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851A -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851A
KR20110113851A KR1020100033160A KR20100033160A KR20110113851A KR 20110113851 A KR20110113851 A KR 20110113851A KR 1020100033160 A KR1020100033160 A KR 1020100033160A KR 20100033160 A KR20100033160 A KR 20100033160A KR 20110113851 A KR20110113851 A KR 2011011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ilding
sleeve
divided
divid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052B1 (ko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의 각종 배관을 미리 정해진 설계 사양에 따라 배치함에 있어서 각 층간이나 인접하는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 상에 별도의 슬리브를 개재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배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배관을 콘크리트 벽체 내에 슬리브를 개재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로서, 일측 끝단의 플랜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 상에 지수판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주면으로 배관이 관통하는 내주면에 경사홈을 갖는 한쌍의 분할 본체와, 이들 분할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의 두께에 따른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통형상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양 끝단부와 분할 본체를 맞붙인 상태에서 그 외주면 상에 결속되어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클램프와, 상기 분할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홈 내로 각각 삽입되어 배관을 최종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형 마감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A fixing sleeve of building pipe}
본 발명은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각종 배관(配管)을 미리 정해진 설계 사양에 따라 배치함에 있어서 각 층간이나 인접하는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 상에 별도의 슬리브(sleeve)를 개재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배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빌딩이나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다층식 건물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 처리용 배관 등의 제반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입상관들은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벽체 내에 매설되는 슬리브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각 층간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용도에 따라 여러 직경으로 제작된 입상관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슬리브를 개재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층간 건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들 각각의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처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 입상관은 거푸집에 가설된 통상의 슬리브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 슬리브 내에서 입상관을 확실하게 고정시켜야만 하는데, 만일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에 의한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709781호 공보에는 건물 슬라브에 홀을 천공한 상태에서 이 홀 내에 슬리브 및 배관을 설치하고, 이어서 반원형태의 탄성을 갖는 배관 지지구를 이용하여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또 등록특허 제0788022호 공보에는 층간 슬라브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시공 작업시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배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 고정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각 층간 슬라브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이미 홀이 양생된 상태에서 배관 지지구나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시공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 힘으로는 작업을 행할 수 없음은 물론 각 구성품의 제작 공차에 의해 배관을 설계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0896324호 공보에는 매설 높이와 배관경의 변동에 따른 시공성을 보장하면서 대량 유동이나 역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밀성이 보강된 배관 슬리브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나사맞춤 방식으로 체결된 상, 하부 몸체 내에 각각의 보조관을 형성한 상태에서 분리된 배관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배관 설치 및 향후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각종 로스(loss)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층간 슬라브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과정에서 해당 벽체의 설계 규격에 맞춰 미리 제작된 분할 본체 및 스페이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차 스페이서에 의해 결정된 각 본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 내에서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된 지수판에 의해 누수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장착되는 쐐기형 마감편에 의해 배관을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배관을 콘크리트 벽체 내에 슬리브를 개재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로서, 일측 끝단의 플랜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 상에 지수판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주면으로 배관이 관통하는 내주면에 경사홈을 갖는 한쌍의 분할 본체와, 이들 분할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의 두께에 따른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통형상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양 끝단부와 분할 본체를 맞붙인 상태에서 그 외주면 상에 결속되어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클램프와, 상기 분할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홈 내로 각각 삽입되어 배관을 최종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형 마감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할 본체의 플랜지 일측에 브라켓이 장착되어 거푸집 내에서의 위치 고정이 행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 본체 내면의 경사홈 끝단부에 형성된 요홈 내에 O-링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경부와 배관 사이에 밀폐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형 마감편의 몸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분할 본체의 경사홈 내면에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층간 거푸집의 설치과정에서 한쌍의 분할 본체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해당 벽체의 두께에 맞춰 추가적인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전에 비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본체 사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 내에서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며, 본체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지수판에 의해 누수현상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본체 내로 삽입되는 쐐기형 마감편에 의해 배관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
도 2는 도 1의 고정 슬리브에 대한 각 구성 부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벽체 내에 매설된 고정 슬리브의 일측 부분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 슬리브는 한쌍의 분할 본체(10)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을 규정하는 스페이서(11) 및 클램프(12)를 포함하여 상기 분할 본체(10) 내로 끼워져 고정되는 쐐기형 마감편(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 슬리브는 배관(14)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상의 축조방식에 따라 거푸집(도시생략) 내의 설계 위치에 가설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벽체(15) 내에 매립된다.
상기 분할 본체(10)는 일측 끝단의 플랜지(16)로부터 이격된 외주면 상에 원통형의 일체형 지수판(17)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배관(14)이 관통하는 내주면 상에 경사홈(18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할 본체(10)의 플랜지(16) 일측에는 각각 브라켓(19a)이 장착되어 있고, 이 브라켓(19a)에 의해 상기 분할 본체(10)를 거푸집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위치 고정이 원활히 행해지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11)는 벽체(14)의 설계 두께에 맞추어 미리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할 본체(10) 사이에 개재되어 스페이서(11)의 양 끝단부에 맞붙인 상태에서 클램프(12)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12)는 반구형 케이싱(21A,21B)을 맞댄 상태에서 볼트(22a) 및 너트(22b)에 의해 체결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분할 본체(10)와 스페이서(11)의 끝단부에는 각각 단턱(23a,23b)을 형성하여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클램프(12) 내에 패킹(24)을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프의 경우, 워엄기어 방식으로 결속되는 통상의 밴드형 커플링이나 그 외의 체결요소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할 본체(1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18a) 내에는 배관(14)을 최종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형 마감편(13)이 끼워져 고정되며, 이 분할 본체(10) 내부의 경사홈(18a) 끝단부에 형성된 요홈 내에는 O-링(25a)이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경부와 배관(14) 사이에 밀폐링(25b)이 장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쐐기형 마감편(13)은 통상의 경질 고무재로 제작되어 탄성을 가지게 되며, 그 몸체에 절개부(26a)를 형성함에 따라 배관(14)의 측방향에서 끼워 조립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분할 본체(10)의 경사홈(18a) 내로 타격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분할 본체(10)의 경사홈(18a) 및 쐐기형 마감편(13)의 몸체에 나사산(27a)을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벽체(15)의 설계 규격에 따라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는 배관(14) 상으로 한쌍의 분할 본체(10) 및 스페이서(11)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분할 본체(10)와 스페이서(11)의 양 끝단면을 상호 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분할 본체(10)와 스페이서(11)의 단턱(23a,23b) 상에 클램프 (12)를 끼워 볼트(22a) 및 너트(22b)에 의해 체결한다.
그 후, 쐐기형 마감편(13)에 형성된 절개부(26a)를 벌려 배관(14)에 끼운 상태에서 각 분할 본체(10)의 경사홈(18a) 내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바깥면의 상하 및 좌우 부분을 타격하여 중심을 맞추면서 결속시킴에 따라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를 구성하게 된다.
이 때,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분할 본체(10)의 경사홈 (18a) 및 쐐기형 마감편(13)의 몸체에 나사산(27a)이 형성된 경우에는 쐐기형 마감편(13)을 돌려 상호 체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본체(10) 내부에 장착된 O-링 (25a) 및 밀폐링(25b)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고정 슬리브를 각 분할 본체(10)의 플랜지(16)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19a)을 이용하여 거푸집 내의 설치 부분에 탑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15) 내에 안정적으로 매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분할 본체 11: 스페이서
12: 클램프 13: 쐐기형 마감편
14: 배관 15: 벽체
16: 플랜지 17: 지수판
18a: 경사홈 19a: 브라켓
21A,21B: 케이싱 22a: 볼트
22b: 너트 23a,23b: 단턱
24: 패킹 25a: O-링
25b: 밀폐링 26a: 절개부
27a: 나사산

