중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가압부; 중공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평면부; 및 가압부와 평면부 간에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에 박히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가압부와 평면부의 일면에는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절개부 간에 복수 개의 분할라인이 돌출형성되되,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방향으로 분할라인의 두께가 감소되어 분할라인에 경사가 형성되고, 고정핀은 내부가 비고 단열재에 박히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중공을 통과하는 첨단부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원통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부에 밀착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원통부의 타측 단부를 통해 원통부의 내부에 벽체에 박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단열재는 지름이 0.4~0.8mm이고, 개수가 15625~83000개인 기공이 미세 타공되며, 알루미늄 소재인 방수부재; 및 방수부재가 부착되고, 발수처리된 그라스울 소재인 섬유재를 포함하고, 인접한 단열재 간 테이핑 작업이 진행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1차로 지지캡이 단열재에 고정되고, 2차로 고정핀이 지지캡과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이중방식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대비 안정적으로 단열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캡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비해 단열재에 밀착되는 면적이 보다 넓게 확보되어 안정적으로 받쳐줌으로써 단열재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고, 노출된 수분을 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부식 및 단열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를 통해 복사열이 차단될 수 있어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지지캡의 평면도,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시스템의 시공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S11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S12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S13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S15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설치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이다.(단위 : mm)
도 2 내지 도 4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지지캡의 평면도,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시스템의 시공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S11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S12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S13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S15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설치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이다.(단위 : mm)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일측”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핀(120)이 지지캡(110)에 결합되는 방향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열시스템은 기준트랙(20), 단열재(10), 화스너(100), 마감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트랙(20)은 상기 단열재(10)가 건물의 벽체(W)에 배치되는 위치 기준을 설정하고, 상기 단열재(10)가 올려져 받쳐주는 받침대의 기능이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준트랙(20)의 양측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이 중 일측은 고정부재에 의해 벽체(W)에 고정되며, 타측은 인접한 상기 단열재(10)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어 상기 단열재(10)의 배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콘크리트 못을 비롯한 공지의 고정부재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0)는 섬유재(11), 방수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재(11)는 공지의 인조섬유가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 중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상기 섬유재(11)는 그라스울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섬유재(11)는 발수처리가 되어 건물의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원인이 개발한 섬유재 1 내지 3이 KS에서 2014년에 신설된 단/장기 흡수성 기준을 통과하였으며, 상기 섬유재(11)의 발수성능이 입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출원인이 개발한 섬유재의 내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 단기 흡수성(Kg/m2) | 장기 흡수성(Kg/ m2) | ||
측정값 | KS 기준 | 측정값 | KS 기준 | |
섬유재 1 | 0.24 | 1.0 | 0.39 | 3.0 |
섬유재 2 | 0.24 | 0.39 | ||
섬유재 3 | 0.20 | 0.39 |
구분 | 밀도(kg/㎥) | 열전도율(W/m.K, 20℃) | 열간수축온도(℃) |
섬유재 1 | 48 | 0.032 | 487 |
섬유재 2 | 48 | 0.033 | 487 |
섬유재 3 | 40 | 0.034 | 401 |
구분 | 밀도(kg/㎥) | 두께(mm) | 폭(m) | 길이(m) |
섬유재 1 | 48 | ~125 | 1 | 1~2 |
섬유재 2 | 48 | ~160 | 1 | 1~2 |
섬유재 3 | 40 | ~200 | 1 | 1~2 |
상기 방수부재(12)는 외부로부터 상기 섬유재(11)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기능과, 노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투습기능이 포함되는 구성이다.
전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부재(12)는 복수 개의 기공(12’)이 미세 타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섬유재(11)의 측면에 부착된다.
즉, 물방울보다 작은 미세 타공으로 형성된 상기 기공(12’)을 통해 1차적으로 우천과 같은 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상기 섬유재(11)를 보호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수분에 노출된 상기 섬유재(11)로부터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12)는 알루미늄 소재가 사용됨으로써, 이를 통해 복사열이 차단될 수 있어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일반 방수부재(비교예)와 출원인이 개발한 방수부재 1 내지 3의 실험데이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비교예와 방수부재 1 내지 3은 7micron Al이 공통적으로 포함되고, 방수부재 1 내지 3은 순차적으로 Felt 30g, 40g, 40g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방수부재 2 및 3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10g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방수부재 1 내지 3의 타공 지름([Φ](mm))은 순차적으로 0.8, 0.8, 0.4이며, 타공 개수(EA/m2)는 순차적으로 10000, 15625, 83000이다.
