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73Y1 - 패널 고정용 볼트캡 - Google Patents

패널 고정용 볼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73Y1
KR200486373Y1 KR2020170004550U KR20170004550U KR200486373Y1 KR 200486373 Y1 KR200486373 Y1 KR 200486373Y1 KR 2020170004550 U KR2020170004550 U KR 2020170004550U KR 20170004550 U KR20170004550 U KR 20170004550U KR 200486373 Y1 KR200486373 Y1 KR 200486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bolt
bolt insertion
protru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화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화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화금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 고정용 볼트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하부면에 탄성부재가 제공된 패널 고정용 볼트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은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삽입홀과, 그 하부면의 상기 볼트삽입홀 외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고정용 볼트캡{Bolt cap for fixing panel}
본 고안은 패널 고정용 볼트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하부면에 탄성부재가 제공된 패널 고정용 볼트캡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패널은 건축물의 내·외부 마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건축용 패널은 주로 시트 형태의 두 금속 판재 사이에 유리 섬유나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삽입하여 강성과 단열성을 동시에 구비하도록 제조한다. 이러한 건축용 패널은 주로 건물 내부나 외부 벽채 또는 지붕 등의 마감재로 이용되는데, 지붕에 사용될 경우에 특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빗물이나 적설에 따른 누수 현상이다.
통상적으로 지붕 마감재는 다수의 단위 패널을 격자 형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하는데, 특히 각 패널 사이의 연결부(즉, 패널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몸체부의 하부면에 양면 테이프를 붙여 스펀지를 고정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볼트삽입홀의 중심과 스펀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위치에 스펀지가 부착될 수 있어 시공시 손상이나 일정치 않은 고정 위치로 인한 스펀지의 방수기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양면 테이프의 약한 접착성 등으로 인해 스펀지의 부착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방수기능 저하의 우려가 있으며, 스펀지가 정위치에 부착되지 않아서 스펀지의 손상 우려도 있다.
한국등록특실용신안공보 제20-0222708호
본 고안은 몸체부의 하부면에 링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여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삽입한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은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삽입홀과, 그 하부면의 상기 볼트삽입홀 외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면의 상기 삽입홈 외측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돌출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하부면의 상기 삽입홈 외측에 제공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삽입홀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볼트삽입홀은, 볼트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수용홈; 및 상기 머리수용홈과 연통되며, 상기 볼트 머리보다 폭이 좁은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수용홈의 바닥면은 상기 관통홀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볼트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홀을 개폐하는 돌출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마개와 상기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볼트삽입홀의 폐쇄시 서로 대응하는 면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탄성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마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측벽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패턴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그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홀의 둘레에 제공되는 돌출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테는 그 외측벽의 일부에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은 몸체부의 하부면에 링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여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홈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탄성부재를 항상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통한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가 탄성을 가져 삽입홈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밀착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아 방수기능의 저하 및 손상의 우려가 적다.
또한, 몸체부 하부면의 삽입홈 외측에 링 형상의 돌출라인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거나 패킹부재를 제공하여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볼트삽입홀을 머리수용홈과 관통홀로 구성하여 금속 와셔(washer)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금속 와셔를 삽입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노출에 의한 금속 와셔의 녹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나타낸 그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이용한 패널 고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의 장착을 나타낸 하부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나타낸 그림으로, 도 1(a)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은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삽입홀(111)과, 그 하부면의 상기 볼트삽입홀(111) 외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삽입홈(112)을 포함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덮개부(120); 및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널(10) 간의 결합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지닐 수 있고, 양측으로 경사진 날개(110a)가 각각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사다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10)의 소재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10)의 소재는 금속 등 플라스틱 이외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형상은 패널(10) 결합부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원형, 직사각형(또는 일자형) 등일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삽입홀(111)과 그 하부면의 볼트삽입홀(111) 외측에 형성된 링(ring) 형상의 삽입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삽입홀(111)은 몸체부(1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패널(10) 결합부에 체결되는 볼트(20)가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볼트삽입홀(111)은 원형일 수 있으며, 볼트삽입홀(111)의 내부에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홀을 형성하여 볼트(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도 있다.
