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34Y1 -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34Y1
KR200491834Y1 KR2020180002656U KR20180002656U KR200491834Y1 KR 200491834 Y1 KR200491834 Y1 KR 200491834Y1 KR 2020180002656 U KR2020180002656 U KR 2020180002656U KR 20180002656 U KR20180002656 U KR 20180002656U KR 200491834 Y1 KR200491834 Y1 KR 200491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cap member
container
protrusi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65U (ko
Inventor
김명재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80002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34Y1/ko
Priority to PCT/KR2019/007130 priority patent/WO2019240509A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마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게 상기 하부몸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부재와, 상기 하부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캡부재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키는 상부 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부재는, 상기 토출구로 접근하는 상기 내용물과 충돌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토출이 용이한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식품이나 제품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를 개폐하고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마개가 구비된 용기에 담겨진다. 분말 형태는 가루나 과립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식품이나 제품은 사용함에 따라 내용물이 적게 나오거나,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분말 형태의 내용물은 용기를 흔들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은 입자들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단단하게 뭉쳐져서 토출량이 줄어들거나 토출구가 막히게 된다.
이러한 토출구 막힘 현상 때문에 용기를 여러 번 흔들거나, 용기마개를 닫고 여러 번 흔든 후 사용하는 등, 분말을 보관하는 용기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토출구의 막힘과 토출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토출한 후 상부 캡부재를 닫을 때, 상부 캡부재에 형성된 제2 돌기부에 의해 토출구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제거함으로써, 토출구에 내용물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게 상기 하부몸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부재; 및, 상기 하부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캡부재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키는 상부 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부재는, 상기 토출구로 접근하는 상기 내용물과 충돌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와, 한 쌍의 상기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각각의 상기 토출구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기 한 쌍의 직선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직선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직선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향하는 방향의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일자 형상이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향하는 수직한 면이고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돌기몸체; 및, 상기 충돌된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돌기몸체의 상기 제1 면의 단부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게 경사진 경사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마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게 상기 하부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부재; 및, 상기 하부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캡부재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키는 상부 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부재가, 상기 토출구로 접근하는 상기 내용물과 충돌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부재가,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상기 하부 캡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와, 한 쌍의 상기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여 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각각의 상기 토출구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기 한 쌍의 직선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직선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직선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향하는 방향의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일자 형상이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향하는 수직한 면이고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돌기몸체; 및, 상기 충돌된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돌기몸체의 상기 제1 면의 단부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게 경사진 경사단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한 용기를 이용하면, 용기를 흔들거나 용기를 기울일 때, 토출구로 접근한 내용물이 하부 캡부재의 제1 돌기부와 충돌하면서, 내용물의 뭉침을 방지하고, 이미 뭉친 내용물을 풀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분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토출구의 막힘과 토출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을 토출한 후 상부 캡부재를 닫을 때, 상부 캡부재에 형성된 제2 돌기부에 의해 토출구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제거함으로써, 토출구에 내용물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용기마개를 개방한 상태로 상면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면을 도시한 하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구와 제1 돌기부의 하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용기마개를 닫은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는, 용기본체(20)와 용기마개(100)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용기본체(20)는 내부에 내용물(P)이 수용된다. 용기마개(100)는, 용기본체(20)의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본체(20)를 개폐한다.
여기서 용기본체(20)에 수용되는 내용물(P)은 가루나 과립 등의 분말 형태일 수 있고, 일례로 소금, 설탕, 후추 등의 분말식품일 수 있다. 다만, 용기본체(2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와 상태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용기마개(100)는, 하부 캡부재(200)와, 상부 캡부재(300)를 포함한다.
