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171Y1 - 이종음료 음용컵 - Google Patents

이종음료 음용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171Y1
KR200490171Y1 KR2020180000175U KR20180000175U KR200490171Y1 KR 200490171 Y1 KR200490171 Y1 KR 200490171Y1 KR 2020180000175 U KR2020180000175 U KR 2020180000175U KR 20180000175 U KR20180000175 U KR 20180000175U KR 200490171 Y1 KR200490171 Y1 KR 200490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pace
discharge
opening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52U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프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프컵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프컵스
Priority to KR202018000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7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2019/12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liquids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음료 음용컵은, 음료가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나의 컵을 이루는 분할컵;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개구가 마련되고, 복수의 공간이 개별적으로 폐쇄되게 분할컵에 끼움결합되는 뚜껑; 및 복수의 토출개구에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토출개구를 폐쇄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마개부는, 토출개구로 삽입되어 토출개구를 폐쇄하는 마개삽입부와, 마개삽입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마개삽입부가 토출개구로 삽입될 때 토출개구에 걸리는 마개걸림부와, 마개삽입부에 마련되어 마개삽입부가 토출개구로 삽입되면 마개삽입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마개개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마개부는, 마개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 내의 공기가 마개개구를 통해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종음료 음용컵{Cup with different drinks}
본 고안은 이종음료 음용컵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컵에 따뜻한 음료가 각각 저장되고, 마개부에 의해 음용되지 않은 토출개구가 폐쇄되더라도, 음용되지 않은 음료가 저장된 공간에 형성된 압력이 미세하게 외부로 토출되어, 컵 및/또는 뚜껑의 형상변형없이도 음료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음료 음용컵에 관한 것이다.
제품이 다양화되고 정보의 공유가 활발해 짐에 따라서, 메뉴를 하나만 선택해야 하는 시점에 결정이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이러한 결정장애를 반영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여러 가지 중 반드시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결정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제품을 하나의 패키지에 담는 제품들이 그러하다.
이러한 제품들이 선보이는 이유는 하나의 선택에 따른 다른 선택에 대한 기회 상실을 다소 완화함으로써 소비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판매자 입장에서는 여러 가지의 메뉴를 하나의 용기에 담아 완성된 제품으로 제공함으로써 개별 고객당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령, 시원한 음료로 콜라를 주문해 마시다가 사이다가 먹고 싶어지기도 하고, 오렌지쥬스와 포도쥬스를 함께 먹고 싶을 수도 있다. 또한, 따뜻한 생강차와 따뜻한 커피를 동시에 먹고 싶을 수도 있다. 이처럼 음식뿐만 아니라, 음료도 두 가지 메뉴를 함께 선택하여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다면 소비자나 판매자 측면에서 모두 이로운 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각기 다른 음료를 한곳에 담을 수 있는 컵의 구조에 대한 개발 노력들이 있었는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10-0821874호인 내용물 분할형 컵이 그 한예이다. 이러한 컵은 일반 가정에서 보다는 커피전문점 등 매장에서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이 경우, 좌우로 분할된 공간의 액체 내용물이 다른 쪽 음료를 마실 때 넘쳐흐를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용되지 않는 음료가 저장된 컵의 토출부를 마개로 막아놓음으로써, 음용되지 않는 부분에 저장된 음료가 넘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가운 음료의 경우에는, 음용되지 않는 음료가 저장된 컵의 토출부를 마개로 막아놓아도 음용되지 않는 음료가 저장된 컵의 내부공간의 압력변화가 거의 없어 압력에 의해 임의로 뚜껑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문제가 없다.