한편, 몸체부(110)는 양측으로 날개(110a)가 형성될 수 있고, 날개(110a)는 몸체부(110)가 패널(10) 결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패널(10) 결합부의 형태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삽입홈(112)은 링 형상일 수 있고, 몸체부(110)의 하부면에서 볼트삽입홀(11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은 원형, 타원형의 링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 다각형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12)은 탄성부재(13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고, 탄성부재(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30)를 그 중심이 볼트삽입홀(111)의 중심에 맞도록 항상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130)를 통한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시 패널(10) 또는 탄성부재(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덮개부(120)를 열고 닫아 몸체부(110)의 상부면을 노출시키거나 덮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볼트삽입홀(111)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 부재(예를 들어, 경첩(hinge)이나 볼트 등의 수단)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덮개부(120)는 경우에 따라서 몸체부(110)와 분리된 형태로 착탈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와 덮개부(120)는 동일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몸체부(110)와 덮개부(1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호 절곡에 의하여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플라스틱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링 형상으로 삽입홈(112)에 삽입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해 삽입홈(112)의 내주면을 조여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3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링(O-ring)일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30)가 원형인 경우에는 볼트삽입홀(111)의 동심원 상에 탄성부재(13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30)는 볼트(20)를 조일 때에 찌그러지면서(또는 압축되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밀봉(sealing)하는 방식으로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패널(10) 결합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양면 테이프를 붙여 스펀지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볼트삽입홀(111)의 중심과 스펀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위치에 스펀지가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시 손상이나 일정치 않은 고정 위치로 인한 스펀지의 방수기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양면 테이프의 약한 접착성 등으로 인해 스펀지의 부착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방수기능 저하의 우려가 있으며, 스펀지가 정위치에 부착되지 않음으로 인한 스펀지의 손상 우려도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링 형상의 탄성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링 형상의 삽입홈(112)을 형성(또는 가공)하여 탄성부재(130)를 삽입홈(112)에 끼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몸체부(110)에 탄성부재(130)를 조립(또는 고정)할 수 있고, 종래의 스펀지를 고정하는 방식보다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2)에 탄성부재(130)를 삽입하여 탄성부재(130)를 항상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130)를 통한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30)가 탄성을 가져 삽입홈(112)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밀착될 수 있으며, 고무재질로 내구성이 높아 방수기능의 저하 및 손상의 우려가 적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이용한 패널 고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그 하부면의 삽입홈(112) 외측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돌출라인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라인부(113)는 원형, 다각형 등의 링 형상일 수 있고,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볼트삽입홀(111)을 포위하는(또는 두르는) 형태로 삽입홈(11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시공시 패널(10)에 접촉되어 밀착되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막아 빗물 등의 수분이 볼트삽입홀(111)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라인부(113)는 볼트삽입홀(111)의 주위를 포위한 상태에서 빗물 등이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볼트삽입홀(111)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가 패널(10) 위에 안치되면, 돌출라인부(113)가 패널(10)에 직접 접촉하여 밀착되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의 사이 틈새를 막아주게 됨으로써, 빗물 등이 볼트삽입홀(111)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라인부(113)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폭(또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스펀지만을 가지고 방수기능을 유지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몸체부(110) 하부면의 삽입홈(112) 외측에 링 형상의 돌출라인부(113)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라인부(113)와 탄성부재(130)에서 이중(또는 다중)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패널(10)에 밀착된 돌출라인부(113)에 1차적으로 빗물 등이 차단될 수 있고, 볼트(20)를 조일 때에 찌그러지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탄성부재(130)에 의해 2차적으로 방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은 이중(또는 다중)의 방수를 통해 방수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볼트삽입홀(111)은 볼트 머리(21)가 수용되는 머리수용홈(111a); 및 머리수용홈(111a)과 연통되며, 볼트 머리(21)보다 폭이 좁은 관통홀(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수용홈(111a)은 볼트 머리(21)가 수용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또는 홈)일 수 있다.
