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39Y1 -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39Y1
KR200480539Y1 KR2020140008318U KR20140008318U KR200480539Y1 KR 200480539 Y1 KR200480539 Y1 KR 200480539Y1 KR 2020140008318 U KR2020140008318 U KR 2020140008318U KR 20140008318 U KR20140008318 U KR 20140008318U KR 200480539 Y1 KR200480539 Y1 KR 200480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main
main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736U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2020140008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3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면서도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의 시공이 편리한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제1 레이스웨이 모듈;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은 제2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유닛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 유닛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Integrated raceway device having wire distribution}
본 고안은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동시에 분리하여 수용하면서도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의 시공이 편리한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Raceway)는 전기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노출 천정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상기 레이스웨이는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레이스웨이의 하면에 설치되는 등기구 간격에 맞추어 상기 레이스웨이 내부에 전기 배선을 하고 상기 등기구를 설치한 후 결선하는 작업을 하였고, 이와는 별도로 통신공사를 위한 레이스웨이를 설치할 때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레이스웨이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함으로 설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104호(고안의 명칭: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공고일: 2006년 1월 24일)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면서도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의 시공이 편리한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레이스웨이 모듈;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은 제2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유닛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 유닛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부를 형성하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공간을 형성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방부를 폐쇄시키면서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공간과 구획되는 상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중간프레임과, 상기 제1 중간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양측 테두리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측벽 상부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상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프레임은 상기 제1 개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메인공간상으로 함몰형성되면서 상기 상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메인공간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 개방부를 형성하는 제1 메인절곡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중간프레임의 측벽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메인절곡부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중간절곡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 상기 제1 중간프레임 및 상기 제1 상부프레임을 일체로 묶어주기 위한 제2 결합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은 제1 통신케이블과, 상기 제1 통신케이블에서 분지되는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간프레임에는 통신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은 상기 통신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에 형성된 전선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연결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브라켓유닛에 구비된 제2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체결부와,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측을 상기 제2 메인프레임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 바닥면과, 상기 연결 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상부영역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브라켓을 들어올리면서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제1 메인절곡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유닛은 상기 제1 전개배선용 케이블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리셉터클유닛과, 상기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리셉터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리셉터클유닛과 상기 제2 리셉터클유닛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등기구유닛의 등기구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제1 결합본체와, 상기 제1 결합본체를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상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본체는 상부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헤드와 결합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과 상기 등기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은 제1 전선부와, 상기 제1 전선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등기구유닛으로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상기 제1 전선부에서 상기 제1 분기전선부를 분기시키기 위한 제1 분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기유닛은 상기 제1 전선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분기전선 삽입부가 형성된 분기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분기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분기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금속도체와, 상기 금속도체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기본체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본체와 상기 덮개부의 결합시 상기 금속도체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전선피복과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전선피복을 절단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와이어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이 모두 수용될 수 있는 브라켓유닛을 사용함으로써 통신배선을 위한 레이스웨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 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시공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제품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구조가 간단한 연결모듈을 사용하여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을 조립함으로써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의 시공이 간편하고 제품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결합유닛을 사용하여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을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조립이 간단해지며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전선피복을 벗길 필요없이 제1 전선부에서 제1 분기전선부를 분기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브라켓유닛에 배치되는 전선부와 등기구유닛으로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부의 전기적 연결작업이 간단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구비된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구비된 제1 브라켓유닛과 제1 등기구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구비된 제1 분기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에 구비된 제1 브라켓유닛과 제2 브라켓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는 제1 레이스웨이 모듈(100),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100)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 모듈(200);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10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2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는 천정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0)와, 상기 앵커볼트(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행거(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앵커 볼트(10) 및 상기 행거(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100)은 제1 등기구유닛(160)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160)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160)과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유닛(150)과, 제2 결합밴드(140) 및 제1 분기유닛(1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은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제1 중간프레임(120) 및 제1 상부프레임(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파이프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부(115a)를 형성하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30)이 수용되는 메인공간(S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은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양측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메인프레임 측벽(1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프레임 측벽(113)의 상부영역, 즉 측벽 상단 각각에는 상기 메인공간(S1)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 개방부(115a)를 형성하는 제1 메인절곡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메인절곡부(115)는 'ㄱ'자 현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메인프레임 측벽(113)의 상단에서 상기 메인공간(S1)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인절곡부(115)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상기 연결모듈에 구비된 연결브라켓(310)의 상단부, 즉 조립돌기(312a)가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방부(115a)를 폐쇄시키면서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40)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공간(S1)과 구획되는 상부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은 상기 제1 개방부(115a)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메인공간(S1)상으로 함몰형성되면서 상기 상부공간(S2)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은 중간 바닥면(121)과, 상기 중간 바닥면(121)의 양측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제1 중간프레임 측벽(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중간프레임 측벽(123)의 상부영역 각각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중간절곡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바닥면(121) 및 상기 제1 중간프레임 측벽(123)은 상기 메인공간(S1)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간절곡부(125)는 상기 제1 메인절곡부(115)의 상부에 걸쳐지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면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상부프레임(130)은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상부프레임의 양측 테두리(131)는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 메인프레임 측벽(113) 상부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밴드(140)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 및 상기 제1 상부프레임(130)을 일체로 묶어주게 된다.
