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45Y1 -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045Y1 KR200490045Y1 KR2020180002058U KR20180002058U KR200490045Y1 KR 200490045 Y1 KR200490045 Y1 KR 200490045Y1 KR 2020180002058 U KR2020180002058 U KR 2020180002058U KR 20180002058 U KR20180002058 U KR 20180002058U KR 200490045 Y1 KR200490045 Y1 KR 2004900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ary
- drive
- wheel
- electronic component
- drive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출 기구(31)와 제1방향 모터(32)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로 이루어지는 압접 유닛(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압출 기구(31)에는 리드 스크류(312)에 연결되는 압출기(3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과 상기 압출 기구(31)의 리드 스크류(312)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33, 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구동 세트(33, 34)는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가지고 있고 아울러 각 클러치 구조로 상기 각 구동 세트(33, 34)가 상기 리드 스크류(312)에 연결되어 구동되거나 분리되는 것를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각 구동 세트(33, 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하면서 상기 압출기(3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 확보,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에 따른 실용적인 효과를 이루는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 확보,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 효과를 얻도록 압출기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바꿀 수 있는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를 제공한다.
현재, 전자부품(예컨대 솔더 볼을 지닌 IC)은 개략적으로 로직IC·메모리IC·아날로그IC 및 미세원소IC 등 각기 다른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기 다른 유형의 전자부품에 따른 솔더 볼의 위치 및 수량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어떤 유형의 전자부품을 막론하고 모두 불량품을 걸러내어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도록 반드시 시험설비에서 테스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시험설비는 기계 본체에 시험 장치(10) 및 압접 유닛(11)이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시험 장치(10)는 시험 회로판(101) 위에 복수 개의 테스트 소켓(102)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각 테스트 소켓(102) 내부에는 복수 개의 프로브(10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프로브(103)의 하단은 스프링(104)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각 프로브(103)가 탄력을 갖고 수축하면서 변위하도록 하며, 상기 압접 유닛(11)은 구동에 의하여 상기 시험 장치(10) 상단으로 변위할 수 있고, 상기 압접 유닛(11)에는 구동 기구로 구동하여 제1방향(예컨대 Z방향)으로 변위하는 압출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출기(111)의 하단은 상기 각 테스트 소켓(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20)을 동시에 선택 및 배치하도록 흡입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스 헤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구는 모터(112)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112)의 출력축은 풀리 세트(113)로 리드 스크류(114)에 연결되고, 상기 압출기(111)는 버클로 상기 리드 스크류(114) 위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터(112)가 풀리 세트(113)를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114)를 회전시키고, 다시 상기 리드 스크류(114)가 상기 압출기(111)를 승강 방식으로 변위하도록 구동한다. 이어서,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때, 압접 유닛(11)이 복수 개의 전자부품(20)을 시험 장치(10) 상단으로 이송한 뒤에는 모터(112)로 풀리 세트(113)를 구동하고 아울러 풀리 세트(113)를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114)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압출기(111)가 제1방향(예컨대 Z방향)으로 눌리면서 변위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20)을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소켓(102) 안에 배치함으로써 각 전자부품(20)의 각 솔더 볼(201)이 각 테스트 소켓(102) 내의 각 프로브(103)에 각각 접촉하도록 하며, 각 전자부품(20)의 각 솔더 볼(201)이 각 테스트 소켓(102) 내의 각 프로브(103)에 확실히 접촉함으로써 우수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압접 유닛(11)은 각 전자부품(20)을 적당한 거리로 지속적으로 아래로 누름으로써 각 전자부품(20)의 각 솔더 볼(201)이 테스트 소켓(20) 내의 각 프로브(103)와 서로 접촉하도록 하면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20)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111)가 전자부품(20)을 아래로 누를 때, 각 프로브(103)로 하여금 전자부품(20)의 각 솔더 볼(201)에 눌려 스프링(104)을 압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기구의 모터(112)는 반드시 충분한 토크를 출력하여 압출기(111)의 아래로 누르는 힘이 모든 스프링(104)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어야만 전자부품(20)의 각 솔더 볼(201)과 테스트 소켓(102) 내의 각 프로브(103)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터(112)를 선택하여 배치할 때, 압출기(111)가 빠른 속도로 승강하면서 변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반드시 모터(112)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속도가 압출기(111)로 하여금 빠른 속도로 승강 방식으로 변위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을 감안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모터(1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가 압출기(111)의 아래로 누르는 힘으로 하여금 모든 스프링(104)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감안하여야 하며, 회전속도 및 토크를 모두 감안한 상태에서 적당한 모터(112)를 선택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자부품은 유형이 다양하고 각기 다른 유형의 전자부품에 따른 솔더 볼의 위치 및 수량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기계 본체에서 기타 각기 다른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때,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에 따른 솔더 볼의 수량이 비교적 적을 경우에는 기계 본체에 이에 대응하는 다른 시험 장치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각 테스트 소켓 내의 프로브 및 스프링의 수량은 상기 유형의 전자부품에 따른 솔더 볼의 수량에 대응하여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모든 스프링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이 줄어 모터(112)가 압출기(111)를 구동하면서 생성되는 아래로 누르는 힘은 여전히 모든 스프링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에 따른 솔더 볼의 수량이 비교적 많을 경우에는 기계 본체에 이에 대응하는 또 다른 시험 장치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시험 장치에 따른 각 테스트 소켓 내의 프로브 및 스프링의 수량은 상기 유형의 전자부품에 따른 솔더 볼의 수량에 대응하여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모든 스프링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이 높아져 상기 모터(112)가 압출기(111)를 구동하면서 생성되는 아래로 누르는 힘이 모든 스프링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을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압출기(111)가 전자부품을 지속적으로 아래로 눌러 각 프로브로 하여금 각 스프링을 압축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에 따른 각 솔더 볼과 테스트 소켓 내의 각 프로브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확보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계 본체 위에 비교적 큰 토크를 출력하는 모터를 장착함으로써 각기 다른 다양한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할 수 있으나, 모터는 출력되는 토크가 클수록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게다가 부피가 커짐에 따라 배치를 위한 공간 확보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는 출력되는 토크가 클수록 출력되는 회전속도가 느려지고, 상대적으로 압출기를 승강 방식으로 변위시키는 모터의 속도가 느려져 전체적인 테스트 작업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기 다른 다양한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 및 테스트 작업의 효율을 모두 감안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각기 다른 토크를 출력하는 다양한 모터를 구비한 시험설비를 구매하여 배치하여야 하며, 각기 다른 다양한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따라 각기 다른 시험설비상에서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각 시험설비의 사용 효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설비의 원가를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고안자로서 본인은 여러 해 동안 관련 업계에 종사하면서 터득한 연구개발과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직면한 문제점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였고, 오랜 기간 동안 노력해온 연구개발과 시제작 끝에 마침내 전자부품 접압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를 창안하게 되었으며, 본 고안의 설계 취지는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압출 기구와 제1방향 모터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압접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압출 기구는 리드 스크류에 연결되는 압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방향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압출기구의 리드 스크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구동 세트는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가지고 있고 아울러 각 클러치 구조로 상기 각 구동 세트가 상기 리드 스크류로 연결되어 구동되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와 상기 리드 스크류로 하여금 상기 각 구동 세트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하면서 상기 압출기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 확보에 따른 실용적인 목적을 이루는 전자부품 전압 유닛을 제공함을 제1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클러치 구조로 각 구동 세트가 상기 리드 스크류로 연결되어 구동되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와 상기 리드 스크류로 하여금 상기 각 구동 세트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하면서 상기 리드 스크류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바꾸고 아울러 상기 압출기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토록 함에 따라 모터를 교체할 필요 없이 원래의 기계 본체상에서 적당한 압접 역량 및 회전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 효과를 얻는 실용적인 목적을 이루는 전자부품 압접 유닛을 제공함을 제2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기계 본체상에 소재 공급 장치와 소재 회수 장치, 시험 장치, 수송 장치 그리고 제어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소재 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소재 공급용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소재 회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소재 회수용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시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소켓을 가진 전자부품에 대하여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 회로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송 장치는 전자부품을 상기 시험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 고안에 따른 압접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통합하여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고 아울러 우수한 작업 품질 확보,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 효과를 얻는 실용적인 목적을 이루는 전자부품 전압 유닛에 응용되는 시험설비를 제공함을 제3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전자부품 시험설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시험설비의 시험 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3은 종래의 전자부품 시험설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구동 세트의 입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구동 세트의 부감도이다.
