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04Y1 -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04Y1
KR200487704Y1 KR2020160005611U KR20160005611U KR200487704Y1 KR 200487704 Y1 KR200487704 Y1 KR 200487704Y1 KR 2020160005611 U KR2020160005611 U KR 2020160005611U KR 20160005611 U KR20160005611 U KR 20160005611U KR 200487704 Y1 KR200487704 Y1 KR 200487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ing
inner cone
core
ball join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50U (ko
Inventor
박성준
윤태욱
박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to KR2020160005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0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꼬깔의 절개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클램프링의 체결시 꼬깔의 절개부의 틈에 부트가 끼임에 따른 부트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클램프링이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는, 볼조인트의 부트를 볼조인트의 하우징에 클램프링을 매개로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이 끼워져 외측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꼬깔과, 상기 꼬깔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동시 상기 꼬깔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볼조인트의 볼스터드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인너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Jig Device for Clamping Clamp-ring}
본 고안은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조인트의 부트를 볼조인트의 하우징 둘레에 클램프링을 매개로 장착할 때 클램프링을 간편하게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부품인 볼조인트는 스티어링 너클과 서스펜션 컨트롤암을 연결하는 구형의 베어링으로서, 핸들의 회전시 스티어링 너클이 회전하는 중심점의 역할을 하여 자유로운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클램프링이 체결된 볼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볼조인트(10)는, 구 형상의 구두부(11)와, 그 상부에 단조(forg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볼스터드(12)와, 그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13a)가 외주면에 형성된 축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스터드(1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14)와, 상기 구두부(11)를 감싸는 하우징(15)의 사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부트(16)가 결합된다. 상기 부트(16)의 상단은 플랜지부(14)에 체결되고, 부트(16)의 하단은 하우징(15)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홈(17)에 클램프링(18)을 매개로 체결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트(16)를 하우징(15)의 상단부 외주면에 씌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17)에 클램프링(18)을 체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100)가 사용된다.
상기 지그장치(100)는 꼬깔(110)과 길이조정볼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꼬깔(110)은, 클램프링(18)이 끼워지는 상부(111)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프링(18)의 하향 이동시 클램프링(18)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중간부(112)와, 상기 중간부(112)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꼬깔(110)의 중간부(112)와 하부(113)에는 상기 꼬깔(1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114)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14)는 클램프링(18)의 이동시 꼬깔(110)의 직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길이조정볼트(120)는, 상기 꼬깔(110)의 상부(111) 내측에 형성된 나사탭(111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21)와, 상기 나사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13)의 상면에 안착되는 머리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정볼트(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서 머리부(122)의 하단과 축부(13)의 상면이 맞닿게 되는 안착기준면(A)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링(18)은 꼬깔(110)의 상부(111)에 끼워진 후에 별도의 클램프링 가압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고, 꼬깔(110)의 중간부(112)와 하부(113)를 순차로 이동한 후에, 하부(113)의 하단에서 이탈하여 체결홈(17)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100)는, 클램프링(18)의 이동시 꼬깔(110)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하기 위한 구성이 미비하여, 꼬깔(110)의 절개부(114)에 국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됨으로써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클램프링(18)이 꼬깔(110)의 하부(113)를 통과하는 중에 꼬깔(110)의 절개부(114)에 부트(16)가 끼임으로써 부트(16)가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스터드(12)는 단조 성형에 의해 치수 관리가 정밀하게 이루어짐에 반하여, 축부(13)는 제품에 따라 길이의 오차가 큰 부분인데, 종래의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100)는 안착기준면(A)이 축부(13)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볼조인트(10)의 제품별 오차가 크게 존재하는 경우에는 꼬깔(110)과 길이조정볼트(120)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게 되므로 클램프링(18)이 체결홈(17)에 정위치 되지 않아 클램프링(18)의 권선이 꼬인 상태로 체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클램프링(18)의 꼬임을 풀어 정위치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216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32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꼬깔의 절개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클램프링의 체결시 꼬깔의 절개부의 틈에 부트가 끼임에 따른 부트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클램프링이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는, 볼조인트의 부트를 볼조인트의 하우징에 클램프링을 매개로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이 끼워져 외측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꼬깔; 상기 꼬깔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동시 상기 꼬깔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볼조인트의 볼스터드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인너콘;을 포함하되, 상기 꼬깔은, 상기 클램프링이 끼워지는 상부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프링의 하향 이동시 클램프링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탈을 