하부 캡부재(200)는, 하부몸체(210)와 토출구(220)를 구비한다. 하부몸체(210)는, 내용물(P)이 수용되는 용기본체(20)의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본체(20)를 개폐한다. 토출구(220)는, 하부몸체(210)를 관통하고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되며, 내용물(P)이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몸체(210)의 상부를 향하는 상면에 토출구(220)가 구비되고, 토출구(220)를 통해 내용물(P)이 토출될 수 있다. 하부몸체(210)의 하단부 내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하부몸체(210)가 용기본체(20)와 결합할 때, 용기본체(20)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물림에 따라, 하부몸체(210)와 용기본체(20)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부 캡부재(300)는, 하부 캡부재(200)에 결합되고, 하부 캡부재(200)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킨다. 도시된 일례와 같이 상부 캡부재(300)는 하부 캡부재(200)에 힌지부(400)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캡부재(300)는 회전에 의해 하부 캡부재(200)를 개폐할 수 있다. 상부 캡부재(300)가 회전하여 하부 캡부재(200)를 개방시키면 토출구(220)가 노출되어 내용물(P)이 토출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인 311은 상부 캡부재(30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이다.
다만, 상부 캡부재(300)와 하부 캡부재(200)의 결합방식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나사결합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하부 캡부재(200)는 제1 돌기부(230)를 더 포함한다. 제1 돌기부(230)는, 토출구(220)로 접근하는 내용물(P)과 충돌하도록, 토출구(220)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하부몸체(210)의, 용기본체(2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하면에 돌출 형성되고,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몸체(210)의 상면에는 토출구(22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몸체(210)의 상면의 반대방향, 즉 하부몸체(210)에서 용기본체(2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하면으로 정의할 때, 제1 돌기부(230)는 하부몸체(210)의 하면에, 용기본체(2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2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토출구(220)에 복수 개가 인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용기(10)를 흔들거나, 용기(10)를 기울여서 내용물(P)을 토출하는 등의 경우에, 내용물(P)이 토출구(220)에 접근하면서, 제1 돌기부(230)와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에 의해 뭉쳐진 내용물(P)이 제1 돌기부(230)와 충돌하면서 풀어져서 뭉친 상태가 해제되거나, 내용물(P)이 뭉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용물(P)이 분말 상태인 경우, 용기(10)를 흔들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용기(10)를 흔들어서 사용할수록 작은 입자는 아래로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위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아래에 작은 입자가 모여서 빈틈이 줄어들고, 용기(10)를 흔들면서 모여든 작은 입자가 다져지면서, 하부의 내용물(P)의 밀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에 위치한 작은 입자가 단단하게 뭉쳐져서 토출량이 적어지거나, 토출구(220)가 막힐 수 있다. 또는 토출구(220)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내용물(P)이 응집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100)를 이용하면, 도 7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용기(10)를 흔들거나 용기(10)를 기울일 때, 내용물(P)이 토출구(220)로 접근하면서 제1 돌기부(230)와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충돌에 의해 내용물(P)의 뭉침을 방지하고, 이미 뭉친 내용물(P)을 풀어줄 수 있다. 그리고 풀린 내용물(P)이 다시 뭉쳐지기 전에 바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분말 상태의 내용물(P)을 수용한 용기(10)를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P)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토출구(220)의 막힘과 토출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돌기부(230)는, 돌기몸체(231)와 경사단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몸체(231)는 하부몸체(21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출구(220)의 중심을 향하는 수직한 면인 제1 면(231a)과, 제1 면(231a)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면(231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몸체(2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220)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직선판 형상 또는 곡선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돌기몸체(231)의 수직한 면 중, 토출구(220)의 중심을 향하는 면을 제1 면(231a)이라고 정의하고, 제1 면(231a)에 반대 방향의 면을 제2 면(231b)이라 정의한다. 즉, 돌기몸체(231)의 수직하고 넓은 면을 제1 면(231a)과 제2 면(231b)이라고 가정한다.
