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20Y1 -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20Y1
KR200490820Y1 KR2020190004200U KR20190004200U KR200490820Y1 KR 200490820 Y1 KR200490820 Y1 KR 200490820Y1 KR 2020190004200 U KR2020190004200 U KR 2020190004200U KR 20190004200 U KR20190004200 U KR 20190004200U KR 200490820 Y1 KR200490820 Y1 KR 200490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er piece
clamp
fasten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석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엔테크 filed Critical (주)에프엔테크
Priority to KR2020190004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홀더편과, 일단이 상기 제1 홀더편의 일단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홀더편의 타단과 서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제1 홀더편과 함께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제2 홀더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편과 상기 제2 홀더편의 내주면에 인입된 형상의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클램프 바디; 일단이 상기 제2 홀더편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제2 홀더편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잠금부 및 일단이 상기 잠금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홀더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체결되거나 상기 걸림돌기에서 이탈하여 체결 해제되는 체결 수단; 및 상기 삽입홈들에 각각 끼워져 상기 클램프 바디의 내주면에 일정 면적의 마찰면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바디가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배관에 체결되어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인 체결 소켓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체결 소켓을 지지하여 상기 이음부위의 헐거움으로 인한 배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순한 한 번의 걸림 동작만으로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클램프와 배관의 마찰력을 펀칭 처리되어 발생하는 미처리된 버(burr)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시공 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One-touch clamp for pipe fixing}
본 고안은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설치 조작으로 배관의 이음부위의 헐거움으로 인한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건물은 각 층을 연결하도록 입상배관이 시공된다. 입상배관은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슬래브에 입상배관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리브를 장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함으로써, 슬리브가 슬래브에 매립되도록 한 다음 각 층을 관통하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입상배관이 다층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슬리브가 상하로 관통된 부분의 직경은 통상 입상배관을 쉽게 삽입하면서도 시공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입상배관의 외주면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게 된다. 입상배관을 슬리브에 여유 있게 끼운 후 입상배관과 슬리브의 사이 간격을 실란트로 채우는 작업을 통해 입상배관이 유동되지 않으면서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러나, 시공 초기에는 실란트가 입상배관을 감싸서 배관의 진동 및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을 잡아줄 수 있지만, 시간이 경과 할수록 실란트 재질의 특성상 경화가 이루어지면서 파손되어 입상배관을 탄력적으로 잡아주지 못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별도의 고정수단(클램프 등)을 추가 시공하여 입상배관을 고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추가 시공 방식은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며, 그에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679호』
본 고안은 설치 조작이 간편함은 물론 그에 따른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홀더편과, 일단이 상기 제1 홀더편의 일단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홀더편의 타단과 서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제1 홀더편과 함께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제2 홀더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편과 상기 제2 홀더편의 내주면에 인입된 형상의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클램프 바디; 일단이 상기 제2 홀더편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제2 홀더편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잠금부 및 일단이 상기 잠금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홀더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체결되거나 상기 걸림돌기에서 이탈하여 체결 해제되는 체결 수단; 및 상기 삽입홈들에 각각 끼워져 상기 클램프 바디의 내주면에 일정 면적의 마찰면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바디가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배관에 체결되어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인 체결 소켓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체결 소켓을 지지하여 상기 이음부위의 헐거움으로 인한 배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순한 한 번의 걸림 동작만으로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클램프와 배관의 마찰력을 펀칭 처리되어 발생하는 미처리된 버(burr)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설치 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미처리된 버가 형성된 마찰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기 사용되어 저하된 클램프의 마찰력을 마찰부재의 교체만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터치 클램프가 잠금 해제되어 세부 구성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터치 클램프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동작이 나타난 동작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찰부재가 탈착되어 교체되는 과정이 나타난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원터치 클램프가 배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도이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10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고, 도 2에는 그 세부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100)(이하, ‘원터치 클램프(100)’라 함)는 배관을 파지하여 배관의 연결부위를 지지함으로써, 그 연결부위의 헐거워짐으로 인한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클램프 바디(110), 체결 수단(120) 및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클램프 바디(110)는 배관을 폭방향을 따라 둘러싸 배관을 파지하는 것으로, 제1 홀더편(111), 제2 홀더편(112), 홀더 힌지(113), 삽입홈(114) 및 보강부(115)를 포함한다.