도8은 도7의 A-A 단면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1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부분확대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점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4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1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5사시도이다.
도1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1사시도이다.
도17은 도16의 부분확대도이다.
도1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1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20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4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2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5사시도이다.
도2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구동 세트의 부감도이다.
도2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 세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1사시도이다.
도28은 도27의 부분확대도이다.
도2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3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3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4사시도이다.
도32는 도3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3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5사시도이다.
도3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동작을 도시한 제1사시도이다.
도35는 도34의 부분확대도이다.
도3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3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38은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동작을 도시한 제4사시도이다.
도39는 도3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40은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동작을 도시한 제5사시도이다.
도4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 세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3은 본 발명이 시험설비에 응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시험설비의 시험 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3은 종래의 전자부품 시험설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구동 세트의 입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구동 세트의 부감도이다.
도8은 도7의 A-A 단면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1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부분확대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점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4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1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5사시도이다.
도1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1사시도이다.
도17은 도16의 부분확대도이다.
도1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1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20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4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2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5사시도이다.
도2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구동 세트의 부감도이다.
도2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 세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1사시도이다.
도28은 도27의 부분확대도이다.
도2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3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3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4사시도이다.
도32는 도3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3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접 전자부품의 제5사시도이다.
도3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동작을 도시한 제1사시도이다.
도35는 도34의 부분확대도이다.
도3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2사시도이다.
도3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제3사시도이다.
도38은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동작을 도시한 제4사시도이다.
도39는 도3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40은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압접 전자부품의 동작을 도시한 제5사시도이다.
도4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 세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3은 본 발명이 시험설비에 응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압접 유닛(30)은 압출 기구(31)와 제1방향 모터(32)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압출 기구(31)는 프레임(311) 위에 제1방향(Z방향) 및 제2방향(X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한 압출기(313)가 장착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311) 위에는 제1방향(Z방향)으로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31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리드 스크류(312)의 버클(3121)은 상기 리드 스크류(312)가 회전하여 작동할 때 상기 압출기(313)를 구동하여 제1방향(Z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압출기(313)로 연결되어 구동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클(3121)은 제1방향(Z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314)에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314) 위에는 제2방향(X방향)의 슬라이드(3141)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기(313)는 상기 슬라이드(3141) 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313)가 상기 슬라이드(3141)의 움직임을 통하여 제1방향(Z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변위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드(3141) 위에서 제2방향(X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변위토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특허출원의 중점은 제1방향(Z방향)으로 승강하는 변위에 있으므로, 상기 압출기(313)의 제2방향(X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변위하는 구동 방식은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압출기(313)의 하단은 전자부품을 선택 및 배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흡입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스 헤드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출기(313)의 하단은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선택 및 배치하도록 복수 개의 프레스 헤드(3131)를 구비한다. 상기 압접 유닛(30)은 상기 압출 기구(31)의 리드 스크류(312) 측단에 제1방향 모터(32)가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압접 유닛(30)은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과 상기 리드 스크류(312)의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과 상기 리드 스크류(312)의 사이에는 1차 구동 세트(33) 및 2차 구동 세트(34)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1차 구동륜(331) 측단 주변에 장착된 1차 중간륜(332)을 연결 방식으로 구동하도록 1차 구동륜(331)이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중간륜(332)은 베어링으로 1차 지탱축(3321) 위에 장착되고, 상기 1차 구동륜(331)과 상기 1차 중간륜(332) 사이에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1차 가요성 부재(333)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1차 중간륜(33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륜(331) 및 1차 가요성 부재(333)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1차 지탱축(3321) 위에서 축을 줌심으로 회전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2차 구동륜(341) 주변에 장착되는 2차 중간륜(342)을 연결 방식으로 구동하도록 2차 구동륜(341)이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중간륜(342)은 베어링으로 2차 지탱축(3421)에 장착되고, 상기 2차 구동륜(341)과 상기 2차 중간륜(342) 사이에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2차 가요성 부재(343)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2차 중간륜(34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륜(331) 및 2차 가요성 부재(343)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2차 지탱축(3421) 위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1차 지탱축(3321)과 상기 1차 중간륜(332)의 동축 중심점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의 1차 종동륜(335)에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1차 전동륜(3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2차 지탱축(3421)과 상기 2차 중간륜(342)의 동축 중심점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의 2차 피동륜(345)에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2차 전동륜(344)이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종동륜(335)은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에 본딩되고, 상기 1차 전동륜(334)과 상기 1차 종동륜(335) 사이에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3차 가요성 부재(336)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1차 전동륜(334) 및 3차 가요성 부재(336)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1차 종동륜(335)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할 수 있으며, 상기 2차 종동륜(342)은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에 본딩되고, 상기 2차 전동륜(344)과 상기 2차 종동륜(345) 사이에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4차 가요성 부재(346)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2차 전동륜(344) 및 4차 가요성 부재(346)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2차 종동륜(345)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은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갖는데, 예컨대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의 외경은 3:6:6:6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의 회전속도비는 2:1:1:1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의 외경은 4:6:6:6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의 회전속도비는 1.5:1:1:1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또한,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과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의 동축은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 위에 장착되어 동일한 회전속도를 갖기 때문에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과 2차 구동세트(34)의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는 6:3:3:3의 비율로 이루어지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과 1차 구동 세트(33)의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는 6:4:4:4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1차 구동 세트(33)는 낮은 회전속도에 높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으며, 2차 구동 세트(34)는 높은 회전속도에 낮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다. 또한,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종동륜(335)과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종동륜(345)이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경우, 이 둘은 모두 상기 리드 스크류(312)에 본딩되어 같이 움직이기 ?문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사각형 종동륜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1차 클러치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2차 클러치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또는 2차 구동 세트(34)가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바꾸도록 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 사이에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도록 1차 클러치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축 방향에 복수 개의 1차 로드 부재(337)가 관통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1차 구동원으로 각 1차 로드 부재(337)가 변위하면서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을 관통하여 연장토록 구동하여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으로 하여금 연결 방식으로 구동토록 하거나, 또는 각 1차 로드 부재(337)가 변위하면서 1차 중간륜(332)으로부터 이탈토록 구동하여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이 분리되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구동원은 각 1차 로드 부재(337)가 변위하도록 구동하는 1차 실린더(338) 및 각 1차 로드 부재(337)가 반대 반향으로 변위하도록 밀어내는 1차 탄성 부재(339)를 구비하고, 상기 각 1차 로드 부재(337)는 1차 소켓(3371)에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1차 소켓(3371)과 1차 실린더(338)의 신축 로드 사이에는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으로 하여금 순조롭게 회전하도록 1차 스러스트 베어링(3372)이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 사이에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도록 2차 클러치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애서,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의 축 방향에 복수 개의 2차 로드 부재(347)가 관통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2차 구동원으로 각 2차 로드 부태(347)가 변위하면서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을 관통하여 연장토록 구동하여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으로 하여금 연결 방식으로 구동토록 하거나, 또는 각 2차 로드 부재(347)가 변위하면서 2차 중간륜(342)으로부터 이탈토록 구동하여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이 분리되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구동원은 각 2차 로드 부태(347)가 변위하도록 구동하는 2차 실린더(348) 및 각 2차 로드 부재(347)가 반대 반향으로 변위하도록 밀어내는 2차 탄성 부재(349)를 구비하고, 상기 각 2차 로드 부재(347)는 2차 소켓(3471)에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2차 소켓(3471)과 2차 실린더(348)의 신축 로드 사이에는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3)으로 하여금 순조롭게 회전하도록2차 스러스트 베어링(3472)이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1차 클러치 구조 및 2차 클러치 구조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및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이 서로 어우러지는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또는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경우,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은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갖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아울러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에 대처하도록 상기 압출기(313)의 압접 역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1차 클러치 구조가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가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34)의 분리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는 상기 1차 구동 세트(33)를 통하여 연결 방식으로 구동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비교적 큰 토크 및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가 추력될 수 있는 한편, 상기 1차 클러치 구조가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분리를 제어하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가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는 상기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 방식으로 구동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비교적 작은 토크 및 비교적 큰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다.
