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18B1 -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 Google Patents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18B1
KR102443118B1 KR1020220067264A KR20220067264A KR102443118B1 KR 102443118 B1 KR102443118 B1 KR 102443118B1 KR 1020220067264 A KR1020220067264 A KR 1020220067264A KR 20220067264 A KR20220067264 A KR 20220067264A KR 102443118 B1 KR102443118 B1 KR 10244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ar
safety
bar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현
이명근
Original Assignee
탱크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탱크코리아(주) filed Critical 탱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2006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탱크로리 차량 본체(11)와 탱크(13)에 마련된 거치 프레임(110)과 상기 거치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본체(120)와 상기 승강기 본체(120)를 상기 거치 프레임(110)에서 자동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탱크로리 자동승강기{Tank lorry automatic elevator}
본 발명은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로리 차량의 작업시 작업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로리는 액체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화물용 차량이다. 주요 운반물로는 액체 가스류, 우유, 물, 가솔린 등이 있다. 탱크로리는 운반해야 하는 액체의 성질에 따라 탱크의 크기도 다르며 가압 또는 비 가압, 절연 또는 비 절연 등 탱크트럭도 다양하다.
이 중 액화 가연성 가스와 같은 액체를 담고 있는 차량은 무엇보다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도록 원통형으로 된다.
또한, 탱크로리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주입구를 여닫고, 액위 관측 및 액체 시료를 채취하여 탱크의 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탱크로리의 돔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다리가 장착된다.
그런데,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탱크로리 상부에 올라갈 때 미끄럼이 발생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2201520호(2021.01.0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로리 차량의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고 승강이 용이하도록 자동 승강되는 구조의 탱크로리 자동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 자동승강기는 탱크로리 차량 본체와 탱크에 설치된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본체; 및 상기 승강기 본체를 상기 거치 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탱크로리 차량 본체와 탱크의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배치된 한 쌍의 고정바;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제1지지바; 상기 제1지지바와 이격되게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소정 높이 위치에서 연결하는 제2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바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본체는,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발 받침대; 상기 발 받침대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난간부; 상기 발 받침대의 저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바에 고정되어 상기 발 받침대의 하중을 보강하는 보강바; 및 상기 수직바에서 돌출되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직바와 마주보는 위치로 나란하게 위치된 가이드바에 서로 대향되는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 받침대는 상면에 미끄럼방지 고무가 부착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2지지바에 고정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승강기 본체에 고정되는 체인; 상기 제1지지바에 바닥면이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의 사이에 세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서 인출 가능한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단부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이 걸어져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 및 상기 도르레의 상측 일부를 이격되게 커버하여 그 사이에 상기 체인이 통과하여 걸어지게 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커버브라켓;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부; 상기 유압공급부를 동작시키는 버튼부; 거치 프레임의 상단과 제2지지바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도르레의 상승 및 하강이 끝나게 되는 시점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밋스위치; 및 상기 리밋스위치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유압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한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본체는, 발 받침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바와 맞닿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승강기 본체가 고장 시 작업자가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삽입된 사다리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상기 제1지지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 내부 공간 양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봉과, 상기 승강기 본체와 땅의 이격거리가 높을 경우, 사다리부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고정봉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고리부와, 상기 회동고리부와 상기 사다리부를 연결시키는 체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내부에 상기 사다리부가 말아져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는, 상기 사다리부가 말아졌을 때, 상기 사다리부가 말아진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외측둘레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부는, 상기 고정돌기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사다리부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부는, 상기 회동고리부와 상기 사다리부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안전 케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본체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자를 상기 안전 케이지가 보호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 케이지는,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과,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네 개의 케이지바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네 개의 케이지바를 서로 연결하여 네 개의 케이지바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안전 보강 난간대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승강기 본체를 구성하는 수직바의 상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랜지와,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에 구비된 케이지측 플랜지와, 상기 결합 플랜지와 케이지측 플랜지에 결합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 본체에 작업자의 미탑승 시에는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가 네 개의 케이지바를 연결한 상태가 해체되고 네 개의 케이지바는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 케이지의 네 군데의 케이지바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에 연결되는 안전 보강 난간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는 안전 케이지의 두 개의 케이지바 중에서 한쪽의 케이지바에 기단부가 힌지를 연결된 제1안전 보강 난간바와, 다른 쪽의 케이지바에 기단부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제2안전 보강 난간바와,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의 선단부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선단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보강 연결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내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 외주면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부에 의해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양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 작동편과, 상기 그립 작동편의 외주면에 돌출된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와,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에 접촉되는 그립 작동 테이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는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양단부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 작동 테이퍼부는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 내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의 테이퍼면에 상기 그립 작동 테이퍼부의 테이퍼면이 접촉된 상태가 된다.
제1안전 보강 난간바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결합된 포지션 셋팅 링체를 더 포함한다.
포지션 셋팅 링체는 내주면에 셋팅 링체측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과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는 난간바측 외주연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바측 외주연 나사부에 포지셧 셋딩 링체 내주면의 셋팅 링체측 나사부가 결합된다.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에 안전 보강 난간대를 연결하여 네 개의 케이지바에 각각 안전 보강 난간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지션 세팅 링체의 일단부는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양단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양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지바는 복수개의 바아부재가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텔리스코프바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바아부재의 하단부에는 언폴딩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바에는 실린더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바아부재 중에서 가장 안쪽의 바아부재에 연결되고, 가장 안쪽의 상기 바아부재의 상단부에는 차양 패널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양 패널은, 가장 안쪽의 상기 바아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된 차양 패널 프레임과,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이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차양 실드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의 양단부는 상기 차양 패널 프레임의 양쪽에 나란하게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다.