제1 홀더편(111)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일단은 제2 홀더편(112)과 연결되고 대칭된 타단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1a)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111a)는 상기 일단 방향으로 단부가 굴절되어 제1 홀더편(111) 본체 외주면과 함께 걸림홈(111b)을 형성한다.
제2 홀더편(112)은 제1 홀더편(111)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나머지 일부를 폭방향을 따라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제1 홀더편(111)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술될 체결 수단(120)이 설치된다.
홀더 힌지(113)는 상술한 제1 홀더편(111)의 일단과 제2 홀더편(112)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삽입홈(114)은 후술될 마찰부재(130)를 수용하여 마찰부재(130)가 클램프 바디(110)에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제1 홀더편(111) 및 제2 홀더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인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홈의 끝단이 제1 홀더편(111) 및 제2 홀더편(112)의 폭방향 끝단에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115)는 제1 홀더편(111)과 제2 홀더편(112) 내 삽임홈이 형성된 부분의 바깥쪽에 동일 재질로 부가되어, 삽입홈(114)의 형성에 의해 얇아진 클램프 바디(110)의 두께를 두텁게 형성한다.
체결 수단(120)은 제1 홀더편(111)의 일단과 제2 홀더편(112)의 타단이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타단들을 체결하여 배관을 둘러싼 클램프 바디(110)가 배관을 공고히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잠금부(121) 및 체결부(122)를 포함한다.
잠금부(121)는 일단이 제2 홀더편(11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단이 제2 홀더편(112)의 타단을 기준으로 제2 홀더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체결부(122)를 상술한 걸림돌기(111a)에 인접하게 하거나 이격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잠금 힌지(121a)에 의해 제2 홀더편(112)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 또는 중단에는 회동에 따른 체결부(122)와의 중첩에 대비하여 중첩되는 방향으로 인입된 형상의 잠금홈(121b)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22)는 일단이 잠금부(12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부(121)의 회동에 의해 제1 홀더편(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된 타단이 상술한 걸림돌기(111a)에 걸림 결합되어 체결되거나 걸림돌기(111a)에서 이탈하여 체결 해제되는 것으로, 일단이 체결 힌지(122a)에 의해 잠금부(121)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111a)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관통된 형상 또는 인입된 형상의 체결홈(122b)이 형성되며, 내부에 잠금부(121)의 회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폭방향 양단이 지지바(122c, bar)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계된다.
