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82B1 -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 Google Patents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82B1
KR102608682B1 KR1020187015996A KR20187015996A KR102608682B1 KR 102608682 B1 KR102608682 B1 KR 102608682B1 KR 1020187015996 A KR1020187015996 A KR 1020187015996A KR 20187015996 A KR20187015996 A KR 20187015996A KR 102608682 B1 KR102608682 B1 KR 10260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leaning tool
surface portion
handle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370A (ko
Inventor
이인환
은상원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7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가 제공되는데, 이 청소 도구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전방 표면 부분 및 후방 표면 부분을 가질 수 있는 손잡이; 일 표면이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 표면이 청소용 웨브가 탈착가능한 부착 표면으로서 구성된 몸체; 및 힌지를 통해 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할 때 부착 표면에 부착된 웨브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푸싱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본 발명은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사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청소 도구가 있다. 그러한 청소 도구의 비제한적인 예는 스펀지, 걸레, 빗자루, 및 브러시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청소 도구는 청소 도구를 사용하는 장소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청소 기구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70188호(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청소 도구는 부직 재료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는 세제를 포함하며, 부직 재료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벽 표면을 문지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청소 도구는, 예를 들어, 다량의 수분으로 인해 벽 표면에 박테리아 및 곰팡이를 포함하는 오염 물질이 쉽게 발생되는 욕실을 포함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일회용 변기 스크러버(disposable toilet bowl scrubber, DTBS)는 부직 웨브의 표면에 세제를 도포할 필요 없이 수분과 접촉 시 세제가 인출되도록 제조된다. DTBS를 사용할 때, 고무 장갑을 낀 채로 웨브를 파지하거나 도구에 웨브를 부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청소용 세제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웨브와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웨브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청소 도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청소 도구를 잡기 위한 손잡이, 및 웨브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 유닛을 포함한다. 청소 도구에 의해 파지되거나 청소 도구에 부착된 부직 웨브는 사용 후 더러워질 수 있으며, 더러운 웨브는 교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부착 유닛은 웨브가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를 들어 청소 도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만드는 것, 및/또는 청소 중에 사용자에 대한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청소 도구를 개선할 필요성을 인식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청소 도구로부터 더러워진 웨브를 분리할 때,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웨브를 잡은 상태로 분리가 행해져야 한다는 것을 인식했다. 따라서, 웨브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더러워지게 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다. 때때로, 손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갑을 착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청소 도구는 웨브가 탈착가능한 부착 유닛 및 손잡이 둘 모두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도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 간단하지 않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높고 제조 공정의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다는 점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화장실 브러시의 이러한 결점들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고자 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청소 도구는, (1)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전방 표면 부분 및 후방 표면 부분을 가질 수 있는 손잡이, (2) 일 표면이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 표면이 청소용 웨브가 탈착가능한 부착 표면으로서 구성된 몸체, 및 (3) 힌지를 통해 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식으로 회전할 때 부착 표면에 부착된 웨브가 분리되도록 하는 푸싱 유닛(pushing unit)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손잡이, 몸체 및 푸싱 유닛은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힌지는 성형 힌지로서 구성되고, 손잡이, 몸체 및 푸싱 유닛은 일체로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푸싱 유닛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조작되도록 제공된 버튼, 버튼에 연결된 삽입 바(bar), 및 일 단부가 삽입 바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몸체에 연결된 푸시 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삽입 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몸체를 통과함으로써 손잡이의 전방 표면 부분 내부에 오목하게(recessed)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푸싱 유닛의 삽입 바의 일 표면으로부터 활주 안내부가 돌출되고, 버튼은 활주 안내부의 단부 부분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삽입 홈과 연통하도록 전방 표면 부분의 외부를 향해 관통된 안내 구멍이 손잡이에 형성되고, 활주 안내부는 삽입 바가 삽입 홈 내로 삽입될 때 안내 구멍에 수용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이 청소 도구는, 전방 표면 부분과 몸체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안내 구멍과 접촉하는 지점에 분리 방지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분리 방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활주 안내부에 연결된 버튼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고정 탭이 돌출되고, 고정 탭은 버튼이 전방 표면 부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 표면 