상기 차양 패널의 차양 패널 프레임은 볼트와 브라켓과 같은 탈착수단에 의해 안전 케이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바아부재가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텔리스크프바로 구성된 경우, 복수개의 바아부재 중에서 가장 안쪽의 바아부재에 상기 볼트와 브라켓과 같은 탈착수단을 매개로 차양 패널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바는 복수개의 바아부재가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텔리스크프바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바아부재의 하단부에는 언폴딩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바에는 실린더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바아부재 중에서 가장 안쪽의 바아부재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실린더에서 인출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양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탱크로리 차량의 후면에 구비되고 탱크의 상단까지 자동 승강되는 구조이고 난간부를 구비하여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추락 및 미끄럼 방지의 효과가 있으며, 대형 탱크로리 차량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 프레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유압실린더가 도르레를 상승시키고 도르레에 걸어진 체인이 작업자가 탑승한 승강기 본체를 상승시키는 구조이므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승강기 본체를 쉽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의 가이드바가 거치 프레임의 수직바와 마주보는 위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동부를 레일부에 안정되게 결합하므로, 이동부가 레일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유동없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여 승강기 본체의 승강시 흔들림이나 틀어짐없어 사용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의 고장시에도 대체 방안이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의 가이드바가 거치 프레임의 수직바와 마주보는 위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동부를 레일부에 안정되게 결합하므로, 이동부가 레일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유동없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여 승강기 본체의 승강시 흔들림이나 틀어짐없어 사용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가 적용된 탱크로리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가 적용된 탱크로리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가 적용된 탱크로리를 보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를 보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동작을 보인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케이지의 케이지바가 세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주요부인 케이지바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안전 보강 난간대와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주요부인 제1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보강 연결 슬리브의 그립 작동편을 가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주요부인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보강 연결 슬리브의 그립 작동편을 가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케이지의 좌우 두 개의 케이지바에 안전 보강 난간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강 연결 슬리브의 그립 작동편을 제1안전 보강 난간바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가압한 상태를 확대한 측단면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난간대에 차양 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안전 케이지의 케이지바의 길이를 늘려준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케이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차양 패널의 주요부인 차양 패널편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을 절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이렉션 구동모터와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와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와 이렉션 작동 링크에 의해 안전 케이지의 두 개의 케이지바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두 개의 케이지바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 청정 살균기 장치를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가 적용된 탱크로리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가 적용된 탱크로리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가 적용된 탱크로리를 보인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탱크로리 차량(10)의 작업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자동 승강되는 구조이다. 탱크로리 차량(10)의 작업은 작업자가 탱크로리 차량(10)의 탱크(돔)에 올라가 주입구의 뚜껑을 열고 계량기를 보며 주유하거나, 액위 관측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도록 자동 승강되는 구조의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가 구비된다.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탱크로리 차량(10)의 후방측(후면)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도 1에서 확인되듯이,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탱크로리 차량(10)의 후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2에서 확인되듯이,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탱크로리 차량(10)의 후면 일측에 배치되며, 도 3에서 확인되듯이,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고 탱크로리 차량(10)의 탱크(13)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작업자가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를 통해 탱크(13)의 상단까지 쉽게 올라갈 수 있다.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거치 프레임(110), 승강기 본체(120) 및 승강수단(130)을 포함한다.
거치 프레임(110)은 승강기 본체(120)와 승강수단(13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탱크로리 차량 본체(11)에 설치된다. 승강기 본체(120)는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승강할 수 있는 승강기의 역할을 하며, 거치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수단(130)은 승강기 본체(120)를 거치 프레임(110)에서 승강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거치 프레임, 승강기본체 및 승강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를 보인 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동작을 보인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거치 프레임(110)은 고정바(111), 제1 지지바(112), 제2 지지바(113) 및 레일부(114)를 포함한다.
고정바(111)는 탱크로리 차량 본체(11)와 탱크(13)의 후면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으로 된다.
제1 지지바(112)는 한 쌍의 고정바(111)의 바닥면을 연결한다. 제1 지지바(112)에 후술할 유압실린더(132)가 설치된다. 또는 제1 지지바(112)는 소정의 면적을 가져 승강기 본체(120)가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기 본체(1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바(113)는 제1 지지바(112)와 이격되도록 한 쌍의 고정바(111)를 소정 높이 위치에서 연결한다. 제2 지지바(113)는 후술할 체인(131)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레일부(114)는 한 쌍의 고정바(111)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레일부(114)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바(111)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레일부(114)에는 후술할 승강기 본체(120)의 이동부(125)가 설치된다.
거치 프레임(110)은 고정바(111), 제1 지지바(112), 제2 지지바(113) 및 레일부(114)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형의 용접 구조로 될 수 있다.
승강기 본체(120)는 발 받침대(121), 수직바(122), 난간부(123), 보강바(124) 및 이동부(125)를 포함한다.
발 받침대(121)는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를 형성한다. 발 받침대(121)는 철판 또는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 받침대(121)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금속 재질을 적용하여 작업자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한다. 일 예로, 발 받침대는 중량이 가볍고 강도가 높은 EX망으로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발 받침대(12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발 받침대(121)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 고무가 부착될 수도 있다.
수직바(122)는 발 받침대(121)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된다. 난간부(123)는 수직바(122)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난간부(123)는 승강기 본체(120)의 승강시 작업자가 무게중심의 이탈 등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난간부(123)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작업자가 발 받침대(121), 수직바(122) 및 난간부(123)로 이루어지는 승강기 본체(120)에 탑승이 용이하도록 한다.
