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07Y1 - 때밀이 전용기구 - Google Patents

때밀이 전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607Y1
KR200425607Y1 KR2020060017344U KR20060017344U KR200425607Y1 KR 200425607 Y1 KR200425607 Y1 KR 200425607Y1 KR 2020060017344 U KR2020060017344 U KR 2020060017344U KR 20060017344 U KR20060017344 U KR 20060017344U KR 200425607 Y1 KR200425607 Y1 KR 200425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wel
holder
bin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이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재 filed Critical 이홍재
Priority to KR2020060017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6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6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8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having a rigid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때타월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를 세척하는 때밀이 용구에 관련되며, 헤드(10), 홀더(20), 연결수단, 손잡이(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헤드(10)는 일면에 타월(T)을 거치하도록 중앙으로 볼록한 거치부(11)와, 거치부(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12)와, 일단의 외면에 노출되는 결착구(13)가 일체로 구비된다. 홀더(20)는 헤드(10)의 거치부(11)에 대응하도록 개방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헤드(10)의 결착구(13)에 맞물려 끼워지는 결착홈(22)이 일체로 구비된다.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의 일측에 이분할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40)는 헤드(10)의 단부에 이중으로 절곡되어 일면에 다수의 보강편(46)을 개재하는 연결대(45)를 구비하고, 연결대(45)로부터 연장되어 타면에 돌기(41)를 개재하여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의 때밀이 전용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설치에 있어 다양한 타월을 사용이 가능하면서 타월의 착탈과 교체가 용이하여 편리하고, 사용에 있어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때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때밀이, 타월, 전용기구, 착탈, 교체, 성능, 다양한

