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656B1 -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656B1
KR101632656B1 KR1020150018909A KR20150018909A KR101632656B1 KR 101632656 B1 KR101632656 B1 KR 101632656B1 KR 1020150018909 A KR1020150018909 A KR 1020150018909A KR 20150018909 A KR20150018909 A KR 20150018909A KR 101632656 B1 KR101632656 B1 KR 101632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ring
cone
ring member
c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혁
최원기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5001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11Joints, e.g. ball joints,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은,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커버하는 더스트커버, 부에서 타단부로 그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그 타단부 내부로 상기 더스트커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커버삽입홈이 형성된 콘부재, 상기 콘부재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링부재, 및 상기 콘부재에 배치된 상기 링부재를 상기 콘부재의 타단부로 밀어내고, 상기 콘부재의 타단부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링부재가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연결부위의 일측에 밀착시키는 컬릿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컬릿유닛은, 상기 링부재를 밀어내기 위한 힘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부재에서 전달된 힘을 상기 링부재로 전달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부재에서 상기 제2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ASSEMBLY SYSTEM OF RING MEMBER FOR FIXING DUST COVER}
본 발명은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 조인트의 더스트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더스트커버가 볼 스터드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 클립(Ring Clip)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대체로 원형의 링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링 클립은 통상적으로 어떤 부품에 다른 부품을 연결한 상태에서 2개의 부품의 분리나 혹은 상대적인 이격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한쪽 부품에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링 클립이 차량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 조인트에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에 적용된다.
상기 링클립이 상기 더스트커버에 씌워지는 형태로 볼 조인트에 결합되되, 더스트 커버가 볼 조인트로부터 분리되거나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더스트 커버의 외주면에 링 클립이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 조인트의 단면도로써, 볼 조인트는 하우징(10)과 베어링(20), 캡(30), 볼 스터드(40) 및 더스트 커버(50)를 각각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볼 베어링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그 상단면과 하단면이 각각 개구되게 형성된다.
베어링(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며, 그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볼 스터드(40)의 볼(45)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캡(30)은 베어링(2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의 하단면을 폐쇄하도록 하우징(10)에 끼워져 장착되고, 볼 스터드(40)는 그 일단에 베어링(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45)을 포함한다.
더스트 커버(50)는 베어링(20)과 볼(45) 사이로 외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탄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볼 스터드(40)의 하부와 하우징(10)의 상부를 씌우는 형태로 설치된다.
링 클립(60, 62)은 상기와 같이 설치된 더스트 커버(50)가 볼 스터드(40)로부터이격되어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더스트 커버(50)의 상부/하부에 각각 끼우는 형태로 장착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부재와 링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콘부재(200)는 대체로 원추대 형상을 가지고, 일단부(상단부)에서 하단부(타단부) 방향으로 그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콘부재의 상부는 링 클립(60, 62)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대체로 뽀족한 구조를 가지며, 높이 방향의 상부에 위치한 소경 구형부와 이 소경 구형부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경사면(8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링부재의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링 클립(60, 62)을 볼 조인트의 더스트 커버(50)에 조립하는 방법은, 더스트 커버(50)가 볼 스터드(40)의 하부를 감싸도록 씌워진 상태에서 상기 콘부재(200)의 상기 커버삽입홈(202)에 더스트커버(50)를 삽입한다.