도9,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접 유닛(30)은 시험설비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 시험설비의 기계 본체(40) 위에는 시험 장치(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험 장치(41)는 시험 회로판(411) 위에 복수 개의 테스트 소켓(412)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각 테스트 소켓(412) 내부에는 복수 개의 프로브(4413)가 설치되어 있고, 각 프로브(413)의 하단은 스프링(414)을 각각 구비하여 각 프로브(413)로 하여금 탄력 있게 신축되는 변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접 유닛(30)의 압출기(313)는 구동에 의한 변위가 가능하여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전자부품을 상기 시험 장치(41) 상단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전자부품(42)에 대한 테스트 작업 수행을 예로 들면, 상기 압접 유닛(30)의 각 프레스 헤드(3131)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42)을 흡착하고 아울러 상기 각 전자부품(42)을 상기 시험 장치(41) 상단으로 이송하는 한편, 전자부품(42)의 각 솔더 볼(421)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기계 본체(40) 위에 이에 대응하는 시험 장치(41)가 장착된다. 또한, 압접 유닛(30)의 제1방향 모터(32)에는 1차 구동 세트(33) 또는 2차 구동 세트(34)로 연결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를 구동함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적당한 토크 및 회전속도가 출력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42)의 각 솔더 볼(421)의 수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상기 1차 클러치 구조에 따른 1차 구동원의 1차 실린더(338)는 작동하지 않아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을 분리시키며,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2차 실린더(348)로 각 2차 로드 부재(347)가 변위하면서 상기 2차 중간륜(342) 및 2차 전동륜(344)을 관통하여 연장토록 구동하여 상기 2차 중간륜(342)이 2차 전동륜(344)과 연결하여 구동토록 한다. 도12,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은 2차 전동륜(34)의 2차 구동륜(341), 2차 가요성 부재(343),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4차 가요성 부재(346), 2차 종동륜(345)에 연결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를 회전시켜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313)가 제1방향(Z방향)으로 놀리면서 변위하도록 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32)을 각 테스트 소켓(412) 안에 배치하여 각 전자부품(42)의 각 솔더 볼(421)이 각 테스트 소켓(412) 내의 각 프로브(413)에 각각 접촉토록 함과 동시에,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이 동시에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을 구동하여 1차 가요성 부재(333)의 구동을 통하여 1차 중간륜(332)이 1차 지탱축(3321)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또한, 1차 구동 세트(33)의 리드 스크류(312) 위에 본딩된 1차 종동륜(335)은 2차 종동륜(345)의 움짐임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3차 가요성 부재(334)의 구동을 통하여 1차 전동륜(334)이 상기 1차 지탱축(3321)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도12, 도13 및 도15를 참조하면, 각 전자부품(42)의 각 솔더 볼(421)이 각 테스트 소켓(412) 내의 각 프로브(413)에 각각 접촉한 뒤, 상기 제1방향 모터(32)는 지속적으로 2차 구동 세트(34)로 연결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312)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313)가 각 전자부품(42)을 다시 적당한 거리로 아래로 누르는데, 이때, 각 프로브(413)는 전자부품(42)의 각 솔더 볼(421)과 테스트 소켓(412) 내의 각 프로브(413)가 서로 접촉하도록 전자부품(42)의 각 솔더 볼(421)의 압력을 받아 스프링(414)을 압축하면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42)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제품(42)의 각 솔더 볼(421)의 수량이 비교적 적고 상대적으로 각 테스트 소켓(412) 내의 프로브(413) 및 스프링(414)의 수량 또한 비교적 적기 때문에 압출기(313)에 소요되는 압접 역량 또한 비교적 적다. 따라서, 2차 구동 세트(34)로 연결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에 낮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비료적 작은 토크 및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313)에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토록 한다.
도16,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 기타 각기 다른 유형의 전자부품(43)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부품(43)의 각 솔더 볼(431)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는 상기 전자부품(43)의 각 솔더 볼(431)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기계 본체(40) 위에 다른 시험 회로판(411a), 테스트 소켓(412a), 프로브(413a) 그리고 스프링(414a)의 시험 장치(41a)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압접 유닛(30)의 각 프레스 헤드(3131)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43)을 흡착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43)을 상기 시험 장치(41a) 상당으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충분한 토크가 압접 유닛(31)의 제1방향 모터(32)에서 1차 구동 세트(33)로 연결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를 구동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1차 클러치 구조의 1차 실린더(338)로 각 1차 로드 부재(337)가 변위하면서 1차 중간륜(332) 및 1차 전동륜(334)을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구둥하기 위하여 상기 2차 클러치 구조에 따른 1차 구동원의 2차 실린더(348)는 작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을 분리시킨다. 도19,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은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가요성 부재(333),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3차 가요성 부재(336), 1차 종동륜(335)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를 회전시키며, 이에 달라 상기 압출기(313)가 제1방향(Z방향)으로 눌리면서 변위하고 아울러 전자부품(43)을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소켓(412a) 안에 배치하여 각 전자부품(43)의 각 솔더 볼(431)이 각 테스트 소켓(412a) 내의 각 프로브(413a)에 각각 접촉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이 동시에 2차 구동 세트(43)의 2차 구동륜(341)을 구동하여 2차 가요성 부재(343)를 통하여 2차 중간륜(342)을 상기 2차 지탱축(3421)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리드 스크류(312)에 본딩된 2차 종동륜(345)은 1차 종동륜(335)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여 4차 가요성 부재(3466)를 통하여 2차 전동륜(344)을 상기 2차 지탱축(3421)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킨다. 도19, 도20 및 도22를 참조하면, 각 전자부품(43)의 각 솔더 볼(431)이 각 테스트 소켓(412a) 내의 각 프로브(413a)에 각각 접촉한 뒤, 상기 제1방향 모터(32)는 지속적으로 1차 구동 세트(33)로 연결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312)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313)가 각 전자부품(43)을 다시 적당한 거리로 아래로 누르는데, 이때, 각 프로브(413a)는 전자부품(43)의 각 솔더 볼(43)과 테스트 소켓(412a) 내의 각 프로브(413a)가 서로 접촉하도록 전자부품(43)의 각 솔더 볼(431)에 압력을 받아 스프링(414a)을 압축하면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43)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제품(43)의 각 솔더 볼(431)의 수량이 비교적 많고, 상대적으로 각 테스트 소켓(412a) 내의 프로브(413a) 및 스프링(414a)의 수량 또한 비교적 많기 때문에 압출기(313)에 소요되는 압접 역량 또한 비교적 크다. 따라서, 1차 구동 세트(33)로 연결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에 높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증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압출기(313)의 이래로 누르는 힘이 모든 스프링(414a)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을 충분히 극복하여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토록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압 유닛(30)은 1차 및 2차 클러치 구조를 이용하여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및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또는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켜 상기 압출기(313)의 접압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하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및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키면,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 그리고 상기 압출기(3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바꿀 수 있으며, 모터를 교체할 필요 없이 원래의 기계 본체 위에서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각기 다른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고, 게다가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을 얻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23 및 도2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점은 각 구동 세트의 배치 방식에만 있는데,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압 유닛(30')은 압출 기구(31'), 제1방향 모터(32') 그리고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과 리드 스크류(312') 사이에 연결되는 1차 구동 세트(33) 및 2차 구동 세트(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는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1차 구동륜(33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싱기 1차 구동륜(331')은 1차 가요성 부재(333')로 1차 중간륜(332')에 연결되며,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2차 구동륜(34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구동륜(341')은 2차 가요성 부재(343')로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의 1차 중간륜(34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상기 1차 중간륜(332') 동축에 1차 전동륜(334')이 중심적에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전동륜(334')은 3차 가요성 부재(336')로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의 1차 종동륜(335')에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상기 2차 중간륜(342') 동축에 2차 전동륜(344')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전동륜(344')은 4차 가요성 부재(346')로 상기 리드 스크류(312') 위의 2차 종동륜(345')에 연결 방식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은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갖는데, 예컨대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의 외경은 6:6:6:4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의 회전속도비는 1:1:1:1.5의 비율로 이루지는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의 외경은 6:6:6:3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의 회전속도비는 1:1:1:2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의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는 1:1:1:1.5의 비율로, 그리고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의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는 1:1:1:2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에 높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에 낮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경우, 모두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본딩되어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일체형을 이루어진 단일 직사각형 구동륜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사이에는 상기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도록 1차 클러치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 사이에는 상기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도록 2차 클러치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1차 클러치 구조 및 2차 클러치 구조로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2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및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이 서로 어우러지는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또는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토록 하는데, 이 경우, 상기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륜(331'),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1차 종동륜(335')과 상기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구동륜(341'),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 2차 종동륜(345')은 각기 다른 상대 회적속도를 갖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바꿀 수 있고, 게다라 상기 압출기(3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크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한다. 