부분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버튼이 분리 방지 부재에 도달했을 때 분리 방지 홈에 수용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삽입 홈을 형성하는 전방 표면 부분의 내부 벽 표면에 클릭(click)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 바의 양 측부 표면들로부터 클릭 돌기가 돌출되고, 클릭 홈은 삽입 바가 삽입 홈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클릭 돌기가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삽입 홈은 몸체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이 청소 도구는 푸시 바와 몸체를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 및 푸시 바와 삽입 바를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힌지 및 제2 힌지는 성형 힌지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몸체의 중심 부분에는 푸시 바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고, 푸시 바는 제1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슬롯 내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몸체의 부착 표면에는 슬롯의 경계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부착 표면에 부착된 웨브의 위치는 웨브가 부착 표면으로부터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돌기에 의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부착 표면에는 웨브의 부착을 위한 후크가 형성되고, 후크는 상부 표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 유닛, 및 헤드 유닛의 하부 표면에 연결된 폴(pole) 유닛을 포함하고, 헤드 유닛의 하부 표면은 폴 유닛의 결합 표면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부 표면은 웨브가 후크에 의해 파지되도록 웨브의 표면을 파고들어가 그 표면에 로크(lock)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몸체의 부착 표면은 후크가 있는 후크 존재 영역과 후크가 없는 후크 부재 영역으로 분할되고, 후크 존재 영역은 전방 표면 부분에 연결된 측부에 형성되고, 후크 부재 영역은 후방 표면 부분에 연결된 측부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데, 여기서 손잡이의 표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고무 재료가 적용되는 삽입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지 한 손을 사용하여 더러워진 웨브를 청소 도구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청소 도구의 제조 공정이 간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 웨브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 도구의 푸싱 유닛이 몸체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삽입 바가 손잡이의 전방 표면 부분 내부에 형성된 삽입 홈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삽입 바가 손잡이의 전방 표면 부분 내부에 형성된 삽입 홈 내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몸체의 부착 표면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크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청소 도구에 의해 파지된 웨브가 푸싱 유닛에 의해 청소 도구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관된 비율로 그려져 있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서, 공지의 관련된 요소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에 웨브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는 웨브(D)가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며, 사용자는 벽 표면과 같이 청소가 필요한 부분에 웨브(D)를 문질러서, 웨브(D) 상에 도포되거나 웨브(D)로부터 인출되는 세제를 사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 도구(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100), 웨브(D)가 탈착될 수 있는 부착 표면을 갖는 몸체(200), 및 몸체(200)의 부착 표면에 부착된 웨브(D)를 분리하기 위한 푸싱 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웨브(D)는 부직 재료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거나, 또는 스펀지 및 일회용 변기 스크러버(DTBS)와 같은 발포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웨브(D)는 그 표면 상에 세제를 도포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그 표면 상에 고형 세제가 코팅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 상에 고형 세제가 코팅된 형태로 제조된 웨브(D)의 경우에, 고형 세제는 클리너(cleaner)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리너 물질은,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및 메타규산나트륨 중 하나일 수 있다. 웨브(D)는 청소 도구(10)에 형성된 후술되는 후크(222, 도 5)에 의해 청소 도구(1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단지 부착된 웨브(D)를 후크(222)로부터 떨어지게 약간 밀어냄으로써 청소 도구(10)로부터 부착된 웨브(D)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청소 도구(10)의 상세한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청소 도구의 푸시 바가 몸체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삽입 바가 손잡이의 전방 표면 부분 내부에 형성된 삽입 홈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삽입 바가 손잡이의 전방 표면 부분 내부에 형성된 삽입 홈 내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청소 도구(10)를 구성하는 손잡이(100), 몸체(200) 및 푸싱 유닛(3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00), 몸체(200) 및 푸싱 유닛(300)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가 성형을 위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싱 유닛(300)은 몸체(200)에 제1 힌지(3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힌지(312)는 성형 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힌지는 성형에 의해 제조된 얇은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고 주변 부분들의 두께에 비해 매우 작은 두께로 인해 미리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가능한 힌지를 지칭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푸싱 유닛(300)이 제1 힌지(312)에 의해 몸체(200)에 대해 두 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몸체(200)로부터 펼쳐져 있는 푸싱 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312)를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몸체(200) 및 손잡이(10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푸싱 유닛(300)이 제1 힌지(312)를 중심으로 선회함에 따라, 몸체(200)의 부착 표면에 부착되었던 웨브(D)는 부착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밀릴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00)는 몸체(200)의 일 표면에 연결되고, 웨브(D)가 부착되는 부착 표면이 몸체(200)의 타 표면에 형성된다.
