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16Y1 - 청소 도구 - Google Patents

청소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16Y1
KR200490816Y1 KR2020180000253U KR20180000253U KR200490816Y1 KR 200490816 Y1 KR200490816 Y1 KR 200490816Y1 KR 2020180000253 U KR2020180000253 U KR 2020180000253U KR 20180000253 U KR20180000253 U KR 20180000253U KR 200490816 Y1 KR200490816 Y1 KR 200490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cloth
head
groo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96U (ko
Inventor
오성택
강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8000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16Y1/ko
Priority to CN201890001418.6U priority patent/CN212816157U/zh
Priority to PCT/KR2018/010310 priority patent/WO2019142996A1/ko
Publication of KR20190001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18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catches or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청소포와 맞닿는 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맞닿은 상기 청소포를 밀어내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 도구{Apparatus of cleaning}
본 고안은 청소 도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소포를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고도 청소포를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인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생활을 하는 나라, 예를 들어 대한민국과 같은 생활 문화권에서는 수시로 방이나 거실의 바닥을 청소하게 되며 주로 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바닥을 닦는 형태를 취하는데, 청소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서 있는 상태로 청소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청소도구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방, 거실과 같은 바닥면의 청소만 아니라, 화장실, 화장실 내의 변기, 세면대 등과 같은 장치도 청소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청소는, 실생활에 필요하며 일상적으로 수시로 수행되는 작업이다.
특히 청소 도구로서, 바닥을 청소하는 진공청소기, 밀대 등이 있으나, 변기와 같이 바닥면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고 굴곡진 영역이 많은 영역을 편리하게 청소작업하기 위한 도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고 변기 등의 청결을 위한 작업 과정에서, 먼지, 이물질 들을 닦기 위해서는 청소포를 이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변기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청소포에 각종 세균 등 오염물이 묻어난 상태에서 청소포를 이용하거나 교체하려면 사용자가 청소포를 직접 만져야 하는 등 여전히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청소포를 잡지 않고도 청소포를 교체할 수 있는 청소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청소포와 맞닿는 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맞닿은 상기 청소포를 밀어내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청소포의 부착면에 대하여 수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청소포를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이탈을 방지하는 슬릿홀과 상기 버튼을 유출입시키는 분리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청소포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착탈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착탈홈에 안착되거나 이격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홈에는, 상기 누름부재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청소포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홈은, 상기 부착부가 마련되는 제1단홈; 및 상기 제1단홈과 깊이를 달리 이루며, 상기 누름부재가 수용되는 제2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부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포는,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맞닿아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조작부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청소포를 헤드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청소포 교체가 용이하며, 특히 손으로 직접 청소포를 잡지 않고도 청소포를 부착/분리할 수 있어 위생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 청소포가 부착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 청소포가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후측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서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헤드부의 돌출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서 헤드부에 부착되는 청소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서 헤드부에서 제거되는 청소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 보조 헤드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서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하더라도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상/하는 도 1과 도 8에서의 상/하를 의미하고, 좌/우는 도 2, 도 7의 좌/우를 의미하며, 전/후는 도 2가 정면도, 도 7이 배면도임을 고려해 설명되는 것이지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청소 도구(1)는, 화장실, 방 등의 바닥면에 대비하여 변기, 세면대와 같이 면적이 작고 굴곡진 공간을 청소할 때 사용이 편리한 청소 도구(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청소포(90)는 평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면직물,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나, 청소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면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청소포(90)는 벨크로에 의한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청소포(90)의 어느 일면에 벨크로가 부착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포(90)의 양면 중 한 면에는 벨크로 부착을 위한 구조가 마련되고, 다른 면에는 청소작업이 용이한 재질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는 