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45Y1 - 휴대용 변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45Y1
KR200489245Y1 KR2020170005390U KR20170005390U KR200489245Y1 KR 200489245 Y1 KR200489245 Y1 KR 200489245Y1 KR 2020170005390 U KR2020170005390 U KR 2020170005390U KR 20170005390 U KR20170005390 U KR 20170005390U KR 200489245 Y1 KR200489245 Y1 KR 200489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toilet
cover
toilet bowl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84U (ko
Inventor
곽정은
Original Assignee
곽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1741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924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은 filed Critical 곽정은
Priority to KR2020170005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45Y1/ko
Priority to EP18868459.1A priority patent/EP3698692A4/en
Priority to CN201890001266.XU priority patent/CN212679013U/zh
Priority to PCT/KR2018/012148 priority patent/WO2019078569A1/ko
Priority to US16/482,923 priority patent/US11058265B2/en
Priority to DE202018006332.0U priority patent/DE202018006332U1/de
Priority to JP2020541632A priority patent/JP6960701B2/ja
Publication of KR20190000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통 형상의 몸체, 상기 개방된 상부면 상에 설치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제1 변기커버 및 상기 개방된 상부면 상에 상기 제1 변기커버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변기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동되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일 단부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변기{PORTABLE TOILET BOWL}
휴대용 변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변기의 커버를 양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봉투를 고정시킬 수 있고, 회전 방식으로 접어서 이동이 편하도록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접힌 변기를 전개하여 변기를 형성할 수 있는 봉투 고정식 휴대용 변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는 감염의 위험이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아이가 화장실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공원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공간에서 공용화장실을 이용할 경우,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들은 변기나 물에 의해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다.
또는, 공용화장실에 대기하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경우나 푸세식 화장실이 구비된 경우, 여행 중 차가 막혀 화장실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경우, 급할 때 주변의 가까운 화장실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아이의 배변활동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에서 아이들이 배변활동을 할 경우 감염을 막기 위해 부모나 아이를 변기 위에 위치시켜 해결을 하는 경우가 있고, 휴대용 변기 커버나 비치된 변기 커버를 씌워 아이의 배변 활동을 도울 수 있다.
공간적인 이유로 화장실에 접근하기 힘든 경우에는 주변에 노상방뇨를 하거나 아이의 엉덩이에 봉투를 대어 배변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깔끔한 배변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배변으로 인한 피부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봉투, 휴대용 변기 커버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변기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변기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203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아이의 깔끔한 배변활동을 돕는 봉투 고정식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아이의 야외 활동 시 신속한 배변활동을 위해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간단한 회동을 통해 부피를 줄이거나 변기를 형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아이가 안정적인 자세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배출된 아이의 배변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봉투를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는 봉투 고정식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핸드백에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통 형상의 몸체, 상기 개방된 상부면 상에 설치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제1 변기커버 및 상기 개방된 상부면 상에 상기 제1 변기커버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변기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동되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일 단부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예 따른 휴대용 변기의 상기 제1 변기커버의 단부들과 상기 제2 변기커버의 단부들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위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면 두 측부에서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단부들이 위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면의 둘레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배변봉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상기 몸체는 제1 몸체부재 및 제2 몸체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가 속이 빈 통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재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재도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아치형 직경은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아치형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는 아치형의 각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몸체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단부는 서로 회전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는 회전되어 상기 제2 몸체부재가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아치형 내로 포개어져서 하나의 아치형상으로 중첩되도록 접힐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상기 제1 변기커버는 상기 제1 몸체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제2 몸체부재와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가 