다만, 따뜻한 음료가 컵에 수용된 경우, 음용되지 않는 음료가 저장된 컵의 토출부를 마개로 막아놓으면, 음용되지 않는 음료가 저장된 컵의 내부공간에서, 따뜻한 음료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컵 내부에 압력을 형성하고, 컵 내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해 컵의 형상 또는 뚜껑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압력에 의해 뚜껑이 컵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컵에 음료가 각각 저장되더라도, 마개부를 음용하지 않은 토출개구에 끼워 음용하지 않은 음료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음료 음용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컵에 따뜻한 음료가 각각 저장되고, 마개부에 의해 음용되지 않은 토출개구가 폐쇄되더라도, 음용되지 않은 음료가 저장된 공간에 형성된 압력이 미세하게 외부로 토출되게 뚜껑 및/또는 마개부가 제작됨으로써, 컵 및/또는 뚜껑의 형상변형없이도 음료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음료 음용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음료 음용컵은, 음료가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나의 컵을 이루는 분할컵;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개구가 마련되고, 복수의 공간이 개별적으로 폐쇄되게 분할컵에 끼움결합되는 뚜껑; 및 복수의 토출개구에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토출개구를 폐쇄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마개부는, 토출개구로 삽입되어 토출개구를 폐쇄하는 마개삽입부와, 마개삽입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마개삽입부가 토출개구로 삽입될 때 토출개구에 걸리는 마개걸림부와, 마개삽입부에 마련되어 마개삽입부가 토출개구로 삽입되면 마개삽입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마개개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마개부는, 마개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 내의 공기가 마개개구를 통해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오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의 이격배열되게 형성되고, 뚜껑과 분할컵이 결합될 때, 복수의 제1오목부는 분할컵의 상부테두리의 저면으로 끼움결합되고, 복수의 제1오목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복수의 공간에 각각 형성된 공기가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오목부가 복수의 제1오목부의 하부로 나란하게 이격배열되어, 복수의 제1오목부에 대해 2열 띠구조를 이뤄, 공간 내의 압력 또는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복수의 제1오목부 중 일부가 상부테두리에서 분리되더라도, 제2오목부가 상부테두리에 걸려,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컵은, 음료가 저장되는 제1공간이 마련된 제1컵본체와, 음료가 저장되는 제2공간이 마련된 제2컵본체를 포함하고, 제1컵본체는 제2컵본체와 맞닿는 제1접촉면, 제1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서 돌출된 제1걸림돌기와, 제1걸림돌기와 이격되게 제1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 마련된 제1걸림개구가 마련되고, 제2컵본체는 제1컵본체와 맞닿는 제2접촉면, 제2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제1걸림개구에 끼움결합되는 제2걸림돌기과, 제2걸림돌기와 이격되게 제2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 마련되어 제1걸림돌기와 끼움결합되는 제2걸림개구가 마련되고, 제1컵본체와 제2컵본체는, 제1걸림돌기가 제2걸림개구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제2걸림돌기가 제1걸림개구에 끼움결합되면서,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서로 접하게, 상호 간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은, 제1공간과 연통되는 제1토출개구가 마련된 제1토출부; 제2공간과 연통되는 제2토출개구가 마련된 제2토출부; 및 제1컵본체와 제2컵본체가 맞닿는 부분에 끼움결합되게 마련된 뚜껑리브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뚜껑리브홈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제1컵본체와 제2컵본체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토출부 및 제2토출부는, 음용시 윗입술이 닿는 부분이, 제1토출개구 또는 제2토출개구가 마련된 부분에 대해 하향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토출부 및 제2토출부는, 음용시 윗입술이 닿는 부분이, 제1토출개구 또는 제2토출개구가 마련된 부분에 대해 단턱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하나의 컵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컵본체가 하나의 컵으로 조립되어, 각각의 컵본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컵본체에 음료가 각각 저장되더라도, 마개부를 음용하지 않은 토출개구에 끼워 음용하지 않은 음료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컵에 따뜻한 음료가 각각 저장되고, 마개부에 의해 음용되지 않은 토출개구가 폐쇄되더라도, 음용되지 않은 음료가 저장된 공간에 형성된 압력이 미세하게 외부로 토출되게 뚜껑 및/또는 마개부가 제작됨으로써, 컵 및/또는 뚜껑의 형상변형없이도 음료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음료 음용컵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컵의 조립전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A-A에 따라 절단된 이종음료 음용컵의 일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B-B에 따라 절단된 이종음료 음용컵의 일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음용되지 않은 부분의 토출개구가 마개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음료를 마시는 경우, 각각의 컵본체 내의 압력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온도에 따른 증기압의 수치에 대한 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음료 음용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음료 음용컵(100)은, 분할컵(110), 뚜껑(130) 및 마개부(150)를 포함한다. 분할컵(110)은 음료가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나의 컵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할컵(110)의 복수의 공간에 대해, 제1공간(111a)과 제2공간(115a)으로 구획된 분할컵(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당업장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분할컵(110)은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컵(110)은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로 이루어진다.
