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93Y1 - 고정 기구 - Google Patents

고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93Y1
KR200491193Y1 KR2020170006749U KR20170006749U KR200491193Y1 KR 200491193 Y1 KR200491193 Y1 KR 200491193Y1 KR 2020170006749 U KR2020170006749 U KR 2020170006749U KR 20170006749 U KR20170006749 U KR 20170006749U KR 200491193 Y1 KR200491193 Y1 KR 200491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end
coupling member
groove
support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09U (ko
Inventor
강승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9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고정 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는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클램프, 클램프에 체결되는 결합 부재, 결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부재 및 결합 부재에 구비되고, 고리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고리 부재가 결합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고, 고리 부재는 지지 파이프의 둘레면과 접촉되어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고정 기구{FIXING DEVICE}
본 고안은 고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공사 현장이나 조선소의 대형 선박 제조 현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층 혹은 각 높이 별로 작업자가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족장이 구비된다.
이러한 족장은 통상의 디딤 발판을 의미하며, 각 높이 별로 설치되는 지지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족장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각 지지 파이프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아울러, 족장은 가설 구조물이므로, 족장 설치 작업 및 족장 해체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 작업 시간 등이 최소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별도의 고정 치구를 구조물, 예컨대, 론지(longi)에 체결하고, 고정 치구와 지지 파이프 간을 와이어(굵은 철사)로 묶어서 고정 치구에 지지 파이프를 고정시킨 후, 지지 파이프 상에 족장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고정 치구와 지지 파이프 사이를 와이어로 묶고 조인 다음 족장을 설치하기 때문에, 고정 치구로부터 지지 파이프가 이탈될 위험이 있고, 지지 파이프 상에 설치된 족장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족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4511호 (2014.03.20.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족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로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체결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고리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고리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지지 파이프의 둘레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삽입단; 및 상기 제 1 삽입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삽입단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2 삽입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삽입단의 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제 1 삽입단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홈에는 상기 제 1 삽입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제 2 삽입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 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홈은 상기 제 1 삽입홈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단에는 제 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 1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제 1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해제되도록 상기 제 1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삽입단에는 제 2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 2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제 2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해제되도록 상기 제 2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단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 돌기는 상기 제 1 삽입단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제 1 삽입단이 상기 제 1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 1 삽입단의 일측 둘레면, 상기 제 2 삽입단의 일측 둘레면, 상기 제 2 삽입단의 타측 둘레면, 및 상기 제 1 삽입단의 타측 둘레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기구는 족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기구는 족장이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지지 파이프 상에 설치되므로, 지지 파이프가 구조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지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는 족장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를 통해 지지 파이프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 기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 기구에서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해 고리 부재와 구속 부재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측 등의 방향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10)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기구(10)는 족장(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20)를 구조물(30)에 고정할 수 있는 기구로서, 클램프(100), 결합 부재(200), 고리 부재(300), 및 구속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00)는 론지(longi) 등과 같은 구조물(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100)는 몸체(110) 및 몸체(1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체결 부재(120)의 일 단부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제 1 체결부(111), 체결 부재(120)의 타 단부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제 2 체결부(112) 및 제 1 체결부(111)의 단부와 제 2 체결부(11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13)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11), 제 2 체결부(112), 및 연결부(113)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구조물(30)이 삽입된 후, 체결 부재(120)가 제 1 체결부(111), 구조물(30), 및 제 2 체결부(11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몸체(110)가 구조물(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결합 부재(200)는 