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662Y1 - 볼트 절연캡 장치 - Google Patents

볼트 절연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662Y1
KR200384662Y1 KR20-2005-0005930U KR20050005930U KR200384662Y1 KR 200384662 Y1 KR200384662 Y1 KR 200384662Y1 KR 20050005930 U KR20050005930 U KR 20050005930U KR 200384662 Y1 KR200384662 Y1 KR 200384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ap
washer
pres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철
Original Assignee
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철 filed Critical 강인철
Priority to KR20-2005-0005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 절연캡(bolt cap)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작업자가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외관미가 미려하며,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 절연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볼트가 삽입관통되는 볼트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볼트홀의 주변에 출결합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셔부와, 볼트머리를 감싸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납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결합부가 상기한 수납홈의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부와, 상기한 와셔부와 캡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외관미가 미려하며,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 절연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트 절연캡 장치{Insulating cap for a bolt}
본 고안은 볼트 절연캡(bolt cap)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작업자가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외관미가 미려하며,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 절연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전기용 수배전반(switch gear) 및 각종 제어 패널에는 케이블 배선을 위한 PVC(polyvinyl chloride) 덕트가 사용된다. 상기한 케이블 배선용 PVC 덕트(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3)를 이용하여 지주(2)에 고정부착된다. 이와 같이 볼트(3)를 이용하여 케이블 배선용 PVC 덕트(1)를 지주(2)에 부착함에 있어서 절연 와셔, 절연 테이프, 건축용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볼트(3)를 절연시켜주지 않으면 전기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반드시 절연을 시켜주게 된다.
이와같이 볼트(3)를 이용하여 케이블 배선용 PVC 덕트(1)를 지주(2)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절연을 시켜주는 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첫번째 방법으로서는 절연 와셔를 사용하여 PVC 덕트(1)를 볼팅한 다음 절연용 부틸 고무 등의 난연성 재질의 절연 테이프로 덮개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고, 두번째 방법으로서는 절연와셔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PVC 덕트(1)를 볼팅한 다음 절연 테이프로 덮개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고, 세번째 방법으로서는 절연와셔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PVC 덕트(1)를 볼팅한 다음 건축용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볼트 머리부를 절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들중에서 첫번째 및 두번째 방법은 난연 특성을 지닌 절연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은 충족시킬 수는 있지만 장기적 사용시 절연 테이프의 접착재의 경화현상에 따라 절연 테이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실제로 2년 내지 3년 정도 경과시 절연 테이프가 떨어지고 있슴)이 있으므로 장기 신뢰성에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볼팅후 절연 테이프를 절단하여 부착하는 작업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업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세번째 방법은 건축용 실리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나쁘게 될 뿐만 아니라, 건축용 실리콘이 경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공정상의 대기시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VC 덕트(1)를 지주(2)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볼트(3)는 일반적으로 M4 접시 머리 스크류(dish head screw) 또는 둥근 머리 스크류(round head screw)를 사용하게 되므로 M4용 와셔가 눌러주는 면적이 매우 작아서 하중이 집중되므로, 많은 케이블을 배선할 경우나, 또는 선박과 같이 진동이 심한 곳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하중이 집중되는 곳에서 PVC 덕트(1)가 처지면서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으로 볼팅을 하여야 함으로써 조립 공정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외관미가 우수하며,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 절연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볼트가 삽입관통되는 볼트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볼트홀의 주변에 돌출결합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셔부와, 볼트머리를 감싸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납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결합부가 상기한 수납홈의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부와, 상기 와셔부 및 캡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볼트가 삽입관통되는 볼트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볼트홀의 주변에 돌출결합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셔부와, 볼트머리를 감싸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납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결합부가 상기한 수납홈의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부와, 상기한 와셔부와 캡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한 와셔부의 외곽에 캡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개폐홈이 형성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절연캡 장치의 구성은, 볼트(3)가 삽입관통되는 볼트홀(4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홀(41)의 주변에 돌출결합부(42)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곽부 3곳에 개폐홈(43)이 형성되어 있는 와셔부(4)와, 볼트머리를 감싸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납홈(5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결합부(42)와 결합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결합부(52)가 상기한 수납홈(51)의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부(5)와, 상기한 와셔부(4)와 캡부(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절연캡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VC 덕트(1)가 지주(2)에 볼트(3)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볼트(3)는 와셔부(4)의 볼트홀(41)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지주(2)와 볼트머리의 사이에 와셔부(4)가 고정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6)에 의해 와셔부(4)에 매달려 있는 캡부(5)를 들어올려서 와셔부(4)와 결합시키게 되면, 와셔부(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결합부(42)와 캡부(5)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결합부(42)와 결합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면, 볼트(3)의 볼트머리는 캡부(5)의 수납홈(51)에 안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PVC 덕트(1)를 눌러서 고정시켜주는 와셔부(4)의 면적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케이블 중량이나 지속적인 진동현상에서도 PVC 덕트(1)의 특정한 곳의 처짐 및 파손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와셔부(4)의 외곽부 3곳에 폭 4.6mm, 높이 1.3mm 정도의 개폐홈(43)을 만들어 유지보수시에도 캡부(5)를 와셔부(4)로부터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기능과 용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환경친화적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PVC 덕트 부착용 와셔와 볼트 절연용 캡을 일체형으로 설계하여 외관이 매우 미려할 뿐만 아니라, 볼팅 작업과 절연 작업을 동시에 해결하여 줌으로써 작업공수를 반감시키고, 재질로서는 UL 94-Vo 등급의 난연소재를 사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여 줌으로써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만족시킬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미려한 외관미를 가지며,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볼트 절연캡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볼트캡 분야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PVC 덕트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절연캡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절연캡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절연캡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절연캡 장치에 의해 PVC 덕트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VC 덕트 2 : 지주
3 : 볼트 4 : 와셔부
5 : 캡부 6 : 연결부
41 : 볼트홀 42 : 돌출결합부
43 : 개폐홈 51 : 수납홈
52 : 홈결합부

