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166B1 -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166B1
KR101442166B1 KR1020120148902A KR20120148902A KR101442166B1 KR 101442166 B1 KR101442166 B1 KR 101442166B1 KR 1020120148902 A KR1020120148902 A KR 1020120148902A KR 20120148902 A KR20120148902 A KR 20120148902A KR 101442166 B1 KR101442166 B1 KR 10144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ing
elastic
winding
curle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207A (ko
Inventor
김성록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to KR102012014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지그장치는 외면을 갖되, 제1권과 제2권을 갖는 클램프링이 끼워져 상기 외면을 타고 이동되는 꼬깔부; 상기 꼬깔부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꼬깔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권이 상기 꼬깔부의 끝단을 이탈시 상기 제2권이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꼬깔부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대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Jig Device for Clamping Clamp-ring }
본 발명은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링을 차량부품에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부품 예컨대 볼조인트는 축부, 머리부, 하우징 및 상기 축부와 하우징을 사이에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더스트커버를 포함한다. 더스트커버는 하우징에 밀봉되어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밀봉을 위하여 더스트커버가 갖는 체결홈에 클램프링을 체결한다.
종래의 클램프링을 볼조인트에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는 경사면을 갖는 꼬깔부와 내부에 차량부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클램프링은 하나의 코일을 두 겹으로 감아서 만든 구조로서 꼬깔부에 끼워져 꼬깔부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한 뒤 꼬깔부의 끝단에서 이탈하여 차량부품의 클램프링 체결홈에 안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클램프링이 꼬깔부의 끝단에서 이탈시 클램프링의 제1권과 제2권이 꼬이면서 체결홈에 안착되므로 문제가 된다.
특히 이러한 클램프링 꼬임 현상은 클램프링의 더스트커버 밀봉능력을 떨어뜨리고, 이는 차량부품의 성능 저하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문제가 된다.
또한, 이렇게 클램프링이 꼬여서 안착되는 경우 차량부품의 조립자는 수작업으로 일일이 꼬여서 안착된 클램프링을 펴주어야 하는데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며,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도 있다.
클램프링이 꼬임 없이 차량부품에 안착 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지그장치 및 상기 지그장치를 포함하는 클램프링 체결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클램프링이 꼬임 없이 한번에 차량부품에 안착되도록 하여 클램프링을 다시 펴주어야 하는 후속작업이 없는 새로운 클램프링 체결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지그장치는 외면을 갖되, 제1권과 제2권을 갖는 클램프링이 끼워져 상기 외면을 타고 이동되는 꼬깔부; 상기 꼬깔부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꼬깔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권이 상기 꼬깔부의 끝단을 이탈시 상기 제2권이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꼬깔부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대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꼬깔부가 이동하거나 상기 꼬깔부로부터 상기 안착부가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꼬깔부와 상기 안착부가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하여 클램프링이 차량부품에 안착될 때 꼬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꼬깔부와 별도로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차량부품과 함께 상기 꼬깔부 내부에서 직선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꼬깔부는 원뿔 형상이되, 경사면과 직선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부품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 상기 안착부의 일부가 상기 차량부품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량부품은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된 축부, 상기 축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차량부품의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꼬깔부는 내부에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꼬깔부는 내부에 상기 안착부의 내부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이드와 스토퍼는 꼬깔부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꼬깔부는 내부에 상기 안착부의 상기 이동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거리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꼬깔부의 내부에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고, 지지대 내부에 상기 거리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거리조정부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볼트부와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은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리조정부는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꼬깔부의 상단과 볼트체결하는 볼트부와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볼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의 상기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클램프링이 상기 꼬깔부의 끝단으로 이동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탄성적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꼬깔부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탄성적 반발력은 상기 제1권이 이탈되고 상기 제2권이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꼬깔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꼬깔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지그장치는 제1권과 제2권을 갖는 클램프링이 끼워져 이동되는 외면과, 차량부품이 삽입되는 내면을 갖는 꼬깔부; 및 일단은 상기 꼬깔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부품에 접촉하며, 상기 제1권이 상기 꼬깔부의 끝단을 이탈시 상기 제2권이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꼬깔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클램프링 체결방법은 꼬깔부에 제1권과 제2권을 갖는 클램프링을 끼우고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권을 상기 꼬깔부의 끝단에서 이탈시켜 차량부품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2권이 상기 꼬깔부의 상기 끝단에서 이탈되기 전에 상기 꼬깔부를 이동시켜 상기 제2권이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권을 이탈시켜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클램프링 체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그장치; 상기 차량부품을 받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꼬깔부의 상기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클램프링을 상기 외면 상에서 밀어서 이탈시키는 클램프링푸셔(Push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링이 꼬임 없이 차량부품에 안착 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지그장치 및 상기 지그장치를 포함하는 클램프링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클램프링의 제1권이 꼬깔부를 이탈하고 제2권이 아직 이탈하기 전에 꼬깔부를 안착부로부터 2 mm 정도 상승시켜 상기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생산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그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클램프링과 클램프링의 체결홈을 갖는 차량부품을 나타낸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하여 차량부품의 체결홈에 클램프링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부품의 체결홈에 클램프링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클램프링 체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클램프링 체결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10)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그장치(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그장치(10)의 외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그장치(10)는 꼬깔부(20), 안착부(40) 및 탄성부(50)를 포함한다.