손잡이(100)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의 양 단부가 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일 뿐이며, 손잡이(100)의 형상은 그 형상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0)는 전방 표면 부분(110) 및 후방 표면 부분(120)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몸체(200)에 연결된 일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전방 표면 부분(100)으로 정의하고, 타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후방 표면 부분(120)으로 정의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일 뿐이다.
게다가, 손잡이(100)의 표면들의 일부분에 고무 재료의 삽입 성형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100)에 적용되는 고무 재료의 삽입 성형 유닛은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는 표면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전방 표면 부분(110) 및 후방 표면 부분의 외측 부분들을 향하는 표면들 및 전방 표면 부분(110)과 후방 표면 부분(12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고무 재료의 삽입 성형 유닛은 청소가 수행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입 성형 기법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제품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자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푸싱 유닛(300)을 형성하는 삽입 바(3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114)이 몸체(200)를 통과함으로써 손잡이(100)의 전방 표면 부분(110)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 홈(114)과 연통하도록 전방 표면 부분(110)의 외부를 향해 천공된 안내 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구멍(112)은 또한 삽입 홈(114)과 마찬가지로 몸체(200)를 통과하여 전방 표면 부분(110)으로부터 오목하게 될 수 있으며, 삽입 홈(114)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후술하는 클릭 돌기(332)를 수용할 수 있는 클릭 홈(116)이 삽입 홈(114)을 형성하는 전방 표면 부분(110)의 내부 벽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00)의 전방 표면 부분(110)과 몸체(200)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는 분리 방지 부재(210)가 형성되고, 분리 방지 부재(210)가 안내 구멍(112)과 접촉하는 지점에는 분리 방지 홈(21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분리 방지 홈(212)에는 후술되는 버튼(330)에 배치된 고정 탭(334)이 수용될 수 있으며, 버튼(330)은 고정 탭(334)이 분리 방지 홈(212)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 손잡이(110)의 전방 표면 부분(110)에 제공된 삽입 홈(1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푸싱 유닛(300)은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되도록 제공된 버튼(330), 버튼(330)에 연결된 삽입 바(320), 및 일 단부가 삽입 바(320)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몸체(200)에 연결된 푸시 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푸시 바(310)는 제1 힌지(312)를 통해 몸체(200)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푸시 바(310)와 삽입 바(320)는 제2 힌지(31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힌지(312)는 손잡이(100)의 후방 표면 부분(120)과 몸체(200)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제2 힌지(314)는 또한 제1 힌지(312)와 마찬가지로 성형 힌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바(320)는, 푸시 바(310)가 제1 힌지(312)를 중심으로 선회함으로 인해 몸체(200)에 가까워지는 동안 푸시 바(310)에 대해 손잡이(100)의 전방 표면 부분(110)을 향해 제2 힌지(314)를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삽입 홈(11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바(320)는 손잡이(100)의 전방 표면 부분(110)에 형성된 삽입 홈(114)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활주 안내부(332)가 삽입 바(320)의 일 표면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활주 안내부(332)는, 삽입 바(320)가 삽입 홈(114) 내로 삽입되고 있을 때 삽입 홈(114) 내에 삽입되도록 안내 구멍(112)에 수용된 채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홈(114)이 몸체(200)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폭을 갖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삽입 바(320) 및 활주 안내부(332)가 그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바(320)의 양 측부 표면들로부터 클릭 돌기(322)가 돌출될 수 있고, 클릭 돌기(332)가 돌출하게 되는 부분에는 클릭 구멍(3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방 표면 부분(110)의 삽입 홈(114)을 형성하는 내부 벽 표면에 형성된 클릭 홈(116)은 삽입 바(320)가 삽입 홈(114)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클릭 돌기(332)가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푸시 바(310)의 일 표면이 몸체(200)의 부착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표면에 대응하게 한다. 