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933Y1 - 축구공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축구공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933Y1
KR200491933Y1 KR2020180001604U KR20180001604U KR200491933Y1 KR 200491933 Y1 KR200491933 Y1 KR 200491933Y1 KR 2020180001604 U KR2020180001604 U KR 2020180001604U KR 20180001604 U KR20180001604 U KR 20180001604U KR 200491933 Y1 KR200491933 Y1 KR 200491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cer ball
launch
wheel
socc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15U (ko
Inventor
김춘순
Original Assignee
김춘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순 filed Critical 김춘순
Priority to KR2020180001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3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빠른 이동이 가능한 차체의 내부에 공 발사유닛을 구비하여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시켜 공을 발사할 수 있고, 다수의 축구공을 보관한 상태에서 하나씩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한 축구공 발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운전석과, 조향장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에 내장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시킬 수 있는 축구공 발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구공 발사장치{Soccer ball launcher device}
본 고안은 축구공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빠른 이동이 가능한 차체의 내부에 공 발사유닛을 구비하여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시켜 공을 발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다수의 축구공을 보관한 상태에서 하나씩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한 축구공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기종목에서 공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선수들은 공격과 수비에 대한 개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감독, 코치 및 다른 선수 등을 포함한 보조자가 공을 손으로 던지거나 발로 차서 선수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훈련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을 공급해 주는 보조자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이러한 보조자는 선수들의 다양한 개인 기술의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공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보조자가 많은 선수들을 상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공을 손으로 던지거나 발로 차야되므로, 불편하고, 보조자의 체력이 점점 소모되어 피로도가 증가하며, 정확도가 떨어져 선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선수들의 개인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발사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스프링 기계를 이용하는 발사 장치, 회전휠을 채용한 발사 장치, 유압을 이용하는 발사 장치 및 타격을 이용한 발사 장치 등이 있다.
예컨대,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5-0002652호의 '축구훈련장비'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677688호의 '공 자동 발사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축구훈련장비'와 '공 자동 발사 장치'는 원하는 속도와 궤도로 축구공을 발사하여 과학적인 축구훈련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5-0146137호의 '공 자동 발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만이 설치되어 있어 근거리의 이동만을 가능하게 할뿐, 지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임의 위치에서 공을 발사할 수는 없었다.
특히, 선행문헌들의 '공 발사 장치'는 축구공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축구공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발사되지 못하고 연속적을 발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축구공을 일일이 하나씩 공급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5-0002652호, 축구훈련장비.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677688호, 공 자동 발사 장치.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5-0146137호, 공 자동 발사 장치.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빠른 이동이 가능한 차체의 내부에 공 발사유닛을 구비하여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시켜 공을 발사할 수 있고, 다수의 축구공을 보관한 상태에서 하나씩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한 축구공 발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운전석과, 조향장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에 내장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시킬 수 있는 축구공 발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은: 상기 차체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사휠; 상기 발사휠에 축구공이 자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공급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발사휠에 인접하도록 상기 차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축구공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내려갈 수 있도록 가이드봉이 소정 곡면을 이루게 설치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발사휠로 공급되는 축구공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발사휠과 공급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축구공이 상기 발사휠로 자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는 개폐구; 상기 개폐구에 의해 차단된 축구공이 상기 발사휠로 공급되어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개폐구를 작동시키는 컨트롤 풋 브레이크; 및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된 개폐구가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의 전방에 대응하는 상기 차체의 전면부에는, 축구공이 발사될 수 있는 발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를 밟으면, 축구공이 발사휠로 들어가서 고속 회전하는 발사휠에 의해 발사구멍을 통해 발사되고,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를 풀어주면, 스프링에 의해 개폐구가 원위치로 복원되어 축구공이 발사휠로 공급되지 