경사단부(233)는, 돌기몸체(231)의 단부에 구비되되, 제1 면(231a)과 제2 면(231b)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몸체(231)는, 제1 면(231a)과 제2 면(231b) 사이의 두께가 하부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단부(233)는, 제1 면(231a)에 형성된 경우, 제1 면(231a)으로부터 제2 면(23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단부(233)는, 제2 면(231b)에 형성된 경우 제2 면(231b)으로부터 제1 면(231a)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면(231a) 및 제2 면(231b) 모두에 형성된 경우 제1 면(231a)와 제2 면(231b)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몸체(231)의 두께가 하부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돌기부(230)는, 하단부에 경사단부(233)를 구비하여 하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가 됨으로써, 충돌 시에 뭉친 내용물(P)을 효과적으로 풀어줄 수 있다.
제1 돌기부(230)는 각각의 토출구(220)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부(230)는 하나의 토출구(220) 당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토출구(220)에 인접한 제1 돌기부(230)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돌기부(230)는 토출구(220) 주변에, 연속되지 않고 끊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돌기부(230)가 토출구(220)의 하부에서 링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경우, 제1 돌기부(230) 내부에 내용물(P)이 고립되어 끼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1 돌기부(230)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토출구(220) 주변에 내용물(P)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토출구(220)는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221)와, 한 쌍의 직선부(221)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부(230)는, 토출구(220)의 직선부(22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돌기부(230)는 이격되게 구비되되, 타원형의 토출구(220)의 직선부(221)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기부(230)는 직선부(221)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기부(230)는 토출구(220)의 직선부(221)에 형성됨으로써, 토출구(220)의 곡선부(222)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내용물(P)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분쇄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으로 내용물(P)의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토출구(220)의 형상과 제1 돌기부(2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토출구(220)의 주변에서 내용물(P)을 분쇄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몸체(231)의 제1 면(231a)은, 토출구(220)의 내주면(220a)과 동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220)를 향하는 돌기몸체(231)의 제1 면(231a)이, 토출구(220)의 내주면(220a)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220) 주변에서, 제1 돌기부(230)와 하부몸체(21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면(231a)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면(231a)이 토출구(220)의 내주면(220a)에서 연장한 면에 미세하게 이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토출구(220)의 내주면(220a)과 제1 면(231a)이 연장되면, 제1 돌기부(230)가 토출구(2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내용물(P)이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될 때, 토출구(220)와 제1 돌기부(230) 사이에 내용물(P)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캡부재(300)는, 상부몸체(310)와 제2 돌기부(33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310)는, 하부 캡부재(200)를 커버한다.
제2 돌기부(330)는, 하부 캡부재(2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부몸체(310)로부터 하부 캡부재(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토출구(220)에 삽입되게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돌기부(330)의 상, 하방향은, 용기본체(20) 입구가 상측에 배치하고 용기(10)를 기립한 상태에서 상부 캡부재(300)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캡부재(300)를 닫았을 때, 상부몸체(310) 중 하부 캡부재(200)의 상면을 향하는 면을, 상부몸체(310)의 하면이라고 정의할 때, 제2 돌기부(330)는 상부몸체(310)의 하면에, 하부 캡부재(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부(330)는, 토출구(2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토출구(2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100)는, 내용물(P)을 토출한 후 상부 캡부재(300)를 닫을 때, 상부 캡부재(300)에 형성된 제2 돌기부(330)에 의해, 토출구(220)에 잔존하는 내용물(P)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220)에 내용물(P)이 끼이는 현상과, 이로 인해 토출구(220)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기부(330)는, 토출구(2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기부(330)의 외주면의 수평방향 단면의 형상은, 토출구(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부(330)의 외주면의 수평방향 단면의 크기는, 하부 캡부재(200)에 상부 캡부재(300)가 개폐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돌기부(330)의 외주면이 토출구(220)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제2 돌기부(330)의 외주면과 토출구(220) 사이의 틈새가 최소화되어, 제2 돌기부(330)가 토출구(220)에 삽입될 때 토출구(220)에 잔존하는 내용물(P)을 토출구(220)로부터 이탈시킴과 동시에, 상부 캡부재(300)의 개폐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일례로, 토출구(220)는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부(330)의 외주면은, 수평방향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토출구(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부(330)는, 제2 돌기부(330)의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부(331)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의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기부(330)의 수평방향의 단면은, 모두 채워진 형태가 아닌, 중공부(331)를 포함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부(331)는 제2 