결과적으로,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이 모두 수용될 수 있는 브라켓유닛을 사용함으로써 통신배선을 위한 레이스웨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동시에 시공함으로써 제품의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 일수 있고, 제품의 시공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제품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등기구유닛(160)은 상기 제1 브라켓유닛, 즉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제1 등기구 프레임(161)과,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상에 결합되는 제1 등기구(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유닛(150)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제1 결합본체(151)와, 상기 제1 결합본체(151)를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상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헤드(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본체(151)는 상부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헤드(152)와 결합되는 제1 본체부(151a)와,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 후크(151c)와,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과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 스토퍼(151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결합본체(151)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헤드(152)에 의하여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헤드(152)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부(151a)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스토퍼(151b)는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후, 도 4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본체(151)의 하부영역이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을 관통하게 되면, 상기 제1 후크(151c)가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이 상기 제1 결합본체(151)의 하부영역에 끼워지는 순간에 상기 제1 후크(151c)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제1 후크(151c)가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제1 후크(151c)는 다시 상기 제1 본체부(151a)의 외측면을 돌출되면서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161)을 잡아주면서 지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결합유닛을 사용하여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을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조립이 간단해지며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브라켓유닛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30)은 제1 전선부(31)와, 상기 제1 전선부(31)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등기구유닛(160)으로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에는 상기 제1 분기전선부(33)가 관통하는 전선관통홀(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관통홀(111a)에는 상기 제1 결합본체(15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분기전선부(33)는 상기 제1 결합본체(151)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 등기구유닛(163)과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기유닛(170)은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의 메인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선부(31)에서 상기 제1 분기전선부(33)를 분기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기유닛(170)은 분기본체(171), 금속도체(174) 및 덮개부(175)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본체(171)에는 상기 제1 전선부(31)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전선삽입부(172)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33)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분기전선 삽입부(1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도체(174)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분기본체(17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분기본체(171)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면서 상기 제1 전선부(31)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다.
상기 덮개부(175)는 상기 분기본체(17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본체(171)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175)가 상기 분기본체(171)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분기본체(171)에 결합될 때 상기 덮개부(175)는 상기 금속도체(174)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분기본체(171)와 상기 덮개부(175)의 결합시 상기 금속도체(174)는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금속도체(174)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금속 블레이드(미도시)는 상기 제1 전선부의 전선피복과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전선피복을 절단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와이어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선피복을 벗길 필요없이 제1 전선부에서 제1 분기전선부를 분기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기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브라켓유닛에 배치되는 전선부와 등기구유닛으로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부의 전기적 연결작업이 간단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브라켓유닛상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40)은 제1 통신케이블과, 상기 제1 통신케이블에서 분기되는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분기유닛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 분기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은 상기 제1 통신케이블로부터 분기된다.