비교예 | 방수부재 1 | 방수부재 2 | 방수부재 3 |
122.8 | 75.6 | 113.0 | 119.8 |
비교예 | 방수부재 1 | 방수부재 2 | 방수부재 3 |
68.3 | 599 | 712 | 608 |
비교예 | 방수부재 1 | 방수부재 2 | 방수부재 3 | |
길이 | 61.2 | 37.7 | 68.3 | 70.0 |
폭 | 42.6 | 21.8 | 49.8 | 42.6 |
비교예 | 방수부재 1 | 방수부재 2 | 방수부재 3 |
0.4 미만 | 96 | 334 | 878 |
■ 실험조건
- 투습컵의 면적 : 0.00283m2
- 투습컵의 높이 : 25mm
- 흡습제 : 염화칼??
- 장치 내 온도 : (38 ± 1) ℃
- 장치 내 습도 : (90 ± 2) %
비교예 | 방수부재 1 | 방수부재 2 | 방수부재 3 | |
길이 | -0.1 | -0.1 | -0.1 | +0.1 |
폭 | -0.1 | -0.1 | +0.1 | -0.1 |
■ 실험조건 : (93 ± 2) ℃, 15분 처리후 23 ℃, 50% R.H., 1시간 방치
전술된 실험데이터를 통해 방수부재 1 내지 3이 일반 방수부재보다 총 질량 대비 강도 및 투습 성능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투습 성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방수부재 타공 지름은 0.4~0.8, 타공 개수는 15625~8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지지캡의 평면도,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핀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스너(100)는 지지캡(110), 고정핀(120)을 포함한다.
상기 화스너(100)는 1차로 벽체(W)에 설치되는 단열재(10)에 상기 지지캡(110)이 고정되고, 2차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이중방식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캡의 평면도이고,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캡의 저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캡(110)은 가압부(113), 평면부(112), 앵커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113)는 원형의 플레이트로써, 상기 고정핀(120)의 일측이 삽입되는 중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20)의 타측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12)는 상기 중공(1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113)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111)을 기준하여 상기 가압부(113)는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113a)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13)의 일면에는 상기 중공(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돌기(113b)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111)을 기준하여 상기 가압부(113)와 평면부(112)의 일면에는 상기 절개부(113a) 간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분할라인(L)이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부(113)에 상기 고정핀(120)의 밀착 시, 외력에 의해 상기 절개부(113a)가 일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가압돌기(113b)와 분할라인(L)이 견고히 단열재를 눌러줌으로써 단열재 시공 시 상기 지지캡(110)이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캡(110)의 회전억제 및 고정력을 보다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돌기(113b)는 상기 중공(1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113)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할라인(L)은 상기 중공(111)을 기준하여 방사방향으로 그 두께가 점차 감소되어 경사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단열재를 눌러주는 범위를 상기 가압부(113) 측으로 집중시켜 전술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앵커부(114)는 일측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113)와 평면부(112) 간에 돌출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앵커부(114)가 단열재에 박히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캡(110)이 단열재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부(114)는 상기 가압부(113)와 평면부(112) 간에 배치되는 연결부(114a), 상기 연결부(114a)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쐐기(11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캡(110)의 고정력을 보다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앵커부(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113)의 둘레를 따라 상기 분할라인(L) 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13)의 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돌기(113c)가 돌출형성되며, 후술되는 상기 고정핀(120)의 머리부(122)가 상기 결합돌기(113c)에 걸림으로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으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고정핀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120)은 상기 중공(111)에 삽입되어 단열재에 박히는 몸체부(121), 상기 몸체부(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113)에 밀착되는 머리부(1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21)는 내부가 빈 원통부(121a), 상기 고정핀(120)이 단열재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상기 원통부(121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첨단부(121b)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121a)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부(121a’)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121a’)를 통해 단열재에 박힌 상기 고정핀(120)이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첨단부(121b)는 고정부재(P)가 배치되는 지지부(121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P)가 상기 고정핀(120)으로부터 배출되어 벽체에 박히도록 상기 지지부(121b’)의 내부에 개방공(121b’’)이 형성된다.
즉, 별도의 타정공구(M, 도 14 도시, 이하 동일도면 참고)가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P)를 격발하게 되면 상기 개방공(121b’’)을 통해 고정부재(P)의 일측이 외부로 배출되어 벽체에 박히게 되고, 머리부분인 타측이 상기 지지부(121b’)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P)는 콘크리트 못, 피스를 비롯하여 일정 강성을 띤 막대 형태의 소재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덮개부(122a)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2a)를 통해 상기 원통부(121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타정공구(M)가 상기 원통부(121a)의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덮개부(122a)는 상기 원통부(121a)의 내측으로 꺾이게 되고, 상기 원통부(121a)로부터 분리될 시, 상기 덮개부(122a)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를 가리게 된다.