회동되어 형성되는 포개진 아치형상의 양쪽 측면에 각각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상기 제1 몸체부재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하부면이 접촉되거나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하부면이 접촉되면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회동은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상기 몸체는 걸림요소 또는 후크요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기 걸림요소 또는 상기 후크요소에 대응되는 걸림요소 또는 후크요소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걸림요소와 상기 후크요소는 서로 체결되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아이의 깔끔한 배변활동을 도울 수 있는 봉투 고정식 휴대용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아이의 야외 활동 시 신속한 배변활동을 위해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봉투 고정식 휴대용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간단한 회동을 통해 부피를 줄이거나 변기를 형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아이가 안정적인 자세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배출된 아이의 배변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봉투를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는 봉투 고정식 휴대용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의하면, 핸드백에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휴대용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회동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변기커버(130, 140)가 몸체(110, 120)의 상부면 둘레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b 및 도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변기커버(130, 140)의 단부들(131, 132, 141, 142)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변기커버(130, 140)가 회동된 상태이며,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변기커버(130, 140)에 봉투(B)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저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는 몸체(110, 120), 제1 변기커버(130), 제2 변기커버(140), 제1 힌지부재(150), 제2 힌지부재(160), 전방 회전부재(170) 및 후방 회전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 12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통 형상일 수 있다. 몸체(110, 120)의 개방된 하부면 부분은 지면에 놓이는 부분이며, 몸체(110, 12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0, 120)의 하부방향 테두리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패킹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110, 120)의 개방된 상부면 부분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하게 형성되어서 몸체(110, 120)에 사용자의 피부가 닿을 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되어서 형성된 면에는 홈 또는 돌출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는 몸체(110, 120)의 만곡되어 형성된 면에 네 개의 홈들(114, 124)이 구비되고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의 하부에 총 네 개의 돌출요소(134, 144)가 구비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114, 124)과 돌출요소(134, 144)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몸체(110, 120)는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각각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 몸체부재(120)의 아치형 직경은 제1 몸체부재(110)의 아치형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서로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재(110)의 아치형 단부는 제2 몸체부재(120)의 아치형 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아치형 단부가 중첩되게 배치된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전방 회전부재(170)와 후방 회전부재(180)를 통해 결합되어 속이 빈 통 형상으로 몸체(110, 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전방 회전부재(170)와 후방 회전부재(180)를 회전축으로 하여 서로 회동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도 6과 도7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몸체(110, 120)의 횡 방향 단면은 원 형상일 수 있고,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의 횡 방향 단면은 곡선 또는 꺾인선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변기커버(130)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 120)의 개방된 상부면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변기커버(140)도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 120)의 개방된 상부면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기커버(130)는 제1 몸체부재(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변기커버(140)는 제2 몸체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는 서로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 120)의 상부 테두리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서 절단된 도넛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제1 변기커버(130)는 제1 몸체부재(140)와 제1 힌지부재(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 변기커버(140)는 제2 몸체부재(140)와 제2 힌지부재(1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부재(150)는 제1 변기커버(130)의 하부면 또는 측면과 제1 몸체부재(110) 상부의 만곡되어 형성된 면이, 제1 변기커버(130)가 제1 몸체부재(110)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힌지결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부재(150)가 제1 몸체부재(110)의 상부의 만곡된 면과 제1 변기커버(130)의 하부면 중앙을 연결하여서, 제1 변기커버(130)는 제1 힌지부재(150)를 통해 제1 몸체부재(110)에 대하여 회동(선회)될 수 있다. 