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79Y1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79Y1
KR200488779Y1 KR2020170003228U KR20170003228U KR200488779Y1 KR 200488779 Y1 KR200488779 Y1 KR 200488779Y1 KR 2020170003228 U KR2020170003228 U KR 2020170003228U KR 20170003228 U KR20170003228 U KR 20170003228U KR 200488779 Y1 KR200488779 Y1 KR 200488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oupling housing
housing
shaft member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04U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7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6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F16H2057/02073Reduction gearboxes for indus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16H2057/0221Axial adjustment

Abstract

본 고안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기어열을 가지는 축부재와, 축부재의 기어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축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베어링을 감싸서 결합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축부재의 축 방향 유격을 보상하기 위한 유격 보상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축방향 진동에 대하여 일정이상의 하중으로 지지하여 축방향 유격을 발생하더라도 보상할 수 있어 베어링의 내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감속기 {Deceleration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본 고안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 하우징에 접촉을 유지하면서 구동축 방향으로의 유격이 발생시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전달 토오크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자동차, 기차와 같은 운행 설비나 굴삭기와 같은 산업기계류 등에 널리 이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감속기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속기(1)는 케이스(10)와,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다수의 기어를 갖는 기어열(20)과, 기어열(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입력축(30)과 출력축(31)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감속기(1)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기어열(20)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스(10)에는 전면과 후방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입력축(30)과 출력축(31)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40)이 관통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베어링(40)에 입력축(30)과 출력축(31)이 끼워져 결합되고, 각 베어링(40)의 외측에 각각 베어링 하우징(50)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베어링(40)의 외륜이 베어링 하우징(50)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속기는 운행조건에 따라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베어링(40)의 내륜이 팽창하는 등의 현상으로 인하여 베어링(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시 일정 값의 축방향 유격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운행 중에 베어링(40)의 내륜과 외륜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축 유격이 유지되지 못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454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베어링을 별도의 커버부재로 감싼 후에 베어링 하우징에 축 유격없이 장착하되, 베어링의 외륜을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시 축유격의 발생시 이를 보상하여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어열을 가지는 축부재와, 축부재의 기어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축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베어링을 감싸서 결합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축부재의 축 방향 유격을 보상하기 위한 유격 보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격 보상 부재는 베어링 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며, 일측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하우징과, 결합하우징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에 대해 베어링을 탄력 지지하여 베어링이 고정되는 축부재의 축방향 유격을 보상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체는, 일단부가 결합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홈부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베어링에 형성되는 제2홈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하우징과 베어링 사이에는 결합하우징 내에서 베어링의 외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방지부는, 베어링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와, 결합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축부재에 결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유격 보상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축방향 진동에 대하여 일정이상의 하중으로 지지하여 축방향 유격을 발생하더라도 보상할 수 있어 베어링의 내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속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감속기의 베어링과 유격 보상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베어링과 유격보상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감속기의 베어링과 유격 보상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베어링과 유격보상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는 감속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다수의 기어를 갖는 기어열(110), 기어열(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입력축과 출력축인 축부재(120), 축부재(120)의 기어열(110)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축부재(1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30)과, 양측 베어링(130)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140)과, 베어링 하우징(140)과 베어링(130) 사이에 구비되어 축부재(120)의 유격을 보상하기 위한 유격 보상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축부재(120)는 입력축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앙에 출력축의 기어열(미도시)에 치합되는 기어열(110)이 구비된다.