이어서 링 클립(60)을 조립용 콘부재의 위에서부터 끼우고, 링부재 조립장치(미도시)의 하단부가 링 클립(60)을 아래로 압력을 가해서 밀어주면, 링 클립(60)은 상기 콘부재(200)의 경사면(80)을 따라 하강하면서 링 클립의 외경이 확장되고, 상기 링클립(60)이 상기 콘부재(200)의 하단부를 이탈하면서 더스트 커버(50)의 상부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한편, 상기 링부재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링클립(60, 62)을 조립할 때, 상기 링클립(60, 62)의 조립누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러한 링클립의 조립누락을 효과적으로 안정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이의 설치구조도 함께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더스트커버에 링클립을 조립할 때, 상기 링클립의 누락을 용이하게 감지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를 갖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은,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커버하는 더스트커버, 부에서 타단부로 그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그 타단부 내부로 상기 더스트커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커버삽입홈이 형성된 콘부재, 상기 콘부재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링부재, 및 상기 콘부재에 배치된 상기 링부재를 상기 콘부재의 타단부로 밀어내고, 상기 콘부재의 타단부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링부재가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연결부위의 일측에 밀착시키는 컬릿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컬릿유닛은, 상기 링부재를 밀어내기 위한 힘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부재에서 전달된 힘을 상기 링부재로 전달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부재에서 상기 제2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연결부재는 일단부에 볼이 형성되는 볼스터드, 및 상기 볼스터드의 상기 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부재는 상기 더스트커버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볼스터드에 고정하는 어퍼링, 및 상기 더스트커버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볼하우징에 고정하는 링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릿유닛은, 상기 링부재를 누르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컬릿바디, 타단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콘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콘부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단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링부재를 누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타단면이 상기 콘부재의 외경에 따라서 벌어지도록 상기 컬릿바디에 연결되는 푸싱암, 일단부는 상기 컬릿바디에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푸싱암에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는 가이드암, 및 상기 푸싱암과 상기 컬릿바디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콘부재삽입홈을 통해서 삽입된 상기 푸싱암에 의해서 상기 푸싱암과 상기 컬릿바디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컬릿바디에서 상기 콘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된 힘의 실제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실제값과 상기 설정값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링부재의 장착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값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링부재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제값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링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컬릿바디를 하강시켜서 상기 링부재가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연결부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힘의 실제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값과 상기 설정값 사이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링부재의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부재를 미리 설정된 힘으로 누르거나 당기도록 배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에 의하면, 콘부재를 통해서 링부재를 더스트커버에 장착하는 컬릿유닛에서,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상에 로드셀(load cell)을 장착하고,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하중의 수치에 따라서 상기 링부재의 조립누락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부재와 링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조립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조립시스템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조립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조립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링부재의 조립시스템은 볼조인트유닛(100), 콘부재(200), 링클립(60), 컬릿유닛(330)을 포함하고, 상기 컬릿유닛(330)은, 푸싱암(326), 푸싱면(340), 탄성링(328), 제1힌지(324), 가이드암(322), 제2힌지(320), 컬릿바디(332), 로드셀(300), 제1부재(302), 및 제2부재(304)를 포함한다.
상기 볼조인트유닛(100)은, 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 1을 참조하면, 크게 볼스터드(40), 더스트커버(50), 및 볼하우징(10)을 포함하고, 어퍼링(62)은 상기 더스트커버(50)의 상단부를 상기 볼스터드(40)의 외주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링클립(60)은 상기 더스트커버(50)의 하단부를 상기 볼하우징(10)의 외주면에 고정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어퍼링(62) 및 상기 링클립(60)을 포함하여, 링형태를 갖는 부품을 링부재로 통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부재(200)의 하단부 내부로 상기 볼스터드(40)와 상기 더스트커버(50)가 삽입되고, 상기 콘부재(200)의 상부가 상기 링클립(60)에 삽입되도록, 상기 링클립(60)을 상기 콘부재(200)에 장착된다.
상기 컬릿유닛(330)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중심부에 컬릿바디(332)가 배치되고, 상기 컬릿바디(332)의 상부측에 제1부재(302), 로드셀(300), 및 상기 제2부재(304)가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된다.
상기 제1부재(302)를 통해서 상부에서 하부로 하중이 전달되고, 상기 로드셀(300)은 하중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2부재(304)는 상기 컬릿바디(332)로 하중을 전달한다.
