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62Y1 -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 Google Patents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62Y1
KR200491362Y1 KR2020190002194U KR20190002194U KR200491362Y1 KR 200491362 Y1 KR200491362 Y1 KR 200491362Y1 KR 2020190002194 U KR2020190002194 U KR 2020190002194U KR 20190002194 U KR20190002194 U KR 20190002194U KR 200491362 Y1 KR200491362 Y1 KR 200491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rame
guide
post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우
Original Assignee
조항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우 filed Critical 조항우
Priority to KR2020190002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는, 차량 본체에 마련되는 리프팅 본체; 리프팅 본체에 마련되어 리프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며 탑승자가 탑승되는 리프팅 프레임부; 리프팅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리프팅 프레임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리프팅 프레임부와 같이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부; 및 리프팅 본체에 마련되어 승강 가이드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고, 승강 구동부는 리프팅 프레임부를 차량 본체에 마련된 측면틀의 위치로 상승시켜 탑승자가 측면틀을 통해 차량 본체에 마련된 방호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TANK LORRY HAVING A LIFTING FUNCTION}
본 고안은, 탱크 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를 저장 탱크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시킬 수 있는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에 관한 것이다.
탱크로리(tank lorry) 또는 탱크트럭은 원유 및 각종 액체물질을 수송하기 위해 만들어진 차량이다. 트럭의 모양에 커다란 물탱크가 얹혀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주로 석유나 물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분뇨수거차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탱크로리는 차량본체의 프레임에 내부에 유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를 장착하여 마련된다.
탱크 로리의 저장 탱크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유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마련된다. 저장 탱크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이 구비되어 저장부가 복수로 구획된다.
이때 저장 탱크의 상면부에는 저장부에 대응되는 맨홀이 마련되고, 맨홀에 마련된 도어를 열고 닫아 각각의 저장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장 탱크의 상면부에는 안정장치와 방호틀과 측면틀이 설치된다.
측면틀은 탱크로리의 전복시 저장 탱크의 측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방호틀은 저장 탱크의 상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전의 탱크 로리에서 사용자가 저장 탱크의 상측부까지 오르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저장탱크에 마련된 지지물을 이용해야 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떨어지거나 미끄러져서 다칠 위험이 있고, 작업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9228호(장호선) 2014. 01. 28.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탑승자를 저장 탱크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시킬 수 있는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본체에 마련되는 리프팅 본체; 상기 리프팅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며 탑승자가 탑승되는 리프팅 프레임부;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같이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리프팅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를 상기 차량 본체에 마련된 측면틀의 위치로 상승시켜 탑승자가 상기 측면틀을 통해 상기 차량 본체에 마련된 방호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로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본체는, 상기 차량 본체의 프레임 바디에 결합되는 포스트 프레임;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구획시키는 포스트 플레이트; 및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연결 영역이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본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완충 부재; 및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의 와이어 부재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완충 부재에 저면부가 지지되는 리프팅 베이스; 상기 복수의 리프팅 베이스에 서로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 상기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상기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 중 선택된 리프팅 포스트에 일측부가 회동 결합되는 제1 회동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 중 선택된 다른 리프팅 포스트에 타측부가 회동 결합되는 제2 회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을 상기 선택된 리프팅 포스트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을 상기 선택된 다른 리프팅 포스트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승강 가이드 바디;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 부재; 및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 감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승강 구동 프레임; 상기 승강 구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승강 구동 모터; 일측부는 상기 승강 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부재; 및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의 포스트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탑승자가 수동으로 상기 측면틀로 오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사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본체와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와 상기 승강 사다리부는 상기 차량 본체의 좌우측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본체는 상기 리프팅 본체의 상단부에 근접되게 상기 측면틀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탑승을 가이드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승강 구동부가 리프팅 프레임부를 차량 본체에 마련된 측면틀의 위치로 상승시켜 탑승자가 측면틀을 통해 방호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를 저장 탱크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리프팅 수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팅 프레임부의 상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승강 구동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리프팅 수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팅 프레임부의 상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승강 구동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1)는, 차량 본체(100)와, 차량 본체(100)에 마련되는 리프팅 본체(200)와, 리프팅 본체(200)에 마련되어 리프팅 본체(20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며 탑승자가 탑승되는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리프팅 프레임부(300)에 결합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같이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부(400)와, 리프팅 본체(200)에 마련되어 승강 가이드부(40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500)를 구비한다.