관통홀(111b)은 머리수용홈(111a)과 연통될 수 있으며, 볼트 머리(21)보다 폭이 좁을 수 있고, 볼트(20)의 나사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1b)은 머리수용홈(111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볼트(20)의 나사부는 관통홀(111b)을 통과하고 볼트 머리(21)는 머리수용홈(111a)의 바닥면에 걸리게 되어 금속 등의 와셔(washer)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셔를 삽입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금속 와셔가 불필요하여 장시간 노출(예를 들어, 공기 중 또는 수분의 장시간 노출)에 의한 금속 와셔의 녹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1b)의 길이는 머리수용홈(111a)의 깊이(또는 길이나 높이)보다 클(또는 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110) 중 볼트 머리(21)를 받치는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져 볼트 머리(21)를 안정적으로 지지(또는 지탱)할 수 있고, 볼트(20)의 체결시 볼트 머리(21)가 누르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트(20)의 체결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머리수용홈(111a)의 바닥면은 관통홀(111b)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머리수용홈(111a)으로 스며든 소량의 빗물 등이 있다고 하더라도 관통홀(111b)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머리수용홈(111a)의 측벽(즉,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 고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홀(111b)의 내부로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10)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머리(21)와 접촉되는 부분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함으로써, 볼트 머리(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볼트(20)의 체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경사진 머리수용홈(111a)의 바닥면은 와셔 없이 볼트(20)를 체결할 때에 볼트 머리(21)가 누르는 압력을 경사 방향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볼트(20)의 체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덮개부(120)는 볼트삽입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볼트삽입홀(111)을 개폐하는 돌출 마개(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마개(121)는 덮개부(120) 내면의 볼트삽입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볼트삽입홀(111)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20)의 내면은 몸체부(110)의 상부면이 덮개부(120)로 덮였을 때에 몸체부(110)의 상부면과 대향하는 덮개부(120)의 면일 수 있고, 볼트삽입홀(111)에 대응되는 위치는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에 돌출 마개(121)가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되거나 볼트삽입홀(111)의 외주면(예를 들어, 볼트삽입홀(111)의 외벽)에 끼워지는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마개(121)는 볼트삽입홀(111)의 내부(즉, 상기 머리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볼트삽입홀(111)의 외주면에 끼워져 볼트삽입홀(111)의 밀폐를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돌출 마개(121)의 형상은 볼트삽입홀(111)의 내주 또는 외주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볼트삽입홀(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볼트(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의 내부로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돌출 마개(121)와 몸체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볼트삽입홀(111)의 폐쇄시 서로 대응하는 면에 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마개(121)는 볼트삽입홀(111)의 폐쇄시에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되거나 볼트삽입홀(111)의 외주면에 끼워져 그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볼트삽입홀(111)의 내측면 또는 외주면(예를 들어, 돌출테의 외벽)과 서로 대응(또는 접촉)할 수 있으며, 서로 대응하는 면(예를 들어, 상기 돌출 마개의 외측면과 상기 볼트삽입홀의 내측면 또는 상기 돌출 마개의 내측면과 상기 볼트삽입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돌출부(114)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부(114)가 대응하는 면(또는 반대면)에 압착(또는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호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돌출 마개(121)와 몸체부(110)의 결합력(즉, 상기 덮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4)는 연성이거나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에 모두 돌출부(114)가 형성되거나 돌출부(114)가 형성된 면의 대응면(또는 반대면)에 돌출부(114)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또는 홈이나 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돌출부(114)가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에 걸리거나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돌출 마개(121)가 몸체부(110)에 결합(또는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에 모두 돌출부(114)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볼트삽입홀(111)의 폐쇄시에 놓이게 되는 각 돌출부(114)의 위치(또는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돌출부(114)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4)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오므라졌다가 펴지면서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리거나 그 대응하는 면에 압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4)가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를 거치거나(또는 지나가거나) 상기 오목부 이전의 구간을 지나가면서(또는 통과하면서) 오므라졌다가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를 통과한 후 또는 상기 오목부에 도달한 후에 펴지면서(또는 복원되면서)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에 걸리거나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또한, 그 대응하는 면에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에 의해 돌출부(114)가 압축되어 그 대응하는 면에 밀착될 수 있고, 상호 간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4)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삽입홀(111)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대응하는 