베어링(130)은 기어열(110)의 양측에서 축부재(120)에 결합되어 축부재(120)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으로, 내륜(131), 복수의 롤러(132), 외륜(13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어링(130)은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베어링 하우징(140)은 한 쌍의 베어링(130)을 각각 감싸 고정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 베어링 하우징(140)은 한 쌍의 베어링(130) 감싸 고정하되, 축부재(120)의 단부까지 감쌀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축부재(120)가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하고 베어링(130)만을 감싸도록 내주면에 플랜지가 절곡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유격 보상 부재(150)는 베어링 하우징(140)과 베어링(130)의 외륜(133) 사이에 구비되어 축부재(120)의 유격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하우징(151)과, 탄성체(152)로 구성된다.
결합하우징(15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베어링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고, 베어링 하우징(140) 쪽을 향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30)의 외륜(133)이 끼워져 결합된다.
탄성체(152)는 결합하우징(151)의 플랜지와 베어링(130)의 외륜(133)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151)에 대하여 베어링(130)을 탄력 지지하여 축방향의 유격을 보상하게 된다.
탄성체(152)는 일단부가 결합하우징(151)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1홈부(151a)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베어링(130)의 외륜(133)에 형성되는 제2홈부(133a)에 끼워져 결합된다.
결합하우징(151)과 베어링(130)의 외륜(133)에는 결합하우징(151) 내에서 베어링(130)의 외륜(13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60)가 구비된다.
회전방지부(160)는 베어링(130) 외륜(133)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61)와,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돌기(161)가 끼워지는 요홈(162)으로 구성되다.
베어링(130)의 외륜(133)을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 결합할 때, 외륜(133)의 돌기(161)가 결합하우징(151)의 요홈(162)에 맞춰서 끼워질 때, 탄성체(152)를 고정하는 결합하우징(151)의 제1홈부(151a)와 외륜(133)의 제2홈부(133a)는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방지부(160)는 결합하우징(151)과 내륜(131)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151)에서 내륜(13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방지부(160)는 베어링(130)의 내륜(131)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61)와, 결합하우징(151)에 형성되되 돌기(161)가 끼워지는 요홈(16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속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는, 제1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에서 베어링(130)의 내륜(131)과 축부재(120) 사이에 유격 보상 부재(150)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유격 보상 부재(150)는 축부재와 베어링 내륜 사이에 구비되어 축부재(120)의 유격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하우징(151)과, 탄성체(152)로 구성된다.
결합하우징(15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이 축부재(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기어열(110)을 향하는 단부의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152)는 결합하우징(151)의 플랜지와 베어링(130)의 내륜(133)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151)에 대하여 베어링(130)을 탄력 지지하여 축방향의 유격을 보상하게 된다.
탄성체(152)는 일단부가 결합하우징(151)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1홈부(151a)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베어링(130)의 내륜(133)에 형성되는 제2홈부(133a)에 끼워져 결합된다.
결합하우징(151)과 베어링(130)의 내륜(133)에는 결합하우징(151) 내에서 베어링(130)의 내륜(13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60)가 구비된다.
회전방지부(160)는 베어링(130) 외륜(133)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61)와,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돌기(161)가 끼워지는 요홈(162)으로 구성되다.
베어링(130)의 외륜(133)을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 결합할 때, 외륜(133)의 돌기(161)가 결합하우징(151)의 요홈(162)에 맞춰서 끼워질 때, 탄성체(152)를 고정하는 결합하우징(151)의 제1홈부(151a)와 외륜(133)의 제2홈부(133a)는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방지부(160)는 결합하우징(151)과 내륜(131)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151)에서 내륜(13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방지부(160)는 베어링(130)의 내륜(131)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61)와, 결합하우징(151)에 형성되되 돌기(161)가 끼워지는 요홈(16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에서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의 결합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어링(130)을 외륜(133)과 내륜(131)으로 분해한 후에, 축부재(120)의 기어열(110) 양측에서 축부재(120)의 외주면에 베어링(130)의 내륜(131)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후에, 베어링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결합하우징(151)을 외주면을 압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탄성체(152)는 일단부를 베어링(130)의 외륜(133)에 형성되는 제2홈부(133a)에 끼워서 고정하되, 베어링(130)의 외륜(133)과 내륜(131)을 분리한 후에, 외륜(133)의 제2홈부(133a)에 고정하는 것이다. 즉,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 베어링(130)의 외륜(133)을 결합하기 전에 탄성체(152)는 외륜(133)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탄성체(152)가 고정된 외륜(133)을 결합하우징(151)의 내주면에 끼워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베어링(130) 외륜(133)의 돌기(161)를 결합하우징(151)의 요홈(162)에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그러면, 베어링(130) 외륜(133)에 고정된 탄성체(152)는 결합하우징(151)의 제1홈부(151a)에 끼워져 탄력 지지된다.
이후에, 베어링 외륜(133)이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140)을 축부재(120)에 결합된 베어링 내륜(131)에 끼워서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내륜(131)에는 복수의 롤러(132)가 케이지(cage)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감속기
110 : 기어열
120 : 축부재
130 : 베어링
131 : 내륜 132 : 롤러
133 : 외륜 133a : 제2홈부
140 : 베어링 하우징
150 : 유격 보상 부재
151 : 결합하우징 151a : 제1홈부
152 : 탄성체
160 : 회전방지부
161 : 돌기 162 : 요홈