차량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110)와, 프레임 바디(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저장 탱크(120)와, 저장 탱크(120)에 마련되는 측면틀(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저장 탱크(120)의 상측부에는 방호틀이 마련되고, 방호틀에 인접하게 측면틀(1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측면틀(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되게 저장 탱크(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측면틀(130)은 저장 탱크(12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측면틀(130)은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상승 시 리프팅 프레임부(300)에 탑승된 탑승자가 측면틀(130)을 밟고 방호틀로 들어갈 수 있도록 리프팅 프레임부(300)에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측면틀(130)의 상면부에는 탑승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부재 예를 들어 홈과 돌기, 고무 패드 또는 공지된 미끄럼 방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측면틀(130)에는 리프팅 프레임부(300)에서 내린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난간바(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 본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110)의 후방부에 결합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400)의 승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본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110)에 결합되는 포스트 프레임(210)과, 포스트 프레임(2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포스트 프레임(210)에 마련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400)를 구획시키는 포스트 플레이트(230)와, 포스트 플레이트(230)에 마련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400)의 연결 영역이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홀(240)과,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완충 부재(250)와, 포스트 프레임(210)에 마련되어 승강 구동부(500)의 와이어 부재(530)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롤러(260)를 포함한다.
리프팅 본체(200)의 포스트 프레임(210)은, 그 최상단 높이가 측면틀(13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측면틀(130)의 상면부와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리프팅 베이스(310)가 동일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포스트 프레임(210)은 프레임 바디(110)에 브래킷에 의해 볼트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본체(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를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포스트 프레임(210)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본체(200)의 포스트 플레이트(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의 전 높이에 걸쳐 마련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400)를 구획할 수 있다.
리프팅 본체(200)의 승강 가이드홀(2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플레이트(230)의 양 가장자리를 절개하여 마련될 수 있고,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400)의 연결 영역이 승강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승강 가이드홀(240)은 포스트 플레이트(230)의 전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 본체(200)의 복수의 완충 부재(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어 리프팅 베이스(310)의 저면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완충 부재(250)는 납작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리프팅 본체(200)의 회전 롤러(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의 상측부에 한 쌍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이격 마련되어 와이어 부재(5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리프팅 프레임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 구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탑승자를 측면틀(130)로 상승시키거나 측면틀(130)에 있는 탑승자를 지면이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프레임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 부재(250)에 저면부가 지지되는 리프팅 베이스(310)와, 복수의 리프팅 베이스(310)에 서로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320)와,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320)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330)과,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320) 중 선택된 리프팅 포스트(320)에 일측부가 회동 결합되는 제1 회동 프레임(340)과,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320) 중 선택된 다른 리프팅 포스트(320)에 타측부가 회동 결합되는 제2 회동 프레임(350)과, 제1 회동 프레임(340)을 선택된 리프팅 포스트(320)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제1 체결부(360)와, 제2 회동 프레임(350)을 선택된 다른 리프팅 포스트(32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체결부(370)를 포함한다.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리프팅 베이스(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탑승자의 발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베이스(310)의 상면부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 예를 들어 타공판이나 전술한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되어 탑승자가 오일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베이스(310)에는 히터나 팬이 마련되어 탑승자에게 냉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차량 본체(100)에 장착된 압축 탱크를 압축 공기의 제공 수단으로 하여 리프팅 프레임부(300)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고, 전술한 히터와 연계하여 온풍을 제공할 수도 있다.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베이스(3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리프팅 베이스(310)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320)는 리프팅 베이스(310)의 각각의 모서리에 총 4개로 마련될 수 있고, 리프팅 베이스(31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복수의 연결 프레임(3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리프팅 포스트(32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 프레임(330)은 리프팅 포스트(32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제1 회동 프레임(3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가 리프팅 포스트(3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부는 제1 체결부(360)에 의해 리프팅 포스트(32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회동 프레임(340)은 측면틀(130)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탑승자를 측면틀(130)로 내리게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제2 회동 프레임(3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360)가 마련된 영역의 리프팅 포스트(320)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체결부(370)에 의해 리프팅 포스트(32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회동 프레임(350)은 측면틀(130)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탑승자를 측면틀(130)로 내리게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회동 프레임(350)은 제1 회동 프레임(340)과 수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회동 프레임(340)과 제2 회동 프레임(350)은 탑승자가 측면틀(130)로 내릴 수 있도록 개방 영역을 마련할 수 있고, 탑승자는 제1 회동 프레임(340)과 제2 회동 프레임(350)을 잡고 안전하게 측면틀(130)로 내릴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더 안전을 기하기 위해 제1 회동 프레임(340)과 제2 회동 프레임(350)이 90도로 회동된 경우 회동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지된 스토퍼 수단이 제1 회동 프레임(340)과 제2 회동 프레임(350)에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제1 체결부(360)와 제2 체결부(3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 형태로 마련되어 리프팅 포스트(320)에 탈착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딩 바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프레임부(300)에 연결되어 리프팅 프레임부(300)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같이 승강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가이드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홀(240)을 통해 리프팅에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 바디(410)와, 승강 가이드 바디(410)에 마련되어 포스트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 부재(420)와, 승강 가이드 바디(410)에 마련되어 승강 가이드 바디(410)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 감지 스위치(430)를 포함한다.