돌기부(330)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캡부재(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기부(330)는 중공부(331)를 포함하여 구비됨으로써, 중공부(331)를 포함하지 않고 채워진 형태인 경우 비해, 사용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기부(330)의 변형에 의해, 토출구(220)로의 삽입이 방해되어 상부 캡부재(300)를 닫을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캡부재(300) 의 개폐 시에, 제2 돌기부(3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2 돌기부(330)가 변형이 된 경우에도 중공부(331)측인 중심부로의 변형을 유도하여, 상부 캡부재(300)의 개폐가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하부몸체(210)는, 토출구(220)가 형성된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부(330)의, 하부 캡부재(200)를 향하는 하면(333)은, 하부몸체(210)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220)가 형성된 하부몸체(210)의 상면은, 내용물(P)의 토출이 유리하도록 상측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부(330)의 하면(333)은, 이러한 하부몸체(210)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캡부재(300)를 닫았을 때 하부몸체(210)의 곡면과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캡부재(200)에 상부 캡부재(300)를 개폐할 때, 토출구(220)와 제2 돌기부(330)의 방해가 최소화되어, 개폐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하부 캡부재(200)와 제2 돌기부(330)의 연속된 곡면 형상에 의해 제품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돌기부(330)는, 상부 캡부재(300)를 닫았을 때, 제2 돌기부(330)의 하면(333)이 하부몸체(210)의 하면(211)에서 연장한 가상의 면에 인접하고, 제2 돌기부(330)의 하단부가 제1 돌기부(230)와 중첩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기부(330)의 길이는, 상부 캡부재(300)를 닫았을 때, 제2 돌기부(330)의 하면(333)이 하부몸체(210)의 하면(211)에서 연장한 면에 인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2 돌기부(330)의 하단부가 토출구(220)의 하단에 인접한 영역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기부(330)는, 토출구(220)에 끼인 내용물(P)의 대부분을 이탈시켜서 용기본체(20)의 내부로 운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부(330)의 길이는, 상부 캡부재(300)를 닫았을 때, 제2 돌기부(330)의 하단부가 제1 돌기부(230)와 중첩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캡부재(300)를 개폐할 때, 제2 돌기부(330)가 제1 돌기부(230)의 돌기몸체(231)와 접촉되어 개폐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기부(330)는 상부 캡부재(300)를 개폐할 때, 상부 캡부재(3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내용물(P)이 토출구(220)나 제1 돌기부(230)에 끼인 상태로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한 용기를 이용하면, 용기를 흔들거나 용기를 기울일 때, 토출구로 접근한 내용물이 하부 캡부재의 제1 돌기부와 충돌하면서, 내용물의 뭉침을 방지하고, 이미 뭉친 내용물을 풀어줄 수 있다. 따라서, 분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토출구의 막힘과 토출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을 토출한 후 상부 캡부재를 닫을 때, 상부 캡부재에 형성된 제2 돌기부에 의해 토출구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제거함으로써, 토출구에 내용물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용기 20: 용기본체
100: 용기마개 200: 하부 캡부재
210: 하부몸체 220: 토출구
221: 직선부 222: 곡선부
230: 제1 돌기부 231: 돌기몸체
231a: 제1 면 231b: 제2 면
233: 경사단부 300: 상부 캡부재
310: 상부몸체 330: 제2 돌기부
331: 중공부 333: 하면
400: 힌지부 P: 내용물

Claims (12)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게 상기 하부몸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부재; 및,
    상기 하부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캡부재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키는 상부 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부재는, 상기 토출구로 접근하는 상기 내용물과 충돌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와, 한 쌍의 상기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각각의 상기 토출구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기 한 쌍의 직선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직선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직선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향하는 방향의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일자 형상이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향하는 수직한 면이고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돌기몸체; 및,
    상기 충돌된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돌기몸체의 상기 제1 면의 단부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게 경사진 경사단부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부재는,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상기 하부 캡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의 외주면의 수평방향 단면은,
    상기 토출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캡부재에 상기 상부 캡부재가 개폐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돌기부의 외주면이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용기마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외주면은, 수평방향의 단면이 상기 토출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구비되는, 용기마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2 돌기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의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용기마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하부 캡부재를 향하는 하면은, 상기 하부몸체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용기마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상부 캡부재가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돌기부의 상기 하부 캡부재를 향하는 하면이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하면에서 연장한 가상의 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돌기부와 중첩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용기마개.