면에 밀착되는 면적 또는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리는 면적을 늘려(또는 최대화하여) 돌출 마개(121)와 몸체부(11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 사이를 밀폐시켜 볼트삽입홀(111)의 내부로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덮여질 때에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돌출부(114)가 그 대응하는 면에 밀착되거나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덮개부(120)를 몸체부(1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바람 등에 의한 외부 충격 등으로 덮개부(120)가 쉽게 열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4)는 복수로 구성되어 요철(凹凸)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볼트삽입홀(111)의 상측 테두리 또는 돌출 마개(121)의 상단 테두리에는 경사 또는 굴곡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되는 곳(즉, 삽입홈)의 시작폭(또는 삽입이 시작되는 지점의 폭)이 넓어지거나 삽입되어지는 쪽(즉, 삽입체)의 시작폭이 좁아짐으로써, 돌출 마개(121)와 볼트삽입홀(111)의 조립이 잘 이루어질 수 있고, 작은 힘으로도 돌출 마개(121)를 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 마개(12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측벽부(121a)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측벽부(121a)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 마개(121)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볼트삽입홀(111)의 형상(즉, 상기 머리수용홈의 형상)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부(121a)는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오므라질 수 있고, 외측으로 펴지면서 벌어질 수 있으며, 내측으로 오므라지는 경우에는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될 수 있고,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우에는 볼트삽입홀(111)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측벽부(121a)는 연성이거나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유연할 수 있으며, 볼트삽입홀(111)의 형상에 따라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반면에, 측벽부(121a)가 너무 딱딱하거나 취성을 가지면 볼트삽입홀(111)의 내측면 또는 외주면(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이 손상되거나 측벽부(121a)가 부러지는 등 손상될 수 있다.
측벽부(121a)는 덮개부(120)의 내면에서 먼 단부(또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탄성에 의해 복수의 측벽부(121a)가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되거나 볼트삽입홀(11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경우에 몸체부(110)의 그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마개(121)가 복수의 측벽부(121a)에 의한 탄성에 의해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될 때에 오므라졌다가 그 대응하는 면의 돌출부(114)를 통과한 후 또는 상기 오목부에 도달한 후에 다시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턱이 그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릴 수 있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돌출 마개(121)가 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측벽부(121a)을 통해 돌출 마개(121)에 탄성을 제공하여 돌출 마개(121)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되거나 볼트삽입홀(111)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걸림턱을 통해 몸체부(110)의 그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리게 되어 돌출 마개(121)가 몸체부(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벽부(121a)와 상기 걸림턱을 통해 돌출 마개(121)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덮개부(120)와 몸체부(110)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고, 견고해질 수 있다.
돌출 마개(121)는 복수의 측벽부(121a)를 둘러 제공되는 탄성의 고리부재(1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재(121b)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측벽부(121a)의 외측 또는 내측을 둘러 제공되어 복수의 측벽부(121a)를 서로 이어(또는 연결시켜) 줄 수 있으며, 돌출부(114)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복수의 측벽부(121a)만 있는 경우에는 측벽부(121a)들 간의 틈새로 빗물 등이 스며들어 갈 수 있지만, 고리부재(121b)를 통해 측벽부(121a)들 간의 틈새를 막아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의 내부로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패널(10)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리부재(121b)는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고리부재(121b)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은 고리부재(121b)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과 몸체부(110)의 그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114) 또는 상기 오목부에 걸리는 기능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리부재(121b)는 탄성에 의해 복수의 측벽부(121a)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측벽부(121a)의 외측에 제공되고, 복수의 측벽부(121a)가 볼트삽입홀(11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몸체부(110)와 덮개부(1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호 간의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는 암수의 체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수의 체결 구조는 핀(pin)과 홀(hole)처럼 암 부재(예를 들어, 홀 또는 홈)에 수 부재(예를 들어, 핀)가 끼워지는 체결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그 상부면의 볼트삽입홀(111) 외측에 형성된 덮개고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덮개부(120)는 덮개고정부(115)에 체결(또는 고정)되는 체결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부(120)의 체결부재(122)가 몸체부(110)의 덮개고정부(115)에 체결되어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덮개고정부(115)는 몸체부(110) 상부면의 볼트삽입홀(111)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한 홈(groove)이나 홀 형상(예를 들어, 덮개고정홈)일 수도 있고, 돌출된 핀 형상의 삽입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22)는 덮개부(120) 내면의 덮개고정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덮개고정부(115)에 