Claims (4)

  1. 건물 배관을 콘크리트 벽체 내에 슬리브를 개재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로서,
    일측 끝단의 플랜지(16)로부터 이격된 외주면 상에 지수판(17)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주면으로 배관(14)이 관통하는 내주면에 경사홈(18a)을 갖는 한쌍의 분할 본체(10)와,
    이들 분할 본체(10)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15)의 두께에 따른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통형상의 스페이서(11)와,
    상기 스페이서(11)의 양 끝단부와 분할 본체(10)를 맞붙인 상태에서 그 외주면 상에 결속되어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클램프(12)와,
    상기 분할 본체(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홈(18a) 내로 각각 삽입되어 배관(14)을 최종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형 마감편(1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본체(10)의 플랜지(16) 일측에 브라켓(19a)이 장착되어 거푸집 내에서의 위치 고정이 행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본체(10) 내면의 경사홈(19a) 끝단부에 형성된 요홈 내에 O-링(25a)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경부와 배관(14) 사이에 밀폐링(25b)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마감편(13)의 몸체에는 절개부(2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분할 본체(10)의 경사홈(18a) 내면에 나사산(27a)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KR1020100033160A 2010-04-12 2010-04-12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KR10112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60A KR101122052B1 (ko) 2010-04-12 2010-04-12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60A KR101122052B1 (ko) 2010-04-12 2010-04-12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51A true KR20110113851A (ko) 2011-10-19
KR101122052B1 KR101122052B1 (ko) 2012-03-15

Family

ID=4502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60A KR101122052B1 (ko) 2010-04-12 2010-04-12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280B1 (ko) * 2016-02-12 2016-08-10 고의환 플랜지형 지수판
CN106015762A (zh) * 2016-06-21 2016-10-12 中国飞机强度研究所 一种导线密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73B1 (ko) 2016-06-09 2018-01-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탈부착이 가능한 유압실린더의 변위 측정장치
KR102411535B1 (ko) 2020-08-07 2022-06-21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환기 효율을 향상시킨 조적 슬리브
KR102202470B1 (ko) 2020-08-07 2021-01-13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조적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189Y2 (ko) 1975-06-19 1978-04-27
US5405119A (en) * 1994-03-07 1995-04-11 Maguire; James V. Sleeve assembly for forming openings in molded structures
KR200379183Y1 (ko) * 2004-10-29 2005-03-17 전추길 벽체 관통용 파이프 설치를 위한 슬리브
KR20080001297U (ko) * 2006-11-21 2008-05-26 박상만 배관 조립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280B1 (ko) * 2016-02-12 2016-08-10 고의환 플랜지형 지수판
CN106015762A (zh) * 2016-06-21 2016-10-12 中国飞机强度研究所 一种导线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052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052B1 (ko) 건물 배관의 고정 슬리브
JP2017066858A (ja) 附属枠、附属枠を有する窓、プレキャスト壁体及びそれらの製作組立方法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2801A (ko) 인서트가 매입되는 터널 라이닝 거푸집 및 풍도 슬래브 지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브래킷 형성방법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US10627018B2 (en) Pipe mount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JP6463208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080076267A (ko) 벽체 매립 상자
KR101206041B1 (ko)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US20180058610A1 (en) Tubular Securing Device
JP5389431B2 (ja) 排水設備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0752268B1 (ko)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JP2005023675A (ja) 排水設備の配管接続構造及び排水設備の配管接続方法
JP6835571B2 (ja) 人孔更生構造および人孔更生構造の施工方法
KR200495342Y1 (ko) 입상 배관 조립체 및 그 입상 배관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1534435B1 (ko) 건물 입상배관의 고정 슬리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43942B1 (ko) 밀봉소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