상기 컬릿바디(332)의 일측 외주면에는 중심축(450, 도 4참조)을 기준으로 가이드암(322)이 둘레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암(322)의 상단부는 제2힌지(320)를 통해서 상기 컬릿바디(332)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암(322)과 대응하여 그 하단부에는 푸싱암(326)이 배치되고, 상기 푸싱암(326)과 상기 가이드암(322)은 제1힌지(324)를 통해서 연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싱암(326)도 상기 가이드암(322)과 함께 상기 중심축(450, 도 4참조)을 기준으로 상기 컬릿바디(332)의 둘레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푸싱암(326)의 둘레에는 탄성링(328)이 배치되고, 상기 탄성링(328)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푸싱암(326)들이 상기 콘부재(200)의 중심방향으로 모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푸싱암(326)의 중심부 안쪽으로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푸싱암(326)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푸싱면(340)이 상기 링클립(60)과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1부재(302), 상기 로드셀(300), 및 상기 제2부재(304)를 통해서 상기 컬릿바디(332)로 전달되는 하중은 상기 가이드암(322), 및 상기 푸싱암(326)을 통해서 상기 링클립(60)으로 전달되고, 상기 푸싱암(326)이 상기 콘부재(200)를 따라서 상기 링클립(60)을 하부로 밀어내고, 상기 콘부재(200)의 하단부에서 상기 링클립(60)이 이탈되면서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더스트커버(50)를 탄성적으로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조립시스템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컬릿바디(332)는 중심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그 하부의 내부에는 가이드샤프트(40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400)의 하단부는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부에는 고정부재(410)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400)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부재(41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푸싱암(326)의 중심부 안쪽으로 삽입된 상기 콘부재(200)의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샤프트(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상기 푸싱암(326)과 상기 컬릿바디(332)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콘부재(200)와 상기 가이드샤프트(400)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컬릿유닛(330)이 하강하기 전에, 상기 볼조인트유닛(100)의 상기 볼스터드(40)와 상기 볼하우징(10) 사이의 연결부위에 상기 더스트커버(50)를 장착하고, 상기 볼스터드(40)와 상기 더스트커버(50)를 상기 콘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된 커버삽입홈(202)으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콘부재(200)의 상기 커버삽입홈(202)의 상부에는 누름부재(412)가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재(412)가 상기 볼조인트유닛(100)의 상기 볼스터드(40)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컬릿바디(332)가 하강하면,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부가 상기 푸싱암(326)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콘삽입홈(329)으로 삽입되고,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면이 상기 가이드샤프트(400)의 하단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컬릿바디(332)가 더 내려오면, 상기 콘부재(200)와 상기 가이드샤프트(400)를 밀어올리고, 상기 푸싱암(326)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푸싱면(340)이 상기 링클립(60)을 밀어 내린다.
따라서, 상기 링클립(60)의 내경이 상기 콘부재(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확장되고, 상기 푸싱암(326)의 하단부도 상기 콘부재(200)의 형상을 따라서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푸싱암(326)이 상기 링클립(60)을 끝까지 밀어 내리면, 상기 링클립(60)이 상기 콘부재(200)의 하단부에서 이탈되면서 축소되어 상기 더스트커버(50)를 상기 볼하우징(10)에 밀착시킨다.
아울러,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상의 한 중심축()이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상기 제1부재(302), 상기 로드셀(300), 상기 제2부재(304), 상기 컬릿바디(332), 상기 가이드샤프트(400), 상기 푸싱암(326), 및 상기 콘부재(20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로드셀(300)에서 감지되고, 상기 로드셀(300)에서 감지된 감지수치가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460)로 전달된 감지수치가 미리 설정된 비교수치와 비교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감지수치와 상기 비교수치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링클립(60)의 누락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6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의 조립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00에서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부가 상기 링클립에 삽입되도록 상기 링클립(60)을 상기 콘부재(200)에 공급하고, S510에서 상기 콘부재(2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로드셀(300)를 통해서 상기 컬릿바디(332)를 하강시켜, 상기 푸싱암(326)의 상기 콘삽입홈(329)으로 상기 콘부재(200)의 상단부를 삽입한다.
그리고, S520에서, 상기 푸싱암(326)의 하단부 상기 푸싱면(340)이 상기 링클립(60)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상기 컬릿유닛(330)의 컬릿바디(332)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로드셀(300)에서 감지되는 하중을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하중은 상기 제어부(460)로 송신된다.