유도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깔은, 내부가 중공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꼬깔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꼬깔의 하부와 중간부에 걸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인너콘은, 상기 꼬깔의 상부와 중간부의 일부분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꼬깔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꼬깔의 중간부 중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볼조인트는, 단조에 의해 성형된 상기 볼스터드와, 상기 볼스터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콘의 내부에는, 상기 볼스터드의 상단과 상기 축부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지지턱 상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콘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꼬깔의 상부에는 상기 인너콘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꼬깔과 인너콘 간의 상대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꼬깔의 하부는 상기 부트를 둘러싸며, 상기 꼬깔의 하부의 하단은 상기 클램프링이 체결되는 상기 볼스터드에 형성된 체결홈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탈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에 의하면, 꼬깔의 내측에 인너콘을 구비함으로써 클램프링의 이동시 클램프링의 조임에 따라 꼬깔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꼬깔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꼬깔과 부트 사이에 인너링이 개재되므로, 클램프링의 체결시 꼬깔의 절개부의 틈에 부트가 끼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부트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인너콘이 지지되는 안착기준면을 단조 성형에 의해 정밀 가공되는 볼스터드의 상단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볼조인트의 제품별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꼬깔과 인너콘이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클램프링이 체결홈의 정위치에 꼬임 없이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클램프링이 체결된 볼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를 구성하는 꼬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클램프링과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를 구성하는 꼬깔과 인너콘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해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고안에 새롭게 부가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클램프링과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를 구성하는 꼬깔과 인너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200)는, 클램프링(18)이 끼워져 외측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꼬깔(210)과, 상기 꼬깔(2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링(18)의 이동시 꼬깔(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볼조인트(10)의 볼스터드(12)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인너콘(220,Inner Con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꼬깔(210)은, 내부가 중공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클램프링(18)이 끼워지는 상부(211)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프링(18)의 하향 이동시 클램프링(18)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중간부(212)와, 상기 중간부(212)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링(18)의 이탈을 유도하는 하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꼬깔(210)의 중간부(212)와 하부(213)에는, 상기 꼬깔(21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214)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14)는 클램프링(18)의 이동시 꼬깔(210)의 직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인너콘(220)은, 몸체부(221)와 나사부(222) 및 연장부(22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21)는 꼬깔(210)의 상부(211)와 중간부(21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꼬깔(210)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내부에는 볼조인트(10)의 축부(13)가 수용되는 수용홈(2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22)는 몸체부(22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꼬깔(210)의 상부(211) 내측에 형성된 나사탭(211a)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콘(2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서 꼬깔(210)과 인너콘(220) 간의 상대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223)는 상기 몸체부(22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꼬깔(210)의 중간부(212)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볼조인트(1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224b)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볼조인트(10)는, 단조에 의해 성형된 볼스터드(12)와, 상기 볼스터드(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축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인너콘(220)의 내부에는, 상기 볼스터드(12)의 상단과 상기 축부(13)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지지턱(13b) 상에 안착되는 걸림턱(2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턱(13b)과 걸림턱(221a)이 맞닿는 면은 인너콘(220)의 안착기준면(B)이 된다. 상기 인너콘(220)의 회전에 의해 꼬깔(210)과 인너콘(220)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상기 안착기준면(B)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꼬깔(210)의 상부(211)와 중간부(212)는 인너콘(220)에 의해 지지되고, 꼬깔(210)의 하부(213)는 볼조인트(210)의 부트(16)를 둘러싸며, 꼬깔(210)의 하부(213)의 하단은 상기 클램프링(18)이 체결되는 체결홈(17)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클램프링(18)의 이탈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링(18)은 꼬깔(210)의 상부(211)에 끼워진 후에 별도의 클램프링 가압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고, 꼬깔(210)의 중간부(212)와 하부(213)를 순차로 이동한 후에, 하부(213)의 하단에서 이탈하여 체결홈(17)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꼬깔(210)의 내측에 인너콘(220)을 구비함으로써 클램프링(18)의 이동시 클램프링(18)의 조임에 따라 꼬깔(210)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꼬깔(210)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꼬깔(210)과 부트(16) 사이에 인너링(220)이 개재되므로, 클램프링(18)의 체결시 꼬깔(210)의 절개부(214)의 틈에 부트(16)가 끼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부트(16)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인너콘(220)이 지지되는 안착기준면(B)을 단조 성형에 의해 정밀 가공되는 볼스터드(12)의 상단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볼조인트(10) 제품별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꼬깔(210)과 인너콘(220)이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클램프링(18)이 체결홈(17)의 정위치에 꼬임 없이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 볼조인트 11 : 구두부