따라서, 활주 안내부(332)가 안내 구멍(112)을 통해 안내되어 활주할 때, 클릭 홈(116)에 클릭 돌기(332)가 수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클릭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클릭 돌기(332)가 클릭 홈(116)에 수용된 후에는, 활주 안내부(332)를 활주시키는 외력이 없어지더라도 삽입 바(320)가 삽입 홈(114)에 삽입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버튼(330)은 삽입 바(320)로부터 연장된 활주 안내부(332)의 단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 바(320)로부터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활주 안내부(332)의 일부가 삽입 바(320)와 버튼(330) 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삽입 바(320)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활주 안내부(332)의 부분은 삽입 바(320)가 삽입 홈(114) 내로 삽입되기 시작할 때 삽입 홈(114)의 개구를 통과하는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는 버튼(330)의 표면 상에 요철(peak and trough)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복수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330)을 눌러 마찰력을 증가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일 뿐이며, 버튼(330)의 형상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수정될 수 있다.
게다가, 고정 탭(334)은 활주 안내부(332)에 연결된 버튼(330)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고정 탭(334)은 전술한 분리 방지 홈(212)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고정 탭(334)은 분리 방지 홈(212)에 수용되어, 삽입 바(320)가 삽입 홈(114) 내로 삽입되는 동안 사용자가 전방 표면 부분(110)을 따라 버튼(330)을 눌러 웨브(D)를 분리시킬 때 버튼(330)이 전방 표면 부분(1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몸체(200)는 일 표면 및 그의 반대편에 있는 타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00)의 중심 부분에는 슬롯(202)이 형성되어 푸싱 유닛(300)의 후술되는 푸시 바(310)가 그 안에 삽입되게 한다. 슬롯(202)은 푸시 바(3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시 바(310)는 슬롯(202) 내에 삽입되어 제1 힌지(312)를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0)에 연결된 몸체(200)의 표면의 반대측에 있는 표면에는 웨브(D)가 탈착되는 부착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몸체(200)의 부착 표면의 상세한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몸체의 부착 표면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후크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몸체(200)의 부착 표면은 웨브(D)를 부착하기 위해 후크(222)가 제공된 후크 존재 영역(220) 및 후크(222)가 없는 후크 부재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존재 영역(220) 및 후크 부재 영역(230)은 슬롯(202)의 양 측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 존재 영역(220)은 전방 표면 부분(110)에 연결된 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후크 부재 영역(230)은 후방 표면 부분(120)에 연결된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 존재 영역(220)과 후크 부재 영역(230)의 면적들은 미리결정된 비율, 예컨대, 1 : 3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크 존재 영역(220)과 후크 부재 영역(230)의 면적들 사이의 비는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표면이 후크 존재 영역(220)과 후크 부재 영역(230)으로서 분할됨에 따라, 웨브(D)가 부착되는 부분은 부착 표면의 일부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싱 유닛(300)을 사용하여 청소 도구(10)로부터 웨브(D)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부착 표면이 후크 부재 영역(230)을 포함하는 경우가 실시예에서 일례로서 기술되었지만, 부착 표면은 또한 일부 경우에 후크(222)가 전체 부착 표면에 걸쳐 형성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웨브(D)의 분리가 다소 어려워질 수 있지만, 웨브(D)의 부착력은 동일한 양만큼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후크(222)는 쐐기 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드 유닛(2222) 및 헤드 유닛(2222)에 연결된 폴 유닛(22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유닛(2222)은 상부 표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표면이 폴 유닛(2224)의 결합 표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고 폴 유닛(222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 유닛(2222)의 상부 표면은 웨브(D)의 표면을 파고들어가 그 표면에 로크(lock)되어 웨브(D)가 파지되게 한다. 게다가, 헤드 유닛(2222)의 코너 부분은 폴 유닛(2224)의 것에 비해 과도하게 큰 대신에 적합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후크(222)에 부착된 웨브(D)를 분리할 때 과도한 힘이 필요하지 않게 한다.