승강 가이드부(400)의 승강 가이드 바디(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켜 마련되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가이드 바디(410)의 일측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411)이 마련되고, 이 결합핀(411)에는 와이어 부재(530)의 일측부가 결합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400)의 복수의 롤러 부재(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바디(410)의 좌우측에 총 4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롤러 부재(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프스트 프레임의 내벽과 구름 마찰 방식으로 접촉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400)의 승강 감지 스위치(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바디(4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승강 가이드 바디(410)의 최상단 높이와 최하단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감지 스위치(430)는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승강 가이드부(400)를 측면틀(130)의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측면틀(13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20)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구동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승강 구동 프레임(510)과, 승강 구동 프레임(510)에 결합되는 승강 구동 모터(520)와, 일측부는 승강 구동 모터(52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승강 가이드 바디(410)에 연결되어 승강 구동 모터(520)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이드 바디(41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부재(530)와, 포스트 프레임(210)의 상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 배치되어 와이어 부재(530)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540)를 포함한다.
승강 구동부(500)의 승강 구동 프레임(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의 후방벽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구동 프레임(510)은 브래킷을 통해 포스트 프레임(21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0)의 승강 구동 모터(520)는, 승강 구동 프레임(510)에 결합되며, 와이어 부재(530)를 감거나 풀어 승강 가이드 바디(4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구동 모터(520)는 승강 구동 프레임(510)에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차량 본체(100)에 마련되는 배터리 등의 전원 공급 수단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0)의 와이어 부재(530)의 일측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 모터(520)에 감겨져 있고 타측부는 결합핀(41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와이어 부재(530)는 체인이나 다른 공지된 연결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0)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5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 모터(5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승강 구동 프레임(510)에 마련되어 와이어 부재(530)의 승강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가이드 롤러(5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 모터(520)와 평행하게 승강 구동 프레임(510)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540)와, 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540)의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수직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가이드 롤러(5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전술한 다른 한 쌍의 가이드 롤러(540)는 와이어 부재(530)가 승강 구동 모터(5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1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에 승강 사다리부(600)를 마련하여 승강 구동부(500)의 고장시 탑승자가 수동으로 측면틀(130)로 오르거나 측면틀(130)로부터 내려오도록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틀(130)에 연장부(140)를 마련하여 리프팅 프레임부(300)에 탑승된 탑승자가 연장부(140)를 밝고 측면틀(130)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장부(140)의 상면부에는 전술한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본체(200)와 리프팅 프레임부(300)와 승강 가이드부(400)와 승강 구동부(500)와 승강 사다리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110)의 좌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바디(110)의 일측부에만 전술한 구성을 마련하는 것에 비해 탑승자를 신속하게 측면틀(130)로 승강시킬 수 있고, 차량의 무게 중심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롤러(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와이어 부재(53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승강 구동부가 리프팅 프레임부를 차량 본체에 마련된 측면틀의 위치로 상승시켜 탑승자가 측면틀을 통해 방호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를 저장 탱크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100 : 차량 본체 110 : 프레임 바디
120 : 저장 탱크 130 : 측면틀
140 : 연장부 200 : 리프팅 본체
210 : 포스트 프레임 220 : 베이스 플레이트
230 : 포스트 플레이트 240 : 승강 가이드홀
250 : 완충 부재 260 : 회전 롤러
300 : 리프팅 프레임부 310 : 리프팅 베이스
320 : 리프팅 포스트 330 : 연결 프레임
340 : 제1 회동 프레임 350 : 제2 회동 프레임
360 : 제1 체결부 370 : 제2 체결부
400 : 승강 가이드부 410 : 승강 가이드 바디
411 : 결합핀 420 : 롤러 부재
430 : 승강 감지 스위치 500 : 승강 구동부
510 : 승강 구동 프레임 520 : 승강 구동 모터
530 : 와이어 부재 540 : 가이드 롤러
600 : 승강 사다리부

Claims (10)

  1. 차량 본체에 마련되는 리프팅 본체;
    상기 리프팅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며 탑승자가 탑승되는 리프팅 프레임부;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같이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부; 및