못하게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구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축구공의 하부에 접촉되어 축구공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개폐편과, 상기 개폐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아암과, 상기 아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아암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아암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축구공을 밀어줌과 동시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축구공의 공급을 차단하는 밀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아암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 풋 브레이크가 링크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를 밟으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편이 하부로 회전되어 발사휠로 축구공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편과 밀대편에는, 축구공이 접촉되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에 의해 축구공에 접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사휠의 중간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깥쪽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는 신발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축구화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에 의하면, 빠른 이동이 가능한 차체의 내부에 공 발사유닛을 구비하여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시켜 공을 발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축구장 내에서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하여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전(축구경기)과 동일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축구공 발사기를 지정된 장소에 설치하여 축구공을 발사함으로, 동일한 훈련을 반복하는 효과는 있으나, 임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실전(축구경기)과 동일한 훈련을 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은 빠른 이동에 의해 실전과 동일한 훈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축구공을 보관한 상태에서 하나씩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축구공 발사유닛에 축구공의 발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풋 브레이크를 설치하고, 컨트롤 풋 브레이크를 밟고 푸는 것을 통하여 축구공을 하나씩 선택적으로 발사할 수 있어,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한 후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에 의해 축구공이 발사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추국공 발사장치에 구비되는 축구공 발사유닛의 단속부를 일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표시의 단속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에 설치되는 안전커버의 여러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에 깃발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축구경기를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사실감 있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에 의해 축구공이 발사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추국공 발사장치에 구비되는 축구공 발사유닛의 단속부를 일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표시의 단속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에 설치되는 안전커버의 여러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에 깃발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축구경기를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의 외형을 사실감 있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발사장치는 차체(100)와 축구공 발사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바퀴(120)와,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운전석과, 조향장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체(100)는 통상의 전기 자동차 혹은 전동 카트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구동모터, 배터리, 조향장치 및 배터리 등등 통상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차체는 통상의 전기 자동차 혹은 전동 카드의 구성으로, 차체의 외형이 신발의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체(100)의 외형은 신발의 형상 모양, 즉 축구화, 운동화, 구두, 등산화, 트래킹화 등과 같은 형상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축구화의 모양을 갖도록 차체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차체(100)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전면에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안전커버(10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d와 같이 깃발(10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깃발(106)의 설치로 인해 도 7표시와 같이, 차체를 이동시키면서 새로운 경기를 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은 축구훈련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차체를 구비하여 직접 이동시키면서 새로운 경기를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6d와 같이 깃발(106)을 설치하여 편을 나누어 경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100)의 전후면에는 펌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퍼에 의해 여러 대의 차체를 구비하여 새로운 경기를 하는 경우 차체끼리 충돌하는 것으로 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차체(100)에 의해 축구장 내에서 임의 위치로 빨리 이동할 수 있고, 이동한 위치에서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어, 실전(축구경기)과 동일한 훈련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200)은 차체(100)에 내장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축구공 발사유닛(200)에 의해 발사되는 축구공이 차체(100)를 통과하여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200)의 전방에 대응하는 차체(100)의 전면부에는 축구공이 발사될 수 있는 발사구멍(1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200)은, 축구공을 발싸할 수 있도록 고속 회전되는 한 쌍의 발사휠(210)과, 상기 발사휠(210)에 축구공을 공급하는 공급부(220)와, 상기 공급부(220)로부터 발사휠(210)로 공급되는 