손잡이부(10), 헤드부(20), 조작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져, 변기, 세면대와 같은 청소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손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청소영역인 오염된 공간으로부터 사용자 손의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0)는, 청소영역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또는 수직방향) 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청소영역에 대하여 둔각(또는 직각)을 이루는 손잡이부(10)의 이동만으로 청소포(90)가 청소영역에 대하여 마찰을 일으키며 청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손잡이부(10)는, 후술되는 조작부(30)의 슬라이딩 작동을 위해 내부에 공간 또는 홈 구조(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홈(11)으로 구성)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0)는 중공의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0)는, 단면이 사각, 육각 등을 이루는 다면체 또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을 이루는 원통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일측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손잡이부(10)는 단순한 직선 구조의 프레임, 바 등의 형태만 아니라 다른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소시 사용자의 손목 꺾임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어느 일 영역이 각도가 변경되게 구부러지는 형태, 즉 좌, 우, 상 및/또는 하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꺾인형태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부(10)에는, 조작부(3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11), 슬릿홀(12), 분리홀(13), 끼움부재(14), 이탈방지부재(15)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1)은, 예를 들어 손잡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작부(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홈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홈(11)의 높이는, 조작부(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홈(11)은 조작부(30)가 수용되도록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는 후술하는 이탈방지부재(15)가 마련되어 조작부(30)가 슬라이딩 홈(11)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되는 조작부(30)의 버튼(31)이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31)에 대비하여 좁은 폭을 가지는 슬릿홀(12)이 슬라이딩 홈(11)으로부터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2)은, 사용자의 청소작업에서 청소 도구(1)를 보는 보기 방향에 대하여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 홈(11)은 슬릿홀(1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0)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자연스럽게 손잡이부(10)의 상부에 놓이게 되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버튼(31)에 놓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 방향을 돌리기 위해 별도로 청소 도구(1)를 돌리는 작업 없이 청소 작업 중에도 필요에 따라 특히 양손 사용이 아닌 한 손만을 이용하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부(30)를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홀(12)과 버튼(31)이 손잡이부(10)의 상부에 마련된 구조를 가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슬릿홀(12)이 상부만 아니라 하부에도 마련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10)의 상하 양측에 버튼(31)이 마련되고, 한 손으로 손잡이부(1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상하 한 쌍의 버튼(31)을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잡는 바와 같이, 버튼(31)을 조작하기 위한 힘을 더욱 가할 수도 있다.
게다가 손잡이부(10)는, 조작부(30)가 결합/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릿홀(12)의 단부에, 버튼(3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이루어지는 분리홀(13)이 마련될 수 있다.
분리홀(13)은 버튼(31)의 크기/형상과 적어도 동일하게 이루어져, 버튼(31)의 유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작부(3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분리홀(13)의 위치는, 조작부(30)가 손잡이부(10)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슬릿홀(12)의 하부에 분리홀(13)이 마련되어, 조작부(30)가 청소포(90)를 분리할 수 있는 위치인 슬릿홀(12)의 하부에서, 슬릿홀(12)의 최하부인 분리홀(13)로 조작부(30)가 더 이동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슬릿홀(12)의 하부에 분리홀(13)이 마련되는 것은 동일 할 수 있으나, 버튼(31)의 크기와 두께가 후술되는 손잡이부(10A)의 출입홀을 통해 이탈/분리될 수 없는 경우, 버튼(31)은 분리홀(13)을 통해 슬릿홀(12)로부터 벗어난 후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홈(11)을 통해 분리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30)의 분리/결합 관계는 조작 및 탈착의 용이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슬릿홀(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는 걸림턱(121)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121)은, 조작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슬릿홀(12)에서 버튼(31)과 대향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21)과 버튼(31)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되고 나머지 하나는 돌출구조가 걸림되는 홈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31)은, 슬릿홀(12)에서 이동만 하고, 분리홀(13)에 위치된 경우에만 분리홀(13)을 통해 슬라이딩 홈(11)으로 유입되어 손잡이부(10)로부터 조작부(30)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조작부(30)가, 손잡이부(10)에 결합할 경우에도, 분리홀(13)을 통해 버튼(31)이 손잡이부(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부재(14)는, 손잡이부(1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잡히는 영역에 대비하여 두께가 작게 이루어져 후술되는 결합홈(22)(도 3 참조)에 대응되는 면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재(14)가 결합홈(22)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0)와 헤드부(20)가 둔각을 이룰 수 있고, 예를 들어 끼움부재(14)가 손잡이 영역으로부터 절곡되거나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헤드부(20)와 