보강바(124)는 발 받침대(121)의 저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양단이 수직바(122)에 고정되어 발 받침대(121)의 하중을 보강한다. 이러한 보강바(124)는 발 받침대(121)의 폭 방향 처짐을 방지한다. 보강바(124)는 내구성을 확보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강도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125)는 수직바(122)에서 돌출되고 레일부(114)에 끼워지며 레일부(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실시예에서 이동부(125)는 후방측의 두 수직바(12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바(126)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수직바(122)의 레일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가이드바(126)는 수직바(122)와 마주보는 위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동부(125)를 레일부(114)에 안정되게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는 이동부(125)가 레일부(11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유동없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여 승강기 본체(120)의 승강시 흔들림이나 틀어짐없도록 한다.
발 받침대(121), 수직바(122), 난간부(123), 보강바(124) 및 이동부(125)로 구성되는 승강기 본체(120)는 작업자의 탑승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성이 확보되며 이동부(125)에 의해 거치 프레임(110)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강수단(130)은 체인(131), 유압실린더(132), 승강로드(133) 및 도르레(134)를 포함한다.
체인(131)은 일측이 제2 지지바(113)에 고정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승강기 본체(120)에 고정된다. 일 예로, 체인(131)은 일측이 제2 지지바(113)에 고정된 일자형 브라켓(B)에 체인의 일단과 연결된 체결볼트(C)가 삽입되고 체결볼트(C)의 단부에 와셔 및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반대되는 타측이 승강기 본체(120)에 고정된 ㄱ자 브라켓에 체인의 타단과 연결된 체결볼트가 삽입되고 체결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제2 지지바(113)와 승강기 본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볼트(C)는 상방으로 개방된 체인삽입홈(c1)과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체인삽입홈(c1)과 연통되는 고정홈(c2)을 포함하는 머리부와, 머리부와 연결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그리고 체결볼트(C)의 체인삽입홈(c1)에 체인(131)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면, 고정홈(c2)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핀(c3)이 일측 고정홈(c2), 체인삽입홈(c1)에 삽입된 체인(131)의 체인홈, 타측 고정홈(c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하도록 체결되어 체인(131)의 일측 단부를 체결볼트(C)의 머리부에 고정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32)는 제1 지지바(112)에 바닥면이 고정되어 고정바(111)의 사이에 세로로 설치되며, 승강로드(133)는 유압실린더(132)에서 인출 가능하다. 도르레(134)는 승강로드(133)의 단부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131)이 걸어져 방향을 전환한다. 도르레(134)는 승강로드(133)의 단부에 설치되므로 승강로드(133)의 인출시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승강기 본체(120)는 일측이 제2 지지바(113)에 고정되고 도르레(134)에 걸어져 방향이 전환된 체인(131)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기 본체(120)는 도르레(134)의 상승시 체인(131)이 제2 지지바(113)에 고정된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체인(131)의 타측이 상승하게 되므로, 체인의 타측이 고정된 승강기 본체(120)도 상부로 당겨져 상승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 과정에서 승강기 본체(120)는 이동부(125)가 거치 프레임(110)의 레일부(114)를 따라 유동없이 이동하므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르레(134)의 상승은 유압실린더(132)가 수행한다. 유압실린더(132)에 유압이 공급되면 승강로드(133)가 유압실린더(132)에서 인출되고, 유압실린더(132)의 단부에 설치된 도르레(134)도 상승하게 된다.
도르레(134)는 체인(131)이 걸어진 부분에 커버브라켓(135)을 설치하여 체인(131)이 걸어진 상태 및 체인(131)이 당겨지는 방향 전환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커버브라켓(135)은 도르레(134)의 상측 일부를 이격되게 커버하여 그 사이에 관통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체인(131)이 관통공간을 통하여 도르레(134)에 걸어지도록 한다.
승강수단(130)의 동작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유압실린더(132)가 도르레(134)를 상승시키고, 도르레(134)에 걸어져 일측은 제1 지지바(112)에 고정되고 타측은 승강기 본체(120)에 고정되는 체인(131)은 유압실린더(132)를 동작시켜 승강로드(133)를 상승시키고 도르레(134)를 상승시키면, 제2 지지바(113)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승강기 본체(1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승강수단(130)의 동작은 유압실린더(132)의 힘과 도르레(134)의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출력에 더 큰 하중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승강기 본체(120)를 쉽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유압실린더(132)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부(136)와 유압공급부(136)를 동작시키는 버튼부(137)를 더 포함한다. 유압공급부(136)는 소형 유압팩을 사용할 수 있다. 버튼부(137)는 전원버튼, 상승 버튼, 하강 버튼 및 멈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37)는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승강기 본체(120)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110), 승강기 본체(120) 및 승강수단(130)에서 기본 프레임에 해당하는 고정바(111), 제1 지지바(112), 제2 지지바(113), 발 받침대(121), 수직바(122), 보강바(124), 이동부(125) 및 가이드바(126)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을 적용하여 내구성 및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난간부(123)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적용하여 기계적 마찰 계수를 줄이고 부식이나 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밋스위치(138,139)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리밋스위치(138,139)는 거치 프레임(110)의 상단과 제2 지지바(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도르레(134)의 상승 및 하강이 끝나게 되는 시점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리밋스위치(138,139)의 신호를 전송받아 유압실린더(132)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유압실린더(132)의 멈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유압실린더(1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회로와 수신부를 포함하며 리모컨 등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따라 유압실린더(13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리모컨을 적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리모컨을 파지하고 승강기 본체(120)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기 보다 용이하다. 리모컨은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 프레임(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별도로 구비된 장착부에 장착시켰다가 필요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승강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의 승강은 작업자가 승강기 본체(120)에 승탑하고 버튼부(137)에 구비된 승강버튼을 누르면 수행된다.