S530에서,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로드셀(300)에서 송신된 감지하중과 미리설정된 비교하중을 서로 비교하고, S540에서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감지하중과 상기 비교하중 사이의 차이값에 따라서 상기 링클립(60)의 누락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302)는 상기 컬릿바디(332)를 상하로 움직이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콘부재에 상기 링클립(60)이 누락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셀(300)에서 감지되는 감지하중은 실험데이터로써, 평균값 14,5kgf (14kgf(n=1), 14kgf(n=2), 15kgf(n=3), 14kgf(n=4), 15kgf(n=5), 14kgf(n=6), 15kgf(n=7), 14kgf(n=8), 15kgf(n=9), 15kgf(n=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클립(60)이 누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드셀(300)에서 감지되는 감지하중은 실험데이터로써, 평균값 27.4kgf (25kgf(n=1), 22kgf(n=2), 24kgf(n=3), 30kgf(n=4), 28kgf(n=5), 32kgf(n=6), 23kgf(n=7), 29kgf(n=8), 31kgf(n=9), 30kgf(n=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샤프트(400)는 상기 푸싱암(326)과 상기 컬릿바디(33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콘삽입홈(329)을 통해서 삽입된 상기 콘부재(200)에 의해서 상기 푸싱암(326)과 상기 컬릿바디(332)의 내주면을 따라서 왕복하여 슬라이되어 움직이도록 배치되이 있다.
따라서, 가이드샤프트(400)가 푸싱암(326) 및 컬릿바디(33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통해서, 상기 푸싱암(326)의 움직임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움직임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는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외주면에 상기 푸싱암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상하로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볼하우징 40: 볼스터드
50: 더스트커버 60: 링클립
62: 어퍼링 100: 볼조인트유닛
200: 콘부재 202: 커버삽입홈
300: 로드셀 302: 제1부재
304: 제2부재 320: 제2힌지
322: 가이드암 324: 제1힌지
326: 푸싱암 328: 탄성링
329: 콘삽입홈 330: 컬릿유닛
332: 컬릿바디 340: 푸싱면
400: 가이드샤프트 410: 고정부재
412: 누름부재 460: 제어부

Claims (9)

  1.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커버하는 더스트커버;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그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그 타단부 내부로 상기 더스트커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커버삽입홈이 형성된 콘부재;
    상기 콘부재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링부재; 및
    상기 콘부재에 배치된 상기 링부재를 상기 콘부재의 타단부로 밀어내고, 상기 콘부재의 타단부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링부재가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연결부위의 일측에 밀착시키는 컬릿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컬릿유닛은,
    상기 링부재를 밀어내기 위한 힘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부재에서 전달된 힘을 상기 링부재로 전달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부재에서 상기 제2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드셀; 을 포함하고,
    상기 컬릿유닛은,
    상기 링부재를 누르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컬릿바디;
    타단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콘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콘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단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링부재를 누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타단면이 상기 콘부재의 외경에 따라서 벌어지도록 상기 컬릿바디에 연결되는 푸싱암;
    일단부는 상기 컬릿바디에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푸싱암에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는 가이드암; 및
    상기 푸싱암과 상기 컬릿바디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콘삽입홈을 통해서 삽입된 상기 콘부재에 의해서 상기 푸싱암과 상기 컬릿바디의 내주면을 따라서 왕복하여 슬라이되어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샤프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일단부에 볼이 형성되는 볼스터드; 및
    상기 볼스터드의 상기 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더스트커버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볼스터드에 고정하는 어퍼링; 및
    상기 더스트커버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볼하우징에 고정하는 링클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컬릿바디에서 상기 콘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된 힘의 실제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실제값과 상기 설정값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링부재의 장착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값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링부재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제값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링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릿바디를 하강시켜서 상기 링부재가 상기 더스트커버를 상기 연결부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힘의 실제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값과 상기 설정값 사이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링부재의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부재를 