즉, 제1 변기커버 아치형의 양측 단부(C 모양의 말단부분)인 제1 전방단부(131)와 제1 후방단부(132)는 제1 몸체부재(110)의 상부면 테두리에 접촉된 상태에서 휴대용 변기(1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재(160)는 제2 변기커버(140)의 하부면 또는 측면과 제2 몸체부재(120) 상부의 만곡되어 형성된 면이, 제2 변기커버(140)가 제2 몸체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힌지결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힌지부재(160)가 제2 몸체부재(120)의 상부의 만곡된 면과 제2 변기커버(140)의 하부면 중앙을 연결하여서, 제2 변기커버(140)는 제2 힌지부재(160)를 통해 제2 몸체부재(12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즉, 제1 변기커버(130)와 동일하게 제2 변기커버(140) 아치형의 양측 단부인 제2 전방단부(141)와 제2 후방단부(142)는 제2 몸체부재(110)의 상부면 테두리에 접촉된 상태에서 휴대용 변기(1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 상에 대칭되게 배치된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의 제1 전방단부(131)와 제2 전방단부(14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후방단부(132)와 제2 후방단부(142)도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방단부(131)와 제2 전방단부(141) 및 제1 후방단부(132)와 제2 후방단부(142)는 제1 힌지부재(160)와 제2 힌지 부재(170)를 통해 동시에 휴대용 변기(1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힌지부재(150)와 제2 힌지부재(160)의 회전축이 제1 변기커버(130), 제2 변기커버(140)의 면과 제1 몸체부재(110) 및 제2 몸체부재(120)의 만곡되어 형성된 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서, 제1 변기커버(130)의 제1 전방단부(131)와 제1 후방단부(132) 및 제2 변기커버(140)의 제2 전방단부(141)와 제2 후방단부(142)를 모두 휴대용 변기(100)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부재(150)는 제1 변기커버(130)의 면과 제1 몸체부재(1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힌지부재(160)는 제2 변기커버(140)의 면과 제2 몸체부재(12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변기커버(130)의 면과 제1 몸체부재(110)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 힌지부재(150)는 제1 변기커버(130)의 일 측 단부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변기커버(140)의 면과 제2 몸체부재(120)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힌지부재(160)도 제2 변기커버(140)의 일측 단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힌지부재(150)는 제1 몸체부재(110)에 대하여 제1 변기커버(130)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 제2 힌지부재(160)도 제2 몸체부재(120)에 대하여 제2 변기커버(140)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의 만곡된 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도 1d를 참조하여, 회동을 통해 노출되는 제1 몸체부재(110) 또는 제2 몸체부재(120) 상부의 만곡된 면에는 배변봉투(B)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배변봉투(B)는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 상부 테두리를 덮고 펼쳐져서 몸체(110, 1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변기커버(130) 또는 제2 변기커버(140)는 다시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 상부의 만곡된 면을 덮도록 회동될 수 있으며, 제1 변기커버(130)와 제1 몸체부재(110)의 접촉과 제2 변기커버(140)와 제2 몸체부재(120)의 접촉에 따라 배변봉투(B)는 휴대용 변기(1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가 회동되어서,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의 적어도 일 단부(131, 132, 141, 142)가 제1 몸체부재(110) 또는 제2 몸체부재(120)와 이격되면 설치된 배변봉투(B)는 제거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제1 변기커버(130)와 제1 몸체부재(110) 사이 및 제2 변기커버(140)와 제2 몸체부재(120) 사이에는 각각 걸림요소(122)와 후크요소(143)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요소(122)와 후크요소(143)는 서로 맞물려서, 제1 변기커버(130) 또는 제2 변기커버(140)가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변기커버(130) 또는 제2 변기커버(140)를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변기커버(140)의 일 측에는 후크요소(14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기커버(140)가 제2 몸체부재(120)에 접촉할 시, 제2 변기커버(140)의 후크요소(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요소(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변기커버(140)의 후크요소(143)와 제2 몸체부재(120)의 걸림요소(122)는 서로 맞물려서 제2 변기커버(140)가 제2 몸체부재(1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제2 변기커버(140)의 후크요소(143)와 제2 몸체부재(120)의 걸림요소(122)는 탈거되어서 제2 변기커버(140)의 일 단부가 제2 몸체부재(120)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변기커버(140)가 제2 몸체요소(12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여, 제1 변기커버(130)와 제1 몸체부재(110) 사이 및 제2 변기커버(140)와 제2 몸체부재(120) 사이에는 홈(114, 124) 또는 돌출요소(134, 144)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기커버(130)의 하부면에는 돌출요소들(134)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변기커버(130)의 돌출요소들(134)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몸체부재(110) 상부 만곡된 면 상의 위치에는 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변기커버(140)의 하부면에는 돌출요소들(144)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기커버(140)의 돌출요소들(144)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 몸체부재(120)의 상부 만곡된 면 상의 위치에는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요소들(134, 144)과 홈들(114, 124)은 제1 변기커버(130) 또는 제2 변기커버(140)의 제1 몸체부재(110) 또는 제2 몸체부재(120)에 대한 회동에 의해 맞물려지거나 해제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요소들(134, 144)과 홈들(114, 124)의 맞물림에 의해 배변봉투(B)는 휴대용 변기(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의 상부 면은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곡면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는 바나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석을 위해 제1 변기커버(130) 또는 제2 변기커버(140)는 사용자의 엉덩이 곡면에 대응되도록 일 단부가 곡선 형태로 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변기커버(130)와 제2 변기커버(140)의 회동시킬 시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 변기커버(130)의 하부면과 제2 변기커버(140)의 하부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회동을 도시하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의 서로 중첩된 단부 부분에 설치되는 전방 회전부재(170)와 후방 회전부재(180)는 서로 동일한 회전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전방 회전부재(170)와 후방 회전부재(18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몸체부재(110)의 아치형 내측면 부근에 제2 몸체부재(120)의 아치형 외측면이 위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몸체부재(120)의 하부면 테두리 및 제1 몸체부재(11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제1 변기커버(130)가 위치될 수 있으며,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몸체부재(110)의 하부면 테두리 및 제2 몸체부재(12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제2 변기커버(140)가 위치될 수 있다.