클램프(100)와 체결될 수 있으며, 고리 부재(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200)에는 제 1 삽입홈(210), 제 2 삽입홈(220), 및 고정 해제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홈(210)은 후술할 고리 부재(300)의 제 1 삽입단(31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결합 부재(200)의 높이 방향(도 3의 z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삽입홈(210)에는 탄성 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230)는 제 1 삽입홈(210)의 내부에서 고리 부재(300)의 제 1 삽입단(310)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고리 부재(300)의 제 1 삽입단(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삽입홈(220)은 후술할 고리 부재(300)의 제 2 삽입단(320)이 삽입되는 홈으로서, 제 1 삽입홈(210)으로부터 결합 부재(200)의 폭 방향(도 3의 y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삽입홈(220)은 결합 부재(200)의 높이 방향(도 3의 z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제 1 삽입홈(210)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해제홈(240)은 제 1 삽입홈(210)과 제 2 삽입홈(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 해제 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해제홈(240)에 고정 해제 부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경우, 결합 부재(220)에 대한 고리 부재(30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고리 부재(300)는 지지 파이프(20)의 둘레면과 접촉되어 지지 파이프(20)를 구조물(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리 부재(300)는 결합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인력 및/또는 탄성 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고리 부재(300)는 제 1 삽입단(310)과 제 2 삽입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삽입단(310)은 제 1 삽입홈(2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탄성 부재(23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삽입단(310)의 둘레면에는 제 1 걸림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걸림홈(311)은 제 1 삽입단(310)의 둘레면으로부터 제 1 삽입단(3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걸림홈(311)에는 구속 부재(400)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고리 부재(300)가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 2 삽입단(320)은 제 1 삽입단(310)과 연결되고, 제 1 삽입단(310)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삽입단(320)의 둘레면에는 제 2 걸림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걸림홈(321)은 제 2 삽입단(320)의 둘레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걸림홈(321)에는 구속 부재(400)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고리 부재(300)가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삽입단(310) 및 제 2 삽입단(320)이 인력에 의해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삽입단(310)은 제 1 삽입홈(21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삽입단(320)의 단부가 제 2 삽입홈(220)에 삽입됨에 따라, 고리 부재(300)는 결합 부재(200)와 고정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삽입단(310) 및 제 2 삽입단(320)이 탄성 부재(230)의 탄성력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삽입단(310)은 제 1 삽입홈(21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 2 삽입단(320)의 단부가 제 2 삽입홈(220)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결합 부재(200)에 대한 고리 부재(30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제 1 삽입단(310)과 제 2 삽입단(320) 사이의 거리(a)는 지지 파이프(20)의 직경(d)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삽입단(310)의 내측면과 제 2 삽입단(320)의 내측면에 지지 파이프(20)의 둘레면이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파이프(20)는 둘레면이 제 1 삽입단(310)의 내측면과 제 2 삽입단(3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지지 파이프(20)가 고리 부재(300)를 통해 구조물(3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제 1 삽입단(310) 및 제 2 삽입단(320)이 탄성 부재(230)의 탄성력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삽입단(320)의 단부가 결합 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b)는 지지 파이프(20)의 직경(d) 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삽입단(320)이 제 1 삽입단(31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더라도 결합 부재(200)의 상면에 안착된 지지 파이프(2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1 삽입단(310)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삽입홈(210)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삽입단(310)의 하측 둘레면에 이탈 방지 돌기(3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삽입단(310)의 하측 둘레면에 구비된 이탈 방지 돌기(312)가 제 1 삽입단(310)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고 있는 구속 부재(400)에 걸림에 따라, 제 1 삽입단(310)이 제 1 삽입홈(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 부재(400)는 고리 부재(3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고리 부재(300)가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속 부재(400)는 결합 부재(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삽입홈(210)과 제 2 삽입홈(220)의 연장 방향(도 3의 z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도 3의 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삽입단(310) 및 제 2 삽입단(320)에 하방으로의 인력이 가해져서 결합 부재(200)와 고리 부재(300)가 고정 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구속 부재(400)의 일 단부는 제 1 삽입단(310)의 일측 둘레면에 구비된 제 1 걸림홈(311)에 걸림 고정될 수 있고, 구속 부재(400)의 타 단부는 제 1 삽입단(310)의 타측 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속 부재(400)는 제 1 삽입단(310)의 일측 둘레면, 제 2 삽입단(320)의 일측 둘레면, 제 2 삽입단(320)의 타측 둘레면, 및 제 1 삽입단(310)의 타측 둘레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속 해제 수단이 고정 해제홈(240)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경우, 구속 해제 수단에 의해 구속 부재(400)와 고리 부재(300), 즉, 제 1 삽입단(310)과 제 2 삽입단(320) 사이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먼저 제 1 삽입단(310)의 일측 둘레면과 제 2 삽입단(320)의 일측 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는 구속 부재(400)를 일측 구속 부재(400a)라고 명칭하고, 제 1 삽입단(310)의 타측 둘레면과 제 2 삽입단(320)의 타측 둘레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속 부재(400)를 타측 구속 부재(400b)라고 명칭하겠다.