축구공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발사휠(210)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차체(100)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즉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축구공의 양측으로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고속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발사휠(210)은 중간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깥쪽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사휠(210)의 내부가 고무 재질로 됨으로써, 발사휠(21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동시에 발사휠(21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가 설정 목표에 부합되게 할 수 있고, 또 발사휠(210)의 바깥쪽이 스펀지 재질로 됨으로 인해 발사휠(210)로 하여금 축구공이 잘 끼게 하고 축구공이 훼손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220)는 발사휠(210)에 축구공이 자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공급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발사휠(210)에 인접하도록 상기 차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급부(220)는 축구공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내려갈 수 있도록 소정 곡면을 이루게 가이드봉(222)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봉(222)은 축구공의 지름보다 작은 간격을 이루게 2개 혹은 3개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봉(222)에 안내되면서 축구공이 하부로 미끄러져 내려와 상기 발사휠(2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속부(230)는 도 4와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220)로부터 발사휠(210)로 공급되는 축구공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발사휠(210)과 공급부(2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개폐구(232)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구(232)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내려가 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축구공이 상기 발사휠(210)로 자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개폐구(232)는 상기 공급부(220)에 의해 공급되는 축구공의 하부에 접촉되어 축구공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개폐편(232a)과, 상기 개폐편(232a)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아암(232b)과, 상기 아암(232b)이 회전될 수 있도록 아암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힌지축(232c)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암(232b)의 다른쪽 끝단에는 공급되는 축구공을 밀어줌과 아울러 뒤에서 연속하여 공급되는 축구동을 차단하는 밀대편(232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암(232b)은 "ㄷ"자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앞쪽에 개폐편(232a)이 구비되고 뒷쪽에 밀대편(232d)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편(232a)과 밀대편(232d)에는 축구공이 접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요철부에 의해 축구공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고 공급하도록 밀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구(232)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는 링크(232e)에 의해 아암(232b)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 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 등을 설치하여 상기 아암(232b)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자동차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의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구(232)와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를 밟아줌에 의해 개폐구(232)가 회전 작동하여 차단된 축구공이 상기 발사휠(210)로 공급되어 발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축구공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에 의해 작동된 개폐구(232)가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236)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236)은 개폐구(232)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컨트롤 풋 브레이크 혹은 아암(232b)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200)은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를 밟으면, 개폐구(232)가 개방되어 축구공이 발사휠(210)로 들어가서 고속 회전하는 발사휠(210)에 의해 차체(100)의 전방으로 형성되는 발사구멍(102)을 통해 발사되고,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를 풀어주면, 스프링(236)에 의해 컨트롤 풋 브레이크 및 개폐구(232)가 원위치로 복원되어 축구공이 발사휠(210)로 공급되지 못하게 막아주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다수개의 축구공을 보관한 상태에서 축구공을 하나씩 발사할 수 있음으로, 상기 차체(100)에 의해 임의 위치로 빨리 이송한 상태에서 이동된 위치에서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어 실전과 동일한 훈련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차체 102 - 발사구멍
200 - 축구공 발사유닛 210 - 발사휠
220 - 공급부 230 - 단속부

Claims (5)

  1.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바퀴(120)와, 상기 바퀴(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운전석과, 조향장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차체(100); 및
    상기 차체(100)에 내장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시킬 수 있는 축구공 발사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체(100)의 전면부에는,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200)의 전방에 대응하도록 발사구멍(102)이 형성되어 상기 발사구멍(102)을 통해 축구공이 발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구공 발사유닛(200)은:
    상기 차체(100)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축구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사휠(210);
    상기 발사휠(210)에 축구공이 자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공급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발사휠(210)에 인접하도록 상기 차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축구공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내려갈 수 있도록 가이드봉(222)이 소정 곡면을 이루게 설치되는 공급부(220); 및