  12.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마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게 상기 하부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부재; 및,
    상기 하부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캡부재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키는 상부 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부재가, 상기 토출구로 접근하는 상기 내용물과 충돌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부재가,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 캡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상기 하부 캡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와, 한 쌍의 상기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여 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각각의 상기 토출구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기 한 쌍의 직선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직선부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상기 직선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향하는 방향의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일자 형상이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향하는 수직한 면이고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돌기몸체; 및,
    상기 충돌된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돌기몸체의 상기 제1 면의 단부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게 경사진 경사단부를 포함하는, 용기.
KR2020180002656U 2018-06-15 2018-06-15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0491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56U KR200491834Y1 (ko) 2018-06-15 2018-06-15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CT/KR2019/007130 WO2019240509A1 (ko) 2018-06-15 2019-06-13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56U KR200491834Y1 (ko) 2018-06-15 2018-06-15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65U KR20190003165U (ko) 2019-12-26
KR200491834Y1 true KR200491834Y1 (ko) 2020-06-12

Family

ID=6884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656U KR200491834Y1 (ko) 2018-06-15 2018-06-15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1834Y1 (ko)
WO (1) WO201924050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264A1 (en) * 1998-07-21 2001-12-13 Horst Schorner Hinged container cap
JP2002114250A (ja) * 2000-10-11 2002-04-16 Loop Net:Kk 振出口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9163B2 (ja) * 1994-09-29 2002-12-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振り出し容器
FR2752820B1 (fr) * 1996-08-29 1998-09-25 Oreal Capsule de distribution a etancheite amelioree
US6364169B1 (en) * 1997-03-11 2002-04-02 Michael G. Knickerbocker Anti clog terminal orifice for power dispenser
KR20140004214U (ko) * 2012-12-28 2014-07-09 윤병호 쉐이크 기능을 갖는 머그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264A1 (en) * 1998-07-21 2001-12-13 Horst Schorner Hinged container cap
JP2002114250A (ja) * 2000-10-11 2002-04-16 Loop Net:Kk 振出口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65U (ko) 2019-12-26
WO2019240509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8130A (en) One-piece container closure with lid held open for dispensing
US8844715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tegral type working member
HRP980177A2 (en) Dispensing seal
KR890000064A (ko) 소금 및 후추뿌리개
BR112014028918B1 (pt) Acessório para um recipiente de produto pulverizado, e, recipiente para um produto pulverizado
US20070007310A1 (en) Dispenser
GB2092559A (en) Dispensing cap construction
KR200491834Y1 (ko) 용기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US6364169B1 (en) Anti clog terminal orifice for power dispenser
WO2006125604A1 (de) Spendebehälter für fliessfähiges gut
KR200486246Y1 (ko) 분말식품 용기용 캡
JP2002264975A (ja) 粉末定量振出容器
JP7149727B2 (ja) 振り出しキャップ
JP7063523B2 (ja) 振り出し容器
KR19990014578U (ko)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0283390Y1 (ko) 이중용기
JPH0339411Y2 (ko)
JP5605808B2 (ja) 振り出し容器
JP3269265B2 (ja) 振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2002114250A (ja) 振出口付き容器
JP3809621B2 (ja) 振り出し容器のキャップ
US4047647A (en) Dispenser for granular material
JP2001240158A (ja) 振出し容器
JPH0891405A (ja) 振り出し容器
JP6384832B2 (ja) 振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