시공자가 상기 화스너(100)를 보다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상기 화스너(100)는 걸림돌기(13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돌기(130)는 상기 평면부(112)에 형성되는 캡측 돌기(131), 상기 머리부(122)에 형성되는 핀측 돌기(1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130)를 통해 시공자가 상기 지지캡(110)과 고정핀(120)을 보다 견고히 잡은 상태로 단열재 상 시공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단열재 시공의 완성도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화스너(100)는 단열재로부터 배출되는 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기부(140)는 상기 중공(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첨단부(121b), 평면부(112), 가압부(113), 머리부(122)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141~144)을 포함한다.
즉, 단열재의 내부로부터 상기 첨단부측 통공(141)으로 유입되는 습기는 상기 원통부(121a)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열재(10)의 측면에는 기공(12’)이 미세 타공된 방수부재(12)가 부착되며, 상기 방수부재(12)에 상기 화스너(100)가 밀착된다.
즉, 상기 기공(12’)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기가 상기 평면부, 가압부, 머리부측 통공(142~144)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밀착부위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된 상기 단열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단열시스템의 시공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S11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S12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S13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며,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S15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시스템은 우선, 상기 단열재(10)를 준비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부재(12)에 미세 타공하여 상기 기공(12’)을 형성하고(S111), 상기 섬유재(11)의 측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방수부재(12)를 부착한다.(S112)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재(11)는 발수처리된 그라스울 소재가 사용됨으로써 건물의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12)에 물방울보다 작은 상기 기공(12’)이 미세 타공됨으로써, 상기 기공(12’)을 통해 1차적으로 우천과 같은 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상기 섬유재(11)를 보호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수분에 노출된 상기 섬유재(11)로부터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소재인 상기 방수부재(12)를 통해 복사열이 차단될 수 있어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후, 벽체(W)에 상기 단열재(10)를 배치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못을 비롯한 공지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벽체(W)에 상기 기준트랙(20)을 설치하고(S121), 상기 기준트랙(20) 상에 상기 단열재(10)를 배치한다.(S122)
여기서, 상기 단열재(10)는 나이프와 같은 전용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일정크기만큼 잘라내고 순차적으로 상기 기준트랙(20) 상에 배치된다.
이 후, 단열재(10)에 상기 화스너(100)를 고정한다.(S130)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설치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상기 단열재(10)에 상기 앵커부(114)를 박아서 상기 지지캡(110)을 고정하고(S131), 상기 중공(111)에 상기 고정핀(120)을 삽입하여(S132) 상기 단열재(10)에 상기 고정핀(120)을 박는다.(S133)
이 때, 상기 머리부(122)가 상기 가압부(113)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돌기(113c)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캡(110)과 고정핀(120) 간 결합이 완료된다.
이 후, 벽체(W)에 상기 화스너(100)를 고정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정공구(M)가 상기 원통부(121a)의 타측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P)를 격발하게 되면 상기 개방공(121b’’)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P)의 일측이 외부로 배출되어 벽체(W)에 박히게 되고, 머리부분인 타측이 상기 지지부(121b’)에 걸리게 됨으로써 단열재(10)의 고정작업이 마무리된다.
여기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스너(100)의 고정력이 상기 단열재(10) 상에 고루 적용되기 위하여, 상기 화스너(100)는 상기 단열재(10)의 모서리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단열재(10)의 크기가 1000mm*1000mm인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화스너(100)는 상기 단열재(10)에 4개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상기 단열재(10)의 크기가 1000mm*2000mm인 경우를 기준하여 상기 화스너(100)는 상기 단열재(10)에 6개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단열재(10)를 마감한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상기 단열재(10) 간 실링을 위해 테이핑(40) 작업이 진행되어 열교 및 습기의 침투를 최소화하고(S151), 상기 단열재(10)의 측면에 상기 마감재(30)를 설치함으로 상기 단열재(10)의 시공이 마무리된다.(S152)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1차로 상기 지지캡(110)이 상기 단열재(10)에 고정되고, 2차로 상기 고정핀(120)이 상기 지지캡(110)과 단열재(10)를 관통하여 벽체(W)에 고정되는 이중방식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대비 안정적으로 상기 단열재(10)를 벽체(W)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캡(110)을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못에 비해 상기 단열재(10)에 밀착되는 면적이 보다 넓게 확보되어 안정적으로 받쳐줌으로써 상기 단열재(10)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1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고, 노출된 수분을 상기 기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부식 및 단열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10)를 통해 복사열이 차단될 수 있어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 : 벽체 10 : 단열재
11 : 섬유재 12 : 방수부재
100 :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110 : 지지캡
111 : 중공 112 : 평면부
113 : 가압부 114 : 앵커부
120 : 고정핀 121 : 몸체부
122 : 머리부 130 : 걸림돌기
131 : 캡측 돌기 132 : 핀측 돌기
140 : 통기부 141 : 첨단부측 통공
142 : 평면부측 통공 143 : 가압부측 통공
144 : 머리부측 통공
11 : 섬유재 12 : 방수부재
