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81U - 테이크아웃 용기 - Google Patents

테이크아웃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81U
KR20190001581U KR2020170006533U KR20170006533U KR20190001581U KR 20190001581 U KR20190001581 U KR 20190001581U KR 2020170006533 U KR2020170006533 U KR 2020170006533U KR 20170006533 U KR20170006533 U KR 20170006533U KR 20190001581 U KR20190001581 U KR 201900015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straw
cup
straw hole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426Y1 (ko
Inventor
주경현
Original Assignee
주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현 filed Critical 주경현
Priority to KR2020170006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2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테이크아웃 용기는, 내부에 음용 가능한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과, 상기 컵 상부를 덮어 마감하며, 일 측에 빨대홀이 형성된 컵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컵 뚜껑 내상측면에서 상기 컵 뚜껑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 내부를 구획하는 내벽과, 상기 내벽 단부에서 상기 컵 뚜껑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 하부를 밀폐하여 내부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밀폐면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면은 상기 빨대홀로 투입된 빨대의 단부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크아웃 용기{Take-out A disposable receptacle}
본 고안은 테이크아웃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컵 뚜껑에 시럽, 소스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take-out)은, 가지고 다니며 먹을 수 있도록 음식을 포장해서 판매하는 것 혹은 포장된 음식을 말한다.
이러한 테이크아웃은 패스트푸드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의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이며, 근래에 들어 대다수의 요식업에서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테이크아웃 시장에서 커피 전문점은 대부분 별도의 일회용 용기에 음료를 수용 및 판매하고 있다. 특히 커피 전문점에서 판매되는 커피 중에 시럽이 첨가되지 않은 음료의 경우 음용자가 시럽을 별도로 추가하려면 커피 전문점 내에 마련된 서브 바(bar)에서 설탕, 시럽 등을 음료에 추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커피 전문점은 상기 서브 바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공간을 만들어야 하고, 음용자는 주문된 음료 뚜껑을 열고 설탕, 시럽 등을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음용자의 경우 뚜껑과 컵의 조립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음용자가 주문된 음료 뚜껑을 열고 설탕, 시럽 등을 추가 한 뒤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게 되어 음료를 쏟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불어, 매장 내에 구비된 시럽 통이나 소스 통은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으므로 청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간 제약 없이 음료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을 추가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료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을 휴대할 수 있게 하는 테이크아웃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청결도를 향상시켜 위생적으로 소스를 음용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는, 내부에 음용 가능한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과, 상기 컵 상부를 덮어 마감하며, 일 측에 빨대홀이 형성된 컵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컵 뚜껑 내상측면에서 상기 컵 뚜껑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 내부를 구획하는 내벽과, 상기 내벽 단부에서 상기 컵 뚜껑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 하부를 밀폐하여 내부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밀폐면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면은 상기 빨대홀로 투입된 빨대의 단부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의해 컵 뚜껑 내부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인 시럽, 소스 등을 테이크아웃 용기 내에 수용되게 하여 별도의 시럽, 소스 등이 보관되는 공간을 만들지 않고도 시럽, 소스 등을 음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스, 시럽 등의 내용물을 개인화하여 소스 시럽 등을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변형예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변형예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변형실시예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변형예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변형예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변형실시예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용기는, 컵(20)과 컵 뚜껑(10)을 포함한다.
상기 컵(20)은 내부에 음용 가능한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컵 뚜껑(10)은 컵(20)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구성이고, 일 측에는 빨대가 끼워질 수 있는 빨대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테이크아웃 용기의 컵 뚜껑(10)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컵 뚜껑(10)은, 내벽(13)과 밀폐면(15)으로 구성되며 빨대홀(12)과 마주하는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수용부(16)를 포함한다.