다시 말해, 상기 1차 클러치 구조가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과 1차 전동륜(334')의 연결에 의한 구동를 제어하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가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의 분리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는 상기 1차 구동 세트(33')를 통하여 연결에 이한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낮은 회전속도에 높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비교적 큰 토크 및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는 한편, 상기 1차 클러치 구조가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과 1치 전동륜(334')의 분리를 제어하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가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과 2차 전동륜(34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는 상기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하게 ?는데, 이 경우,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높은 회전속도에 낮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비교적 낮은 토크 및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접 유닛(30')은 1차 및 2차 클러치 구조를 이용하여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중간륜(332'), 1차 전동륜(334') 및 2차 구동 세트(34')의 2차 중간륜(342'), 2차 전동륜(344')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또는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키 상기 압출기(313')의 접압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하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33') 및 2차 구동 세트(3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키면,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 그리고 상기 압출기(3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바꿀 수 있으며, 모터를 교체할 필요 없이 원래의 기계 본체 위에서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각종 각기 다른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을 얻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25 및 도2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압접 유닛(50)은 압출 기구(51)와 제1방향 모터(52)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압출 기구(51)는 기계 본체(511) 위에 제1방향(Z방향) 및 제2방향(X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한 압출기(513)가 장착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 본체(511) 위에는 제1방향(Z방향)으로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5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 스크류(512)의 버클(5121)은 상기 리드 스크류(512)가 회전할 때 상기 압출기(513)를 제1방향(Z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압출기(513)로 연결하여 구동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클(5121)은 제1방향(Z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514)에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514) 위에는 제2방향(X방향)의 슬라이드(51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출기(513)는 상기 슬라이드(5141) 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513)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514)의 구동을 통하여 제1방향(Z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변위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드(514) 위에서 제2방향(X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변위토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특허출원의 중점은 제1방향(Z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변위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출기(513)의 제2방향(X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변위하는 구동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출기(513)의 하단은 전자부품을 선택 및 배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스 헤드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출기(513)의 하단은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선택 및 배치하도록 복수 개의 프레스 헤드(5131)를 구비한다. 상기 압접 유닛(50)은 상기 압출 기구(51)의 리드 스크류(512)에 구동기어(515)가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리드 스크류(512)의 측단에는 제1방향 모터(52)가 설치되어 있고, 게다가 상기 접압 유닛(50)은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과 상기 리드 스크류(512)의 구동기어(515)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과 상기 리드 스크류(512)의 구동기어(515) 사이에는 개별적으로 변위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도록 1차 구동 세트(53) 및 2차 구동 세트(5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구동 세트(53)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일측에 한쪽이 제1방향 모터(52)의 축심 위치에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 이동 프레임(531)의 다른 한쪽에는 1차 구동기어(5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 사이에는 1차 풀리 세트(533)로 이루어질 수 있는 1차 연동 구조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모터(52)로 하여금 1차 풀리 세트(533)로 상기 1차 구동기어(532)를 구동시키토록 한다.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54)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다른 일측에 한쪽이 제1방향 모터(52)의 축심 위치에 핀조이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의 다른 한쪽에는 2차 구동기어(5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 사이에는 2차 풀리 세트(543)로 이루어질 수 있는 2차 연동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모터(52)로 하여금 2차 풀리 세트(543)로 상기 2차 구동기어(542)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 및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는 각기 다른 상대적인 기어수의 비율을 갖는데, 예컨대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1:2의 비율로, 그리고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2: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53) 및 2차 구동 세트(54) 위에는 1차 클러치 구조 및 2차 클러치 구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중심에 배치되도록 하는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1차 가이드 슬롯(516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1차 이동 프레임(531)의 중심에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1차 포지셔닝 부재(5162)로 상기 하우징(516) 및 1차 이동 프레임(531)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한편,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중심에 배치되도록 하는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2차 가이드 슬롯(5163)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2차 이동 프레임(541)의 중심에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2차 포지셔닝 부재(5164)로 상기 하우징(516) 및 2차 이동 프레임(541)을 관통하여 배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 및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하여금 상기 구동기어(515)의 방항을 향하여 중심에 배치되는 위치의 변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로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거나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 또는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를 통하여 맞물림을 변환하면서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바꾸며, 이에 따라 압출기(513)의 접압 역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한다. 다시 말해,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로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는 경우,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1:2의 비율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비교적 큰 토크 및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는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는 경우,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2:1의 비율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비교적 작은 토크 및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513)의 압접 역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한다.
도27, 도28 및 도2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압 유닛(60)은 시험설비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 시험설비의 기계 본체(60) 위에는 시험 장치(6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험 장치(61)는 시험 회로판(611) 위에 복수 개의 테스트 소켓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테스트 소켓(612) 내부에는 복수 개의 프로브(613)가 설치되어 있고, 각 프로브(613)의 하단은 스프링(6144)을 각각 구비하여 각 프로브(613)로 하여금 탄력 있게 신축되는 변위가 이루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접 유닛(60)의 압출기(513)는 구동에 의한 변위가 가능하여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전자부품을 상기 시험 장치(61)의 상단으로 이송한다. 전자부품(42)에 대한 테스트 작업 수행을 예로 들면, 상기 압접 유닛(50)의 각 프레스 헤드(5131)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62)을 흡착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62)을 상기 시험 장치(11) 상단으로 이송하는 한편, 전자부품(62)의 각 솔더 볼(6621)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기계 본체(60) 위에 이에 대응하는 시험 장치(61)가 장착된다. 또한, 압접 유닛(50)의 제1방향 모터(52)에는 1차 구동 세트(53) 또는 2차 구동 세트(34)로 연결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적당한 토크 및 회전속도가 출력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62)의 각 솔더 볼(621)의 수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맞물림으로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는데, 이는 상기 2차 클리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이동 프레임(541)을 상기 구동기어(515) 방향을 항하여 중심에 배치되도록 변위시키고 아울러 2차 이동 프래임(541)을 고정시키도록 2차 포지셔닝 부재(5164)로 상기 하우징(516) 및 2차 이동 프레임(541)을 관통하여 배치하고, 게다가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하여금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도록 한다. 도30, 도31 및 도32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방향 모터(52)가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풀리 세트(543)를 구동하여 2차 풀리 세트(543)로 상기 2차 구동기어(542)를 구동하고 아울러 상기 2차 구동기어(543)를 통하여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회전시켜 상기 압출기(513)가 제1방향(Z방향)으로 아래로 누르면서 변위하도록 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62)을 이에 대응하는 각 테스트 소켓(612) 안에 배치하여 각 전자부품(62)의 각 솔더 볼(62)이 각 테스트 소켓(612) 내의 각 프로보(613)에 각각 접촉하도록 한다. 도30, 도31 및 도32를 참조하면, 각 전자부품(62)의 각 솔더 볼(621)이 각 테스트 소켓(612) 내의 각 프로브(613)에 각각 접촉한 뒤, 상기 제1방향 모터(52)는 지속적으로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풀리 세트(543), 2차 구동기어(542) 및 구동기어(515)로 리드 스크류(512)를 회전시켜 상기 압출기(513)가 각 전자부품(62)을 다시 적당한 거리로 아래로 누르도록 구동하는데, 이 경우, 각 프로브(613)는 전자부품(62)의 각 솔더 볼(6621)과 테스트 소켓(612) 내의 각 프로브(613)가 서로 접촉하도록 전자부품(62)의 각 솔더 볼(621)의 압력을 받아 스프링(614)을 압축하면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62)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제품(42)의 각 솔더 볼(421)의 수량이 비교적 적고 상대적으로 각 테스트 소켓(412) 내의 프로브(413) 및 스프링(414)의 수량 또한 비교적 적기 때문에 압출기(513)에 소요되는 압접 역량 또한 비교적 적다. 따라서,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구동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2차 구동 세트(54)는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에 낮은 토크를 갖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 하여금 비료적 작은 토크 및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를 출력토록 함에 따라 상기 압출기(513)에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토록 한다.