회동되는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제1 몸체부재(110)가 제2 변기커버(140)와 접촉되거나 제2 몸체부재(120)가 제1 변기커버(130)와 접촉되면 회동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제2 몸체부재(120) 상에 위치되는 제2 변기커버(140)의 하부면이 제1 몸체부재(110)의 하부면 테두리와 접촉되면(도 7 참조), 제1 몸체부재(110)는 제2 변기커버(140)에 의해 회동이 정지될 수 있고, 제1 몸체부재(110) 상게 위치되는 제1 변기커버(130)의 하부면이 제2 몸체부재(120)의 하부면 테두리와 접촉되면, 제2 몸체부재(120)는 제2 변기커버(130)에 의해 회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부재(110)와 제2 몸체부재(120)는 포개어져서 하나의 아치 형상으로 중첩되도록 접힐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특징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아이의 깔끔한 배변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봉투를 고정시킬 수 있고, 아이와의 야외 활동 시 신속하게 아이의 배변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쉽고 설치할 수 있으며, 간단한 회동을 통해 휴대용 변기의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아이가 안정적인 자세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변기커버가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이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기는 배변봉투를 단단하 고정시키도 쉽게 제거시킬 수 있으며, 부모의 핸드백에 보관될 시 핸드백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변기
110 : 제1 몸체부재
114 : 홈
120 : 제2 몸체부재
122 : 걸림요소
124 : 홈
130 : 제1 변기커버
131 : 제1 전방단부
132 : 제1 후방단부
134 : 돌출요소
140 : 제2 변기커버
141 : 제2 전방단부
142 : 제2 후방단부
143 : 후크 요소
144 : 돌출요소
150 : 제1 힌지부재
160 : 제2 힌지부재
170 : 전방 회전부재
180 : 후방 회전부재
B : 배변봉투

Claims (7)

  1. 상부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통 형상의 몸체;
    상기 개방된 상부면 상에 설치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제1 변기커버; 및
    상기 개방된 상부면 상에 상기 제1 변기커버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변기커버;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 각각의 일 측들이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동되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일 아치형 말단부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이격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가 노출되는, 휴대용 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의 단부들과 상기 제2 변기커버의 단부들이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위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면 두 측부에서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휴대용 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단부들이 위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면의 둘레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배변봉투가 설치되는, 휴대용 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몸체부재 및 제2 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속이 빈 통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재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재도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아치형 직경은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아치형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는 아치형의 각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몸체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단부는 서로 회전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는 회전되어 상기 제2 몸체부재가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아치형 내로 포개어져서 하나의 아치형상으로 중첩되도록 접히는, 휴대용 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는 상기 제1 몸체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제2 몸체부재와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가 회동되어 형성되는 포개진 아치형상의 양쪽 측면에 각각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가 배치되는, 휴대용 변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재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하부면이 접촉되거나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변기커버의 하부면이 접촉되면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회동은 정지되는, 휴대용 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걸림요소 또는 후크요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몸체의 상기 걸림요소 또는 상기 후크요소에 대응되는 걸림요소 또는 후크요소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걸림요소와 상기 후크요소는 서로 체결되어서 상기 제1 변기커버와 상기 제2 변기커버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휴대용 변기.
KR2020170005390U 2017-10-18 2017-10-18 휴대용 변기 KR200489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90U KR200489245Y1 (ko) 2017-10-18 2017-10-18 휴대용 변기
EP18868459.1A EP3698692A4 (en) 2017-10-18 2018-10-16 PORTABLE TOILET
CN201890001266.XU CN212679013U (zh) 2017-10-18 2018-10-16 便携式坐便器
PCT/KR2018/012148 WO2019078569A1 (ko) 2017-10-18 2018-10-16 휴대용 변기