꼬깔부(20)는 원뿔 형상이며, 외면(23)은 경사면(21)과 직선면(2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꼬깔부(20)의 외면(23)은 끝단(24)에서 상단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꼬깔부(2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단에 엔드캡(Endcap, 26)이 설치될 수 있으며 꼬깔부(20)의 상단에는 오링(O-ring, 28)이 끼워질 수 있다.
꼬깔부(20)의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안착부(40)가 설치되기 위한 지지대(30)가 고정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지대(30)는 꼬깔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꼬깔부(20)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지지대(30)의 내부는 안착부(40)와 형상적으로 면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대(30)의 안쪽은 안착부(4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33)가 형성된다. 지지대(30)가 꼬깔부(20)에 포함되는 경우는 가이드(33)는 꼬깔부(20)의 내부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지지대(30)의 상단은 꼬깔부(20)의 직경이 좁아지는 부분 쪽으로 꼬깔부(20)에 끼워 맞추어져 고정되며, 지지대(30)의 하단은 꼬깔부(20)의 직경이 넓어지는 쪽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인 스프링커버(31)가 형성된다. 스프링커버(31)의 내측 끝단에는 탄성부(50)를 가압하는 제1가압턱(32)이 형성된다. 지지대(30)의 내측 상단은 2단으로 구성되며 제1스토퍼(34)와 제2스토퍼(35)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34)의 중앙에는 제2관통홈(36)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대(30)가 꼬깔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는 꼬깔부(20)의 내측에 스토퍼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안착부(40)는 지지대(3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40)는 꼬깔부(20)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지그장치(10)의 구성요소다. 안착부(4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상단부의 중앙에는 안착부헤드(41)가 형성되고, 안착부헤드(41)의 중앙에는 제1관통홈(46)이 형성된다. 안착부(40)의 하단은 원통 형상의 끝단이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43)를 갖는다. 확장부(43)는 일면은 접촉부(44)이고, 타면은 제2가압턱(45)이다. 제2가압턱(45)은 안착부(40)의 끝단의 외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이고, 접촉부(44)는 안착부(40)의 끝단의 내면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안착부(40)의 중단은 원통 형상의 몸체(42)로 구성된다.
탄성부(50)는 꼬깔부(20)와 안착부(40)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50)는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이다. 탄성부(50)는 안착부(40)의 몸체(42)와 지지대(30)의 스프링커버(3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탄성부(50)의 일단은 지지대(30)의 제1가압턱(32)에 접촉하고, 타단은 안착부(40)의 제2가압턱(45)에 접촉한다.