12 : 볼스터드 13 : 축부
13a : 나사부 14 : 플랜지부
15 : 하우징 16 : 부트
17 : 체결홈 18 : 클램프링
100 :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110 : 꼬깔
111 : 꼬깔의 상부 112 : 꼬깔의 중간부
113 : 꼬깔의 하부 114 : 절개부
120 : 길이조정볼트 121 : 나사부
122 : 머리부 200 :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210 : 꼬깔 211 : 꼬깔의 상부
212 : 꼬깔의 중간부 213 : 꼬깔의 하부
214 : 절개부 220 : 인너콘
221 : 몸체부 222 : 나사부
223 : 연장부 224a : 수용홈
224b : 중공부

Claims (6)

  1. 볼조인트의 부트를 볼조인트의 하우징에 클램프링을 매개로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이 끼워져 외측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꼬깔;
    상기 꼬깔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동시 상기 꼬깔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볼조인트의 볼스터드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인너콘;을 포함하되,
    상기 꼬깔은, 상기 클램프링이 끼워지는 상부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프링의 하향 이동시 클램프링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탈을 유도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깔은, 내부가 중공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꼬깔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꼬깔의 하부와 중간부에 걸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인너콘은, 상기 꼬깔의 상부와 중간부의 일부분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꼬깔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꼬깔의 중간부 중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는, 단조에 의해 성형된 상기 볼스터드와, 상기 볼스터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콘의 내부에는, 상기 볼스터드의 상단과 상기 축부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지지턱 상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콘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꼬깔의 상부에는 상기 인너콘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꼬깔과 인너콘 간의 상대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의 하부는 상기 부트를 둘러싸며, 상기 꼬깔의 하부의 하단은 상기 클램프링이 체결되는 상기 볼스터드에 형성된 체결홈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클램프링의 이탈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KR2020160005611U 2016-09-28 2016-09-28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KR200487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11U KR200487704Y1 (ko) 2016-09-28 2016-09-28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11U KR200487704Y1 (ko) 2016-09-28 2016-09-28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50U KR20180000950U (ko) 2018-04-06
KR200487704Y1 true KR200487704Y1 (ko) 2018-10-24

Family

ID=6196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611U KR200487704Y1 (ko) 2016-09-28 2016-09-28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248B1 (ko) 2019-12-27 2020-06-08 (주)대동스프링 클램프링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9820B (zh) * 2020-08-12 2022-04-01 日商司托瑞特股份有限公司 汽車轉向總成之球接頭防塵套束環裝配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64Y1 (ko) 2003-06-17 2003-11-07 (주)청송엔지니어링 볼 조인트의 더스트 커버 고정용 오링 및 링 클립 결합장치
CN201405321Y (zh) 2009-04-15 2010-02-17 四川望锦机械有限公司 防尘罩簧圈自动装配工装
KR101632656B1 (ko) 2015-02-06 2016-06-22 주식회사 일진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66B1 (ko) * 2012-12-18 2014-09-22 주식회사 센트랄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KR101530329B1 (ko) 2013-12-04 2015-06-22 주식회사 일진 링 클립 조립용 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64Y1 (ko) 2003-06-17 2003-11-07 (주)청송엔지니어링 볼 조인트의 더스트 커버 고정용 오링 및 링 클립 결합장치
CN201405321Y (zh) 2009-04-15 2010-02-17 四川望锦机械有限公司 防尘罩簧圈自动装配工装
KR101632656B1 (ko) 2015-02-06 2016-06-22 주식회사 일진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248B1 (ko) 2019-12-27 2020-06-08 (주)대동스프링 클램프링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50U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8946B2 (en) Tilting-pad bearing
US8403272B2 (en) Clip
KR200487704Y1 (ko)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US7654547B2 (en) Cycle headset
US9689419B2 (en) Temporary attachment and a holder for a member to be held
US20130287478A1 (en) Ball joint
US11110989B2 (en) Handlebar stem connection means and bicycle element
JP2007523301A (ja) 高速回転するロータを支承するための軸受装置
US7504666B2 (en) Optical semiconductor package with compressible adjustment means
US20110241309A1 (en) Adjustable cycle steering headset
CN105908291B (zh) 将纺纱钢领和钢领座固定到钢领板的固定元件
KR20150067221A (ko) 함께 끼움장착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조임 및 체결 조립체
US9145074B2 (en) Seat component positioning structure
KR101118958B1 (ko) 범퍼빔용 클램핑 장치
JP6186271B2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JP2016086883A (ja) デスクの連結構造
JP7145779B2 (ja) 車高調整具
JP2004306942A (ja) ヘッドライトのための整列装置
WO2020054664A1 (ja) 電磁弁ユニット
US20210107587A1 (en) Bicycle Handlebar Stem
KR101442166B1 (ko)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KR101779382B1 (ko) 지지리브를 구비하는 볼 조인트
KR102550597B1 (ko) 차량용 서스펜션장치
KR200491193Y1 (ko) 고정 기구
JP5797698B2 (ja) 支持碍子装着部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