제1컵본체(111)는 제1공간(111a), 제1접촉면, 제1걸림돌기(111c), 제1걸림턱(111d)과 제1걸림개구(111e)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공간(111a)은 음료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의 조립시, 제1접촉면은 제2컵본체(115)의 제2접촉면과 맞닿는 면이다.
제1걸림돌기(111c)는 제1접촉면의 바깥방향으로 제1컵본체(111)의 상부테두리(111b)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걸림턱(111d)은 제1걸림돌기(111c)와 이격되게 제1컵본체(111)의 상부테두리(111b)에 마련된다. 제1걸림턱(111d)에는 제1걸림개구(111e)가 마련된다. 제1걸림개구(111e)로 후술할 제2걸림돌기(115c)가 끼움결합될 때, 제2걸림돌기(115c)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제2컵본체(115)는 제2공간(115a), 제2접촉면, 제2걸림돌기(115c), 제2걸림턱(115d)과 제2걸림개구(115e)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공간(115a)은 음료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의 조립시, 제2접촉면은 제1컵본체(111)의 제1접촉면과 맞닿는 면이다.
제2컵본체(115)는 제2걸림돌기(115c)가 제1걸림개구(111e)와 마주보게, 제2걸림개구(115e)가 제1걸림돌기(111c)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걸림돌기(115c)는 제2접촉면의 바깥방향으로 제2컵본체(115)의 상부테두리(115b)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걸림턱(115d)은 제2걸림돌기(115c)와 이격되게 제2컵본체(115)의 상부테두리(115b)에 마련된다. 제2걸림턱(115d)에는 제2걸림개구(115e)가 마련된다. 제2걸림개구(115e)로 후술할 제1걸림돌기(111c)가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1걸림돌기(111c)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컵(110)은,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될 때, C1라인을 따라 제1걸림돌기(111c)가 제2걸림턱(115d)에 안착되어 제2걸림개구(115e)에 끼움결합되어, 제1컵본체(111)의 일측이 제2컵본체(115)의 일측에 걸린다. 이후, C2라인을 따라 제2걸림돌기(115c)가 제1걸림턱(111d)에 안착되어 제1걸림개구(111e)에 끼움결합되어, 제1컵본체(111)의 타측이 제2컵본체(115)의 타측에 걸려, 하나의 컵으로 조립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은 복수의 공간이 개별적으로 폐쇄되게 분할컵(110)에 끼움결합된다. 분할컵(110)의 구조에 따라 뚜껑(130)의 구조도 가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컵(110)이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 바, 뚜껑(130)도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뚜껑(130)은 뚜껑리브홈(131), 제1토출부(135), 제 1토출개구, 제2토출부(136), 제2토출개구(136a), 복수의 제1오목부(133) 및 복수의 제2오목부(13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뚜껑리브홈(131)은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가 맞닿는 부분에 끼움결합되게 마련된 홈이다.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가 상호 간에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리브홈(131)은 제1컵본체(111)의 내면과 제2컵본체(115)의 내면과 맞닿게,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에 끼움결합된다. 뚜껑(130)은 뚜껑리브홈(131)에 의해, 제1공간(111a)과 제2공간(115a)이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제1컵본체(111)와 제2컵본체(115)에 끼움결합된다.