도 3은 클램프링(70)과 클램프링(70)의 체결홈(64)을 갖는 차량부품(60)을 나타낸다. 도 3(a)는 클램프링(70)을 나타낸다. 도 3(b)는 차량부품(60)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링(70)은 하나의 코일을 두 겹으로 감은 것이다. 코일의 일단과 타단은 연결되지 않으므로 쉽게 위치변동 가능하다. 상기 두 겹 중 하나를 제1권(71)이라고 정의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권(72)이라고 정의한다. 제1권(71) 또는 제2권(72) 중 하나는 코일의 끝단일 수 있다. 제1권(71)은 코일의 두 겹 중 꼬깔부(20)에서 먼저 이탈되는 코일의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부품(60)은 볼조인트(60)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사용되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램프링(70)이 체결될 수 있는 차량부품(60)이라면 본 발명이 사용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볼조인트(60)는 축부(61), 플랜지부(65), 머리부(62), 머리부(62)를 감싸는 하우징(66) 및 축부(61)와 하우징(66)을 둘러싸며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더스트커버(63)를 포함한다. 더스트커버(63)는 체결홈(64)을 포함한다. 즉 더스트커버(63)가 하우징(66)과 결합하는 부분은 클램프링(70)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64)이 형성되며, 체결홈(64)에 클램프링(70)이 체결되어 더스트커버(63)를 밀봉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하여 차량부품(60)의 체결홈(64)에 클램프링(70)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제2권(72)이 B방향으로 안착되면 정상 안착이 되나, A방향으로 안착되면 클램프링(70)이 꼬이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부품(60)의 체결홈(64)에 클램프링(70)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클램프링(70)의 제1권(71) 및 제2권(72)이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는 클램프링(70)의 제1권(71) 및 제2권(72)이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기 전 및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에서 방향 E는 탄성부(50)의 탄성적 반발력에 의하여 꼬깔부(20)가 상승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제1권(71)이 안착되는 안착통로(점선 C)와 제2권(72)이 안착되는 안착통로(점선 D)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간에 작용관계를 살펴본다.
먼저 본 실시예의 지그장치(10)의 안착부(40)에 볼조인트(60)의 축부(61)를 안착시킨다. 안착부(40)는 차량부품(60)의 플랜지부(65)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44)에 볼조인트(60)의 플랜지부(65)가 접촉한다. 꼬깔부(20)의 상단에 클램프링(70)을 끼우고, 꼬깔부(20)의 외면(23)에 접촉하면서 외면(23)을 따라서 꼬깔부(20)의 끝단(24)이 있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꼬깔부(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므로, 클램프링(70)은 꼬깔부(20)의 외면(23)을 따라서 이동하며 직경이 탄성적으로 늘어나다가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면서 탄성적 수축력에 의하여 직경이 축소되고 볼조인트(60)의 체결홈(64)에 안착되어 볼조인트(60)에 체결된다. 클램프링(70)이 꼬깔부(20)의 외면(23)을 접촉하여 이동할 때 클램프링(70)은 제1권(71)과 제2권(72)이 함께 이동하며, 함께 꼬깔부(20)의 외면(23)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제1권(71)과 제2권(72)이 함께 발생시키는 마찰력에 의하여 꼬깔부(20)는 하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볼조인트(60)가 안착된 안착부(40)는 볼조인트(60)와 함께 꼬깔부(20)의 내면으로 밀려 들어오다가 안착부(40)의 상단이 지지대(30)의 제1스토퍼(34)와 제2스토퍼(35)에 접촉하면서 밀려 들어옴을 멈춘다. 이 경우 제1가압턱(32)과 제2가압턱(45)이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므로 코일스프링은 수축하며, 탄성적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탄성적 반발력은 제1권(71)과 제2권(72)이 함께 발휘하는 마찰력보다 약하므로 탄성력이 비축될 뿐이다.
제1권(71)이 꼬깔부(20)의 끝단(24)에 이르러 먼저 이탈되어 볼조인트(60)의 체결홈(64)에 안착된다. 제1권(71)이 꼬깔부(20)에서 이탈되고 제2권(72)이 아직 이탈되기 전의 상태에서 제2권(72)이 단독으로 꼬깔부(20)의 외면(23)에 발휘하는 마찰력은 탄성부(50)의 탄성적 반발력보다 약하다. 따라서 제1권(71)이 이탈되고 아직 제2권(72)이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기 전에 상태에서 탄성부(50)의 탄성적 반발력이 꼬깔부(20)를 안착부(40)로부터 밀어 올린다. 그 결과 꼬깔부(20)의 끝단(24)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홈(64) 안에 제2권(72)이 꼬이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통로를 마련한다.
