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87B1 -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87B1
KR101569087B1 KR1020130147788A KR20130147788A KR101569087B1 KR 101569087 B1 KR101569087 B1 KR 101569087B1 KR 1020130147788 A KR1020130147788 A KR 1020130147788A KR 20130147788 A KR20130147788 A KR 20130147788A KR 101569087 B1 KR101569087 B1 KR 10156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king
main body
lev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787A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파츠 filed Critical (주)하이텍파츠
Priority to KR102013014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6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the suction cups being activated by the rotation of a cranked lever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반 조립체(SUCTION CUP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밀봉 기구를 구비한 흡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는, 흡착면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흡반 본체와, 당김봉과, 흡반지지부재와, 흡착레버를 포함한다. 당김봉은 흡반 본체의 흡착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흡반지지부재는, 흡반 본체의 변형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흡착레버는 회동에 의해서 당김봉을 당기거나 밀도록 구성되어 흡반 본체를 수용공간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흡착위치와 변형이 회복되도록 하는 흡착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는 자기 밀봉 수단(self sealing means)을 포함한다. 자기 밀봉 수단은, 흡착레버가 흡착위치에 위치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흡착 반대면에서 흡반 본체에 형성된 진공 공간의 둘레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재는 흡착레버가 흡착위치에 위치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흡반 본체에 형성된 진공 공간의 둘레 가장자리를 흡착 반대면에서 가압한다. 따라서, 흡착이 완료된 후 진공 공간의 가장자리를 계속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진공 공간이 확대되어 진공 공간의 밀봉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SELF SEALING SUCTION CUP ASSEMBLY}
본 발명은 흡반 조립체(SUCTION CUP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밀봉 기구를 구비한 흡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의 표면이나 매끄러운 벽면에 물품을 걸거나 장착하기 위한 흡반이 널리 알려져 있다. 매끄러운 표면에 사용하는 흡반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흡착면이 오목한 원반형으로 되어 있다. 흡반의 흡착면을 부착하고자 하는 매끄러운 표면에 가압하여, 흡반의 흡착면과 매끄러운 표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진공상태를 흡반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여, 흡반이 표면에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흡반은 자동차의 데시보드와 같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곡면인 표면에는 흡착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자동차의 데시보드에 네비게이션 장치나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되면서, 요철이 형성된 면이나 곡면에도 흡착이 가능한 흡반이 개발되고 있다. 도 5는 대한민국 특허 제10-852164호에 개시된 흡착 장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흡착 장치는 가요성 패드(21)와, 패드(21)에 고정된 중심부재(23)와, 하우징(22)과, 압착조절부(24)를 포함한다. 또한, 패드(21)의 하부 흡착면에는 겔층(25)이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22)의 외주 둘레에는 패드(21)의 상면 외주를 가압하는 환형의 판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흡작장치(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24a)를 회전시켜서 중심부재(23)를 상승되도록 하여 패드 중심에 진공을 형성하여 흡착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동시에 겔층(25)의 점착력에 의하여 요철이 있는 표면에서 진공을 유지하도록 하여 흡착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환형의 판스프링(27)이 패드(21)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852164호, 발명의 명칭 '흡착 기구'
매끄러운 표면에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종래의 흡반이나, 자동차의 데시보드와 같이 요철이 있는 표면에 일시적으로 물품을 부착시키기 위한 흡반 모두 온도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흡착력이 약화되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온도 변화가 심하한 자동차의 내부나 샤워장의 벽면에 흡반을 이용하여 물품을 장착하거나 걸어둔 경우에 흡반의 흡착력이 약해져서 물품이 탈락하여 물품이 손상되거나 사람이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는 주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흡반의 진공에 잔류하는 공기가 팽창할 겨우 진공에 대한 밀봉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주변 온도의 하강으로 인하여 흡반의 진공에 잔류하는 공기가 수축하는 경우에 진공에 대한 밀봉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흡착기구에 사용된 환형의 판스프링은 패드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어서, 온도의 상승시 진공 공간의 공기가 팽창할 경우, 내부에서 부터 켈패드가 박리되어 밀봉이 파손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약간의 온도 상승에도 흡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착을 위하여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하여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한 복원력이 흡반에 의하여 형성된 진공 공간을 확대 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진공공간 주변의 밀봉이 손상되도록 작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종류의 흡반 또는 흡반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강한 흡착력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흡착력 유지가 가능하여 벽면을 훼손하지 않고 물품을 간편하게 장착하거나 취부할 수 있는 흡반 조립체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은 온도 변화가 심한 장소에서도 흡반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흡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 시에 자기 밀봉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흡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는, 흡착면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흡반 본체와, 당김봉(pulling rod)과, 흡반지지부재(suction cup supporting member)와, 흡착레버(suction lever)를 포함한다. 