제1토출부(135)는 제1토출개구(135a)가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부(135)는 제1공간(111a)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는 부분이다. 제1토출부(135)는, 음용시 윗입술이 닿는 부분이, 제1토출개구(135a)가 마련된 부분에 대해 하향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토출부(135)는, 음용시 윗입술이 닿는 부분이, 제1토출개구(135a)가 마련된 부분에 대해 단턱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토출부(136)는 제2토출개구(136a)가 마련된다. 제2토출부(136)는 제2공간(115a)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는 부분이다. 제2토출부(136)는 제1토출부(13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의 외주면(132)에는 복수의 제1오목부(133) 및 복수의 제2오목부(134)가 마련된다.
복수의 제1오목부(133)는 뚜껑의 외주면(132)에 뚜껑(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의 이격되어 배열된다. 복수의 제1오목부(133)와 뚜껑(130)의 상면 사이에는 제1볼록부(132a)가 마련된다. 제1볼록부(132a)는 제1오목부(133)에 대한 상대적인 볼록부이며, 뚜껑의 외주면(132)과 동일면을 이룬다.
복수의 제2오목부(134)는 복수의 제1오목부(133)의 하부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제2오목부(134)는 뚜껑의 외주면(132)에 뚜껑(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의 이격배열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2오목부(134)는 복수의 제1오목부(133)에 대해 2열 띠구조를 이룬다.
제2오목부(134)는 제1오목부(133)와의 사이에 제2볼록부(132b)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2볼록부(132b)는 제1오목부(133)와 제2오목부(134)에 대한 상대적인 볼록부이며, 뚜껑의 외주면(132)과 동일면을 이룬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과 분할컵(110)이 결합될 때, 복수의 제1오목부(133)가 분할컵(110)의 상부테두리(111b, 115b)의 저면과 맞닿으면서 제1볼록부(132a)가 분할컵(110)의 상부테두리(111b, 115b)에 끼움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30)은, 공간 내의 압력 또는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복수의 제1오목부(133) 중 일부가 상부테두리(111b, 115b)에서 분리되더라도, 제2볼록부(132b)가 상부테두리(111b, 115b)에 걸려, 뚜껑(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뚜껑(130)과 분할컵(110)이 결합될 때, 복수의 제1오목부(133)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복수의 공간에 각각 형성된 압력이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을 비교하여, 분할컵(110) 내부 공간에 형성된 압력의 흐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목부(133)가 마련된 부분은 제1오목부(133)가 상부테두리의 하면에 맞닿아 제1오목부(133)에 의해 압력의 유동이 차단된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목부(133)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은 상부테두리와 뚜껑(130)이 맞닿는 부분에 틈새가 생겨, 분할컵(110) 내의 압력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50)는 복수의 토출개구에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토출개구를 폐쇄한다. 마개부(150)는 마개개구(153)가 마련되어,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된 공간 내의 압력이 마개개구(153)를 통해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50)는, 마개삽입부(151), 마개걸림부(152) 및 마개개구(15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4(a)는 마개부(150)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마개부(150)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마개삽입부(151)는 뚜껑(130)에 형성된 제1 토출개구 및/또는 제2토출개구(136a)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삽입된 부분을 폐쇄한다. 마개개구(153)는 마개삽입부(151)에 마련된다. 마개개구(153)는 0.5이종음료 음용컵(100) 내지 1.5이종음료 음용컵(100)의 직경을 가진다.
마개개구(153)는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된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부분이다.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높을 때,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압력은 마개개구(153)를 통해 외부로 유동되면서,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마개걸림부(152)는 마개삽입부(15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마개걸림부(152)는 마개삽입부(151)가 제1토출개구(135a)로 삽입될 때, 제1토출개구(135a)를 둘러싸게 제1토출부(135)에 걸리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분할컵(110)의 제1공간(111a)과 제2공간(115a)에 각각 따뜻한 음료가 저장된 상태에서, 제1공간(111a)에 저장된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제2공간(115a)에 형성된 압력이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50)는 음용되지 않은 음료가 저장된 제2공간(115a)을 폐쇄토록 제2토출부(136)에 설치된다. 마개부(150)에 의해, 제1공간(111a)에 저장된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제2공간(115a)에 저장된 음료가 제2토출개구(136a)를 통해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제1공간(111a) 내의 압력(P0)은 제1토출개구(135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마개부(150)에 의해 폐쇄된 제2공간(115a)은, 따뜻한 음료에 의해 증기압(P1)이 형성된다. 제2공간(115a)에 저장된 음료의 온다가 80도일 때, 제2공간(115a) 내의 증기압은 355.1mmHg(도 8 참조)이다.