종래기술은 제1권(71)이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여 볼조인트(60)의 체결홈(64)으로 떨어져 안착 된 뒤에 꼬깔부(20)의 끝단(24)이 머무는 상태에서 바로 제2권(72)이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여 체결홈(64)으로 떨어지므로 제2권(72)의 안착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제2권(72)이 꼬이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권(71)이 이탈한 뒤 아직 제2권(72)이 이탈하기 전에 끝단(24)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제2권(72)의 안착통로가 마련되어 꼬이지 않고 볼조인트(60)의 체결홈(64)에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그장치(10)는 꼬깔부(20)의 내부에 상기 안착부(40)의 상기 이동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거리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조정부는 볼트부(미도시)와 너트부(27)일 수 있다. 볼트부는 안착부헤드(41)에 형성된 제1관통홈(46)제1관통홈(46)제1관통홈(46)단에 형성된 제2관통홈(36)을 관통하여 너트부(27)와 볼트체결할 수 있다. 안착부(40)는 지지대(30) 내부에서 일정 거리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거리는 제1권(71)이 이탈한 경우 제2권(72)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거리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거리는 2mm가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거리조정부를 통하여 이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볼트부를 회전시켜 안착부(40)를 지지대(30)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미도시).
본 실시예에서 지그장치는 제1권(71)과 제2권(72)을 갖는 클램프링(70)이 끼워져 이동되는 외면과, 차량부품이 삽입되는 내면을 갖는 꼬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꼬깔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차량부품(60)에 접촉하며, 제1권(71)이 꼬깔부의 끝단을 이탈시 제2권(72)이 차량부품(60)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꼬깔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안착부(40)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의 일단은 꼬깔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의 타단은 차량부품(60)이 꼬깔부의 내부로 삽입될 때 차량부품(6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부품(60)의 플랜지부(65)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서의 안착부(40)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지그장치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클램프링(70) 체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링(70)을 체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클램프링(70) 체결방법은 꼬깔부(20)에 제1권(71)과 제2권(72)을 갖는 클램프링(70)을 끼우고 이동시키는 단계(S100), 상기 제1권(71)을 상기 꼬깔부(20)의 끝단(24)에서 이탈시켜 차량부품(60)에 안착시키는 단계(S200), 상기 제2권(72)이 상기 꼬깔부(20)의 상기 끝단(24)에서 이탈되기 전에 상기 꼬깔부(20)를 이동시켜 상기 제2권(72)이 상기 차량부품(60)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확보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권(72)을 이탈시켜 상기 차량부품(60)에 안착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클램프링(70) 체결장치를 나타낸다. 도 7(a)는 클램프링푸셔(81)가 꼬깔부(20)의 상부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b)는 클램프링푸셔(81)가 꼬깔부(20)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인 클램프링 체결장치(80)는 전술한 지그장치(10), 차량부품(60)을 받치는 베이스부(82) 및 클램프링푸셔(81)를 포함한다.
지그장치(10)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부(82)는 지그장치(10)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82)의 상부에는 차량부품(60)을 올려놓을 수 있다. 즉 베이스부(82)은 차량부품(60)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링푸셔(81)는 꼬깔부(20)의 외면(23)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클램프링(70)을 꼬깔부(20)의 외면(23) 상에서 꼬깔부(20)의 끝단(24)으로 밀어서, 꼬깔부(20)의 끝단(24)에서 이탈시킨다.
클램프링푸셔(81)가 꼬깔부(20)에 접촉하는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는 3 피스로 이루어진다. 이들 3 피스는 꼬깔부(20)를 타고 이동하면서 꼬깔부(20)의 직경에 맞추어서 점차로 간격을 벌린다.