당김봉은 흡반 본체의 흡착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흡반지지부재는, 흡착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당김봉이 당겨질 때, 상기 흡반 본체의 변형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흡반 본체의 흡착면의 반대면 가장자리를 가압하기 위한 둘레 가압면을 구비한다. 또한, 당김봉은 자유단부가 흡반지지부재의 수용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흡착레버는, 흡반지지부재에 구속되어 당김봉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동에 의해서 당김봉을 당기거나 밀도록 구성되어 흡반 본체를 수용공간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흡착위치와 변형이 회복되도록 하는 흡착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는 자기 밀봉 수단(self sealing means)을 포함한다. 자기 밀봉 수단은, 상기 흡착레버가 흡착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흡반 본체의 흡착 반대면 가장자리와 흡반지지부재의 둘레 가압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흡착레버가 흡착위치에 위치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흡착 반대면에서 흡반 본체에 형성된 진공 공간의 둘레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도너스 형상의 고무 스프링, 또는 링 형상의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흡반지지부재의 수용 공간 내주면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 반대면과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흡반 조립체를 피흡착면에 부착할 때, 제1 탄성부재는 흡착을 위하여 흡착레버를 회동시키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또한, 제1 탄성부재는 흡착레버가 흡착위치에 위치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흡반 본체에 형성된 진공 공간의 둘레 가장자리를 흡착 반대면에서 가압한다. 따라서, 흡착이 완료된 후 진공 공간의 가장자리를 계속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진공 공간이 확대되어 진공 공간의 밀봉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탄성부재는 온도가 높아져서 진공 공간이 팽창할 경우에도 진공 공간의 팽창에 따라서 더 큰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되어 밀봉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자기 밀봉 수단, 상기 흡착 레버를 흡착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도너스 형상의 고무 스프링, 또는 링 형상의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는 일단이 흡반지지부재의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타단이 흡반 본체에 접촉되어 당김봉을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제2 탄성부재는 흡착 레버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흡반 본체의 흡착면이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도록 하여 진공공간을 최대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면에 흡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흡반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공 공간의 밀봉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흡반 본체의 흡착면에는 겔층을 부착할 수도 있다. 겔층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이 있는 공업용 겔 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면을 평면으로 구성하거나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흡반 본체의 흡착면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흡반 본체의 흡착면에는 겔 패드의 중심부를 제거하고 융기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는 흡착시 흡반 본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공을 밀봉하기 위한 자기 밀봉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진공 공간의 밀봉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흡반 조립체의 흡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밀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흡반 조립체를 온도의 변화가 큰 환경, 예들 들면 자동차 내부나 샤워 시설 내에서도 흡착력의 저하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의 자기 밀봉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3(a)는 흡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b)는 흡반 본체와 피흡착면 사이에 진공이 형성이 시작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c)는 흡착이 완료되어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흡반 본체의 흡착면과 피흡착면 사이의 공간에 진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의 휴대폰 장착용 거치대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흡반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흡반 조립체(100)는, 흡반 본체(110)와 흡반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흡반지지부재(120)를 구비한다. 흡반 본체(110)는 흡착면을 구비하고, 가요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디스크 형상이다. 흡반 본체(110)의 하부 흡착면에는 접착성 또는 점착성 겔 패드(115)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흡반 조립체(100)는 요철이 형성된 피흡착면에도 흡착이 가능하게 하고, 흡반 본체(1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공 공간의 밀봉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겔 패드(115)를 부착하였으나, 매끄러문 피흡착면에 부착할 경우에는 겔 패드(115)가 없어도 무방하다.