US16/482,923 US11058265B2 (en) 2017-10-18 2018-10-16 Portable toilet
DE202018006332.0U DE202018006332U1 (de) 2017-10-18 2018-10-16 Tragbarer Nachttopf
JP2020541632A JP6960701B2 (ja) 2017-10-18 2018-10-16 ポータブル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90U KR200489245Y1 (ko) 2017-10-18 2017-10-18 휴대용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84U KR20190000984U (ko) 2019-04-26
KR200489245Y1 true KR200489245Y1 (ko) 2019-05-21

Family

ID=6617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90U KR200489245Y1 (ko) 2017-10-18 2017-10-18 휴대용 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8265B2 (ko)
EP (1) EP3698692A4 (ko)
JP (1) JP6960701B2 (ko)
KR (1) KR200489245Y1 (ko)
CN (1) CN212679013U (ko)
DE (1) DE202018006332U1 (ko)
WO (1) WO2019078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1886B (zh) * 2019-12-06 2021-10-08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手推式轮椅用坐便器
USD1016255S1 (en) * 2020-12-07 2024-02-27 Tai zhou Haoba Maternal and Baby Products Co., Ltd. Potty seat
USD996588S1 (en) * 2021-03-23 2023-08-22 Koa Importing Pty. Ltd. Camping toilet seat
USD1000595S1 (en) * 2021-10-16 2023-10-03 Tai zhou Haoba Maternal and Baby Products Co., Ltd. Children's toilet
USD1006965S1 (en) * 2022-04-01 2023-12-05 Chen Li Collapsible portable travel potty for toddler and kids
DE202022101957U1 (de) 2022-04-12 2022-04-22 Anna Wirsching Toiletten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370A (ja) * 2013-12-25 2015-07-06 俊▲チェン▼ 林 携帯型折り畳み便座椅子
KR101650536B1 (ko) * 2015-03-02 2016-08-24 곽정은 휴대형 유아 변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527A (ja) * 1996-10-28 1998-05-19 Takeshi Wanibuchi 便器フタを肘掛けとして使用できる洋式便器
JP2994610B2 (ja) * 1997-10-13 1999-12-27 有限会社タカテック 携帯トイレ
JP2001252218A (ja) * 2000-03-09 2001-09-18 Terauchi Bussan Kk 組立式携帯便器
JP2002051940A (ja) * 2000-08-08 2002-02-19 Kazuhiro Kawada 便座の改良と携帯トイレ
KR100807347B1 (ko) * 2005-10-31 2008-02-28 이덕삼 유아용 변기
JP2008063920A (ja) * 2006-09-05 2008-03-21 Takeshi Nishio 立位排尿兼用大便器
US20090119828A1 (en) * 2007-11-08 2009-05-14 Joan Meredith Moriyama Commode liner and receptacle apparatus
JP3159702U (ja) * 2009-12-24 2010-06-03 キッカーランド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りたたみ式踏み台
US20110258767A1 (en) * 2010-04-26 2011-10-27 Chia Ling Lok Portable folding potty seat assembly
KR101420001B1 (ko) 2012-04-25 2014-07-17 유영식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변기
US9579001B2 (en) * 2013-01-29 2017-02-28 Maha Medical Equipment Mobile split-seat assembly
US20160278586A1 (en) * 2015-03-24 2016-09-29 Christopher Gordon Dimmitt Collapsible toilet with enhanced stability and strength
CN204813677U (zh) * 2015-07-23 2015-12-02 宁波扎努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座圈
KR101670632B1 (ko) * 2016-04-26 2016-11-09 김원배 휴대용 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370A (ja) * 2013-12-25 2015-07-06 俊▲チェン▼ 林 携帯型折り畳み便座椅子
KR101650536B1 (ko) * 2015-03-02 2016-08-24 곽정은 휴대형 유아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6714A (ja) 2020-12-17
KR20190000984U (ko) 2019-04-26
EP3698692A1 (en) 2020-08-26
WO2019078569A1 (ko) 2019-04-25
EP3698692A4 (en) 2021-07-07
US11058265B2 (en) 2021-07-13
JP6960701B2 (ja) 2021-11-05
CN212679013U (zh) 2021-03-12
US20190357737A1 (en) 2019-11-28
DE202018006332U1 (de)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45Y1 (ko) 휴대용 변기
US6341386B1 (en) Portable potty apparatus
US9993123B2 (en) Portable toilet system
US7665157B2 (en) Child's toilet training chair
US6000068A (en) Portable commode seat
TWI489960B (zh) 可攜式馬桶座折疊椅
US20140259354A1 (en) Potty with liquid management system
US5974598A (en) Portable toilet
US6112339A (en) Portable toddler/young child potty
US20210227994A1 (en) Changing Mat
CA2357429A1 (en) A portable toilet seat
US6782565B2 (en) Portable lavatory apparatus
CN209733813U (zh) 便携式马桶
US6948196B2 (en) Portable lavatory apparatus
KR101650536B1 (ko) 휴대형 유아 변기
US20090255044A1 (en) Portable Toilet
KR200470185Y1 (ko) 식판이 구비된 휠체어
JP5537451B2 (ja) 可搬便器
JP3221396U (ja) 伸縮浴槽構造
KR100676148B1 (ko) 휠체어
WO2017212093A1 (es) Inodoro con basculación automática del asiento hacia la tapa
KR101930629B1 (ko) 휴대 가능한 유아용 좌변대
JP3114707U (ja) 携帯用便器
JP3211620U (ja) 小便用椅子
JP3208670U (ja) 組立式簡易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