체결될 수 있으며, 덮개고정부(115)에 대응되어 핀 형상의 삽입체(예를 들어, 삽입돌출핀)일 수도 있고, 홈이나 홀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덮개고정부(115)와 체결부재(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걸이(hook)일 수 있으며, 체결부재(122)가 덮개고정부(115)에 걸려(예를 들어, 걸이가 고리에 걸리거나 고리가 걸이에 걸려) 서로 체결될 수 있고, 덮개고정부(115)와 체결부재(122)가 모두 걸이인 경우에는 서로 걸어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10)와 덮개부(120)는 복수의 결합 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이중(또는 다중)의 결합 구조일 수 있고, 복수의 결합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암수의 결합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와 덮개부(120)는 돌출 마개(121)와 볼트삽입홀(111) 및 상기 체결 구조의 이중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돌출 마개(121)와 볼트삽입홀(111)에 의해 1차적으로 덮개부(120)가 고정되고 추가적으로 덮개고정부(115)와 체결부재(122) 등의 상기 체결 구조에 의해 덮개부(120)가 고정됨으로써, 덮개부(120)가 이중으로 고정(또는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결합 구조(예를 들어, 이중의 결합 구조)에 의해 더욱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몸체부(110)와 덮개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덮개고정부(115)가 덮개고정홈이고 체결부재(122)가 삽입돌출핀인 경우에는 돌출 마개(121)보다 체결부재(122)가 더 길게 가공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시에 체결부재(122)가 덮개고정부(115)에 먼저 체결되고, 체결부재(122)보다 외경이 큰 돌출 마개(121)가 볼트삽입홀(111)에 조립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즉, 덮개고정부(115)와 체결부재(122)는 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시에 몸체부(110)의 중심과 덮개부(120)의 중심을 맞춰 한 번에 힘을 가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그 하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패턴지지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지지부(116)는 몸체부(110) 하부면의 일부가 소정 패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패널(10)에 접촉될 수도 있다. 패턴지지부(116)의 적어도 일부가 패널(10)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몸체부(110)가 패널(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하부면이 평탄면인 경우에는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하거나 마찰전기에 의한 척력이 발생하여 몸체부(110)가 패널(10)에 밀착될 수 없으며, 볼트(20)를 체결할 때에 볼트 머리(21)가 누르는 압력이 효율적으로 분산되지 못하여 몸체부(110) 하부면의 중심부만 누르게 됨으로써 몸체부(110) 하부면의 가장자리부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몸체부(110)의 하부면이 전반적으로 패널(10)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없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패턴지지부(116)를 통해 슬립이 발생하거나 마찰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면서 볼트(20)를 체결할 때에 볼트 머리(21)가 누르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몸체부(110)의 하부면 일부가 들뜨지 않고 몸체부(110)의 하부면이 전반적으로 패널(1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패턴지지부(116)는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돌출라인부(113)가 형성되는 경우에 돌출라인부(113)와의 높이차를 줄여(또는 최소화하여) 몸체부(110)가 패널(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돌출라인부(113)가 형성된 경우에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돌출라인부(113)의 높이차가 크게 되면, 돌출라인부(113)만으로 몸체부(110)를 지탱하여야 하므로, 몸체부(110)가 패널(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볼트(20)를 체결할 때에 볼트 머리(21)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휨 등 몸체부(110) 하부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패턴지지부(116)에 의해 돌출라인부(113)와의 높이차가 줄어들어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볼트(20)를 체결할 때에 볼트 머리(21)가 누르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거나 적어도 일부가 패널(10)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10)가 패널(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몸체부(110) 하부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패턴지지부(116)는 돌출라인부(113)의 양측에서 돌출라인부(113)를 받쳐(또는 지지해) 줌으로써, 돌출라인부(113)의 변형이나 손상(예를 들어, 부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고, 돌출라인부(113)가 몸체부(110)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패턴지지부(116)는 라인 패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높이가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턴지지부(116)는 볼트삽입홀(111)에 가까운 부분은 높이가 높고 볼트삽입홀(111)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턴지지부(116)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촘촘히 하여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으며, 외관적으로 안정적이게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은 몸체부(110) 하부면의 삽입홈(112) 외측에 제공되는 패킹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140)는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또는 부착)될 수 있고, 삽입홈(11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시공시 패널(10)에 접촉되어 밀착되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막아 빗물 등의 수분이 볼트삽입홀(111)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패킹부재(140)는 빗물 등이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볼트삽입홀(111)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몸체부(110)가 패널(10) 위에 안치되는 경우, 패킹부재(140)가 패널(10)에 직접 접촉하여 밀착되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의 사이 틈새를 막아주게 됨으로써, 빗물 등이 삽입홈(112) 쪽(즉, 상기 볼트삽입홀 쪽)으로 스며드는(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트삽입홀(111)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40)는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에서 