Claims (2)

  1. 볼트가 삽입관통되는 볼트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볼트홀의 주변에 돌출결합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셔부와,
    볼트머리를 감싸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납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결합부와 결합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결합부가 상기한 수납홈의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부와,
    상기 와셔부와 캡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절연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의 외곽에 캡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개폐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절연캡 장치.
KR20-2005-0005930U 2005-03-05 2005-03-05 볼트 절연캡 장치 KR200384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930U KR200384662Y1 (ko) 2005-03-05 2005-03-05 볼트 절연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930U KR200384662Y1 (ko) 2005-03-05 2005-03-05 볼트 절연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662Y1 true KR200384662Y1 (ko) 2005-05-17

Family

ID=4368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930U KR200384662Y1 (ko) 2005-03-05 2005-03-05 볼트 절연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6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373Y1 (ko) * 2017-05-11 2018-05-10 주식회사 명화금속 패널 고정용 볼트캡
KR20230002080U (ko)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볼트 헤드용 매입형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373Y1 (ko) * 2017-05-11 2018-05-10 주식회사 명화금속 패널 고정용 볼트캡
KR20230002080U (ko)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볼트 헤드용 매입형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384662Y1 (ko) 볼트 절연캡 장치
KR200480539Y1 (ko)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KR200221301Y1 (ko) 볼트 절연캡 장치
KR100641814B1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EP3021438B1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JP4478988B2 (ja) 吊りボルト用ケーブル支持具
KR102011794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US20180328101A1 (en) Mullion-transom structure
KR19990019928U (ko) 조립건물용 패널
KR200470182Y1 (ko)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US20230354540A1 (en) Cable threading component and sealing box
JP2011097700A (ja) 絶縁電線カバー
KR200398630Y1 (ko) 전기케이블 연결용 저압 접속함
EP1873881B1 (en) Bushing arrangement
KR100495559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RU2338282C1 (ru) Изолятор (варианты)
EP3783761A1 (en) Junction box
KR19980062575U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100982736B1 (ko) 전등용 덕트의 커버 결합 구조 및 보조 결합 장치
JP4850102B2 (ja) ケーブル収納装置
KR20030096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부재
KR200258952Y1 (ko) 전력용 콘덴서의 단자 커버
KR200379725Y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