마찰부재(130)는 클램프 바디(110)가 배관을 파지할 때, 클램프 바디(110)의 내주면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클램프 바디(1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클램프 바디(110)와 다른 마찰계수를 가지며, 일정 너비의 마찰면이 형성되도록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찰부재(130)에는 플레이트에 펀칭에 의한 천공(131)들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클램프 바디(110)의 슬립현상을 경감함은 물론, 천공(131)들에 버(132, burr)를 미처리하여 버(132)에 의해 마찰력이 더 부가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천공(131)은 일정 배열로 형성되어 배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전후좌우 방향의 균형 잡힌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원터치 클램프(100)의 크기가 작고 마찰력의 편차가 미미함은 물론,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일정 배열 없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원터치 클램프(100)의 설치 동작, 마찰 부재의 교체 동작과 함께 클램프의 설치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 3 내지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터치 클램프(100)는 잠금부(121)의 한 번의 회동 동작만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부(121)를 제1 홀더편(111) 방향으로 회동시켜 체결부(122)의 타단이 걸림돌기(111a)를 지나치게 한 후, 체결홈(122b)에 걸림돌기(111a)를 수용하여 체결홈(122b)의 내주면이 걸림홈(111b)에 안착되게 하며, 다시 잠금부(121)를 제2 홀더편(112)의 일단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홀더편(112)과 최근접한 위치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체결홈(122b)과 걸림돌기(111a)가 체결되게 하여 원터치 클램프(100)가 잠금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체결부(122)의 일단과 타단의 거리가 잠금부(121)가 제2 홀더편(112)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잠금부(121)와 걸림홈(111b)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합성수지로 마련되는 체결 수단(120)이 잠금부(121)의 회동 동작에 의해 체결될 때, 탄성에 의해 공고하게 체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체결 힌지(122a)와 걸림홈(111b)과 대면하는 체결홈(122b)의 내주면의 거리가, 체결 힌지(122a)가 제2 홀더편(112)에 최근접한 상태에서 체결 힌지(122a)와 삽입홈(114)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체결 힌지(122a)와 걸림홈(111b)과 대면하는 체결홈(122b) 내주면의 거리가 잠금 힌지(121a)와 삽입홈(114)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잠금부(121)는 잠금 상태에서 제2 홀더편(112)과 최대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기 위해 제2 홀더편(112)과 동일한 곡률로 연장형성됨을 감안하여, 체결 힌지(122a)와 걸림홈(111b)과 대면하는 체결홈(122b) 내주면의 거리(D1)는 잠금 힌지(121a)와 삽입홈(114)의 거리(D2)와 동일 또는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다시 잠금부(121)를 제1 홀더편(111) 방향으로 회동시켜 체결부(122)의 타단이 걸림돌기(111a)로부터 이탈하게 하여 체결 수단(120)을 잠금 해제하며, 다시 제2 홀더편(112) 방향으로 회동시켜 원터치 클램프(100)가 배관으로부터 탈착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찰부재(130)는 클램프 바디(110)에 형성된 삽입홈(114)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장시간 사용되어 마찰력이 감소된 원터치 클램프(100)를 마찰부재(130)의 교체만으로 손쉽게 재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마찰부재(130)는 중단은 제1 홀더편(111) 및 제2 홀더편(112)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양단은 삽입홈(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삽입홈(114) 방향으로 굴절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홈(114)의 형성으로 인해 클램프 바디(11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삽입홈(114)이 형성된 부분은 보강부(115)를 더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홈(11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텁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삽입홈(114)은 마찰부재(13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끝단이 클램프 바디(110)의 폭방향 양단과 연결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터치 클램프(100)에 가해지는 배관의 하중에 의해 마찰부재(130)가 클램프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홈(114)의 상부 방향은 클램프 바디(110)의 폭방향 양단과 연결되어 열린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 방향은 폭방향 양단과 연결되어 열린 구조가 아닌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원터치 클램프(100)에 가해지는 배관의 하중은 항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마찰부재(130)에 가해지는 하중 역시 하부방향 즉, 배관을 연결하는 이음부위의 돌출부분인 체결 소켓(FS)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홈(114)의 하부 방향은 닫힌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체결 수단(120)의 체결 동작과 마찰 부재의 설치 동작에 따라 본 고안의 원터치 클램프(100)는 배관을 파지하여 상부 배관(UP)과 하부 배관(DP)을 연결하는 체결 소켓(FS)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체결 소켓(FS)을 통해 연결된 배관들을 고정하는 실란트가 파손되어 배관을 탄력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울 때, 체결 소켓(FS)을 지지하여 상부 배관(UP)을 그 위치에 공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원터치 클램프
110 : 클램프 바디 111 : 제1 홀더편
111a : 걸림돌기 111b : 걸림홈
112 : 제2 홀더편 113 : 홀더 힌지
114 : 삽입홈 115 : 보강부
120 : 체결 수단 121 : 잠금부
121a : 잠금 힌지 121b : 잠금홈
122 : 체결부 122a : 체결 힌지
122b : 체결홈 122c : 지지바(bar)
130 : 마찰부재 131 : 천공
132 : 버(burr) FS : 체결 소켓
UP : 상부 배관 DP : 하부 배관

Claims (7)