    상기 공급부(220)로부터 발사휠(210)로 공급되는 축구공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단속부(230)는:
    상기 발사휠(210)과 공급부(2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축구공이 상기 발사휠(210)로 자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는 개폐구(232);
    상기 개폐구(232)에 의해 차단된 축구공이 상기 발사휠(210)로 공급되어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구(23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개폐구(232)를 작동시키는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 및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에 의해 작동된 개폐구(232)가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프링(23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구(232)는:
    상기 공급부(220)에 의해 공급되는 축구공의 하부에 접촉되어 축구공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개폐편(232a)과, 상기 개폐편(232a)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아암(232b)과, 상기 아암(232b)이 회전될 수 있도록 아암(232b)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힌지축(232c)과, 상기 힌지축(232c)에 의해 회전하는 아암(232b)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축구공을 밀어줌과 동시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축구공의 공급을 차단하는 밀대편(232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편(232a)과 밀대편(232d)에는, 축구공에 접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축구공이 접촉되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은:
    상기 힌지축(232c)을 중심으로 상기 아암(232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가 링크(232e)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를 밟으면, 상기 힌지축(232c)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편(232a)이 하부로 회전되어 발사휠(210)로 축구공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발사휠(210)로 들어가는 축구공은, 고속 회전하는 발사휠(210)에 의해 상기 발사구멍(102)을 통해 발사되고,
    상기 컨트롤 풋 브레이크(234)를 풀어주면, 스프링(236)에 의해 개폐구(232)가 원위치로 복원되어 축구공이 발사휠(210)로 공급되지 못하게 막아주도록 작동되고,
    상기 발사휠(210)의 중간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깥쪽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100)는 축구화, 운동화, 구두, 등산화 및 트래킹화 중 어느 하나의 신발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체(100)에는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운전석의 전면에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안전커버(104)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100)의 전후면에는 범퍼가 설치되며, 상기 차체(100)에는 깃발(106)을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공 발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1604U 2018-04-11 2018-04-11 축구공 발사장치 KR200491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04U KR200491933Y1 (ko) 2018-04-11 2018-04-11 축구공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04U KR200491933Y1 (ko) 2018-04-11 2018-04-11 축구공 발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15U KR20190002615U (ko) 2019-10-21
KR200491933Y1 true KR200491933Y1 (ko) 2020-07-08

Family

ID=6838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04U KR200491933Y1 (ko) 2018-04-11 2018-04-11 축구공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3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01B1 (ko) 2008-03-10 2010-07-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행 장갑
KR101721553B1 (ko) * 2016-10-13 2017-03-30 허태부 볼 자동 슈팅 머신
KR101815131B1 (ko) * 2017-06-09 2018-01-30 허태부 이동간 연습볼 자동 슈팅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8586B (en) * 1979-09-17 1983-11-02 Sharma D N Amusement vehicles
KR20150002652U (ko) 2013-12-27 2015-07-08 정연복 축구훈련장비
KR20150146137A (ko) 2014-06-23 2015-12-31 문상필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677688B1 (ko) 2016-06-08 2016-11-18 황인헌 공 자동 발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01B1 (ko) 2008-03-10 2010-07-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행 장갑
KR101721553B1 (ko) * 2016-10-13 2017-03-30 허태부 볼 자동 슈팅 머신
KR101815131B1 (ko) * 2017-06-09 2018-01-30 허태부 이동간 연습볼 자동 슈팅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15U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130B2 (en) Toy projectile launcher apparatus
CN105075892B (zh) 自动抛球装置
US8057276B2 (en) Toy
US20060211331A1 (en) Toy wheel launcher
CA2713463A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for launching sports balls
US7066846B2 (en) Football and soccer kicking training aid
US20120190482A1 (en) Sport Projectile Return Device
JP6877728B2 (ja) ボール発射装置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0491933Y1 (ko) 축구공 발사장치
US3208444A (en) Game device
US9579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 and catch device
KR20150002652U (ko) 축구훈련장비
US4039188A (en) Toy aircraft action skill game
US4225140A (en) Target-type shooting toy
KR101965644B1 (ko) 공 자동 발사 장치
CN215232013U (zh) 一种投球机构
US20060035733A1 (en) Football hiking system
CN110013659A (zh) 多用途棒球机器人及其控制方法
GB2391178A (en) Ball trapping and shooting device
US8574023B2 (en) Toy vehicle track set
JP3886832B2 (ja) 赤外線発射式戦車戦闘システム
CN103585770A (zh) 玩具车游戏装置
CN112774163A (zh) 一种发射装置
US1533795A (en) Race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