흡반 본체(110)의 상부 중심부에는 당김봉(130)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당김봉(130)은 일단이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흡반 본체(110)의 중심부에 일체로 고정 되어 있으나, 접착이나 나사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당김봉(130)의 자유단 단부(132)에는 흡착레버(140)와 연결되기 위한 관통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레버(140)에는 핀(170)에 의해서 당김봉(130)과 연결되기 위한 관통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착레버(140)는 회동시킬 때 흡반지지부재(120)와 접촉하여 당김봉(130)을 들어 올리는 받침 역할을 하도록 돌출된 캠부(141)를 구비한다.
흡반 지지부제(120)는 장착되는 흡착레버(140)의 운동을 구속하기 위한 한 쌍의 프레임(121)과, 장착하고자 하는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1)에는 당김봉(130)과 흡착레버(140)를 연결하기 위한 핀(170)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흡반지지부재(120)는 대체로 반구형으로,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흡반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기 위한 둘레 가압면(127)을 구비한다. 흡착레버(140)의 회동에 의해서 당김봉(130)이 당겨질 때, 당김봉(130)에 연결된 흡반 본체(110)의 중심부가 부풀어서 흡착면과 피흡착면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고, 부풀어서 변형된 부분은 수용공간으로 수용된다. 흡반 지지부제(120)의 한 쌍의 프레임(122) 사이에는 당김봉(130)의 자유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흡반 지지부제(12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반 지지부제(120)는 당김봉(130)은 자유단부(132)가 흡반지지부재(120)의 수용 공간을 통과하여 한 쌍의 프레임(122) 사이로 돌출하도록 흡반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된다. 흡착레버(140)는 핀(170)에 의해서 당김봉(130)과 회전 연결되고, 흡반지지부재(120)의 프레임(121)에 안내되어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흡착레버(140)가 상부로 들려서 당김봉(130)을 하부로 밀고 있는 상태를 흡착해제위치라고 하고, 흡착레버가 하부로 눌려서 당김봉(130)을 상부로 들어 올린 상태를 흡착위치라고 한다.
흡반본체(110)의 상부면과 흡반지지부재(120)의 수용공간 사이에는 제1 압축 코일 스프링(150)과 제2 압축 코일 스프링(160)이 장착되어 있다. 제1 압축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흡반지지부재(120)의 수용 공간 내주면(126)에 접촉하고, 타단이 흡반 본체(110)의 흡착 반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2 탄성 부재(160)는 일단이 흡반지지부재(120)의 수용공간의 내주면(126)과 접촉하고, 타단은 흡반 본체(110)에 접촉되어 당김봉(130)을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흡반 조립체(100)를 피흡착면에 흡착시킬 때, 제1 압축 코일 스프링(150)은 자기 밀봉 수단(self sealing means)으로 작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흡반 조립체(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흡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흡착레버(140)에 사용자가 힘(F)을 가하기 전 흡반 본체(110)의 흡착면(본 실시예와 같이 겔 패드 가 부착된 경우에는 겔 패드의 하부면, 116)이 피흡착면(199)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흡반 본체(110)와 흡반지지부재(120)는 제1 압축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일정 간격(X)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흡착이 해제 상태에서 흡반 본체(110)와 흡반지지부재(120) 사이의 간격(X)은 흡반 조립체(100)를 조립할 때 당김봉(130)과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적당히 설계하여 원하는 간격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착레버(140)에 힘(F)을 가하면, 흡착레버(140)는 핀(17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흡착레버(140)의 캠부(141)가 흡반지지부재(120)의 상부면(125)을 갬압력(P1)으로 가압하게 되고, 핀(170)에는 핀반력(P2)이 발생한다. 또한, 제1 스프링(150)은 힘(S1a)로, 제2 스프링(160)은 힘(S2a)로, 각각 흡반본체(110)와 흡반지지부재(120)의 수용공간 내주면(126)을 가압한다. 이 때, 제1 스프링(150) 및 제2 스프링(160)이 흡반 본체(100)를 누르는 힘의 합력(S1a+S2a)에 대응하여 피흡착면(199)에 반력(R)이 생성되고 반력(R)의 연직방향 성분(Rx)은 사용자가 가한 힘(F)의 연직 방향 성분(Fx)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한 힘(F)의 수평방향 성분(Fx)은 피흡착면(199)에 생성되는 반력의 수평방향 성분(Rx)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된다. 따라서, 흡반 조립체(100)는 피흡착면(199)에 정지한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힘은 증가시켜서 계속 흡착레버(140)를 핀(17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동시키면, 흡반지지부재(120)는 상부면(125)을 가압하는 갬압력(P1)에 의해서 피흡착면(199)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흡반지지부재(120)가 피흡착면(199)을 향하여 이동할 때, 제1 스프링(150) 및 제2 스프링(160)은 사용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해서 압축되어 각각 탄성에너지가 저장된다.