손잡이부(10)의 결합이, 접착제 등으로 인해 고정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이탈방지부재(15)는, 조작부(30)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거나 조작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손잡이부(10)에서 슬라이딩 홈(11)에 대향하여 손잡이부(10)를 가로지를 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재(15)는, 조작부(30)의 버튼(31)이 손잡이부(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될 때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재(15)는, 슬라이딩 홈(11)에 대향하되 슬라이딩 홈(11)의 하부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15)와 조작부(30) 간의 관계는, 조작부(30)의 설명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15)는 손잡이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이탈방지부재(15)에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손잡이부(10)에는 후크가 걸림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는 등 공지된 다양한 체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헤드부(20)는 청소포(9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청소포(90)와 맞닿을 수 있고 손잡이부(1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20)는, 청소포(90)를 지지하므로 청소영역이 변기, 세면대와 같이 곡면을 가지는 영역에 대응하여 휘어질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헤드부(20)는, 두께가 제한되지 않아,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청소포(9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력/쿠션감을 부가할 수 있는 두께로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헤드부(20)는 손잡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헤드부(20)와 다른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이 헤드부(20)에 대비하여 단단한 재질을 가지는 손잡이부(10)로 이루어져, 헤드부(20)와 손잡이부(10)는 개별 제작된 후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20)는 착탈홈(21), 결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착탈홈(21)은 조작부(30)가 결합되고 청소포(90)가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착탈홈(21)이 결합홈(22)과 구획되어 결합홈(2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헤드부(20)가 청소영역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면, 착탈홈(21)은 청소영역에 대향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오목한 홈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착탈홈(21)의 크기는 후술되는 조작부(30)의 누름부재(33)의 형태에 대응하거나 누름부재(33)의 형태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포(90)의 결합이 착탈홈(21) 또는 착탈홈(21) 주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청소포(90)의 결합은 벨크로와 같은 부착부(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부(40)의 위치는 누름부재(33)와 함께 착탈홈(21)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착탈홈(21)은 제1단홈(212)과 제2단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홈(212)은 부착부(40)가 마련될 수 있고, 제2단홈(211)은 제1단홈(212)과 깊이를 달리 이루며 누름부재(33)가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제2단홈(211)에 결합되는 누름부재(33)의 견고함을 위해, 누름부재(33)는 소정의 두께/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33)가 헤드부(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제2단홈(211)의 깊이가 누름부재(33)의 두께/높이와 동일/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홈(212)에 마련되는 부착부(40)는, 제1단홈(212)의 내측면에 접착제, 열 융착 등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홈(211)에 마련되는 누름부재(33)에 대비하여 두께/높이가 요구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단홈(212)의 깊이는 제2단홈(211)의 깊이에 대비하여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단홈(212)과 제2단홈(211)은 서로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고, 제2단홈(211)의 내부에 제1단홈(212)이 단차를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단홈(211)에 끼움된 누름부재(33)가, 제2단홈(211)으로부터 이격되면 제2단홈(211)의 내측 방향에 마련된 제1단홈(212)내의 부착부(40)로부터 청소포(90)가 밀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청소포(90)가 부착부(40)에 의해 헤드부(20)에 고정된 후, 부착부(40)로부터 청소포(90)가 분리시 부착부(40)의 둘레면에 위치된 누름부재(33)에 의해 부착부(40)로부터 청소포(90)가 뜯어지는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포(90)의 분리는, 누름부재(33)가 이격되면서 부착부(40)의 둘레면 전체에서 뜯어지는 힘이 작용하므로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청소포(90)의 고정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누름부재(33)의 내측만 아니라 누름부재(33)의 적어도 외측 일부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33)의 이격으로 인한 청소포(9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누름부재(33)의 외측에 바로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단홈(212)에 마련된 부착부(40)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헤드부(20)의 저면에서 누름부재(33)와 이격된 위치에 부가적으로 부착부(40)가 더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결합홈(22)은, 헤드부(20)가 손잡이부(10)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헤드부(20)와 손잡이부(10)가 개별 제작되는 경우 헤드부(20)와 손잡이부(10)의 결합은,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부(20)는, 손잡이부(10)의 하단부가 끼움될 수 있는 결합홈(22)이 형성되는 것이며, 결합홈(22)은 청소포(90)와 수평한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끼움부재(14)가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30)는 손잡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헤드부(20)에 맞닿은 청소포(90)를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릿홀(12)로부터 노출되게 조작부(30)의 상부에는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단턱(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부(30)의 하부에는 누름부재(33)가 마련될 수 있다.