버튼부(137)에 구비된 승강버튼을 누르면, 유압공급부(136)에서 유압실린더(132)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고, 유압을 공급받은 유압실린더(132)는 승강로드(133)를 인출시키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132)는 제1 지지바(112)에 직립되게 설치되고 승강로드(133)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승강로드(133)의 인출은 승강로드(133)의 상단에 결합된 도르레(134)를 상승시키게 된다. 도르레(134)의 상승은 도르레(134)에 걸어진 체인(131)을 제2 지지바(113)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체인(131)의 일측에 고정된 승강기 본체(1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승강기 본체(120)의 상승은 승강로드(133)의 최대 인출에 의해 최대 상승 위치가 결정되고, 하강은 승강로드(133)의 인입에 의해 최대 하강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리밋스위치(138,139)가 전송한 신호를 근거로 유압공급부(136)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유압실린더(132)에 유압을 공급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도르레(134)는 거치 프레임(110)의 최상단 위치까지 이동하고, 승강기 본체(120)는 탱크(13)의 상단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쉽게 탱크(13)의 상단을 통해 주유 또는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탱크(13)에서의 작업을 완료하고 하강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부(137)의 하강버튼을 누르면, 유압실린더(132)의 유압이 유압공급부(136)로 이동하면서 승강로드(133)가 유압실린더(132)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하강한다. 그에 따라 도르레(134)도 하강하고 중량물인 승강기 본체(120)가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100)는 유압실린더(132)의 힘과 도르레(134)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에너지로도 승강기 본체(120)를 쉽게 승강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탱크(13)로 올라가 수행하는 작업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승강기 본체(120)의 가이드바(126)가 거치 프레임(110)의 수직바(122)와 마주보는 위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동부(125)를 레일부(114)에 안정되게 결합하므로, 이동부(125)가 레일부(11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유동없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여 승강기 본체(120)의 승강시 흔들림이나 틀어짐없어 사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탱크로리 자동승강기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기 본체(120)는 케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부(140)는 발 받침대(12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지지바(112) 상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는 발 받침대(121)의 바닥면에 볼트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부(140)는 발 받침대(121)에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부(140)는, 사다리부(141)와, 고정케이스(142)와, 고정봉(143)과, 회동고리부(144)와, 체인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사다리부(141)는 승강기본체(120)가 고장 시 작업자가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케이스부(1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사다리부(141)는 지상으로 상승된 승강기본체(120)가 고장 시 작업자가 땅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구비된 사다리이다.
또한 사다리부(141)는 케이스부(140) 내부에 보관 시, 말아져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사다리부(141)는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사다리부(141) 끝단 즉 땅에 닿는 방향으로 일측에 무게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무게추는 작업자가 사다리(141a)를 내려올 때 흔들림을 방지하고,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다리부(141)는 체인으로 사다리 모양이 형성되도록 매듭될 수 있다.
고정케이스(142)는, 케이스부(140) 내부에 제1지지바(112)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내부공간(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케이스(142)는 내부공간(142a), 외측테두리에 발광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발광부는 야광물질(night glow)일 수도 있고, 조명일 수 있다. 조명으로는 LED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야간 작업 시 사다리부(141)를 펼치기 위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사다리(141a) 발판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정케이스(142)는 사다리부(141)가 말아져 보관 시, 사다리부(141)가 말아진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외측둘레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다리부(141)는 고정돌기부(142b)에 결합되도록 사다리부(141)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걸이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걸이부(141b)는 야광물질(night glow)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야간 작업 시 땅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봉(143)은 고정케이스(142) 내부공간(142a) 양측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회동고리부(144)는 승강기본체(120)와 땅의 이격거리가 높을 경우, 사다리부(141)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고정봉(143)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체인부(145)는 회동고리부(144)와 사다리부(141)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체인부(145)는 회동고리부(144)와 사다리부(141)에서 각각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체인부(145)는 회동고리부(144)에 연결되는 측면과, 사다리부(141)에 연결되는 타측이 각각 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인해 체인부(145)는 체인이 끊어지거나 마모되었을 시, 교체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케이지의 케이지바가 세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주요부인 케이지바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안전 보강 난간대와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주요부인 제1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보강 연결 슬리브의 그립 작동편을 가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주요부인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보강 연결 슬리브의 그립 작동편을 가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케이지의 좌우 두 개의 케이지바에 안전 보강 난간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강 연결 슬리브의 그립 작동편을 제1안전 보강 난간바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외주면에 가압한 상태를 확대한 측단면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난간대에 차양 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안전 케이지의 케이지바의 길이를 늘려준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안전 케이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차양 패널의 주요부인 차양 패널편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을 절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이렉션 구동모터와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와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와 이렉션 작동 링크에 의해 안전 케이지의 두 개의 케이지바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케이지바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된 안전 케이지(1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본체(12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자를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보호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 케이지(1100)는, 상기 승강기 본체(120)의 상부에 탈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개방부(1123)가 형성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과,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네 개의 케이지바(1224)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서로 연결하여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승강기 본체(120)를 구성하는 수직바(122)의 상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랜지와,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구비된 케이지측 플랜지와, 상기 결합 플랜지와 케이지측 플랜지에 결합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결합 플랜지와 케이지측 플랜지와 볼트와 너트 이외에 안전 케이지(1100)를 승강기 본체(12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채용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기 본체(120)에 작업자의 미탑승 시에는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가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연결한 상태가 해체되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는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과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탱크 로리에 대한 작업이 실시되지 않을 때에는 케이지바(1224)들을 힌지(HG)를 기준으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으므로 안전 케이지(1100)의 보관 유지와 이동 작업시 등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전 케이지(1100)를 구성하는 네 군데의 케이지바(1224)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에 연결되는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더 포함한다. 안전 보강 난간바는 안전 케이지(1100)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후 좌우 네 군데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는 안전 케이지(1100)의 두 개의 케이지바(1224) 중에서 한쪽의 케이지바(1224)에 기단부가 힌지(HG)를 연결된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다른 쪽의 케이지바(1224)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와,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선단부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선단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보강 연결 슬리브(1136)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는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내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 외주면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부에 의해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 작동편(1138)과, 상기 그립 작동편(1138)의 외주면에 돌출된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는 그립 작동 슬리브(1137)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에 접촉되는 그립 작동 테이퍼부(1137TP)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는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 작동 테이퍼부(1137TP)는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1137)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1137) 내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의 테이퍼면에 그립 작동 테이퍼부(1137TP)의 테이퍼면이 접촉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안전 케이지(1100)를 펼쳐주는 과정과 접어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준다.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설치한다.