도 3(b)는 흡반지지부재(120)가 일정 거리(X) 만큼 피흡착면(199)을 향하여 이동하여, 흡반지지부재(120)의 둘레 가압면(127)이 흡반 본체(110)의 상부면 가장자리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착레버(140)에 계속 힘을 가하여 흡착레버(140)를 회동시킬 경우, 제1 스프링(150)은 더 이상 수축되지 않고, 흡착레버(140)의 회동에 따라서 당김봉(130)은 피흡착면(199)에서 멀어지도록 위로 상승한다. 동시에 당김봉(130)에 고정된 가요성 흡반 본체(110)의 중심부도 변형되면서 피흡착면에서 멀어지도록 위로 상승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추가로 가해지는 외력(F)의 수직성분(Fx)의 일부는 당김봉(130)이 상승됨에 따라서 수축되는 제2 스프링(160)에 탄성에너지로 저장된다. 또한, 흡반 본체(110)의 중심부가 상승하는 순간부터 사용자에 의해서 추가로 가해진 외력(F)의 수직 성분(Fx)의 일부는 흡반지지부재(120)의 둘레 가압면(127)을 통하여 흡반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제1 스프링(150)은 수축에 의해서 형성된 탄성 복원력으로 흡반 본체(110)의 상부면 둘레를 일정한 힘으로 계속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흡반 본체(110)의 흡착면과 피흡착면(199)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는 순간 부터, 제1 스프링(150)은 탄성 복원력으로 자동적으로 진공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겔패드(115)가 부착된 경우에는 제1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코일이 겔 패드(115)를 국부적으로 압박하여 기밀의 유지가 더욱 효과적이다.
도 3(c)는 흡착이 완료되어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흡반 본체의 흡착면과 피흡착면 사이의 공간에 진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흡착레버(140)가 흡착위치에 도달하여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흡반 조립체(100)는 흡반본체(110)의 흡착면(116)과 피흡착면(199) 사이에 형성된 진공 공간(V)에 의해서 형성된 흡착력에 의해서 고정된다. 흡착력은 진공공간(V)의 진공 압력(Pb)과 대기압(Pa)의 차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흡반 본체의 면적을 곱하여 구해진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착레버(140)가 흡착위치에 도달하여 사용자가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흡반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던 흡반지지부재(120)의 둘레 가압면(127)이 작용하던 압력(P2)가 사라진다. 그러나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도, 제1 스프링(150)은 복원력에 의해서, 진공공간(V)의 둘레를 가압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밀봉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여, 진공 공간(V)이 팽창하는 경우에 제1 스프링(150)은 팽창을 억제하여 기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진공 공간(V)이 팽창하면, 제1 스프링(150)이 수축하게 되면서 더 큰 복원력을 가하게 되어 자동적으로 밀봉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스프링(160)은 복원력에 의해서 당김봉(130)을 피흡착면(199)을 향하여 가압하나, 흡착레버(140)의 캠부(141)가 흡반지지부재(120)의 상부면(125)에 접촉하여 잠긴 상태를 유지하므로 진공 공간(V)을 수축하도록 힘을 가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온도 상승에 따라서 진공공간(V)이 팽창할 경우에는 팽창은 허용하므로 진공 공간(V)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흡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스프링(160)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착 레버(140)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흡반 본체(110)의 흡착면(116)이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도록 하여 흡착시 진공공간(V)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프링(150) 및 제 2스프링(16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너스 형상의 고무 스프링, 또는 링 형상의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흡반 조립체(100)는 흡반 본체(110)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융기부(112)를 형성하고 흡반 본체(110)의 하부면에 중심부가 제거된 겔 패드(115)를 융기부(112)에 삽입하여 구성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겔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흡반 본체(110)의 바닥면을 평면이나 오목한 면으로 하고 바닥면 전체에 겔 패드(115)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조립체의 휴대폰 장착용 거치대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흡반 조립체는 흡반지지부재(120)의 연결부(123)에 링크조립체(200)를 결합하고 링크 조립체(200)의 자유 단부에 휴대폰 장착기구(300)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흡반 본체
120 흡반지지부재
130 당기봉
140 흡착레버
150 제1 압축코일 스프링
160 제2 압축코일 스프링

Claims (7)

  1. 흡착면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일단이 고정된 당김봉과,
    상기 당김봉이 당겨질 때, 상기 흡반 본체의 변형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당김봉의 자유단부가 수용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흡반지지부재와,
    상기 흡반지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당김봉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동에 의해서 당김봉을 당기거나 밀도록 구성되어 흡반 본체를 수용공간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흡착위치와 변형이 회복되도록 하는 흡착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흡착레버와,
    상기 흡착레버가 흡착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흡반 본체의 흡착 반대면 가장자리와 흡반지지부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흡착레버가 흡착위치에 위치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흡착 반대면에서 흡반 본체에 형성된 진공 공간의 둘레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일단이 상기 흡반지지부재의 수용 공간 내주면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 반대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면에 부착된 겔층을 더 포함하는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밀봉 수단, 상기 흡착 레버를 흡반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일단이 흡반지지부재의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타단이 흡반 본체에 접촉되어 당김봉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면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면에 부착된 접착성 겔층은 중심부가 제거되어 융기부가 삽입되어 있는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흡착면은 평면인 흡반 조립체.