볼트(20)를 조일 때에 몸체부(1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스펀지만을 가지고 방수기능을 유지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몸체부(110) 하부면의 삽입홈(112) 외측에 패킹부재(140)를 추가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패킹부재(140)와 탄성부재(130)에서 이중(또는 다중)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패널(10)에 밀착된 패킹부재(140)에 1차적으로 빗물 등이 차단될 수 있고, 볼트(20)를 조일 때에 찌그러지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탄성부재(130)에 의해 2차적으로 방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은 이중(또는 다중)의 방수를 통해 방수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40)는 고무, 탄성 실리콘(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또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130)와 같이 볼트(20)를 조일 때에 찌그러지면서(또는 압축되면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패킹부재(140)는 볼트(20)를 조일 때에 찌그러질 수 있어 시공시 패널(1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패킹부재(140)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패킹부재(140)는 삽입홈(112)으로부터 거리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고, 다중의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그 하부면의 삽입홈(112) 외측에 형성되며, 패킹부재(140)가 삽입되는 패킹홈(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홈(119)은 몸체부(110)의 하부면에서 삽입홈(11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패킹부재(14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고, 패킹부재(14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140)를 삽입홈(112) 또는 볼트삽입홀(111)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항상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패킹부재(140)를 통한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시 패널(10) 또는 패킹부재(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그 하부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110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패킹부재(1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10a)는 몸체부(110) 하부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측벽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칭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날개(110a)는 몸체부(110)가 패널(10) 결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패널(10) 결합부의 형태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날개(110a)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또는 어느 하나의 날개에서 다른 날개를 향하는 방향)으로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빗물이 날개(110a)를 타고 밑으로 흘러 내리도록 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1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의 양측에 제공되는 패킹부재(140)의 적어도 일부는 볼트삽입홀(111)과 몸체부(110) 하부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빗물 등의 침투는 복수의 날개(110a)로도 차단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빗물 등의 침투는 패킹부재(140)가 제공되지 않으면, 탄성부재(130)만으로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패킹부재(1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방향(또는 복수의 날개 사이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복수의 날개(110a)가 없는 경우나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경우는 패킹부재(140)의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과 몸체부(110) 하부면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사이에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패킹부재(1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의 장착을 나타낸 하부평면도로, 도 6(a)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의 장착을 나타내고, 도 6(b)는 복수의 패킹부재의 장착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패킹부재(140)는 도 6(a)와 같이 링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은 단일폐곡선(또는 닫힌 도형)을 형성하는 형태이며, 원형, 타원형의 링뿐만 아니라 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각형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볼트삽입홀(111)을 포위하는 형태로 삽입홈(11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패널(10) 사이의 틈새를 막아 빗물 등의 수분이 볼트삽입홀(111)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패킹부재(140a)가 링 형상의 패킹홈(119)에 삽입되는 경우에 탄성에 의해 패킹홈(119)의 내주면을 조여 패킹부재(140)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링 형상의 패킹부재(140a)가 원형인 경우에는 볼트삽입홀(111)의 동심원 상에 링 형상의 패킹부재(140a)가 제공될 수 있고, 링 형상의 패킹부재(140a)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폭(또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40)는 도 6(b)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패킹부재(140b)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고,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각 패킹부재(140b)는 라인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패킹부재(140b)가 ‘11’자를 이룰 수 있다. 복수의 패킹부재(140b)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은 복수의 날개(110a)를 통해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패킹부재(140b)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삽입홀(111)과 몸체부(110) 하부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사이에만 제공하면, 패킹부재(140b)의 재료를 줄일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패턴지지부(116)가 형성된 경우에는 패턴지지부(116)의 패턴에 따라 패킹홈(119)을 형성하기 용이할 수도 있고, 패턴지지부(116)의 오목부(또는 홈)를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을 차단하는 데에 용이할 수도 있다.