상기 내벽(13)은 컵 뚜껑(10) 내상측면에서 컵 뚜껑(10)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컵 뚜껑(10) 내부를 구획하는 구성이다.
또한, 밀폐면(15)은 내벽(13) 단부에서 컵 뚜껑(10)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컵 뚜껑(10) 하부를 밀폐하여 내부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컵 뚜껑(10) 내부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인 시럽, 소스 등을 테이크아웃 용기 내에 수용되게 하여 별도의 시럽, 소스 등이 보관되는 공간을 만들지 않고도 시럽, 소스 등을 음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소스, 시럽 등의 내용물을 개인화화여 소스 시럽 등을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밀폐면(15)은 빨대홀(12)로 투입된 빨대의 단부에 의해 찢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빨대가 밀폐면(15)을 뚫고 밀폐면(15)에 투입공(16)을 형성하며 컵(20)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투입공(16)으로 밀폐면(15) 상에 보관되어 있던 시럽이나 설탕 등의 소스가 컵(20)에 수용된 커피 등의 음료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밀폐면(15)은 음용자가 빨대를 밀어내는 힘으로 밀폐면(15) 표면에 투입공(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포일, 랩(warp)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홀(12)은 컵 뚜껑(1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빨대홀(12a)과, 제1 빨대홀(12a)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빨대홀(12b)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빨대홀(12a)은 밀폐면(15)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20)에 수용된 음료가 시럽이나 설탕이 투입되지 않은 커피라 가정하면, 음용자에 따라 시럽이나 설탕은 첨가하지 않고 커피를 음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빨대홀(12b)을 형성하고, 빨대를 수용부(16)를 관통하지 않고 그대로 컵(20)에 투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음료에 설탕이나 시럽 등의 소스를 첨가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 빨대홀(12a)로 투입된 빨대로 밀폐면(15)에 투입공(16)을 형성한 뒤, 투입공(16)을 통해 소스가 음료에 첨가 되게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음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스를 선택적으로 음료에 첨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으로 얼음이 첨가되는 음료의 컵 뚜껑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얼음이 첨가되지 않는 뜨거운 음료가 수용되는 테이크아웃 용기의 컵 뚜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테이크아웃 용기의 컵 뚜껑(10)은 컵(20) 내부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며, 스틱 빨대와 같은 부재가 투입되는 빨대홀(12)과 상기 빨대홀(12)을 커버하는 홀커버(18)포함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빨대홀(12)과 인접한 컵 뚜껑(10)의 상측면 하측에 수용부(16)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6)는 수용부(16) 하면을 형성하는 밀폐면(15)과 밀폐면(15) 주변을 감싸는 내벽으로 형성된다.
음용자는 상기 수용부(16)로 스틱 빨대나 기타 부재를 투입시켜 밀폐면(15)을 관통한다. 이후, 스틱 빨대나 기타 부재로 관통된 밀폐면(15)에 형성된 투입공(16)을 통해 수용부(16) 내에 수용되어 있단 시럽이나 설탕 등의 소스가 음료에 첨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컵 뚜껑(1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제1 빨대홀(12a)과 제2 빨대홀(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빨대홀(12a)은 수용부(16)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형성된 제1 빨대홀(12a)에는 스틱 빨대나 기타 부재가 투입되고, 제1 빨대홀(12a)로 투입된 스틱 빨대 등의 부재가 수용부(16)의 밀폐면(15)을 관통하여 수용부(16) 내의 시럽, 설탕 등이 음료에 첨가되게 한다.
이와 다르게, 제2 빨대홀(12b) 하측에는 별도의 수용부가 마련되지 않아 음료에 소스를 첨가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음용자가 빨대를 투입하여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밀폐면(15)은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밀폐면(15)이 컵 뚜껑(10)의 내상측면과 밀폐면(15)까지의 제1 높이(h₁)와, 컵 뚜껑(10)의 내상측면과 밀폐면(15)까지의 제2 높이(h₂)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높이(h₁)가 제2 높이(h₂)가 높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높이(h₁)가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소스나 시럽 등의 양이 제2 높이(h₂)가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소스나 시럽 등의 양보다 적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음용자는 소스나 시럽의 양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높이(h₁)가 형성된 밀폐면(15)에 빨대를 꽂으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소스나 시럽이 음료에 첨부되게 된다. 상대적으로, 제2 높이(h₂)가 형성된 제2 높이(h₂)가 형성된 밀폐면(15)에 빨대를 꽂으면 제1 높이(h₁)가 형성된 수용된 소스나 시럽 등이 제2 높이(h₂)가 형성된 밀폐면(15) 측으로 흘러 내리면서 보다 많은 양의 소스나 시럽 등이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수용부(16)는 컵 뚜껑(10) 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뚜껑(10)에는 수용부(16)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19)가 형성되고, 컵 뚜껑(10)과 접하는 수용부(16)의 외면에는 컵 뚜껑(10)에 수용부(16)가 장착될 때, 상기 돌부(19)가 장착되는 돌부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돌부(19)는 컵 뚜껑(10)에 형성되고, 돌부장착홈은 수용부(16)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상기 돌부(19)가 수용부(16)에 형성되고, 돌부장착홈이 컵 뚜껑(1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돌부(19) 및 돌부장착홈 이외로 수용부(16)와 컵 뚜껑(10)이 슬라이드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컵 뚜껑
12: 빨대홀
13: 내벽
15: 밀폐면
20: 컵