  1.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일부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홀더편과, 일단이 상기 제1 홀더편의 일단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폭방향을 따라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홀더편의 타단과 서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제1 홀더편과 함께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제2 홀더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편과 상기 제2 홀더편의 내주면에 인입된 형상의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클램프 바디;
    일단이 상기 제2 홀더편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제2 홀더편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잠금부 및 일단이 상기 잠금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홀더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체결되거나 상기 걸림돌기에서 이탈하여 체결 해제되는 체결 수단; 및
    상기 삽입홈들에 각각 끼워져 상기 클램프 바디의 내주면에 일정 면적의 마찰면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바디가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배관에 체결되어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인 체결 소켓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체결 소켓을 지지하여 상기 이음부위의 헐거움으로 인한 배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마찰부재는,
    펀칭 처리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을 포함하여, 상기 천공을 통해 상기 클램프 바디와 상기 배관 사이의 슬립 현상을 경감하며, 상기 펀칭 과정에서 생성되는 버(Burr)를 미처리함으로써, 상기 미처리된 버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프 바디와 상기 배관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바디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바디는,
    상기 제1 홀더편과 상기 제2 홀더편의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텁게 형성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단부가 상기 제1 홀더편의 일단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제1 홀더편과 함께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잠금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거나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체결 해제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2 홀더편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과 타단의 거리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2 홀더편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와 상기 걸림홈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KR2020190004200U 2019-10-17 2019-10-17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KR200490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00U KR200490820Y1 (ko) 2019-10-17 2019-10-17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00U KR200490820Y1 (ko) 2019-10-17 2019-10-17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20Y1 true KR200490820Y1 (ko) 2020-01-09

Family

ID=6915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00U KR200490820Y1 (ko) 2019-10-17 2019-10-17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702B1 (ko) * 2022-11-24 2023-04-14 송기정 케미컬라인용 배관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79Y1 (ko)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689684B1 (ko) * 2016-04-14 2016-12-26 이정규 배관 연결용 클램핑 구조
KR20190014789A (ko) * 2017-08-03 2019-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79Y1 (ko)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1689684B1 (ko) * 2016-04-14 2016-12-26 이정규 배관 연결용 클램핑 구조
KR20190014789A (ko) * 2017-08-03 2019-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지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702B1 (ko) * 2022-11-24 2023-04-14 송기정 케미컬라인용 배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820Y1 (ko)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MX2014014060A (es) Centralizador de recuperacion.
UA122313C2 (uk) Шарнір для коробки комутаційної шафи, а також відповідна коробка комутаційної шафи
US6315077B1 (en) Insert forming hole to receive manhole step
JP2015194059A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及びフーチング部コンクリートとの一体化工法
KR20110113851A (ko)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200456103Y1 (ko) 건축용 관통 슬리브
JP2013167140A (ja) 管体のスラブ埋設部構造
US7631902B2 (en) Transition coupling
JP2009144465A (ja) コンクリート貫通孔用スリーブ
JP4676351B2 (ja) 配管類固定具
KR101933829B1 (ko) 피복두께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
JP3892099B2 (ja) スリーブ用型枠
JP6630155B2 (ja) 管の接続構造およびこの管の接続構造に用いる管ユニット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200025800A (ko) 강관일체형 하이브리드 기성 콘크리트 말뚝 및 그 생산방법
JP4104483B2 (ja) 螺旋案内路付き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25115A (ja) スリーブホルダ
JP4532952B2 (ja) アンカー用スペーサー
JP7433073B2 (ja) 鋼管で被覆したコンクリート杭
TWI809554B (zh) 提升管錨固及安裝
JP5600506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保持具
US20160215903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 clips and sup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