100 :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110 : 지지캡
111 : 중공 112 : 평면부
113 : 가압부 114 : 앵커부
120 : 고정핀 121 : 몸체부
122 : 머리부 130 : 걸림돌기
131 : 캡측 돌기 132 : 핀측 돌기
140 : 통기부 141 : 첨단부측 통공
142 : 평면부측 통공 143 : 가압부측 통공
144 : 머리부측 통공
Claims (5)
- 벽체에 고정되는 기준트랙;
상기 기준트랙에 올려져 상기 벽체에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에 고정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과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화스너; 및
상기 단열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감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캡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중공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가압부와 평면부 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에 박히는 앵커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와 평면부의 일면에는 상기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상기 절개부 간에 복수 개의 분할라인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중공을 기준하여 방사방향으로 상기 분할라인의 두께가 감소되어 상기 분할라인에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내부가 비고 상기 단열재에 박히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과하는 첨단부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상기 원통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 밀착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의 타측 단부를 통해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상기 벽체에 박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는,
지름이 0.4~0.8mm이고, 개수가 15625~83000개인 기공이 미세 타공되며, 알루미늄 소재인 방수부재; 및
상기 방수부재가 부착되고, 발수처리된 그라스울 소재인 섬유재;
를 포함하고,
인접한 상기 단열재 간 테이핑 작업이 진행되는 단열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246A KR102248394B1 (ko) | 2018-03-20 | 2018-03-20 |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246A KR102248394B1 (ko) | 2018-03-20 | 2018-03-20 |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366A KR20190110366A (ko) | 2019-09-30 |
KR102248394B1 true KR102248394B1 (ko) | 2021-06-10 |
Family
ID=6809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2246A KR102248394B1 (ko) | 2018-03-20 | 2018-03-20 |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839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220B1 (ko) * | 2013-07-31 | 2014-05-30 | 신용판 |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1453960B1 (ko) * | 2012-12-12 | 2014-10-22 |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 건축물의 외단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680117B1 (ko) * | 2016-08-08 | 2016-12-12 | 정성모 |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9230B2 (ja) * | 1994-07-19 | 1998-12-16 |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 屋根用断熱材及び屋根の断熱構造 |
KR200189515Y1 (ko) | 2000-02-08 | 2000-07-15 | 주식회사그룹원 | 단열재 고정용 단열볼트 |
KR101195345B1 (ko) * | 2011-03-25 | 2012-10-29 | 이기현 | 단열재 시공을 위한 벽체고정용 화스너 |
KR101861204B1 (ko) * | 2016-07-13 | 2018-07-05 | 한국세라믹기술원 |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경량 내화성 발포 세라믹 단열재의 제조 및 시공방법 |
-
2018
- 2018-03-20 KR KR1020180032246A patent/KR1022483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960B1 (ko) * | 2012-12-12 | 2014-10-22 |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 건축물의 외단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402220B1 (ko) * | 2013-07-31 | 2014-05-30 | 신용판 |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1680117B1 (ko) * | 2016-08-08 | 2016-12-12 | 정성모 |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366A (ko) | 2019-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74545B2 (en) |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 |
US6367219B1 (en) | Building cavity assembly | |
US20190186147A1 (en) | Flashing device assembly | |
US20040200171A1 (en) | Exterior building cladding having rigid foam layer with drain channels | |
US8101259B2 (en) |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 |
US9592529B2 (en) | Weather resistive barrier with drainage surface | |
US20190345713A1 (en) | Ventilated and draining foam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construction | |
US5867956A (en) | Integral roof ventilation baffle and insulation | |
US20120090266A1 (en) | Radiant insulating, venting and moisture control assembly | |
KR102248394B1 (ko) | 단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492128Y1 (ko) |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 |
US4776142A (en) | Method of installing a radiant barrier | |
GB2051910A (en) | Roofing | |
KR102014000B1 (ko) | 대나무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벽체 | |
US9157237B2 (en) | Roof tile crown support | |
KR101218326B1 (ko) | 열반사 단열재 | |
DK1960613T3 (da) | Metode til sanering af et fladt og/eller fladt skrånende tag på en bygning | |
KR102036435B1 (ko) | 발포 세라믹 단열재용 고정앙카 및 그 고정앙카를 이용한 발포 세라믹 단열재 시공구조 | |
KR102017088B1 (ko) | 초단열 시공방법 및 그 단열구조 | |
JP4936360B2 (ja) | 断熱パネルおよび屋根裏の断熱構造 | |
JP4226728B2 (ja) | リフォーム用屋根葺き断熱材 | |
JPS6143857Y2 (ko) | ||
JP2016199892A (ja) | 屋根材 | |
JP4155678B2 (ja) | 外壁改修構造 | |
KR20230000248A (ko) | 단열기능이 강화된 탈부착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