상기 제1 중간프레임(120)에는 상기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이 관통하는 통신케이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은 상기 통신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상기 전선관통홀(111a)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등기구유닛(16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200)은 제2 등기구유닛(260)과, 상기 제2 등기구유닛(260)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유닛(260)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등기구유닛(260), 상기 제2 브라켓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250)의 구조는 상술한 제1 등기구유닛(160), 제1 브라켓유닛 및 제1 결합유닛(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연결유닛(300)과,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3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200)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50)을 연결하기 리셉터클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A'영역에 상기 연결모듈이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 연결유닛(300)은 일측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브라켓유닛에 구비된 제2 메인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브라켓(310)과, 상기 연결브라켓(310)의 일측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체결부(320)와, 상기 연결브라켓(310)의 타측을 상기 제2 메인프레임(210)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브라켓(310)은 상기 제1 체결부(320)와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311a) 및 상기 제2 체결부(330)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홀(311b)이 형성된 연결 바닥면(311)과, 상기 연결 바닥면(311)의 양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측벽(31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측벽(312)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영역, 즉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의 제1 메인절곡부(11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메인절곡부(115)를 가압하면서 고정되는 조립돌기(312a)가 톱니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체결부(320)는 상기 제1 체결홀(311a)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을 가압하는 제1 체결부재(321)와, 상기 제1 체결부재(321)의 좌우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제1 홀더부재(32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체결부(330)는 상기 제2 체결홀(311b)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을 가압하는 제2 체결부재(331)와, 상기 제2 체결부재(331)의 좌우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제2 홀더부재(3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재(321) 및 상기 제2 체결부재(331)로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나사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홀(311a) 및 상기 제2 체결홀(311b)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321) 및 상기 제2 체결부재(331)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재(321)가 상기 연결브라켓 즉, 제1 체결홀(311a)을 관통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111)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1 메인프레임(110)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브라켓(310)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310)이 상기 제1 체결부재(321)를 타고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3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조립돌기(312a)는 상기 제1 메인절곡부(11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메인절곡부(115)의 내측 상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된다.
물론, 상기 제2 체결부재(331)도 상기 제1 체결부재(321)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연결브라켓(310)을 들어올리면서 상기 연결브라켓(310)이 상기 제2 메인프레임(210)과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유닛(400)은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3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리셉터클유닛(410)과, 상기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5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리셉터클유닛(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리셉터클유닛(410)과 상기 제2 리셉터클유닛(420)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30)과 상기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4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200)에 구비되는 제2 통신배선용 케이블(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배선용 리셉터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브라켓 연결유닛과 리셉터클유닛을 갖는 연결모듈을 사용하여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을 조립함으로써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을 간단하게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 및 변형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30: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 50: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
100: 제1 레이스웨이 모듈 110: 제1 메인프레임
113: 제1 메인프레임 측벽 115: 제1 메인절곡부
120: 제1 중간프레임 130: 제1 상부프레임
150: 제1 결합유닛 160: 제1 등기구유닛
170: 제1 분기유닛 200: 제2 레이스웨이 모듈
210: 제2 메인프레임 300: 브라켓 연결유닛
310: 연결브라켓 320: 제1 체결부
330: 제2 체결부 400: 리셉터클유닛
410: 제1 리셉터클유닛 420: 제2 리셉터클유닛
S1: 메인공간 S2: 상부공간

Claims (10)

  1. 제1 레이스웨이 모듈;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은 제2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유닛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 유닛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유닛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부를 형성하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공간을 형성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방부를 폐쇄시키면서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공간과 구획되는 상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개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공간상으로 함몰형성되면서 상기 상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중간프레임과,