한편, 슬롯(202)의 경계에는 고정 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240)는 예를 들어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슬롯(202)의 경계의 네 정점 부근으로 돌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고정 돌기(240)가 형성되는 위치에 의해 한정될 필요가 없다. 고정 돌기(240)는 웨브(D)의 위치를 고정하여, 청소가 수행되고 있는 동안 후크(222)에 부착된 웨브가 웨브(D)를 문지르는 방향으로 부착 표면으로부터 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청소 도구(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청소 도구(1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제조되도록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청소 도구(10)를 사용하기 위해, 푸싱 유닛(300)이 몸체(200)와 손잡이(100)에 체결되어야 한다. 체결 공정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먼저, 푸시 바(310)를 몸체(200)를 향하여 제1 힌지(312)를 중심으로 선회시킨다. 이어서, 삽입 바(320)를 제2 힌지(314)를 중심으로 선회시켜, 버튼(330)과 삽입 바(320) 사이에 노출된 활주 안내부(332)의 일부가 삽입 홈(114)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버튼(330)이 전방 표면 부분(110)을 따라 활주하여 올라감에 따라 클릭 돌기(332)가 클릭 홈(116)에 접근하고, 클릭 돌기(332)가 클릭 홈(116)에 수용된 시점에서 푸시 바(310)가 슬롯(202) 내로 삽입된다. 상기 공정을 통해 푸싱 유닛(300)을 몸체(200) 및 손잡이(100)에 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웨브(D)를 부착 표면에 부착하여 청소에 사용할 수 있다.
청소 도구(10)를 사용한 청소가 반복됨에 따라 웨브(D)가 더러워지게 되고, 극히 더러워져 더 이상 청소하는데 사용할 수 없는 웨브(D)는 교체되어야 한다. 교체를 위해, 우선, 웨브(D)가 청소 도구(10)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웨브(D)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청소 도구에 의해 파지된 웨브가 푸싱 유닛에 의해 청소 도구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웨브(D)를 분리시키기 위해 전방 표면 부분(110)에 대해 웨브(D)를 향해 버튼(330)을 누르는 경우, 웨브(D)는 푸시 바(310)에 의해 눌려지며, 먼저 전방 표면 부분(110) 근처에 형성된 후크(222)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푸시 바(310)는 버튼(330)이 몸체(200)를 향해 계속적으로 눌려짐에 따라 웨브(D)를 계속적으로 밀며, 버튼(330)이 몸체(200)까지 완전히 밀리면 웨브(D)가 마지막으로 모든 후크(2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330)에 형성된 고정 탭(334)은 분리 방지 부재(210)의 분리 방지 홈(212)에 수용되어, 버튼(330)이 전방 표면 부분(1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되게 한다.