도34, 도35 및 도36을 참조하면, 기타 각기 다른 유형의 전자부품(63)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전자부품(63)의 각 솔더 볼(631)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는 상기 전자부품(63)의 각 솔더 볼(631)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기계 본체(60) 위에 다른 시험 회로판(611a), 테스트 소켓(612a), 프로브(613a) 그리고 스프링(614a)의 시험 장치(61a)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압접 유닛(50)의 각 프레스 헤드(5131)가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63)을 흡착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63)을 상기 시험 장치(61a) 상당으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충분한 토크가 출력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로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는데, 이는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를 이용하여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이동 프레임(531)을 상기 구동기어(515) 방향을 향하여 중심에 배치되도록 변위시키고 아울러 1차 이동 프레임(531)을 고정하도록 1차 포지셔닝 부재(5162)로 상기 하우징(516) 및 1차 이동 프레임(531)을 관통하여 배치하여 상기 1차 구동기어(532)가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도록 한다. 도37, 도38 및 도39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방향 모터(52)가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풀리 세트(533)로 상기 1차 구동기어(532)를 구동하고 아울러 상기 1차 구동기어(532)를 통하여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구동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회전시켜 상기 압출기(513)가 제1방향(Z방향)으로 변위하도록 하고 아울러 각 전자부품(63)을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소켓(612a) 안에 배치하여 각 전자부품(63)의 각 솔더 볼(631)이 각 테스트 소켓(612a) 내의 각 프로브(613a)에 각각 접촉하도록 한다. 도37, 도38 및 도40을 참조하면, 각 전자부품(63)의 각 솔더 볼(631)이 각 테스트 소켓(612a) 내의 각 프로브(613a)에 각각 접촉한 뒤, 지속적으로 각 전자부품(63)을 적당한 거리로 누르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53)의 각 솔더 볼(631)의 수량이 비교적 많고 상대적으로 각 테스트 소켓(612a) 내의 프로브(613a) 및 스프링(614a)의 수량 또한 비교적 많기 때문에 압출기(513)에 소용되는 압접 역량 또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로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구동하는 경우,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1:2의 비율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압출기(513)의 아래로 누르는 힘이 모든 스프링(614a)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작용력을 충분히 극복하도록 하여 각 전자부품(63)을 적당한 거리로 지속적으로 누르도록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하는데, 이때, 각 프로브(613a)는 전자부품(63)의 각 솔더 볼(631)과 테스스 소켓(612a) 내의 각 프로브(613a)가 서로 접촉하도록 전자부품(63)의 각 솔더 볼(631)에 눌려 스프링(614a)을 압축하면 동시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663)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압 유닛(50)은 1차 및 2차 클러치 구조를 이용하여 1차 구동 세트(33)의 1차 구동기어(532) 및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52)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53) 또는 2차 구동 세트(54)을 통하여 맞물림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켜 상기 압출기(513)의 접압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하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53) 및 2차 구동 세트(54)를 통하여 연결에 의한 구동을 전환시키면, 상기 리드 스크류(3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 그리고 상기 압출기(5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바꿀 수 있으며, 모터를 교체할 필요 없이 원래의 기계 본체 위에서 적당한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각기 다른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을 얻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41 및 도4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에와 제4실시예의 차이점은 구동 세트의 배치 방식에만 있는데,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압 유닛(50')은 압출 기구(51')와 제1방향 모터(52')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압출 기구(51')는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에 구동기어(515')가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접압 유닛(50')은 상기 구동기어(515')와 리드 스크류(512')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기어(515')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 사이에는 변위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깅(515')에 각각 맞물리도록 1차 구동 세트(53') 및 2차 구동 세트(54)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구동 세트(53')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일측에 한쪽이 상기 리드 스크류(512') 축심 위치에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의 다른 한쪽에는 1차 구동기어(5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 사이에는 1차 풀리 세트(533')로 이루어질 수 있는 1차 연동 구조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1차 구동 세트(53')로 하여금 1차 풀리 세트(533')로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54')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다른 일측에 한쪽이 리드 스크류(512')의 축심 위치에 핀조이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의 다른 한쪽에는 2차 구동기어(5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 사이에는 2차 풀리 세트(543')로 이루어질 수 있는 2차 연동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2차 구동 세트(54')로 하여금 2차 풀리 세트(543')로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 및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는 각기 다른 상대적인 기어수의 비율을 갖는데, 예컨대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1:2의 비율로, 그리고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2: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53') 및 2차 구동 세트(54') 위에는 1차 클러치 구조 및 2차 클러치 구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중심에 배치되도록 하는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1차 가이드 슬롯(516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1차 이동 프레임(531')의 중심에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1차 포지셔닝 부재(5162')로 상기 하우징(516') 및 1차 이동 프레임(531')을 관통하여 배치하는 한편,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중심에 배치되도록 하는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2차 가이드 슬롯(5163')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2차 이동 프레임(541')의 중심에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2차 포지셔닝 부재(5164')로 상기 하우징(516') 및 2차 이동 프레임(541')을 관통하여 배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 및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하여금 상기 구동기어(515')의 방항을 향하여 중심에 배치되는 위치의 변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로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거나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상기 구동기어(515')에 맞물리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 또는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를 통하여 맞물림을 변환하면서 상기 리드 스크류(512')를 구동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바꾸며, 이에 따라 압출기(513')의 접압 역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한다. 다시 말해,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로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 구동하는 경우,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1:2의 비율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비교적 작은 토크 및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는 한편,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로 상기 구동기어(515')와 맞물려구동하는 경우,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기어수의 비율은 2:1의 비율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비교적 큰 토크 및 비교적 낮은 회전속도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기(513')의 압접 역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제4실싱예에 따른 접압 유닛(50')은 1차 및 2차 클러치 구조를 이요하여 1차 구동 세트(53')의 2차 구동기어(532') 및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구동기어(515')의 맞물림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 모터(52')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 하여금 상기 1차 구동 세트(53') 또는 2차 구동 세트(54')를 통하여 맞물림에 의한 구동을 변환시켜 상기 압출기(5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 사항에 대처하고 아울러 우수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하는 실질적인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1차 구동 세트(53') 및 2차 구동 세트(54')가 연결이 의한 구동을 변환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51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및 회전 속도 그리고 상기 압출기(5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바꿀 수 있으며, 모터를 교환할 필요 없이 원래의 기계 본체에서 적당한 접압 역량 및 변위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각기 다른 다양한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여 설비의 사용 효능 제고 및 설비의 원가 절감에 따른 실용적인 효과를 이룬다.