클램프링푸셔(81)는 지그장치(10)의 내부의 탄성부(50)가 갖는 탄성적 반발력과는 별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클램프링푸셔(81)의 탄성력은 탄성부(50)가 갖는 탄성적 반발력보다 약하다. 클램프링푸셔(81)가 꼬깔부(20)의 외면(23) 상에서 클램프링(70)을 이동시키는 경우 클램프링(70)의 제1권(71)이 꼬깔부(20)의 끝단(24)을 이탈하고 아직 제2권(72)이 이탈하기 전의 상태에서 탄성부(50)의 탄성적 반발력에 의하여 꼬깔부(20)가 안착부(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향으로 급이동할 때 클램프링푸셔(81)의 탄성력은 탄성부(50)의 탄성적 반발력이 꼬깔부(20)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개개의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조합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 지그장치
20 : 꼬깔부
30 : 지지대
40 : 안착부
50 : 탄성부
60 : 차량부품
70 : 클램프링
80 : 클램프링 체결장치

Claims (14)

  1. 외면을 갖되, 제1권과 제2권을 갖는 클램프링이 끼워져 상기 외면을 타고 이동되는 꼬깔부;
    상기 꼬깔부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차량부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삽입된 차량부품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일단은 상기 지지대와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권이 상기 꼬깔부의 끝단을 이탈시 상기 제2권이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꼬깔부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대 이동시키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는 원뿔 형상이되, 경사면과 직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품은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된 축부, 상기 축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차량부품의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안착부와의 길이방향 상대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는 내부에 상기 안착부의 내부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는 내부에 상기 안착부의 상기 이동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거리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은 관통홈이 형성되되, 상기 거리조정부는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꼬깔부의 상단과 볼트체결하는 볼트부와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의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은 상기 제1권과 상기 제2권이 동시에 상기 꼬깔부의 외면을 타고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보다는 작고, 상기 제2권이 단독으로 상기 꼬깔부의 외면을 타고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보다는 크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압턱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압턱이 마련되되, 상기 탄성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가압턱과 접촉하고 상기 탄성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2가압턱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외측은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고, 내측은 상기 안착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지그장치;
    상기 차량부품을 받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꼬깔부의 상기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클램프링을 상기 외면 상에서 밀어서 이탈시키는 클램프링푸셔(Pusher)
    를 포함하는 클램프링 체결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48902A 2012-12-18 2012-12-18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KR10144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02A KR101442166B1 (ko) 2012-12-18 2012-12-18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02A KR101442166B1 (ko) 2012-12-18 2012-12-18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207A KR20140079207A (ko) 2014-06-26
KR101442166B1 true KR101442166B1 (ko) 2014-09-22

Family

ID=5113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902A KR101442166B1 (ko) 2012-12-18 2012-12-18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50U (ko)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센트랄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128A (ja) * 1995-11-23 1997-06-24 Trw Fahrwerksyst Gmbh & Co Kg 継手の支承シェルを取付け穴内に固定する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128A (ja) * 1995-11-23 1997-06-24 Trw Fahrwerksyst Gmbh & Co Kg 継手の支承シェルを取付け穴内に固定する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50U (ko)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센트랄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207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3913737B2 (ja) 車両用シート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7727003B2 (en) Cord protector for power tools
KR101824052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노치용 버르 제거장치
CN103112378A (zh) 头枕结构
WO2011043155A1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装置
US20110303046A1 (en) Damper Element for Springs and Vehicle Pedal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EP2832944A1 (en) Roller carriage for sliding door
KR102096379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442166B1 (ko) 클램프링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장치
JP5661593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1824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87704Y1 (ko)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US10774889B2 (en) Brake assembly with brake pad carrier and clip
JP5957603B2 (ja) 車両シート用作動ユニット
KR20150054378A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US20150097409A1 (en) Headrest, vehicle seat
JP2012506979A (ja) 振動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
CN108823914B (zh) 用于衣物处理装置的底脚组件和衣物处理装置
CN106232081A (zh) 靠背固定系统和包括靠背固定系统的电动轮椅
CN112178075B (zh) 一种便于装夹的装甲车故障分析制动装置
JP6534272B2 (ja) 吊架線用制振装置
KR200186497Y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JP7448302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組付け方法、及びコイルスプリングの組付け用治具
CN217537354U (zh) 一种拉杆连接座及拉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