    상기 리프팅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를 상기 차량 본체에 마련된 측면틀의 위치로 상승시켜 탑승자가 상기 측면틀을 통해 상기 차량 본체에 마련된 방호틀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리프팅 본체는, 상기 차량 본체의 프레임 바디에 결합되는 포스트 프레임;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를 구획시키는 포스트 플레이트; 및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연결 영역이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본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완충 부재; 및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의 와이어 부재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완충 부재에 저면부가 지지되는 리프팅 베이스; 상기 복수의 리프팅 베이스에 서로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 상기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상기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 중 선택된 리프팅 포스트에 일측부가 회동 결합되는 제1 회동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리프팅 포스트 중 선택된 다른 리프팅 포스트에 타측부가 회동 결합되는 제2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을 상기 선택된 리프팅 포스트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을 상기 선택된 다른 리프팅 포스트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본체는 상기 리프팅 본체의 상단부에 근접되게 상기 측면틀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탑승을 가이드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은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은 탑승자가 상기 측면틀로 내릴 수 있도록 개방 영역을 마련할 수 있고, 탑승자는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제2 회동 프레임을 잡고 안전하게 측면틀로 내릴 수 있고,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제2 회동 프레임이 90도로 회동된 경우 회동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지된 스토퍼 수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에 마련되는 탱크 로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승강 가이드 바디;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 부재; 및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탱크 로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승강 구동 프레임;
    상기 승강 구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승강 구동 모터;
    일측부는 상기 승강 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 가이드 바디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부재; 및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탱크 로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의 포스트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탑승자가 수동으로 상기 측면틀로 오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탱크 로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본체와 상기 리프팅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와 상기 승강 사다리부는 상기 차량 본체의 좌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로리.
  10. 삭제
KR2020190002194U 2019-05-28 2019-05-28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KR200491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94U KR200491362Y1 (ko) 2019-05-28 2019-05-28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94U KR200491362Y1 (ko) 2019-05-28 2019-05-28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62Y1 true KR200491362Y1 (ko) 2020-03-26

Family

ID=6994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94U KR200491362Y1 (ko) 2019-05-28 2019-05-28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118B1 (ko) * 2022-05-31 2022-09-14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359A (ja) * 1996-03-06 1997-09-16 Showa Aircraft Ind Co Ltd タンクローリに付設された作業用昇降装置
JPH11222068A (ja) * 1998-02-09 1999-08-17 Jidosha Seiko Kk 運搬車の昇降荷役装置
JP2010215119A (ja) * 2009-03-17 2010-09-30 Tank Tec Co Ltd 作業用昇降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ンクローリ並びにコンテナ
KR101359228B1 (ko)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359A (ja) * 1996-03-06 1997-09-16 Showa Aircraft Ind Co Ltd タンクローリに付設された作業用昇降装置
JPH11222068A (ja) * 1998-02-09 1999-08-17 Jidosha Seiko Kk 運搬車の昇降荷役装置
JP2010215119A (ja) * 2009-03-17 2010-09-30 Tank Tec Co Ltd 作業用昇降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ンクローリ並びにコンテナ
KR101359228B1 (ko)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118B1 (ko) * 2022-05-31 2022-09-14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8326A (en) Pallet dock lift
US279207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S638658Y2 (ko)
RU2500553C2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6517493A (ja) 可動耐荷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込んだ車両及びトレーラ
EP3284624B1 (en) Support beam
JP6486113B2 (ja) 収納庫付平面デッキ
KR200491362Y1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KR20200125161A (ko) 탑차
US20030147734A1 (en) Goods handling system
US3282374A (en) Elevating stock picker truck
JPH0972123A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及びエレベータ式自走縦重列立体駐車設備
US9440830B2 (en) Personnel lift vehicle
WO2019142008A1 (en) Tail lift assembly for vehicle trailer
EP3403955B1 (en) Bottom seal assembly for dock ramp
KR200483239Y1 (ko)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KR20110000864A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102679633B1 (ko) 승강 장치
JP7316660B2 (ja) 多段昇降装置
KR102607524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탑차 전용 적재함
JP2019156558A (ja) 搬器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KR100482970B1 (ko) 차량 적재함의 보조 스탭
JP2768395B2 (ja) 立体駐車場
KR101946962B1 (ko) 자바라 타입의 블라인드가 구비된 특장차
JP5364536B2 (ja) 機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