도4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압접 유닛이 시험설비에 응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 상기 시험설비는 기계 본체(70) 위에 배치되는 소재 공급 장치(71), 소재 회수 장치(72), 시험 장치(73), 수송 장치(74) 그리고 제어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소재 공급 장치(71)는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 공급판으로 이루어지는 소재 공급용 홀더(711)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소재 회수 장치(72)는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 회수판으로 이루어지는 소재 회수용 홀더(7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험 장치(73)는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전자부품에 대하여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소켓(732)을 구비한 시험 회로판(73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송 장치(74)는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전자부품을 시험 장치(73)로 이송하여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 고안에 따른 압접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 장치(74)는 소재 공급 장치(71)의 소재 공급용 홀더(711)에서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취출하여 1차 소재 급공 플랫폼(742) 및 2차 소재 공급 플랫폼(743)으로 각각 이송하도록 1차 1차 피커(741)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소재 공급 플랫폼(742) 및 소재 공급 플랫폼(743)은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시험 장치(73) 쪽으로 이송하고, 상기 수송 장치(74)는 상기 시험 장치(73) 쪽에 본 고안에 따른 접압 유닛과 동일한 1차 접압 유닛(744) 및 2차 접압 유닛(7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접압 유닛(744) 및 2차 접압 유닛(745)는 1차 소재 공급 플랫폼(742) 및 2차 소재 공급 플랫폼(743) 위에서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시험 장치(73)로 각각 이송하여 테스트 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시험 장치(73) 쪽에서 테스트 완료된 전자제품을 1차 소재 회수 플랫폼(746) 및 2차 소재 회수 플랫폼(747)을 이송하여 상기 1차 소재 회수 플랫폼(746) 및 2차 소재 회수 플랫품(747)이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을 외부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수송 장치(74)는 1차 소재 회수 플랫폼(746) 및 2차 소재 회수 플랫폼(747) 위에서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을 취출하고 아우러 테스트 결과에 따라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을 소재 회수 장치(72)의 소재 회수용 홀더(721)로 이송하여 분류하여 수용하도록 2차 피커(748)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통합함으로써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이룬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실용성 및 진보성을 갖춘 설계로, 동일한 제품 및 간행물이 공개된 사실을 지금것 본적이 없다. 따라서, 특허출원 요건에 부합되므로 법에 따라 특허출원을 신청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종래 부분]
10: 시험 장치
101: 시험 회로판 102: 테스트 소켓
103: 프로브 104: 스프링
11: 압접 유닛
111: 압출기 112: 모터
113: 풀리 세트 114: 리드 스크류
20: 전자부품
[본 고안 부분]
30: 접압 유닛 30': 접압 유닛
31: 압출 기구 31': 압출 기구
311: 프레임
312: 리드 스크류 312': 리드 스크류
3121: 버클
313: 압출기 313': 압출기
3131: 프레스 헤드
314: 슬라이드 베이스 3141: 슬라이드
32: 제1방향 모터 32': 제1방향 모터
33: 1차 구동 세트 33': 1차 구동 세트
331: 1차 구동륜 331': 1차 구동륜
332: 1차 중간륜 332': 1차 중간륜
3321: 1차 지탱축
333: 1차 가요성 부재 333': 1차 가용성 부재
334: 1차 전동륜 334': 1차 전동륜
335: 1차 종동륜 335': 1차 종동륜
336: 3차 가요성 부재 336': 3차 가요성 부재
337: 1차 로드 부재 3371: 1차 소켓
3372: 1차 스러스트 베어링
338: 1차 실린더 339: 1차 탄성 부재
34: 2차 구동 세트 34': 2차 구동 세트
341: 2차 구동륜 341': 2차 구동륜
342: 2차 중간륜 342': 2차 중간륜
3421: 2차 지탱축
343: 2차 가요성 부재 343': 2차 가요성 부재
344: 2차 전동륜 344': 2차 전동륜
345: 2차 종동륜 345': 2차 종동륜
346: 4차 가요성 부재 346': 4차 가요성 부재
347: 2차 로드 부재 3471: 2차 소켓
3472: 2차 스러스트 베어링
348: 2차 실린더 349: 2차 탄성 부재
347: 2차 로드 부재 348: 2차 실린더
349: 2차 소켓 3491: 2차 스러스트 베어링
40: 기계 본체
41: 시험 장치 41a: 시험 장치
411: 시험 회로판 411a: 시험 회로판
412: 테스트 소켓 412a: 테스트 소켓
413: 프로브 413a: 프로브
414: 스프링 414a: 스프링
42: 전자부품 421: 솔더 볼
43: 전자부품 431: 솔더 볼
50: 압접 유닛 50': 압접 유닛
51ㅣ 압출 기구 51': 압출 기구
511: 프레임
512: 리드 스크류 512': 리드 스크류
5121: 버클
513: 압출기 513': 압출기
5131: 프레스 헤드
514: 슬라이드 베이스 5141: 슬라이드
515: 구동기어 515': 구동기어
516: 하우징 516': 하우징
5161: 1차 가이드 슬롯 5161': 1차 가이드 슬롯
5162: 1차 포지셔닝 부재 5162': 1차 포지셔닝 부재
5163: 2차 가이드 슬롯 5163': 2차 가이드 슬롯
5164: 2차 포지셔닝 부재 5164': 2차 포지셔닝 부재
52: 제1방향 모터 52: 제1방향 모터
53: 1차 구동 세트 53': 1차 구동 세트
531: 1차 이동 프레임 531': 1차 이동 프레임
532: 1차 구동기어 532': 1차 구동기어
533: 1차 풀리 세트 533': 1차 풀리 세트
54: 2차 구동 세트 54': 2차 구동 세트
541: 2차 이동 프레임 541': 2차 이동 프레임
542: 2차 구동기어 542': 2차 구동기어
543: 2차 풀리 세트 543': 2차 풀리 세트
60: 기계 본체
61: 시험 장치 61a: 시험 장치
611: 시험 회로판 611a: 시험 회로판
612: 테스트 소켓 612a: 테스트 소켓
613: 프로브 613a: 프로브
614: 스프링 614a: 스프링
62: 전자부품 621: 솔더 볼
63: 전자부품 631: 솔더 볼
70: 기계 본체
71: 소재 공급 장치 711: 소재 공급용 홀더
72: 소재 회수 장치 721: 소재 회수용 홀더
73: 시험 장치
731: 시험 회로판 732: 테스트 소켓
74: 수송 장치
741: 1차 피커 742: 1차 소재 공급 플랫폼
743: 2차 소재 공급 플랫폼 744: 1차 압접 유닛 세트
745: 2차 압접 유닛 세트 746: 1차 소재 회수 플랫폼
747: 2차 소재 회수 플랫폼 748: 2차 피커
[색인어]
30: 압접 유닛
31: 압출 기구 311: 프레임
312: 리드 스크류 3121: 버클
313: 압출기 3131: 프레스 헤드
314: 슬라이드 베이스 3141: 슬라이드
32: 제1방향 모터
33: 1차 구동 세트 332: 1차 중간륜
333: 1차 가요성 부재 334: 1차 전동륜
335: 1차 종동륜 336: 3차 가요성 부재
337: 1차 로드 부재 339: 1차 탄성 부재
34: 2차 구동 세트 342: 2차 중간륜
343: 2차 가요성 부재 344: 2차 전동륜
345: 2차 종동륜 346: 4차 가요성 부재
347: 2차 로드 부재 349: 2차 탄성 부재
[종래 부분]
10: 시험 장치
101: 시험 회로판 102: 테스트 소켓
103: 프로브 104: 스프링
11: 압접 유닛
111: 압출기 112: 모터
113: 풀리 세트 114: 리드 스크류
20: 전자부품
[본 고안 부분]
30: 접압 유닛 30': 접압 유닛
31: 압출 기구 31': 압출 기구
311: 프레임
312: 리드 스크류 312': 리드 스크류
3121: 버클
313: 압출기 313': 압출기
3131: 프레스 헤드
314: 슬라이드 베이스 3141: 슬라이드
32: 제1방향 모터 32': 제1방향 모터
33: 1차 구동 세트 33': 1차 구동 세트
331: 1차 구동륜 331': 1차 구동륜
332: 1차 중간륜 332': 1차 중간륜
3321: 1차 지탱축
333: 1차 가요성 부재 333': 1차 가용성 부재
334: 1차 전동륜 334': 1차 전동륜
335: 1차 종동륜 335': 1차 종동륜
336: 3차 가요성 부재 336': 3차 가요성 부재
337: 1차 로드 부재 3371: 1차 소켓
3372: 1차 스러스트 베어링
338: 1차 실린더 339: 1차 탄성 부재
34: 2차 구동 세트 34': 2차 구동 세트
341: 2차 구동륜 341': 2차 구동륜
342: 2차 중간륜 342': 2차 중간륜
3421: 2차 지탱축
343: 2차 가요성 부재 343': 2차 가요성 부재
344: 2차 전동륜 344': 2차 전동륜
345: 2차 종동륜 345': 2차 종동륜
346: 4차 가요성 부재 346': 4차 가요성 부재
347: 2차 로드 부재 3471: 2차 소켓
3472: 2차 스러스트 베어링
348: 2차 실린더 349: 2차 탄성 부재
347: 2차 로드 부재 348: 2차 실린더
349: 2차 소켓 3491: 2차 스러스트 베어링
40: 기계 본체
41: 시험 장치 41a: 시험 장치
411: 시험 회로판 411a: 시험 회로판
412: 테스트 소켓 412a: 테스트 소켓
413: 프로브 413a: 프로브
414: 스프링 414a: 스프링
42: 전자부품 421: 솔더 볼
43: 전자부품 431: 솔더 볼
50: 압접 유닛 50': 압접 유닛
51ㅣ 압출 기구 51': 압출 기구
511: 프레임
512: 리드 스크류 512': 리드 스크류
5121: 버클
513: 압출기 513': 압출기
5131: 프레스 헤드
514: 슬라이드 베이스 5141: 슬라이드
515: 구동기어 515': 구동기어
516: 하우징 516': 하우징
5161: 1차 가이드 슬롯 5161': 1차 가이드 슬롯
5162: 1차 포지셔닝 부재 5162': 1차 포지셔닝 부재
5163: 2차 가이드 슬롯 5163': 2차 가이드 슬롯
5164: 2차 포지셔닝 부재 5164': 2차 포지셔닝 부재
52: 제1방향 모터 52: 제1방향 모터
53: 1차 구동 세트 53': 1차 구동 세트
531: 1차 이동 프레임 531': 1차 이동 프레임
532: 1차 구동기어 532': 1차 구동기어
533: 1차 풀리 세트 533': 1차 풀리 세트
54: 2차 구동 세트 54': 2차 구동 세트
541: 2차 이동 프레임 541': 2차 이동 프레임
542: 2차 구동기어 542': 2차 구동기어
543: 2차 풀리 세트 543': 2차 풀리 세트
60: 기계 본체
61: 시험 장치 61a: 시험 장치
611: 시험 회로판 611a: 시험 회로판
612: 테스트 소켓 612a: 테스트 소켓
613: 프로브 613a: 프로브
614: 스프링 614a: 스프링
62: 전자부품 621: 솔더 볼
63: 전자부품 631: 솔더 볼
70: 기계 본체
71: 소재 공급 장치 711: 소재 공급용 홀더
72: 소재 회수 장치 721: 소재 회수용 홀더
73: 시험 장치