Description

때밀이 전용기구{The utensil for wash off the dirt towel}
도 1은 종래의 때밀이 전용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용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용기구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용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때밀이 전용기구 10: 홀더 11: 거치부
12: 돌기 13: 결착구 20: 홀더
21: 관통공 22: 결착홈 30: 연결편
35: 연결홈 36: 연결핀 40: 손잡이
41: 돌기 45: 연결대 46: 보강편
T: 타월
본 고안은 때밀이 전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때밀이 전용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설치에 있어 다양한 타월을 사용이 가능하면서 타월의 착탈과 교체가 용이하여 편리하고, 사용에 있어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때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는 때밀이 전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때밀이 타월은 일반인들의 목욕할 경우에 신체의 각 부위를 청결하게 세척하도록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월은 주로 두 장을 봉합한 주머니 형으로 사용자가 타월의 내측에 손을 삽입하여 신체를 세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신체 구조상 손이 닿지 않는 등부분에는 사용이 불가하여 타인의 도움에 의해 세척하거나, 다른 형태(길이가 긴 타월)의 타월을 통하여 제거해야 하지만 그 사용효과가 미진한 단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때밀이 전용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전용기구를 제시하고 있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때밀이 전용기구(10)는 손잡이(14)가 형성된 지지대(12)를 구비하고, 지지대(12)와 일체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 상판(16)을 구비하고, 상판(16)과 착탈되면서 전면에 다수의 소형돌기(22)가 형성되고 밴드가 착설된 타월(30)이 끼워지는 하판(2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때밀이 전용기구(10)를 이용하여 등부위의 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지지대(12)의 손잡이(14)를 잡고 상판(16)과 결합된 하판(20)을 등부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밀게 되면 하판(20)에 씌워진 타월(30)이 등과 마찰되면서 때를 제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때밀이 전용기구(10)는 타월이 하판에 밴드를 통해 끼워 사용함에 따라 사용중 타월이 하판으로부터 벗겨질 우려가 있고 피부와 접하는 타월이 하판으로부터 유동됨으로 때가 잘 밀리지 않게 되는 등 때밀이 용구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때밀이 전용기구(10)는 타월을 교체하기 위해서 상판과 하판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하판으로부터 타월을 벗겨내어 재차 상판과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타월의 착탈과 교체가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리고 때밀이 전용기구(10)는 하판에 밴드를 이용하여 타월을 끼워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타월을 사용하지 못하고 오직 밴드가 형성된 타월만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들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때밀이 전용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설치에 있어 다양한 타월을 사용이 가능하면서 타월의 착탈과 교체가 용이하여 편리하고, 사용에 있어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때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는 때밀이 전용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때타월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를 세척하는 때밀이 용구에 있어서: 일면에 타월(T)을 거치하도록 중앙으로 볼록한 거치부(11)와, 거치부(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12)와, 일단의 외면에 노출되는 결착구(13)가 일체로 구비되는 헤드(10); 상기 헤드(10)의 거치부(11)에 대응하도록 개방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10)의 결착구(13)에 맞물려 끼워지는 결착홈(22)이 일체로 구비되는 홀더(20); 상기 헤드(10)와 홀더(20)의 일측에 이분할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헤드(10)의 단부에 이중으로 절곡되어 일면에 다수의 보강편(46)을 개재하는 연결대(45)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45)로부터 연장되어 타면에 돌기(41)를 개재하여 일체화되는 손잡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의 접촉부를 서로 일체화되도록 연결편(30)을 형성하거나, 헤드(10)와 홀더(20)의 접촉부에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연결홈(35)과 연결핀(36)을 형성하는 중에서 택일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용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용기구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때타월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를 세척하는 때밀이 용구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때타월 전용기구(1)는 종래와는 달리 다양한 타월모양, 즉 예를 들면 주머니 형태나 천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헤드(10), 홀더(20), 연결수단, 손잡이(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헤드(10)는 일면에 타월(T)을 거치하도록 중앙으로 볼록한 거치부(11)와, 거치부(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12)와, 일단의 외면에 노출되는 결착구(13)가 일체로 구비된다. 헤드(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 돌기(12), 결착구(13)를 일체로 구비한다. 거치부(11)는 중앙이 볼록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월(T)을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치부(11)는 도 3처럼 타월(T)이 헤드(10)로부터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돌기(12)를 다수개 형성한다. 결착구(13)는 도 2 내지 도 3처럼 헤드(10)의 외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바, 이러한 결착구(13)는 타월(T)을 헤드(10)로부터 고정하기 위해 결착수단으로, 후술하는 홀더(20)의 결착홈(22)에 서로 맞물려 타월(T)이 헤드(10)와 홀더(2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홀더(20)는 헤드(10)의 거치부(11)에 대응하도록 개방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헤드(10)의 결착구(13)에 맞물려 끼워지는 결착홈(22)이 일체로 구비된다. 홀더(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1)과 결착홈(22)이 일체로 구비된다. 관통공(21)은 헤드(10)의 거치부(11)에 대응하기 위해 관통되게 형성한다. 즉 홀더(20)는 도 2처럼 헤드(10)에 서로 밀착되면 헤드(10)의 거치부(11)가 관통공(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결착홈(22)은 도 2 내지 도 3처럼 홀더(20)의 외면에 노출되게 형성하는 바, 결착홈(22)은 위에서 논한 바와 같이 타월(T)을 헤드(10)로부터 고정하기 위해 헤드(10)의 결착구(13)에 서로 맞물려 타월(T)이 헤드(10)와 홀더(2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의 일측에 이분할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가 분할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를 분할시켜 타월(T)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40)는 헤드(10)의 단부에 이중으로 절곡되어 일면에 다수의 보강편(46)을 개재하는 연결대(45)를 구비하고, 연결대(45)로부터 연장되어 타면에 돌기(41)를 개재하여 일체화된다. 손잡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45)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연결대(45)는 헤드(10)의 단부로부터 이중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연결대(45)는 일면에 보강편(46)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러한 보강편(46)은 사용시 연결대(45)가 파손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손잡이(40)는 연결대(45)의 끝단에 구비되는 바, 도 2의 확대도처럼 다수의 돌기(41)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41)는 때타월 전용기구(1)를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압하는 역할을 수반하고,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형상으로 표현이 가능하다할 것이다.
이때, 미설명된 도면부호 47은 통공을 나타낸 것으로 통공(47)은 손잡이(40)상에 개재되어 때타월 전용기구(1)를 벽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공(47)은 도면 2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이를 선택하여 어느 곳이든지 통공(47)을 통해 벽 등에 거치하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용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의 접촉부를 서 로 일체화되도록 연결편(30)을 형성하거나, 헤드(10)와 홀더(20)의 접촉부에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연결홈(35)과 연결핀(36)을 형성하는 중에서 택일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연결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와 홀더(20)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위해서, 도 4(a)처럼 연결편(30)을 형성하거나, 도 4(b)처럼 연결홈(35)과 연결핀(36)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4에 적용되는 헤드(10)와 홀더(20)의 연결수단은 일체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지만, 헤드(10)와 홀더(20)의 형상은 동일하고, 여타의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다만, 도 4(a)의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헤드(10)와 홀더(20)의 사이에 연결편(30)을 형성하여 일체화되면서 회동하여 분리되는 것이고, 도 4(b)의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헤드(10)상에는 연결홈(35)을 형성하고, 홀더(20)상에는 연결핀(36)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하여 회동 가능한 것이다. 한편, 헤드(10)와 홀더(20)상에 형성된 연결홈(35)과 연결핀(36)은 서로 변경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사용에 있어서, 우선 다양한 타월모양, 즉 예를 들면 주머니 형태나 천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러한 타월(T)을 헤드(10)의 거치부(11)상 중앙에 위치하도록 거치한 다음 헤드(10)의 결착구(13)를 홀더(20)의 결착홈(22)에 서로 맞물려 고정시켜 타월(T)이 헤드(10)와 홀더(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헤드(10)와 홀더(2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이어서, 헤드(10)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40)를 이용하여 등부위의 때를 제 거하기 위해서는 손잡이(40)를 잡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홀더(20)의 관통공(21)으로 노출된 헤드(10)의 거치부(11)에 거치된 타월(T)을 등부위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밀게 되면 거치부(11)에 씌워진 타월(T)이 등과 마찰되면서 때를 제거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연결대(45)는 헤드(10)의 단부로부터 이중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등부위를 문질러 때를 제거시킬 때 쉽게 움직일 뿐 아니라, 피부와의 마찰력의 향상으로 몸의 때를 신속 용이하게 제거되어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손잡이(40)상에 돌기(41)가 형성되어 때타월 전용기구(1)를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압하는 효과도 함께 수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때타월 전용기구(1)는 기존의 때밀이 전용기구보다 설치에 있어 다양한 타월을 사용이 가능하면서 타월의 착탈과 교체가 용이하여 편리하고, 사용에 있어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때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때밀이 전용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설치에 있어 다양한 타월을 사용이 가능하면서 타월의 착탈과 교체가 용이하 여 편리하고, 사용에 있어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때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때타월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를 세척하는 때밀이 용구에 있어서:
    일면에 타월(T)을 거치하도록 중앙으로 볼록한 거치부(11)와, 거치부(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12)와, 일단의 외면에 노출되는 결착구(13)가 일체로 구비되는 헤드(10);
    상기 헤드(10)의 거치부(11)에 대응하도록 개방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10)의 결착구(13)에 맞물려 끼워지는 결착홈(22)가 일체로 구비되는 홀더(20);
    상기 헤드(10)와 홀더(20)의 일측에 이분할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헤드(10)의 단부에 이중으로 절곡되어 일면에 다수의 보강편(46)을 개재하는 연결대(45)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45)로부터 연장되어 타면에 돌기(41)를 개재하여 일체화되는 손잡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전용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헤드(10)와 홀더(20)의 접촉부를 서로 일체화되도록 연결편(30)을 형성하거나, 헤드(10)와 홀더(20)의 접촉부에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연결홈(35)과 연결핀(36)을 형성하는 중에서 택일되는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때밀이 전용기구.
KR2020060017344U 2006-06-27 2006-06-27 때밀이 전용기구 KR200425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344U KR200425607Y1 (ko) 2006-06-27 2006-06-27 때밀이 전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344U KR200425607Y1 (ko) 2006-06-27 2006-06-27 때밀이 전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607Y1 true KR200425607Y1 (ko) 2006-09-07