이에 탄성부재(130)뿐만 아니라 이중(또는 다중)으로 빗물 등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어 본 고안의 패널 고정용 볼트캡(100)의 방수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볼트캡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그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볼트삽입홀(111)의 둘레에 제공되는 돌출테(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테(118)는 몸체부(110)의 상부(또는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볼트삽입홀(111)의 둘레에 제공될 수 있고, 볼트삽입홀(111)의 상측(예를 들어, 상기 머리수용홈)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테(118)는 볼트삽입홀(111)의 둘레를 포위한 상태에서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덮여질 때에 돌출 마개(121)에 삽입되거나 그 내부에 돌출 마개(121)가 삽입됨으로써 덮개부(120)와 몸체부(110) 사이의 틈새로 침투한 빗물 등이 볼트삽입홀(111)을 통해 볼트(20)의 체결 부위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패널(10)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돌출테(118)가 덮개부(120)와 몸체부(110) 사이의 틈새보다 볼트삽입홀(111)의 입구가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빗물 등이 볼트삽입홀(111)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돌출테(118)는 그 외측벽의 일부에 요홈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덮여질 때에 덮개부(120)와 몸체부(110) 사이의 요홈부(117)로 발생된 공간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어 덮개부(120)를 열 때에 요홈부(117)가 없는 경우보다 수월하게 열 수 있고, 몸체부(110)의 돌출테(118)를 형성하는 데에 재료를 줄일 수도 있다. 요홈부(117)는 돌출테(118)의 외측벽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요홈(117a)과 단차(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요홈(117a)은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돌출테(118)를 형성하는 재료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단차(117b)는 요홈(117a)의 바닥면 두께(또는 높이)를 보완함으로써 몸체부(110) 또는 돌출테(118)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서는 몸체부의 하부면에 링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여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홈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탄성부재를 항상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통한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가 탄성을 가져 삽입홈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밀착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아 방수기능의 저하 및 손상의 우려가 없다. 또한, 몸체부 하부면의 삽입홈 외측에 링 형상의 돌출라인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거나 패킹부재를 제공하여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볼트삽입홀을 볼트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수용홈과 볼트 머리보다 폭이 좁은 관통홀로 구성하여 금속 와셔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금속 와셔를 삽입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노출에 의한 금속 와셔의 녹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패널 20 : 볼트
21 : 볼트 머리 100 : 패널 고정용 볼트캡
110 : 몸체부 110a: 날개
111 : 볼트삽입홀 111a: 머리수용홈
111b: 관통홀 112 : 삽입홈
113 : 돌출라인부 114 : 돌출부
115 : 덮개고정부 116 : 패턴지지부
117 : 요홈부 117a: 요홈
117b: 단차 118 : 돌출테
119 : 패킹홈 120 : 덮개부
121 : 돌출 마개 121a: 측벽부
121b: 고리부재 122 : 체결부재
130 : 탄성부재 140 : 패킹부재
140a: 링 형상의 패킹부재 140b: 복수의 패킹부재

Claims (14)

  1.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삽입홀과, 그 하부면의 상기 볼트삽입홀 외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면의 상기 삽입홈 외측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돌출라인부;
    그 하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라인부와의 높이차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과 상기 돌출라인부의 높이차보다 줄어들도록 제공되고, 상기 돌출라인부의 양측에서 상기 돌출라인부를 지지하는 패턴지지부; 및
    그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홀의 둘레에 제공되는 돌출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테는 그 외측벽의 일부에 요홈과 단차를 포함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하부면의 상기 삽입홈 외측에 제공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삽입홀의 양측에 제공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삽입홀은,
    볼트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수용홈; 및