버튼(31)은, 사용자가 조작부(30)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슬릿홀(12)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청소 도구(1)를 아래로 내려보는 방향에서 조작부(30)의 상부 방향으로 버튼(31)이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슬릿홀(12)로부터 버튼(31)이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31)의 폭은 슬릿홀(1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걸림턱(121)과 버튼(31)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되고 나머지 하나는 돌출구조가 걸림되는 홈 구조가 마련되어 버튼(31)이 슬릿홀(12)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면서도, 일정 영역에서 버튼(31)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단턱(32)은, 조작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30)는, 손잡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손잡이부(1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11)에 대비하여 길이와 폭이 작은 바(bar)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30)에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이탈방지부재(15)와 마주하는 면에 단턱(3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작부(30)의 단턱(32)은, 조작부(3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이탈방지부재(15)에 단턱(32)이 맞닿아 슬라이딩 길이가 제한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0)는 바 형태를 이루어, 조작부(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하단을 기준으로 상단이 일정한 길이로 눌려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버튼(31)의 누름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단턱(32)이 이탈방지부재(15)에 맞닿지 않고 조작부(30)의 바 형태가 슬라이딩 홈(11) 내부에 모두 수용되어 단턱(32)이 이탈방지부재(15) 주변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반면 버튼(31)의 누름 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버튼(31)이 가압되는 것에 따라 조작부(30)의 바 형태가 이탈방지부재(15)에 맞닿게 되고, 이때 단턱(32)이 이탈방지부재(15)에 간섭되어 슬라이딩의 길이가 제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이탈방지부재(15)가 탈착 가능한 경우, 손잡이부(10)로부터 이탈방지부재(15)가 조작부(30)를 간섭하지 않고, 분리홀(13)을 통해 버튼(31)이 빠질 수 있으므로, 조작부(30)를 손잡이부(10)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청소포(90)의 분리는, 조작부(30)의 슬라이딩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조작부(30)와 이탈방지부재(15)의 착탈/결합은, 청소포(90)의 분리/결합과는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청소포(90)는 헤드부(20)의 하면에서 부착부(40)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되고, 조작부(30)에 의해 부착부(40)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므로, 청소포(90)의 형태는 헤드부(20)의 하면에 대응하여 헤드부(20)의 하면 면적에 동일하거나 헤드부(20)의 하면보다 크거나 작게 이루어지는 평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누름부재(33)는, 부착부(40)의 일측에서 청소포(90)를 하부 방향으로 눌러 부착부(40)로부터 청소포(90)를 떼어 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착부(40)의 사방에서 청소포(90)를 눌러 부착부(40)로부터 청소포(90)를 떼어 내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누름부재(33)가 'I'자 형태로 이루어져 부착부(40)의 일측에서 가압할 수도 있으나, 누름부재(33)가 폐곡선 또는 U자 형태 등으로 이루져 청소포(90)를 가압하는 외곽 둘레를 확장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부착부(40)의 사방에서 누름부재(33)가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청소포(9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청소포(90) 상에 헤드부(20)를 맞닿게 하는 동작만으로 청소포(90)를 청소 도구(1)에 결합할 수 있고, 조작부(30)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청소 도구(1)로부터 청소포(90)를 분리할 수 잇어, 사용자의 손이 직접 청소포(90)에 닿지 않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6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는 손잡이부(10A), 헤드부(20A), 조작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의 손잡이부(10A)는, 일 실시예의 손잡이부(10)와 동일/유사하게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절곡/구부러진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슬라이딩 홈(11), 슬릿홀(12), 분리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의 청소포(90)는, 손잡이부(10)에 대하여 수직/경사지게 마련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의 청소포(90)는 손잡이부(10A)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손잡이부(10)에 마련되는 끼움부재(14)가,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10A)에서는 생략되고, 조작부(30A)의 유출입을 위한 출입홀(도시하지 않음)이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10A)에 형성될 수 있다.