Claims (7)

  1. 기어열을 가지는 축부재;
    축부재의 기어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축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되, 축부재에 압입 고정되는 내륜과, 내륜의 외주면에서 이동되도록 케이지로 결합되는 복수의 구름부재와, 복수의 구름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륜으로 구성되는 베어링;
    베어링을 감싸서 결합하는 베어링 하우징;
    축부재와 베어링 사이 또는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하우징에 대해 베어링을 탄력 지지하여 축부재의 축 방향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 부재; 및
    결합하우징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에 대해 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유격 보상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외주면이 베어링 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고, 베어링 하우징 쪽을 향하는 단부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하우징과,
    결합하우징의 플랜지와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에 대해 베어링을 탄력 지지하여 축부재의 축방향 유격을 보상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유격 보상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이 축부재의 외주면에 압입 고정되고, 기어열을 향하는 단부의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하우징과,
    결합하우징의 플랜지와 내륜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에 대해 베어링을 탄력 지지하여 축부재의 축방향 유격을 보상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일단부가 결합하우징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1홈부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베어링의 외륜이나 내륜에 형성되는 제2홈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5. 제2항에 있어서,
    회전방지부는,
    결합하우징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 내에서 베어링의 외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6. 제3항에 있어서,
    회전방지부는,
    결합하우징과 내륜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하우징에서 베어링의 내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회전방지부는,
    외륜이나 내륜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와,
    결합하우징에 형성되되, 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KR2020170003228U 2017-06-22 2017-06-22 감속기 KR200488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228U KR200488779Y1 (ko) 2017-06-22 2017-06-22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228U KR200488779Y1 (ko) 2017-06-22 2017-06-22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04U KR20190000004U (ko) 2019-01-02
KR200488779Y1 true KR200488779Y1 (ko) 2019-03-18

Family

ID=6501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228U KR200488779Y1 (ko) 2017-06-22 2017-06-22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030A (ko) 2021-09-15 2023-03-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감속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999B1 (ko) 2011-09-28 2013-08-13 현대다이모스(주) 감속기의 물 유입 방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030A (ko) 2021-09-15 2023-03-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04U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2754B2 (ja) 無給油チェーン
JP2016522367A (ja) 車両差動切断アセンブリ
KR102302651B1 (ko)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JP2007187285A (ja) ブッシュ軸受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ラック−ピニオン式操舵装置
JP6047999B2 (ja) 回転支持装置
JP2008138779A (ja) 軸支持装置及び円筒ころ軸受の予圧法
US9033636B2 (en) Balanced snap ring
JP2016176600A (ja) 軸受保護システム
KR200488779Y1 (ko) 감속기
JP4595493B2 (ja) 回転体支持構造
KR20190092261A (ko)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WO2015029921A1 (ja) 軸受密封装置
WO2009093569A1 (ja) 摩擦ローラ式伝動装置
JP2015128924A (ja) 軸受モジュール
JP2008082393A (ja) 自動車用駆動軸
JP6108321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6509084B2 (ja) 車両用変速装置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
JP2006125624A (ja) 球面滑り軸受
US10704664B2 (en) Differential gear device
JP2014214812A (ja) 継手
JP2020046055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S6017569Y2 (ja) 自動車用歯車変速機
JP2006316820A (ja) 調芯機能付軸受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軸受装置
JP5748428B2 (ja) 軸受構造
JPS606679Y2 (ja) 歯車変速機の振動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