안전 보강 난간대(1130)의 제1안전 보강 난간대(1130)와 제2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두 개의 케이지바(1224)에서 각각 힌지(HG)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펼치고,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선단부 쪽과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선단부 쪽에서 동시에 보강 연결 슬리를 삽입한다.
다음,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외주면에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선단부에서 두 개의 케이지바(1224)와 연결된 힌지(HG) 쪽(즉, 제1안전 보강 난간대(1130)와 제2안전 보강 난간대(1130)의 기단부 쪽)으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 작동편(1138)이 구비되고, 상기 그립 작동편(1138)의 외주면에는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가 돌출되고,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1137)의 내주면에는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에 접촉되는 그립 작동 테이퍼부(1137TP)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는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 작동 테이퍼부(1137TP)는 그립 작동 슬리브(1137)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1137) 내주면의 나사부가 보강 연결 슬리브(1136)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1138TP)의 테이퍼면에 그립 작동 테이퍼부(1137TP)의 테이퍼면이 접촉된 상태이므로,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외주면에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선단부에서 두 개의 케이지바(1224)와 연결된 힌지(HG) 쪽으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 작동편(1138)이 각각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외주면과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에 연결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12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승강기 본체(120)에 더하여서 안전 케이지(1100)까지 작업자를 보호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므로 탱크로리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에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연결하여 네 개의 케이지바(1224)에 각각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설치함으로써 안전 케이지(1100)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안전 케이지(1100)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탱크로리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상기 안전 케이지(1100)에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의 일측의 개방부(1123)를 통해서 작업자가 승강기 본체(120)와 안전 케이지(1100) 안으로 들어가서 탑승한 다음에 상기 개방부(1123)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나란한 두 개의 케이지바(1224)에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설치하여 탱크로리 작업시에 작업자가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일측의 개방부(1123)와 안전 케이지(1100) 일측의 출입 개방부(1123)(1103)(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의 개방부(1123)와 상하로 연통된 출입 개방부(1123)(1103)임)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탱크로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한다.
한편, 작업자가 승강기 본체(120)와 안전 케이지(1100)에서 밖으로 나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개방부(1123)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나란한 두 개의 케이지바(1224)에서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분리하여 해체하면 된다. 그러면, 승강기 본체(120)에 탑승하여 안전 케이지(1100) 안에 있던 작업자가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의 일측 개방부(1123)와 안전 케이지(1100)의 일측 출입 개방부(1123)(1103)를 통해서 승강기 본체(120)와 안전 케이지(1100)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에 결합된 포지션 셋팅 링체(1140)를 더 포함한다.
포지션 셋팅 링체(1140)는 내주면에 셋팅 링체측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외주면과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에는 난간바측 외주연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바측 외주연 나사부에 포지셧 셋딩 링체 내주면의 셋팅 링체측 나사부가 결합된다.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에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연결하여 네 개의 케이지바(1224)에 각각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지션 세팅 링체의 일단부는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안전 케이지(1100)를 형성한 상태에서 포지션 셋팅 링체(1140)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포지션 셋팅 링체(1140)가 전진하여 각각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에 가압 접촉되면서,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가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에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가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보강 연결 슬리브(1136)와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 및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가 외부의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상기 안전 케이지(1100)를 형성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처럼 안전 케이지(1100)를 형성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함으로 인하여 탱크로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안전 보강 난간대(113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를 지지한 상태를 먼저 해체한 다음,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접어준다.
이때,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에 포지션 셋팅 링체(1140)가 구비된 경우 포지션 셋팅 링체(1140)가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포지션 셋팅 링체(1140)를 회전시켜서 먼저 후퇴시킨 다음,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를 지지한 상태를 해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외주면에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를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 쪽으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1137)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1136)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 작동편(1138)이 각각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외주면과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지 않고 헐거워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되기 때문에,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외주면 또는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을 완전히 벗어나도록 보강 연결 슬리브(1136)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외주면 또는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을 완전히 벗어나도록 보강 연결 슬리브(1136)를 이동시킨 다음,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과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안전 케이지(1100)의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안전 케이지(1100)를 옆에서 볼 때에 좌우 두 군데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을 바라보도록 접혀지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상태에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전 보강 난간대(1130)가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를 지지한 상태를 해체하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눕혀줌으로써 안전 케이지(1100)를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120)에 탑승한 작업자가 탱크로리 차량의 탱크로로 쪽으로 올라가서 탱크로리 작업을 할 때에 안전 케이지(1100)를 더 형성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기 때문에, 탱크로리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탱크로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기 본체(120)에서 안전 케이지(1100)를 접어 놓을 수 있으므로, 안전 케이스의 형성 과정의 편리성과 신속성이 있음은 물론 안전 케이스를 접을 때에도 편리성과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케이지바(1224)는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가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텔리스코프바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의 하단부에는 언폴딩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바(1224)에는 실린더(1150)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1150)의 실린더 로드(1152)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 중에서 가장 안쪽의 바아부재(1224BM)에 연결되고, 가장 안쪽의 상기 바아부재(1224BM)의 상단부에는 차양 패널(116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양 패널(1160)은, 가장 안쪽의 상기 바아부재(1224BM)의 상단부에 결합된 차양 패널 프레임(1162)과,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이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차양 실드(1164)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의 양단부는 상기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양쪽에 나란하게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다.