731: 시험 회로판 732: 테스트 소켓
74: 수송 장치
741: 1차 피커 742: 1차 소재 공급 플랫폼
743: 2차 소재 공급 플랫폼 744: 1차 압접 유닛 세트
745: 2차 압접 유닛 세트 746: 1차 소재 회수 플랫폼
747: 2차 소재 회수 플랫폼 748: 2차 피커
[색인어]
30: 압접 유닛
31: 압출 기구 311: 프레임
312: 리드 스크류 3121: 버클
313: 압출기 3131: 프레스 헤드
314: 슬라이드 베이스 3141: 슬라이드
32: 제1방향 모터
33: 1차 구동 세트 332: 1차 중간륜
333: 1차 가요성 부재 334: 1차 전동륜
335: 1차 종동륜 336: 3차 가요성 부재
337: 1차 로드 부재 339: 1차 탄성 부재
34: 2차 구동 세트 342: 2차 중간륜
343: 2차 가요성 부재 344: 2차 전동륜
345: 2차 종동륜 346: 4차 가요성 부재
347: 2차 로드 부재 349: 2차 탄성 부재
Claims (14)
- 기계 본체(311, 511) 위에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312, 512 및 512')가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리드 스크류(312, 512 및 512')로 연결되어 전자부품의 압출기(313, 513 및 513')를 압접하는 압출 기구(31, 51 및 51');
출력축이 설치되어 있는 제1방향 모터(32, 52 및 52'); 및
상기 제1방향 모터(32, 52 및 52')의 출력축과 상기 압출 기구(31, 51 및 51')의 리드 스크류(312, 512 및 51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1차 구동 세트(33, 53 및 53') 및 2차 구동 세트(34, 54 및 5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 세트(33, 53 및 53') 및 상기 2차 구동 세트(34, 54 및 54')는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갖고, 상기 1차 구동 세트(33, 53 및 53') 및 상기 2차 구동 세트(34, 54 및 54')가 상기 리드 스크류(312, 512 및 512')로 각각 연결되어 구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제어하여 각기 다른 상대적인 회전속도비를 통해 상기 리드 스크류 (312) 로 부터 출력 되는 토크 및 회전속도를 변화시키고 , 다양한 유형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 작업 요구에 따라 상기 압출기(313, 513 및 513')의 압접 역량 및 변위 속도를 각각 조절하도록 상기 1차 구동 세트(33, 53 및 53')에는 1차 클러치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 세트(34, 54 및 54')에는 2차 클러치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 세트(33 및 34, 53, 및 54, 53' 및 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30, 50 및 5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구동 세트(33)는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1차 구동륜(3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 방식으로 상기 1차 구동륜(331) 측단에 장착된 1차 중간륜(332)을 구동하고, 상기 1차 중간륜(332)은 동축에 1차 전동륜(3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 방식으로 상기 리드 스크류(312)의 1차 종동륜(335)에 설치되고,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1차 중간륜(332)과 상기 1차 전동륜(334)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3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1차 중간륜(332)과 상기 1차 전동륜(334) 축 방향에 1차 로드 부재(337)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1차 구동원(338)으로 상기 1차 로드 부재(337)가 변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1차 중간륜(332)과 상기 1차 전동륜(334)을 관통시켜 상기 1차 중간륜(332)과 상기 1차 전동륜(334)이 연결 방식으로 구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1차 로드 부재 (337)가 변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1차 중간륜(332)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상기 1차 중간륜(332)과 상기 1차 전동륜(334)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3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구동 세트(34)는 상기 제1방향 모터(32)의 출력축에 2차 구동륜(3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 방식으로 상기 2차 구동륜(341) 측단에 장착된 2차 중간륜(342)을 구동하고, 상기 2차 중간륜(342)은 동축에 2차 전동륜(344)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 방식으로 상기 리드 스크류(312)의 2차 종동륜(345)에 설치되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2차 중간륜(342)과 상기 2차 전동륜(344)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3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2차 중간륜(342)과 상기 2차 전동륜(344) 축 방향에 2차 로드 부재(347)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2차 구동원(348)으로 상기 2차 로드 부재(347)가 변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2차 중간륜(342)과 상기 2차 전동륜(344)을 관통시켜 상기 2차 중간륜(342)과 상기 2차 전동륜(344)이 연결 방식으로 구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2차 로드 부재(347)가 변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1차 중간륜(332)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상기 2차 중간륜(342)과 상기 2차 전동륜(344)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3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기구(51)의 리드 스크류(512)에는 구동기어(5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 세트(53)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일측에 한쪽이 상기 제1방향 모터(52) 축심에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의 다른 한쪽에는 1차 구동기어(5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 사이에는 1차 풀리 세트(533)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중심점에 배치되도록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1차 가이드 슬롯(516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의 중심점으로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1차 포지셔닝 부재(5162)로 상기 하우징(516) 및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구동 세트(54)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다른 쪽에 한쪽이 상기 제1방향 모터(52) 축심에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의 다른 한쪽에는 2차 구동기어(5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 사이에는 2차 풀리 세트(543)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중심점에 배치되도록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2차 가이드 슬롯(5163)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의 중심점으로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2차 포지셔닝 부재(5164)로 상기 하우징(516) 및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모터(52')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5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 세트(53')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일측에 한쪽이 상기 리드 스크류(512') 축심에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의 다른 한쪽에는 1차 구동기어(5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 사이에는 1차 풀리 세트(533')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구동기어(53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상기 1차 구동 세트(53')의 1차 이동 프레임(531')이 중심점에 배치되도록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1차 가이드 슬롯(516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의 중심점으로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1차 포지셔닝 부재(5162')로 상기 하우징(516') 및 상기 1차 이동 프레임(531')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구동 세트(54')는 상기 구동기어(515')의 다른 쪽에 한쪽이 상기 리드 스크류(512') 축심에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의 다른 한쪽에는 2차 구동기어(5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리드 스크류(512') 사이에는 2차 풀리 세트(543')가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구동기어(542')와 상기 구동기어(515')의 연결에 의한 구동이나 분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클러치 구조는 하우징(516') 위에 상기 2차 구동 세트(54')의 2차 이동 프레임(541')이 중심점에 배치되도록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2차 가이드 슬롯(5163')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의 중심점으로 배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도록 2차 포지셔닝 부재(5164')로 상기 하우징(516') 및 상기 2차 이동 프레임(541')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50').