미리 설정된 힘으로 누르거나 당기도록 배치되는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KR1020150018909A 2015-02-06 2015-02-06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KR10163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09A KR101632656B1 (ko) 2015-02-06 2015-02-06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09A KR101632656B1 (ko) 2015-02-06 2015-02-06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656B1 true KR101632656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909A KR101632656B1 (ko) 2015-02-06 2015-02-06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6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50U (ko) *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센트랄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CN110446865A (zh) * 2017-03-29 2019-11-12 日本发条株式会社 球窝接头、使用它的稳定器连杆、以及带稳定器连杆的稳定器
TWI759820B (zh) * 2020-08-12 2022-04-01 日商司托瑞特股份有限公司 汽車轉向總成之球接頭防塵套束環裝配工具
CN114833549A (zh) * 2022-05-25 2022-08-02 温州冠盛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防尘部件自动装配机
CN117182506A (zh) * 2023-11-07 2023-12-08 长春惠泰消防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连接头密封垫装配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335U (ko) * 1985-06-24 1987-01-17
JPH0313960B2 (ko) * 1987-10-27 1991-02-25 Hata Iron Works
KR200331964Y1 (ko) * 2003-06-17 2003-11-07 (주)청송엔지니어링 볼 조인트의 더스트 커버 고정용 오링 및 링 클립 결합장치
JP4313960B2 (ja) 2001-04-27 2009-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組付機
KR101439971B1 (ko) * 2013-06-27 2014-09-12 일륭기공(주) 유니버셜 조인트의 볼베어링 조립 및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335U (ko) * 1985-06-24 1987-01-17
JPH0313960B2 (ko) * 1987-10-27 1991-02-25 Hata Iron Works
JP4313960B2 (ja) 2001-04-27 2009-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組付機
KR200331964Y1 (ko) * 2003-06-17 2003-11-07 (주)청송엔지니어링 볼 조인트의 더스트 커버 고정용 오링 및 링 클립 결합장치
KR101439971B1 (ko) * 2013-06-27 2014-09-12 일륭기공(주) 유니버셜 조인트의 볼베어링 조립 및 검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50U (ko) *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센트랄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KR200487704Y1 (ko) 2016-09-28 2018-10-24 주식회사 센트랄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CN110446865A (zh) * 2017-03-29 2019-11-12 日本发条株式会社 球窝接头、使用它的稳定器连杆、以及带稳定器连杆的稳定器
US11585372B2 (en) 2017-03-29 2023-02-21 Nhk Spring Co., Ltd. Ball joint, stabilizer link using ball joint, and stabilizer assembly
TWI759820B (zh) * 2020-08-12 2022-04-01 日商司托瑞特股份有限公司 汽車轉向總成之球接頭防塵套束環裝配工具
CN114833549A (zh) * 2022-05-25 2022-08-02 温州冠盛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防尘部件自动装配机
CN114833549B (zh) * 2022-05-25 2023-08-11 温州冠盛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防尘部件自动装配机
CN117182506A (zh) * 2023-11-07 2023-12-08 长春惠泰消防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连接头密封垫装配设备
CN117182506B (zh) * 2023-11-07 2024-01-02 长春惠泰消防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连接头密封垫装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656B1 (ko) 더스트커버를 고정하는 링부재의 조립 시스템
US20150328771A1 (en) System for conveying workpiece having external force monitoring function
US10174876B2 (en) Pipe structure, aircraft, and method for giving robustness to leak detection
KR101903023B1 (ko)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CN102892699A (zh) 整体式电梯安全系统
EP2985215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riding posture
KR101569087B1 (ko)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KR101532916B1 (ko) 부착력이 향상된 흡착유닛
KR20160134744A (ko) 공기 스프링
JP201322803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CN105605088A (zh) 球形活节连接装置
EP3542077B1 (en) Improved sock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US9475679B2 (en) Chain hoist
JP5202781B2 (ja) 自動車ドア用安全装置
KR101941018B1 (ko) 양방향 가압력 감지가 가능한 헤밍 롤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1634349U (zh) 用于履带起重机弹簧管结构可调式防后倾装置
JP6267516B2 (ja) 滑り支承具
KR101646875B1 (ko) 도어트림 컷팅장치
CN105757725B (zh) 燃气灶
KR101022492B1 (ko) 행거용 지주대
US6199806B1 (en) Longitudinally displaceable column
JP5404894B1 (ja) 全方向傾斜センサー装置
CN219245089U (zh) 一种水质检测的管道取样装置
JP3235263B2 (ja) ネジ締め装置
US8991272B2 (en) Detecting device for recovery of release film and recovery apparatus for releas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