    상기 제1 중간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양측 테두리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측벽 상부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프레임은 중간바닥면과, 상기 중간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제1 중간프레임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바닥면 및 상기 제1 중간프레임 측벽은 상기 메인공간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등기구유닛의 제1 등기구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제1 결합본체와, 상기 제1 결합본체를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상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본체는 상부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헤드와 결합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과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본체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결합헤드에 의하여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본체의 하부영역이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을 관통하게 되면 상기 제1 후크가 원터치 형식으로 상기 제1 등기구 프레임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메인공간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 개방부를 형성하는 제1 메인절곡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중간프레임 측벽의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메인절곡부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중간절곡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배선용 케이블은 제1 통신케이블과, 상기 제1 통신케이블에서 분지되는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간프레임에는 통신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분기케이블은 상기 통신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에 형성된 전선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 상기 제1 중간프레임 및 상기 제1 상부프레임을 일체로 묶어주기 위한 제2 결합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브라켓유닛과 상기 제2 브라켓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연결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브라켓유닛에 구비된 제2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체결부와,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측을 상기 제2 메인프레임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 바닥면과, 상기 연결 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상부영역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바닥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브라켓을 들어올리면서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제1 메인절곡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 모듈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유닛은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리셉터클유닛과, 상기 제2 전기배선용 케이블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리셉터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리셉터클유닛과 상기 제2 리셉터클유닛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9. 삭제
  10.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배선용 케이블은 제1 전선부와, 상기 제1 전선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등기구유닛으로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모듈은 상기 제1 전선부에서 상기 제1 분기전선부를 분기시키기 위한 제1 분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분기유닛은 상기 제1 전선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분기전선 삽입부가 형성된 분기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분기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분기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금속도체와, 상기 금속도체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기본체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본체와 상기 덮개부의 결합시 상기 금속도체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전선피복과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전선피복을 절단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와이어와 상기 제1 분기전선부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KR2020140008318U 2014-11-13 2014-11-13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KR200480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18U KR200480539Y1 (ko) 2014-11-13 2014-11-13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18U KR200480539Y1 (ko) 2014-11-13 2014-11-13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36U KR20160001736U (ko) 2016-05-24
KR200480539Y1 true KR200480539Y1 (ko) 2016-06-14

Family

ID=5609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318U KR200480539Y1 (ko) 2014-11-13 2014-11-13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264B1 (ko) 2020-10-21 2021-08-11 이동헌 접지형 레이스웨이 조립체
KR20220002765A (ko) * 2020-06-30 2022-01-07 김승호 구조개선형 레이스웨이 조이너
KR20230000702U (ko) 2021-09-30 2023-04-06 정철호 이중 채널 구조를 가진 가변형 4웨이 레이스웨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216A (ko) * 2019-06-26 2019-07-16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선 가능한 브라켓
US20220231495A1 (en) * 2019-06-26 2022-07-21 Samwon Act Co., Ltd. Wirable bracket and module coupling device coupled there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66Y1 (ko) * 2004-03-19 2004-06-30 금아금속공업(주) 레이스웨이용 조이너
KR200433400Y1 (ko) * 2006-09-29 2006-12-11 주식회사 메가테크 레이스웨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66Y1 (ko) * 2004-03-19 2004-06-30 금아금속공업(주) 레이스웨이용 조이너
KR200433400Y1 (ko) * 2006-09-29 2006-12-11 주식회사 메가테크 레이스웨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65A (ko) * 2020-06-30 2022-01-07 김승호 구조개선형 레이스웨이 조이너
KR102447403B1 (ko) 2020-06-30 2022-09-26 김승호 구조개선형 레이스웨이 조이너
KR102289264B1 (ko) 2020-10-21 2021-08-11 이동헌 접지형 레이스웨이 조립체
KR20230000702U (ko) 2021-09-30 2023-04-06 정철호 이중 채널 구조를 가진 가변형 4웨이 레이스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36U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539Y1 (ko)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US20160230969A1 (en) Recessed light fixture
US10164415B2 (en) Junction box of a recessed luminaire for installation in shallow spaces
US10247399B1 (en) Self-contained junction box
US11050230B1 (en) Electrical box for mounting an electrical device or fixture on a suspended ceiling T-bar or intersection of a T-bar grid
KR20160006001A (ko) 조명등 설치 조립체
KR101234678B1 (ko) 천정재 설치구조
JP657589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6219105A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施工方法
KR10060703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JP6541062B2 (ja) 照明器具
KR20160061464A (ko) 천장용 캐링채널 고정장치
JP2017010629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477394Y1 (ko)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US20110056722A1 (en) Wiring Duct Cover With Foam Insert
KR200474513Y1 (ko) 조명등 고정장치
KR101303132B1 (ko) 커버와 본체간의 용이한 착탈구조를 구비한 led면조명
KR200446512Y1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101591977B1 (ko) 배선분기박스 일체형 등기구 시스템
KR102391637B1 (ko) 천정텍스 자가설치 및 낙하방지구조를 가진 경량형 면조명장치
CA2881436A1 (en) Recessed light fixture
KR100968529B1 (ko) 배선용 터미널 박스
JP2010166762A (ja) 垂直布設バスダクトの防水分岐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JP6967723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