- 기계 본체(70);
상기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 공급용 홀더(711)가 설치되어 있는 소재 공급 장치(71);
상기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데트스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 회수용 홀더(721)가 설치되어 있는 소재 회수 장치(72);
상기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아울러 전자부품에 대하여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소켓(732)을 갖는 시험 회로판(731)이 설치되어 있는 시험 장치(73);
상기 기계 본체(70) 위에 설치되고 전자부품을 상기 시험 장치(73)로 이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전자부품 접압 유닛(30, 50 및 50')이 설치되어 있는 수송 장치(74); 및
자동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통합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압 유닛에 응용되는 시험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6127499A TWI635551B (zh) | 2017-08-14 | 2017-08-14 | Electronic component crimping unit and test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
TW106127499 | 2017-08-14 | ||
TW106129018 | 2017-08-25 | ||
TW106129018A TWI658271B (zh) | 2017-08-25 | 2017-08-25 | Electronic component crimping unit and test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045Y1 true KR200490045Y1 (ko) | 2019-11-04 |
Family
ID=6541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2058U KR200490045Y1 (ko) | 2017-08-14 | 2018-05-11 |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045Y1 (ko) |
CN (1) | CN10938770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0663A (ko) * | 2021-11-15 | 2023-05-23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66456A (zh) * | 2020-06-11 | 2021-12-31 |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 压接机构、作业装置及其应用的作业设备 |
CN112489401B (zh) * | 2020-11-19 | 2021-08-03 | 蚌埠依爱消防电子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火灾报警系统电路板的测试机构 |
CN115616295B (zh) * | 2022-12-15 | 2023-03-21 | 四川中星电子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容器容量检测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2800A (ja) * | 1993-08-03 | 1995-02-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ダブルハンドリング装置 |
KR0150988B1 (ko) * | 1994-07-19 | 1998-12-01 | 김광호 | 회전 및 승강장치 |
KR20120004068A (ko) * | 2010-07-06 | 2012-01-12 | (주)제이티 | 소자픽업모듈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
KR101266583B1 (ko) * | 2012-12-27 | 2013-05-22 | 주식회사 세라텍 | 반도체 칩 픽업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334424B (zh) * | 2007-06-25 | 2011-05-25 |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 具多组下压头的压接机构 |
TWI389549B (zh) * | 2009-07-14 | 2013-03-11 | Avision Inc | 可切換輸出動力之傳動機構及使用其之掃描設備 |
CN102233334B (zh) * | 2010-04-21 | 2015-03-18 |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组件测试分类机的测试装置 |
US20120024671A1 (en) * | 2010-07-30 | 2012-02-02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Transferring mechanism of contact test |
CN104108602B (zh) * | 2013-04-18 | 2016-04-13 |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 下压装置及其应用的测试设备 |
CN105984722B (zh) * | 2015-02-16 | 2018-05-15 |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元件搬移装置及其应用的作业设备 |
-
2018
- 2018-05-04 CN CN201810421365.XA patent/CN109387709B/zh active Active
- 2018-05-11 KR KR2020180002058U patent/KR20049004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2800A (ja) * | 1993-08-03 | 1995-02-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ダブルハンドリング装置 |
KR0150988B1 (ko) * | 1994-07-19 | 1998-12-01 | 김광호 | 회전 및 승강장치 |
KR20120004068A (ko) * | 2010-07-06 | 2012-01-12 | (주)제이티 | 소자픽업모듈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
KR101266583B1 (ko) * | 2012-12-27 | 2013-05-22 | 주식회사 세라텍 | 반도체 칩 픽업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0663A (ko) * | 2021-11-15 | 2023-05-23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 |
KR102636552B1 (ko) | 2021-11-15 | 2024-02-14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387709A (zh) | 2019-02-26 |
CN109387709B (zh) | 2021-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0045Y1 (ko) |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시험설비 | |
KR200490231Y1 (ko) | 전자부품 압접 유닛 및 이에 응용되는 테스트 분류 설비 | |
CN103753604B (zh) | 一种可动态调整刚度的模块化柔性连接装置 | |
US8763962B2 (en) | Cradle and cable handler for a test head manipulator | |
CN102107431A (zh) | 并联机器人 | |
CN106229751A (zh) | 一种供电接口设备 | |
CN108284959A (zh) | 一种六自由度安装平台 | |
CN106323631A (zh) | 一种变速箱全自动检测实验台 | |
TWI635551B (zh) | Electronic component crimping unit and test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 |
CN112238336A (zh) | 双工位差速器轴承压装及螺栓拧紧装置 | |
CN112079106A (zh) | 作业装置的移载机构及其应用的作业分类设备 | |
CN105977717A (zh) | 一种导向供电设备 | |
TW201930848A (zh) | 電子元件壓接單元及其應用之測試設備 | |
TWI474016B (zh) | Lightweight correction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 |
CN110844536A (zh) | 一种自动化定位装置 | |
CN111843439B (zh) | 一种变速箱钢球压装机构 | |
CN112874297B (zh) | 一种自动踏板机械手 | |
CN211569275U (zh) | 一种自动化定位装置 | |
TWI649544B (zh) | Electronic component crimping unit and its application test sorting machine | |
CN106229754A (zh) | 一种减震型供电接口装置 | |
CN220107149U (zh) | 动态全回转基座航空插头自动接插装置 | |
TW201913065A (zh) | 電子元件壓接單元及其應用之測試設備 | |
CN206114294U (zh) | 一种变速箱全自动检测实验台 | |
TW201912548A (zh) | 電子元件壓接單元及其應用之測試分類設備 | |
CN219946029U (zh) | 一种用于电池托盘和套杯托盘的拆装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