상기 차양 패널(1160)의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은 볼트와 브라켓과 같은 탈착수단에 의해 안전 케이지(1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가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텔리스크프바로 구성된 경우,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 중에서 가장 안쪽의 바아부재(1224BM)에 상기 볼트와 브라켓과 같은 탈착수단을 매개로 차양 패널(1160)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의 양단부에는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는 복수개의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양쪽에 나란하게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롤링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에 롤러가 롤링 가능하게 결합되면,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을 접거나 펼쳐서 차양 실드(1164)를 형성할 때에 차양 패널편(1160SP)이 더 롤러에 의해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더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므로,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을 펼쳐서 차양 실드(1164)를 형성하거나, 차양 실드(1164)가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을 접을 때에 보다 원활하고 편하다.
따라서, 승강기 본체(120)에 탑승한 작업자가 탱크로리 차량의 탱크로리 쪽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탱크로리 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 상기 차양 패널(1160)을 안전 케이지(1100)에 설치함으로써, 탱크로리 작업시에 작업자가 햇빛에 과하게 노출되어 일사병과 같은 위험 상황에 처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케이지바(1224)는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가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텔리스크프바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의 하단부에는 언폴딩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바(1224)에는 실린더(1150)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1150)의 실린더 로드(1152)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 중에서 가장 안쪽의 바아부재(1224BM)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1150)의 실린더 로드(1152)가 실린더(1150)에서 인출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양 패널(11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의 하단부에는 언폴딩 단턱이 구비되어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가 텔리스코프식으로 위로 펼쳐질 때에 각각의 바아부재(1224BM)의 언폴딩 단턱이 상대적으로 외주면 바깥쪽에 동축적으로 배치된 바아부재(1224BM)의 하단부에 걸려지게 되므로, 복수개의 바아부재(1224BM)가 서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양 패널(1160)의 높낮이를 안전 케이지(1100)의 위에서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장에 대응하여 차양 패널(1160)의 높이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되므로, 탱크로리 작업시에 작업자의 편리성을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양 실드(1164)는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이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의 양단부는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양쪽에 나란하게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을 힌지(HG)를 기준으로 서로 맞닿도록 접으면 차양 실드(1164)를 접어 놓을 수 있게 되므로, 차양 실드(1164)를 펼쳐놓을 필요가 없을 때에 간편하게 차양 실드(1164)를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의 양단부에 구비된 롤러가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양쪽에 나란하게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롤링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을 펼쳐서 차양 실드(1164)를 형성할 때에 롤러에 의해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이 더 원활하게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펼쳐지게 되고,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을 접을 때에도 복수개의 차양 패널편(1160SP)이 더 원활하게 차양 패널 프레임(1162)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펼쳐지게 되므로, 차양 실드(1164)를 펼쳐주는 작업과 접어주는 작업에 있어서 보다 쉽다.
한편, 본 발명은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서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이렉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렉션 유닛은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모터축이 돌출되어 안전 케이지(1100)를 구성하는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장착된 이렉션 구동모터(1172)와, 상기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한 쌍의 모터축에 연결된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와,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에 각각 결합되고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와, 일단부가 상기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힌지(HG)를 매개로 상기 케이지바(1224)에 연결된 이렉션 작동 링크(1178)를 포함한다.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두 개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힌지(HG)를 매개로 두 개의 케이지바(1224)에 연결된다.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가 두 개의 케이지바(1224)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멀어져 있는 위치(즉, 벌어져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지바(1224)와 이렉션 작동링크는 눕혀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한 쌍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는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가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이렉션 작동링크는 이렉션 볼스크류와 케이지바(1224)에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펼쳐지고, 상기 케이지바(1224)는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과 이레션 작동 링크와 연결된 각각의 힌지(HG)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을 옆에서 볼 때에 좌측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좌측으로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펴지고 좌측의 케이지바(1224)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우측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우측으로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펴지고 우측의 케이지바(1224)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이렉션 구동모터(1172)와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와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와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두 개 셋트로 구비되어 두 개 셋트의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한 쌍의 모터축이 동시에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이처럼, 상기 케이지바(1224)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 사이에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결합한다.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네 개의 케이지바(1224)에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승강기 본체(120) 위에 안전 케이지(11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승강기 본체(120) 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바(1224)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케이지바(1224)들에 결합되어 있는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케이지바(1224)들에서 분리(주로 작업자가 분리)한 다음,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는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는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를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전진하고, 상기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이렉션 볼스크류와 케이지바(1224)에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눕혀지고 케이지바(1224)는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과 이렉션 작동 링크(1178)와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눕혀진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동시에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눕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렉션 작동 링크(1178)와 케이지바(1224)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HG)는 이렉션 작동 링크(1178)에 결합된 힌지핀과, 상기 케이지바(1224)에 형성되어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홀로 