제2토출개구(136a)가 마개부(150)에 의해 압력의 흐름통로 없이 폐쇄된 경우에, 제2공간(115a)에 형성된 증기압에 의해 제2공간(115a)을 덮은 부분의 뚜껑(130)이 상기 증기압(P1)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뚜껑(130)이 제2컵본체(115)에서 분리되고, 뚜껑(130)이 분리된 틈을 통해 음료가 외부로 흘러내니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마개부(150)의 마개개구(153) 및 복수의 제1오목부(133) 사이에 생긴 틈새를 통해, 제2공간(115a) 내의 증기압이 미세하게 외부로 유동되면서, 제2공간(115a) 내의 증기압을 187.5mmHg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증기압이 187.5mmHg일 때, 제2공간(115a) 내의 음료의 온도는 65도(도 8참조)이다. 도 7에서는 마개부(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압력에 대해 P2로 표시하고, 복수의 제1오목부(133) 사이에 생긴 틈새를 통해 배출되는 압력에 대해 P3로 표시한다.
본 고안은 마개부(150)가 설치된 부분으로 음료가 흘러나가지 않게 제2공간(115a)을 폐쇄하되, 상기와 같은 마개부(150)의 구조 및 뚜껑(130)의 구조에 의해 제2공간(115a) 내의 증기압을 외부로 미세하게 유동되도록 하여, 제2공간(115a) 내의 증기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제2공간(115a) 내의 증기압에 의해 뚜껑(130)이 임의적으로 제2컵본체(11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제2공간(115a) 내의 압력저감을 통해, 음료의 온도를 낮춰, 음용시 뜨꺼운 음료에 의해 혀가 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이종음료 음용컵 110: 분할컵
111: 제1컵본체 111a: 제1공간
111c: 제1걸림돌기 111d: 제1걸림턱
111e: 제1걸림개구 115: 제2컵본체
115a: 제2공간 115c: 제2걸림돌기
115d: 제2걸림턱 115e: 제2걸림개구
130: 뚜껑 131: 뚜껑리브홈
133: 제1오목부 134: 제2오목부
135: 제1토출부 135a: 제1토출개구
136: 제2토출부 136a: 제2토출개구
150: 마개부 151: 마개삽입부
152: 마개걸림부 153: 마개개구

Claims (8)

  1. 음료가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나의 컵을 이루는 분할컵;
    상기 복수의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이 개별적으로 폐쇄되게 상기 분할컵에 끼움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복수의 토출개구에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토출개구를 폐쇄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토출개구로 삽입되어 상기 토출개구를 폐쇄하는 마개삽입부와,
    상기 마개삽입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개삽입부가 상기 토출개구로 삽입될 때 상기 토출개구에 걸리는 마개걸림부와,
    상기 마개삽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개삽입부가 상기 토출개구로 삽입되면 상기 마개삽입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마개개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마개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마개개구를 통해 상기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오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의 이격배열되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과 상기 분할컵이 결합될 때,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는 상기 분할컵의 상부테두리의 저면으로 끼움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간에 각각 형성된 공기가 상기 공간의 바깥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공간 내의 압력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오목부가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의 하부로 나란하게 이격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대해 2열 띠구조를 이뤄,
    상기 공간 내의 압력 또는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 중 일부가 상기 상부테두리에서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2오목부가 상기 상부테두리에 걸려, 상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컵은, 음료가 저장되는 제1공간이 마련된 제1컵본체와, 음료가 저장되는 제2공간이 마련된 제2컵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컵본체는 상기 제2컵본체와 맞닿는 제1접촉면, 상기 제1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서 돌출된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와 이격되게 상기 제1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 마련된 제1걸림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2컵본체는 상기 제1컵본체와 맞닿는 제2접촉면, 상기 제2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개구에 끼움결합되는 제2걸림돌기과, 상기 제2걸림돌기와 이격되게 상기 제2컵본체의 상부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와 끼움결합되는 제2걸림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1컵본체와 상기 제2컵본체는,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2걸림개구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개구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제1접촉면과 상기 제2접촉면이 서로 접하게, 상호 간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6. 제 5 항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제1토출개구가 마련된 제1토출부;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는 제2토출개구가 마련된 제2토출부; 및