사용된 웨브(D)는 상기 공정을 통해 부착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웨브(D)의 분리가 완료된 후, 버튼(330)을 다시 전방 표면 부분(110)을 따라 위쪽으로 밀어줌으로써 푸시 바(310)가 다시 슬롯(202)에 수용되는 동안 사용될 부착 표면에 새로운 웨브(D)가 부착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에 의하면, 한 손을 사용하여 버튼(330)을 누르는 것만으로 더러워진 웨브(D)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고, 청소 도구(10)를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청소 도구(1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의 특정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본 사상에 따른 가장 넓은 범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패턴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조합 또는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6)

  1.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로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그리고 전방 표면 부분 및 후방 표면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 손잡이;
    일 표면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 표면이 청소용 웨브가 탈착가능한 부착 표면으로서 구성된 몸체 - 상기 부착 표면은 후크 존재 영역 및 후크 부재 영역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존재 영역은 상기 전방 표면 부분에 연결된 측부에 있고, 상기 후크 부재 영역은 상기 후방 표면 부분에 연결된 측부에 있음 - ; 및
    힌지를 통해 상기 몸체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식으로 회전할 때 상기 부착 표면에 부착된 상기 웨브가 분리되도록 하는 푸싱 유닛(pushing unit) - 상기 힌지는 상기 후방 표면 부분 및 상기 몸체가 서로 연결된 지점에 위치함 - 을 포함하는, 청소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상기 몸체 및 상기 푸싱 유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청소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유닛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조작되도록 제공된 버튼;
    상기 버튼에 연결된 삽입 바(bar); 및
    일 단부가 상기 삽입 바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몸체에 연결된 푸시 바를 포함하는, 청소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상기 몸체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전방 표면 부분 내부에 오목하게(recessed) 형성되는, 청소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전방 표면 부분의 외부를 향해 관통된 안내 구멍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고,
    활주 안내부는 상기 삽입 바가 상기 삽입 홈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안내 구멍에 수용되게 되는, 청소 도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표면 부분과 상기 몸체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안내 구멍과 접촉하는 지점에 분리 방지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분리 방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활주 안내부에 연결된 버튼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고정 탭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 탭은 버튼이 상기 전방 표면 부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방 표면 부분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버튼이 상기 분리 방지 부재에 도달했을 때 상기 분리 방지 홈에 수용되게 되는, 청소 도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을 형성하는 상기 전방 표면 부분의 내부 벽 표면에 클릭(click)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바의 양 측부 표면들로부터 클릭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클릭 홈은 상기 삽입 바가 상기 삽입 홈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클릭 돌기가 그 내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위치에 형성되는, 청소 도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은 상기 몸체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청소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표면에는 상기 웨브의 부착을 위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부 표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 유닛, 및 상기 헤드 유닛의 하부 표면에 연결된 폴(pole)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유닛의 하부 표면은 상기 폴 유닛의 결합 표면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웨브가 상기 후크에 의해 파지되도록 상기 웨브의 표면을 파고들어가 그 표면에 로크(lock)되는, 청소 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표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고무 재료가 적용되는 삽입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청소 도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7015996A 2015-11-13 2016-11-09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KR102608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24 2015-11-13
KR1020150159724A KR20170056267A (ko) 2015-11-13 2015-11-13 웹의 탈착이 용이한 청소 도구
PCT/US2016/061118 WO2017083374A1 (en) 2015-11-13 2016-11-09 Cleaning tool having an easily detachable w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370A KR20180071370A (ko) 2018-06-27