KR1020130147788A 2013-11-29 2013-11-29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KR10156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88A KR101569087B1 (ko) 2013-11-29 2013-11-29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88A KR101569087B1 (ko) 2013-11-29 2013-11-29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87A KR20150062787A (ko) 2015-06-08
KR101569087B1 true KR101569087B1 (ko) 2015-11-20

Family

ID=5350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788A KR101569087B1 (ko) 2013-11-29 2013-11-29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6922B (zh) * 2016-04-28 2018-08-03 昆山德商达金软件技术有限公司 吸盘支架底座
CN106287152B (zh) * 2016-10-26 2018-08-28 昆山德商达金软件技术有限公司 运动摄像机的吸盘支架底座
CN108013591B (zh) * 2018-01-11 2020-08-14 袁子沁 具有防滑功能的课桌
CN108331831A (zh) * 2018-03-19 2018-07-27 南方佛吉亚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支撑功能的吸盘
CN109469678B (zh) * 2018-11-29 2023-10-10 东莞友颉实业有限公司 一种压力平衡装置及应用其的吸盘
CN110333537B (zh) * 2019-07-23 2024-05-24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一种多路同步电法勘探采集系统的固定装置
KR102294905B1 (ko) * 2020-01-20 2021-08-30 주식회사 한샘 가구용 전도방지기구
CN114738639A (zh) * 2022-03-10 2022-07-12 盛视科技股份有限公司 吸附底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64B1 (ko) 2007-03-13 2008-08-13 송순영 흡착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64B1 (ko) 2007-03-13 2008-08-13 송순영 흡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87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87B1 (ko) 자기 밀봉 흡반 조립체
KR100852164B1 (ko) 흡착 기구
JP2012241895A (ja) 吸着式据置台
US8496222B2 (en) Bracket coordinating device
US11137017B2 (en) Suction cup mount
KR20080021583A (ko) 다용도 흡착판
KR101514737B1 (ko)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532916B1 (ko) 부착력이 향상된 흡착유닛
JP2011094715A (ja) 吸盤装置
JP2017518464A (ja) 真空吸着装置
KR101522664B1 (ko) 진공 흡착 플레이트
JP2007154933A (ja) 吸盤
WO2015077658A1 (en) Suction system with reversible dome spring
JP2008064264A (ja) 吸盤装置
KR200384939Y1 (ko) 흡착 기구
JP4840333B2 (ja) テープ貼り付け装置及びテープ貼り付け方法
JPWO2009081880A1 (ja) 貼付材の貼付方法と貼付装置
JP5626782B2 (ja) シート貼付装置
KR20150144948A (ko) 흡착판, 흡착판의 제조방법 및 이 흡착판을 이용한 진공흡착구
CN107701871B (zh) 一种具有单向阀的吸附式支撑装置
KR200398691Y1 (ko) 차량용 휴대기기케이스 거치대.
US20160198071A1 (en) Compliant support for component alignment
KR20150083020A (ko) 진공 흡착장치
JP2013053636A (ja) 転倒防止装置
JP5660821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