    상기 제1컵본체와 상기 제2컵본체가 맞닿는 부분에 끼움결합되게 마련된 뚜껑리브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리브홈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상기 제1컵본체와 상기 제2컵본체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는,
    음용시 윗입술이 닿는 부분이, 상기 제1토출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개구가 마련된 부분에 대해 하향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는,
    음용시 윗입술이 닿는 부분이, 상기 제1토출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개구가 마련된 부분에 대해 단턱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음료 음용컵.

KR2020180000175U 2018-01-12 2018-01-12 이종음료 음용컵 KR200490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5U KR200490171Y1 (ko) 2018-01-12 2018-01-12 이종음료 음용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5U KR200490171Y1 (ko) 2018-01-12 2018-01-12 이종음료 음용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52U KR20190001852U (ko) 2019-07-22
KR200490171Y1 true KR200490171Y1 (ko) 2019-10-08

Family

ID=6743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75U KR200490171Y1 (ko) 2018-01-12 2018-01-12 이종음료 음용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7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444B2 (ja) * 1996-11-28 2000-04-24 日本電気株式会社 収束電子線回折図形を用いた格子歪み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KR200331129Y1 (ko) * 2003-07-29 2003-10-22 주식회사 이생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뚜껑
US20050035124A1 (en) * 2001-08-06 2005-02-17 Smith Stephen Alan Container lid with closure member
JP2008142425A (ja) * 2006-12-12 2008-06-26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0480558Y1 (ko) * 2015-11-09 2016-06-08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공간 분할 음료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444U (ja) * 1996-10-03 1997-04-22 金森産業株式会社 飲用蓋付きコップ
KR20160139558A (ko) * 2015-05-28 2016-12-07 이해도 냉동건조식품의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444B2 (ja) * 1996-11-28 2000-04-24 日本電気株式会社 収束電子線回折図形を用いた格子歪み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US20050035124A1 (en) * 2001-08-06 2005-02-17 Smith Stephen Alan Container lid with closure member
KR200331129Y1 (ko) * 2003-07-29 2003-10-22 주식회사 이생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뚜껑
JP2008142425A (ja) * 2006-12-12 2008-06-26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0480558Y1 (ko) * 2015-11-09 2016-06-08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공간 분할 음료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52U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741B2 (en) Cup lid having a perimeter portion adapted to cause liquid to drai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US8727163B2 (en) Splash resistant lids, container assemblies including such lids and related methods
US20130277379A1 (en) Disposable beverage lid
EP3114040A1 (en) Lid with rotatable closure tab
WO2010071790A1 (en)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KR20210105402A (ko) 음료 캔용 폐쇄 시스템
US20120205384A1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and methods
JP3219375U (ja) 幼児用ストローカップ
KR200490171Y1 (ko) 이종음료 음용컵
US20180134451A1 (en) Drinking cup structure
CN108313502B (zh) 一种防漏的热饮杯盖
KR200480558Y1 (ko) 공간 분할 음료 용기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KR200494563Y1 (ko) 결합형 텀블러 용기
EP0909718A1 (en)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102174937B1 (ko) 용기용 뚜껑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475108Y1 (ko)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190001581U (ko) 테이크아웃 용기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US20210267392A1 (en) Multifunctional Ca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