출입홀은 후술되는 부착부(40)와 헤드부(20A)의 출입은 허용하되, 손잡이부(10A) 내부로 삽입된 헤드부(20A)로부터 청소포(90)가 이탈되도록, 청소포(90)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홀의 폭은, 청소포(90)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출입홀의 폭이, 헤드부(20A)가 충분히 유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20A)가 출입홀에 삽입시 청소포(90)가 출입홀의 둘레면에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청소포(90)가 출입홀에 걸려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10A)의 이탈방지부재(15A)는, 일 실시예와 달리 슬라이딩 홈(11) 주변으로부터 서로 마주하게 쌍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이루어, 손잡이부(1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재(15A)는, 손잡이부(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슬라이딩 홈(11)이 사용자의 작업 방향에 대한 보기 방향에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오목한 홈 구조를 이루는 경우 슬라이딩 홈(11)에 의해 손잡이부(10A)의 하부는 하단이 개구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홈(11)의 둘레면에 이탈방지부재(15A)가 마련되어, 조작부(30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5A)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이탈방지부재(15A)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슬라이딩 홈(11)의 개구부를 통해 조작부(30A)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의 안정감을 위해, 이탈방지부재(15A) 외에 손잡이부(10A)에서 슬라이딩 홈(11)의 하부 일부가 판으로 가려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헤드부(20A)는, 손잡이부(10A)에서 돌출되며 청소포(90)가 부착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의 헤드부(20)는 손잡이부(10)에 결합 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0A)는, 조작부(30A)의 일부로 이루어져, 조작부(30A)와 헤드부(20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A)는 손잡이부(10A)에서 돌출된 부분에 청소포(90)가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0A)는, 청소포(90)가 부착될 수 있도록, 양면 중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벨크로와 같은 부착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40)는 헤드부(20A)의 전체면에 마련되지 않고 헤드부(20A)의 중심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40)에 고정되는 청소포(90)의 일면이 헤드부(20A)의 어느 일면에 고정되지 않고, 절반씩 분배되어 즉 반으로 접힌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20A)의 양면 중 일면의 부착부(40)에 청소포(90)의 절반 중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고, 양면 중 타면의 부착부(40)에 청소포(90)의 나머지 절반 중 적어도 일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20A)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힘이 적용되는 경우 휘어지는 바와 같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청소 영역의 굴곡 등에 따라 청소포(90)를 변형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헤드부(20A)는 보조 헤드(20B)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헤드(20B)는, 출입홀을 유출입하는 헤드부(20A)와 달리, 헤드부(20A)에 인접하게 손잡이부(10A)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보조 헤드(20B)는,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여러 형상의 보조 헤드(20B)가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보조 헤드(20B)가 손잡이부(10A)로부터 제거되거나 다른 형상으로 교체되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헤드(20B)는, 손잡이부(10A)에서 헤드부(20A)의 주변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헤드부(20A)만 구비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청소포(90)가 지지되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즉 보조 헤드(20B)는, 손잡이부(10A)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이루어지는 헤드부(20A)에 대비하여, 손잡이부(10A)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헤드(20B)의 사방 모서리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변기의 림홀(변기 커버를 지지하는 변기 상부 둘레면의 하부에 마련된 단턱)은 폐곡선의 형태를 이루고 상부에서 하부를 바라보는 형태로 청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 시선에서 단턱이 가려져 청소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청소 도구(1)를 수직으로 세운 후, 변기의 단턱에 보조 헤드(20B)의 후측(손잡이부(10A) 방향을 향하는 모서리)을 맞닿게 배치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일자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기 어려운 청소 영역 또한 용이하게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헤드부(20A)를 변기 단턱에 맞닿도록 하기 위해,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0A)를 잡고 수평 또는 각도를 틀어가며 조작할 필요가 없어, 손잡이부(10A)가 변기 주변에 닿지 않아 위생적인 청소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보조 헤드(20B)가 마련되는 경우라도, 헤드부(20A)에 부착부(40)가 마련되므로 헤드부(20A)로부터 청소포(90)를 분리하기 위해 헤드부(20A)를 출입홀로 삽입하면 부착부(40)로부터 청소포(90)가 제거되는 작동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헤드(20B)의 손잡이부(10A)에 대한 결합은, 헤드부(20A)에 인접하여 손잡이부(10A)에 보조 헤드(20B)가 끼움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0A)의 하부 양단에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슬릿에 끼움될 수 있도록 보조 헤드(20B)에 판 형태의 날개가 부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조 헤드(20B)가 헤드부(20A)에 결합될 수도 있다. 부착부(40)가 간섭되지 않는 헤드부(20A)의 양측 영역에 한하여 또는 부착부(40)가 일부 간섭되는 형태를 이루더라도 부착부(40)가 노출될 수 있게, 헤드부(20A)의 양측에 보조 헤드(20B)가 끼움되는 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