Family

ID=4177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344U KR200425607Y1 (ko) 2006-06-27 2006-06-27 때밀이 전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6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41Y1 (ko) 2008-02-27 2010-08-05 임채부 각질제거기의 연마재 착탈구조
KR200459409Y1 (ko) 2009-07-08 2012-03-27 채정기 접이식 휴대용 때밀이기
KR20150089114A (ko) 2014-01-27 2015-08-05 심종원 때밀이기
KR20190059512A (ko) 2017-11-23 2019-05-31 유혜민 때밀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41Y1 (ko) 2008-02-27 2010-08-05 임채부 각질제거기의 연마재 착탈구조
KR200459409Y1 (ko) 2009-07-08 2012-03-27 채정기 접이식 휴대용 때밀이기
KR20150089114A (ko) 2014-01-27 2015-08-05 심종원 때밀이기
KR20190059512A (ko) 2017-11-23 2019-05-31 유혜민 때밀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607Y1 (ko) 때밀이 전용기구
EP1790267B1 (en) Floor cleaner having a cloth holder
KR100775597B1 (ko) 닦음부재가 마련된 고정홀더가 착탈이 가능한 유리창청소기구
TW201728799A (zh) 洗衣機之除垢滾刷結構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JP2006271645A (ja) 清掃用具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CN113026286A (zh) 一种衣物局部清洗装置及洗衣机
CN201227219Y (zh) 可更换刷面的洗澡刷
CN210185470U (zh) 一种带有清洗盒的马桶刷
CN217907534U (zh) 一种手持式搓澡器
CN210749117U (zh) 毛衣护理设备
WO2022061711A1 (zh) 一种多功能沥水架
KR101576711B1 (ko) 청소용 키트 및 전자파 챔버 도어 청소용 키트
CN213809096U (zh) 一种抽拉式水龙头
CN213007299U (zh) 一种方便换布的黑板擦
KR200490816Y1 (ko) 청소 도구
CN210990118U (zh) 一种洗碗机的水过滤装置
TW201728800A (zh) 洗衣機之除垢組件
KR200399296Y1 (ko) 방충망용 청소용구
KR920006230Y1 (ko) 식기 세척기
CN212574766U (zh) 浴室柜
KR101174229B1 (ko) 걸레 패드의 세척장치
KR200333018Y1 (ko) 자동세척기
KR200490502Y1 (ko) 청소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