구성되는데, 상기 힌지홀은 케이지바(122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렉션 작동 링크(1178)와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를 연결하는 힌지(HG)는 이렉션 볼스크류에 결합된 힌지핀과, 이렉션 작동 링크(1178)에 형성되어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홀로 구성되는데, 상기 힌지홀도 이렉션 작동 링크(117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과 케이지바(1224)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HG)는 케이지바(1224)에 결합된 힌지핀과,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이 형성되어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홀로 구성되는데, 상기 힌지홀은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작동에 의해 케이지바(1224)들을 세우려는 힘이 작용할 할 때에 이렉션 작동 링크(1178)에 결합된 힌지핀이 삽입된 케이지바(1224)의 힌지홀이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에 결합된 힌지핀이 삽입된 이렉션 작동 링크(1178)의 힌지홀도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결합된 힌지핀이 삽입되는 케이지바(1224)의 힌지홀도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핀들이 힌지홀들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동시에 케이지바(1224)를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위로 밀어올려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서 케이지바(1224)들을 수직 방향으로 세울 수 있고,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작동에 의해 케이지바(1224)들을 눕히려는 힘이 작용할 때에 상기 힌지핀들이 힌지홀들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동시에 케이지바(1224)를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아래로 당겨 내려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케이지바(1224)들을 눕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안전 케이지(1100)를 펼쳐주는 과정과 접어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접혀져 있는 상태(정확하게는 복수개의 케이지바(1224)가 접혀져 있는 상태인데 설명의 편의상 안전 케이지(1100)가 접혀진 상태로 기술함)에서는 폴딩 볼스크류 너트가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의 선단쪽으로 전진하여 있고,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접혀져있다.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져 있다.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가 동시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가 동시에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를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서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눕혀져 있던 상태에서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상기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와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의 위쪽으로 경사지도록 펼쳐지므로,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안전 케이지(1100)를 옆에서 볼 때에 좌우 두 군데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대해서 상향 경사지도록 펼쳐진다. 안전 케이지(1100)를 옆에서 볼 때에 좌우 두 군데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 대해서 상향 경사지도록 펼쳐지면, 네 개의 케이지바(1224)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던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 보강 난간대(113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저)하면,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가 동시에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가 동시에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를 따라서 서로 벌어지도록 이동하면서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상향 경사지게 펼쳐져 있던 상태에서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와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안전 케이지(1100)를 옆에서 볼 때에 좌우 두 군데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상태에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113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를 지지한 상태를 먼저 해체한 다음,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수직 방향에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어준다.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1132)의 외주면 또는 제2안전 보강 난간바(1134)의 외주면을 완전히 벗어나도록 보강 연결 슬리브(1136)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안전 케이지(1100)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이렉션 구동모터(1172)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저)하면,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가 동시에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가 동시에 한 쌍의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1174)를 따라서 서로 벌어지도록 이동하면서 이렉션 작동 링크(1178)가 상향 경사지게 펼쳐져 있던 상태에서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상기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1176)와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안전 케이지(1100)를 옆에서 볼 때에 좌우 두 군데의 이렉션 작동 링크(1178)는 안전 케이지(1100)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상태에서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전 보강 난간대(1130)가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1224)를 지지한 상태를 해체하고, 네 개의 케이지바(1224)를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눕혀줌으로써 안전 케이지(1100)를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바(1224)에 장착된 실린더(1150)는 케이지바(1224)와 함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바텀 케이지 프레임(1122) 쪽으로 수평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120)에 탑승한 작업자가 탱크로리 차량의 탱크로로 쪽으로 올라가서 탱크로리 작업을 할 때에 안전 케이지(1100)를 더 형성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기 때문에, 탱크로리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탱크로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기 본체(120)에서 안전 케이지(1100)를 접어 놓을 수 있으므로, 안전 케이스의 형성 과정의 편리성과 신속성이 있음은 물론 안전 케이스를 접을 때에도 편리성과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두 개의 이렉션 구동모터(1172)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네 개의 케이지바(1224)가 동시에 세워지고 눕혀지므로 안전 케이지(1100)를 승강기 본체(120) 위에 형헝하는 작업과 안전 케이지(1100)를 해체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탱크로리 차량
11 : 탱크로리 차량 본체
13 : 탱크
100 :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110 : 거치 프레임
111 : 고정바
112 : 제1지지바
113 : 제2지지바
114 : 레일부
120 : 승강기 본체
121 : 발 받침대
122 : 수직바
123 : 난간부
124 : 보강바
125 : 이동부
126 : 가이드바
130 : 승강수단
131 : 체인
132 : 유압실린더
133 : 승강로드
134 : 도르레
135 : 커버브라켓
136 : 유압공급부
137 : 버튼부
140 : 케이스부
141 : 사다리부
141a : 사다리
141b : 고정걸이부
142 : 고정케이스
142a : 내부공간
142b : 고정돌기부
143 : 고정봉
144 : 회동고리부
145 : 체인부
1100. 안전 케이지 1103. 출입 개방부
1122. 바텀 케이지 프레임 1123. 개방부
HG. 힌지
1224. 케이지바 1224BM. 바아부재
1130. 안전 보강 난간대
1132. 제1안전 보강 난간바 1134. 제2안전 보강 난간바
1136. 보강 연결 슬리브 1137. 그립 작동 슬리브
1137TP. 그립 작동 테이퍼부
1138. 그립 작동편 1138TP.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
1140. 포지션 셋팅 링체 1150. 실린더
1150CR. 실린더 로드 1160. 차양 패널
1160SP. 차양 패널편
1162. 차양 패널 프레임 1164. 차양 실드
1172. 이렉션 구동모터 1174. 이렉션 가이드 볼스크류
1176. 이렉션 볼스크류 너트 1178. 이렉션 작동 링크

Claims (4)

  1. 탱크로리 차량 본체와 탱크에 설치된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기 본체; 및