이때 보조 헤드(20B)는, 헤드부(20A)에 대비하여 두께가 크게 이루어지고, 헤드부(20A)가 삽입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헤드부(20A)가 출입홀을 통해 손잡이부(10A)로 삽입시, 헤드부(20A)의 양측이 보조 헤드(20B)의 슬릿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므로, 보조 헤드(20B)가 헤드부(2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조작부(30A)는, 일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손잡이부(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조작부(30A)는, 헤드부(20A)의 수평 이동을 통해 청소포(90)를 분리하므로, 일 실시예의 조작부(30)와 달리 누름부재(33)가 생략될 수 있고, 유출입 및 청소포(90) 부착의 용이성을 위해 넙적하고 긴 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헤드부(20A)의 형태만 넙적하게 이루어지고, 손잡이부(10A)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기 위한 영역은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작부(30A)는, 일단이 헤드부(20A)에 연결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부(30A)와 헤드부(20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청소 영역에 따라 헤드부(20A)의 강성이 요구될 수도 있으므로, 조작부(30A)로부터 헤드부(20A)가 교체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이때 헤드부(20A)는 다양한 재질의 서로 다른 헤드부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조작부(30A)와 헤드부(20A)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조 헤드(20B)의 부착/교체를 통해 강성을 구비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그리고 조작부(30A)는, 손잡이부(10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헤드부(20A)를 손잡이부(10A)에 인입시켜 청소포(90)가 헤드부(20A)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조작부(30A)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청소포(90)를 헤드부(20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청소포(90) 교체가 용이하며, 특히 손으로 직접 청소포(90)를 잡지 않고도 청소포(90)를 부착/분리할 수 있어 위생적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90: 청소포 1: 청소 도구
10, 10A: 손잡이부 11: 슬라이딩 홈
12: 슬릿홀 13: 분리홀
14: 끼움부재 15, 15A: 이탈방지부재
20, 20A: 헤드부 21: 착탈홈
212: 제1단홈 211: 제2단홈
22: 결합홈 20B: 보조 헤드
30, 30A: 조작부 31: 버튼
32: 단턱 33: 누름부재
40: 부착부

Claims (9)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청소포와 맞닿는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맞닿은 상기 청소포를 밀어내는 조작부; 및
    상기 헤드부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포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부착부의 사방에서 누르도록 마련되는 누름부재를 갖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기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청소포를 상기 부착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청소포의 부착면에 대하여 수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청소포를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이탈을 방지하는 슬릿홀과 상기 버튼을 유출입시키는 분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청소영역에 대향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오목한 착탈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착탈홈에 안착되거나 이격되는 상기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에는,
    상기 누름부재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포가 부착되는 상기 부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은,
    상기 부착부가 마련되는 제1단홈; 및
    상기 제1단홈과 깊이를 달리 이루며, 상기 누름부재가 수용되는 제2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포는,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맞닿아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KR2020180000253U 2018-01-17 2018-01-17 청소 도구 KR200490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53U KR200490816Y1 (ko) 2018-01-17 2018-01-17 청소 도구
CN201890001418.6U CN212816157U (zh) 2018-01-17 2018-09-04 清洁工具
PCT/KR2018/010310 WO2019142996A1 (ko) 2018-01-17 2018-09-04 청소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53U KR200490816Y1 (ko) 2018-01-17 2018-01-17 청소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96U KR20190001896U (ko) 2019-07-25
KR200490816Y1 true KR200490816Y1 (ko) 2020-01-08

Family

ID=6743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253U KR200490816Y1 (ko) 2018-01-17 2018-01-17 청소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1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28B1 (ko) * 2003-09-16 2012-05-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일회용 패드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67A (ko) * 2015-11-13 2017-05-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웹의 탈착이 용이한 청소 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28B1 (ko) * 2003-09-16 2012-05-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일회용 패드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96U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0058B2 (ja) 真空掃除機
KR102608682B1 (ko)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KR200490816Y1 (ko) 청소 도구
KR200490502Y1 (ko) 청소 도구
JPH082584A (ja) シンク周辺コンテナ
KR20190002902U (ko) 청소 도구
JP2006271645A (ja) 清掃用具
US20170127891A1 (en) Device for cleaning a slat of a shutter having a specific lateral profile
KR200425607Y1 (ko) 때밀이 전용기구
CN212816157U (zh) 清洁工具
US20150351601A1 (en) Handheld cleaning device for use with disposable cleaning towel
JP2016158821A (ja) 浴室用カウンタ
JP2003047535A (ja) 椅子の背もたれ
JP6214245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101746575B1 (ko) 변기 청소용구
US8769759B2 (en) Toilet rim and seat cleaning tongs
JP3140187U (ja) 清掃用具
KR101805707B1 (ko) 봉 걸레
JP6317893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0279344A (ja) 掃除具
KR20180002499U (ko) 밀대 청소기
JP2005224303A (ja) 洗浄具
JP2007255030A (ja) 洋式便器
KR101778452B1 (ko) 회전식 청소구
JP2023023752A (ja) フローリング用清掃具の着脱式清掃シート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