KR102608682B1 true KR102608682B1 (ko) 2023-12-01

Family

ID=573491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24A KR20170056267A (ko) 2015-11-13 2015-11-13 웹의 탈착이 용이한 청소 도구
KR1020187015996A KR102608682B1 (ko) 2015-11-13 2016-11-09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24A KR20170056267A (ko) 2015-11-13 2015-11-13 웹의 탈착이 용이한 청소 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170056267A (ko)
CN (1) CN108348115A (ko)
WO (1) WO2017083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176B2 (en) * 2016-03-16 2021-10-26 Medline Industries, Inc. Mop with integrated head removal system
WO2018039177A1 (en) * 2016-08-23 2018-03-01 Amazing Magnets, LLC Eraser assembly
KR200490816Y1 (ko) * 2018-01-17 2020-0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소 도구
WO2019142996A1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소 도구
KR200490502Y1 (ko) * 2018-01-17 2019-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소 도구
US11345182B2 (en) 2018-07-17 2022-05-31 Amazing Magnet, LLC Eraser assembly and eraser inserts
US11731449B2 (en) 2019-06-05 2023-08-22 Amazing Magnets, LLC System for coupling magnets to art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5707A2 (en) 2003-02-27 2004-09-10 Loadstone Limited Cleaning device
JP2013075036A (ja) 2011-09-30 2013-04-25 Unicharm Corp 清掃用具
JP3183849U (ja) 2013-03-22 2013-05-30 楊雅▲青▼ 長さの調整が可能な自動折り畳み式モップホルダー
US20140251844A1 (en) 2013-03-05 2014-09-11 Butler Home Products Llc Cleaning scrubber for household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983A (en) * 1977-01-21 1978-02-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riddle cleaning pad holder
US7743451B2 (en) * 2003-06-04 2010-06-29 Seok-Jin Kim Sanitary cleaning device with disposable cleaning head
US7159265B2 (en) * 2003-07-08 2007-01-09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replaceable brush head
US7146676B2 (en) * 2003-09-16 2006-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device with disposable pad
JP2006271645A (ja) * 2005-03-29 2006-10-12 Lec Inc 清掃用具
CN2922753Y (zh) * 2006-04-30 2007-07-18 石正兵 双枢轴的马桶刷
US7958590B2 (en) * 2006-12-29 2011-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tool handle for use with a disposable toilet brush
US20090025168A1 (en) * 2007-03-14 2009-01-29 Casabella Holdings, Llc Window cleaning apparatus
KR101470188B1 (ko) 2013-07-05 2014-12-23 홍용철 청소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5707A2 (en) 2003-02-27 2004-09-10 Loadstone Limited Cleaning device
US20060225237A1 (en) * 2003-02-27 2006-10-12 Daniel Gartland Cleaning device
JP2013075036A (ja) 2011-09-30 2013-04-25 Unicharm Corp 清掃用具
US20140251844A1 (en) 2013-03-05 2014-09-11 Butler Home Products Llc Cleaning scrubber for household surfaces
JP3183849U (ja) 2013-03-22 2013-05-30 楊雅▲青▼ 長さの調整が可能な自動折り畳み式モップ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67A (ko) 2017-05-23
WO2017083374A1 (en) 2017-05-18
KR20180071370A (ko) 2018-06-27
CN108348115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682B1 (ko)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US7516508B2 (en) Motorized cleaning implement
US7536743B2 (en) Multi-surfaces cleaning implement
KR101359228B1 (ko) 세척도구
WO2005092171A1 (ja) 清掃具及びそれに用いる保持部材
JP2008522771A (ja) モータ付き洗浄器具
US20170127891A1 (en) Device for cleaning a slat of a shutter having a specific lateral profile
US20150351601A1 (en) Handheld cleaning device for use with disposable cleaning towel
KR101288368B1 (ko) 거품을 형성하는 고무장갑
TWI754653B (zh) 清潔工具
US20180296043A1 (en) Disposable toilet bowl scrub system
CA2751193C (en) Multi-surfaces cleaning implement
JP2016194240A (ja) 清掃用具
KR200353535Y1 (ko) 장갑형 수세미
KR20160086060A (ko) 발 매트
CN212816157U (zh) 清洁工具
JP3140187U (ja) 清掃用具
KR200320955Y1 (ko) 장갑형 수세미
EP1474024B1 (en) Device for domestic cleaning, particularly for cleaning surfaces of sanitary fixtures
KR20220128502A (ko) 다용도 목욕타올
KR200459199Y1 (ko) 설거지 용구
JP2006110060A (ja) 清掃部材保持具
TWM469867U (zh) 背部輔助清洗裝置改良結構
JP2008183169A (ja) 掃除具
KR20100010780U (ko)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