    상기 승강기 본체를 상기 거치 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안전 케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 본체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자를 상기 안전 케이지가 보호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 케이지는,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바텀 케이지 프레임과,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네 개의 케이지바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네 개의 케이지바를 서로 연결하여 네 개의 케이지바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안전 보강 난간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수단은 승강기 본체를 구성하는 수직바의 상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랜지와, 상기 바텀 케이지 프레임에 구비된 케이지측 플랜지와, 상기 결합 플랜지와 케이지측 플랜지에 결합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 본체에 작업자의 미탑승 시에는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가 네 개의 케이지바를 연결한 상태가 해체되고 네 개의 케이지바는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 케이지의 네 군데의 케이지바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두 개의 나란한 케이지바에 연결되는 안전 보강 난간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보강 난간대는 안전 케이지의 두 개의 케이지바 중에서 한쪽의 케이지바에 기단부가 힌지를 연결된 제1안전 보강 난간바와, 다른 쪽의 케이지바에 기단부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제2안전 보강 난간바와, 상기 제1안전 보강 난간바의 선단부와 제2안전 보강 난간바의 선단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보강 연결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내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 외주면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된 한 쌍의 그립 작동 슬리브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부에 의해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양단부 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 작동편과, 상기 그립 작동편의 외주면에 돌출된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와,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에 접촉되는 그립 작동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는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의 양단부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 작동 테이퍼부는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 작동 슬리브 내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보강 연결 슬리브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가이드 테이퍼부의 테이퍼면에 상기 그립 작동 테이퍼부의 테이퍼면이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탱크로리 차량 본체와 탱크의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배치된 한 쌍의 고정바;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제1지지바;
    상기 제1지지바와 이격되게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소정 높이 위치에서 연결하는 제2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바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본체는,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발 받침대;
    상기 발 받침대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난간부;
    상기 발 받침대의 저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바에 고정되어 상기 발 받침대의 하중을 보강하는 보강바; 및
    상기 수직바에서 돌출되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직바와 마주보는 위치로 나란하게 위치된 가이드바에 서로 대향되는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 받침대는 상면에 미끄럼방지 고무가 부착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2지지바에 고정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승강기 본체에 고정되는 체인;
    상기 제1지지바에 바닥면이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의 사이에 세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서 인출 가능한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단부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이 걸어져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 및
    상기 도르레의 상측 일부를 이격되게 커버하여 그 사이에 상기 체인이 통과하여 걸어지게 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커버브라켓;
    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부;
    상기 유압공급부를 동작시키는 버튼부;
    거치 프레임의 상단과 제2지지바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도르레의 상승 및 하강이 끝나게 되는 시점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밋스위치; 및
    상기 리밋스위치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유압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한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 본체는,
    발 받침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바와 맞닿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승강기 본체가 고장 시 작업자가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삽입된 사다리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상기 제1지지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 내부공간 양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봉과,
    상기 승강기 본체와 땅의 이격거리가 높을 경우, 사다리부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고정봉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고리부와,
    상기 회동고리부와 상기 사다리부를 연결시키는 체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내부에 상기 사다리부가 말아져 보관되고,
    상기 고정케이스는,
    상기 사다리부가 말아졌을 때, 상기 사다리부가 말아진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외측둘레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부는,
    상기 고정돌기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사다리부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부는,
    상기 회동고리부와 상기 사다리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인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4. 삭제
KR1020220067264A 2022-05-31 2022-05-31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KR10244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64A KR102443118B1 (ko) 2022-05-31 2022-05-31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64A KR102443118B1 (ko) 2022-05-31 2022-05-31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18B1 true KR102443118B1 (ko) 2022-09-14

Family

ID=8327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264A KR102443118B1 (ko) 2022-05-31 2022-05-31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1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880U (ko) * 1988-08-11 1990-02-23
KR20090082992A (ko) *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130110890A (ko) * 2012-03-30 2013-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곤돌라
KR200491362Y1 (ko) * 2019-05-28 2020-03-26 조항우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KR102201520B1 (ko) 2020-06-09 2021-01-11 정동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880U (ko) * 1988-08-11 1990-02-23
KR20090082992A (ko) *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130110890A (ko) * 2012-03-30 2013-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곤돌라
KR200491362Y1 (ko) * 2019-05-28 2020-03-26 조항우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탱크 로리
KR102201520B1 (ko) 2020-06-09 2021-01-11 정동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9432A1 (en) Scaffold unit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US6401861B1 (en) Adjustable floating ladder for loading a dumpster
JP4922867B2 (ja)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CA2685871C (en) Retrieval and fall arrest system for manhole applications
KR100846150B1 (ko)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US7607513B1 (en) Telescoping lifting hand truck with a folding platform
KR102443118B1 (ko)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JP6514527B2 (ja) ヘリポートの可倒手摺
JP2006177020A (ja) 台車式作業足場
CN102966312B (zh) 井口作业操作平台装置
CN110395645B (zh) 折叠伸缩式维修升降梯
KR20230027607A (ko)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CN112850432A (zh) 一种用于电梯施工平台的辅助施工设备
KR100846224B1 (ko) 시설물 점검용 차량
JP4733475B2 (ja) 作業用足場装置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CN219691464U (zh) 一种连续管作业机用抽拉式蹬车梯以及连续管作业机
CN216582137U (zh) 储运设备及其扶手栏杆装置
CN209556914U (zh) 一种无机房电梯检修平台车
KR200444758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상부지지대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CN205558239U (zh) 一种可折叠自爬升机构
KR20100057569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