    상기 머리수용홈과 연통되며, 상기 볼트 머리보다 폭이 좁은 관통홀을 포함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머리수용홈의 바닥면은 상기 관통홀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패널 고정용 볼트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볼트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홀을 개폐하는 돌출 마개를 포함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 마개와 상기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볼트삽입홀의 폐쇄시 서로 대응하는 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 마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측벽부로 구성되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 구조를 갖는 패널 고정용 볼트캡.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20170004550U 2017-05-11 2017-08-28 패널 고정용 볼트캡 KR2004863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2319 2017-05-11
KR2020170002319 2017-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73Y1 true KR200486373Y1 (ko) 2018-05-10

Family

ID=6216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50U KR200486373Y1 (ko) 2017-05-11 2017-08-28 패널 고정용 볼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37B1 (ko) * 2018-08-27 2019-03-27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스크류 방수캡
KR20200044392A (ko) * 2018-10-19 2020-04-29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KR20200001300U (ko) 2018-12-10 2020-06-18 김상억 방수 패킹이 구비된 루프 캡
KR20200083963A (ko) * 2018-10-19 2020-07-09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KR102599005B1 (ko) * 2023-03-15 2023-11-06 한덕수 방수 기능이 향상된 지붕 결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체
KR102650208B1 (ko) * 2023-08-31 2024-03-25 에바다산업개발(주) 방수 기능을 갖는 태양광 모듈 지지 장치
KR20240051680A (ko) 2022-10-13 2024-04-22 대흥물산 주식회사 볼트 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08Y1 (ko) 1998-05-12 2001-05-15 서재덕 누수방지를 위한 고정구 보호캡
KR200302098Y1 (ko) * 2002-10-31 2003-01-24 김충석 건축용 보호캡
KR200384662Y1 (ko) * 2005-03-05 2005-05-17 강인철 볼트 절연캡 장치
KR200413823Y1 (ko) * 2006-01-20 2006-04-11 강호식 조립식 지붕판의 고정캡
KR200426336Y1 (ko) * 2006-06-30 2006-09-19 주식회사기린산업 판넬 결합부 고정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08Y1 (ko) 1998-05-12 2001-05-15 서재덕 누수방지를 위한 고정구 보호캡
KR200302098Y1 (ko) * 2002-10-31 2003-01-24 김충석 건축용 보호캡
KR200384662Y1 (ko) * 2005-03-05 2005-05-17 강인철 볼트 절연캡 장치
KR200413823Y1 (ko) * 2006-01-20 2006-04-11 강호식 조립식 지붕판의 고정캡
KR200426336Y1 (ko) * 2006-06-30 2006-09-19 주식회사기린산업 판넬 결합부 고정 캡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37B1 (ko) * 2018-08-27 2019-03-27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스크류 방수캡
KR20200044392A (ko) * 2018-10-19 2020-04-29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KR20200083963A (ko) * 2018-10-19 2020-07-09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KR102190317B1 (ko) * 2018-10-19 2020-12-11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KR102290110B1 (ko) * 2018-10-19 2021-08-17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KR20200001300U (ko) 2018-12-10 2020-06-18 김상억 방수 패킹이 구비된 루프 캡
KR20240051680A (ko) 2022-10-13 2024-04-22 대흥물산 주식회사 볼트 캡
KR102599005B1 (ko) * 2023-03-15 2023-11-06 한덕수 방수 기능이 향상된 지붕 결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체
KR102650208B1 (ko) * 2023-08-31 2024-03-25 에바다산업개발(주) 방수 기능을 갖는 태양광 모듈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373Y1 (ko) 패널 고정용 볼트캡
US9945414B1 (en) Thermal break washer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4928349A (en) Grommet structure
US4839937A (en) Grommet structure
KR10130319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967586B1 (ko)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KR200492128Y1 (ko)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JP2017101518A (ja) 基礎点検口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138990B1 (ko) 태양광 모듈의 단자 박스
KR20210076498A (ko) 원웨이 플러그
JP3748873B2 (ja) 防水シートの立ち上がり壁面の納め構造
KR200450292Y1 (ko) 시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클립
KR200497342Y1 (ko) 건축용 스틸 방수판
JP4969898B2 (ja) 建物用換気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220281099U (zh) 背门密封条
KR200207055Y1 (ko) 지붕판 이음구 고정캡
JP4164875B2 (ja) 笠木
KR102601675B1 (ko) 건축물의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0302098Y1 (ko) 건축용 보호캡
KR102278799B1 (ko) 지붕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
JP2012077459A (ja) デッキ材用小口キャップ
KR20240051680A (ko) 볼트 캡
KR20140097974A (ko) 콘형 가드레일 지주
KR200297302Y1 (ko) 조립식 건축물의 판넬 고정구
WO2012118131A1 (ja) 留め具の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