Claims (5)

  1. 내부에 음용 가능한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과, 상기 컵 상부를 덮어 마감하며, 일 측에 빨대홀이 형성된 컵 뚜껑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take-out)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컵 뚜껑 내상측면에서 상기 컵 뚜껑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 내부를 구획하는 내벽과,
    상기 내벽 단부에서 상기 컵 뚜껑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 하부를 밀폐하여 내부에 음용 가능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밀폐면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면은 상기 빨대홀로 투입된 빨대의 단부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홀은 상기 컵 뚜껑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빨대홀과, 상기 제1 빨대홀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빨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빨대홀은 상기 밀폐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컵 뚜껑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면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면은 상기 빨대 단부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알루미늄 포일, 랩(wrap)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 용기.

KR2020170006533U 2017-12-18 2017-12-18 테이크아웃 용기 KR200491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533U KR200491426Y1 (ko) 2017-12-18 2017-12-18 테이크아웃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533U KR200491426Y1 (ko) 2017-12-18 2017-12-18 테이크아웃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81U true KR20190001581U (ko) 2019-06-26
KR200491426Y1 KR200491426Y1 (ko) 2020-04-09

Family

ID=6700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533U KR200491426Y1 (ko) 2017-12-18 2017-12-18 테이크아웃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2433A (zh) * 2020-01-13 2020-06-05 江宇航 一种可以吃到底部奶茶添加料的奶茶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53A (ja) * 1997-02-03 1998-08-18 Watanabegumi:Kk ミックス容器
KR20110108823A (ko) *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나우코지앤피 음료용기용 뚜껑
KR20170097919A (ko) * 2016-02-19 2017-08-29 박기석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53A (ja) * 1997-02-03 1998-08-18 Watanabegumi:Kk ミックス容器
KR20110108823A (ko) *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나우코지앤피 음료용기용 뚜껑
KR20170097919A (ko) * 2016-02-19 2017-08-29 박기석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2433A (zh) * 2020-01-13 2020-06-05 江宇航 一种可以吃到底部奶茶添加料的奶茶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26Y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945B2 (en) Single-serve beverage cup
US3225915A (en) Combined closure, stirrer, and condiment container for drinking vessel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US11370580B2 (en) Coffee and liquid container with concealed mini-cup compartment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US4934525A (en) Coffee sampler container and assembly
KR200488189Y1 (ko)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JP3163356U (ja) 紙コップ用の蓋体
KR20090012799U (ko) 음료 용기용 캡
KR101391783B1 (ko) 이중 컵
EP1431201B1 (en) Single-piece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food products to be directly consumed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AU2009101198A4 (en) Catering container
KR20140047779A (ko) 소스 수용부가 포함된 용기 뚜껑
KR200359540Y1 (ko) 식품용기
EP1566345A1 (en) Lid for a mug or the like
KR20170097919A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KR200251318Y1 (ko) 캔 칸막이
GB2541894A (en) A lid for a cup or container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KR20200139446A (ko)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KR200381427Y1 (ko) 캔용기
EP1566344A1 (en) Lid for a mug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