구속 해제 수단이 고정 해제홈(240)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과정에서 구속 해제 수단이 일측 구속 부재(400a)와 타측 구속 부재(400b)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구속 부재(400a)와 타측 구속 부재(400b)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걸림홈(311)에 걸림 고정된 구속 부재(400)가 제 1 걸림홈(311)으로부터 이탈되고, 제 2 걸림홈(321)에 걸림 고정된 구속 부재(400)가 제 2 걸림홈(321)으로부터 이탈된다. 즉, 제 1 삽입단(310)과 구속 부재(400)의 접촉 상태 및 제 2 삽입단(320)과 구속 부재(400)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제 1 삽입단(310)이 탄성 부재(23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음에 따라, 제 1 삽입단(310) 및 제 2 삽입단(320)이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 부재(400)는 탄성 재질을 갖는 띠 부재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고안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 기구(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구조물(30)에 클램프(100)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구조물(30)을 클램프(100)의 몸체(110)에 삽입한 후, 체결 부재(120)를 이용하여 구조물(30) 및 몸체(110)를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클램프(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클램프(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리 부재(300)의 제 1 삽입단(310)을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상방으로 당겨서 고리 부재(300)의 제 2 삽입단(320)이 결합 부재(200)의 제 2 삽입홈(2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제 2 삽입홈(220)으로부터 이탈된 제 2 삽입단(320)은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된 후, 제 1 삽입단(310)을 축으로 초기 위치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삽입단(320)은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 회전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결합 부재(200)의 상면, 즉, 제 2 삽입단(320)이 제 1 삽입단(310)을 축으로 하여 초기 위치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에 지지 파이프(20)를 안착시킨다.
결합 부재(200) 상에 지지 파이프(20)의 배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로 다시 회전시켜서 제 2 삽입단(32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제 2 삽입단(320)의 단부가 결합 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b)가 지지 파이프(20)의 직경(d) 보다 크거나 동일하므로, 제 2 삽입단(320)이 제 1 삽입단(310)을 축으로 하여 다시 회전되는 과정에서 지지 파이프(2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제 2 삽입단(320)을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제 2 삽입단(320)이 결합 부재(200)의 제 2 삽입홈(220)에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결합 부재(200) 상에 안착된 지지 파이프(20)가 고리 부재(300)를 통해 구조물(30)에 고정된다. 나아가, 고리 부재(300)에 의해 고정된 지지 파이프(20) 상에 족장(40)을 설치함으로써, 고정 기구(10)를 이용한 족장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 기구(10)는 족장(40)이 구조물(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지지 파이프(20) 상에 설치되므로, 지지 파이프(20)가 구조물(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족장(4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족장(40)의 설치 작업과 족장(40)의 해체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소재,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으로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고정 기구 20: 지지 파이프
30: 구조물 40: 족장
100: 클램프 110: 몸체
120: 체결 부재 200: 결합 부재
210: 제 1 삽입홈 220: 제 2 삽입홈
230: 탄성 부재 240: 고정 해제홈
300: 고리 부재 310: 제 1 삽입단
311: 제 1 걸림홈 312: 이탈 방지 돌기
320: 제 2 삽입단 321: 제 2 걸림홈
330: 고정홈 400: 구속 부재

Claims (8)

  1. 지지 파이프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로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체결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고리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고리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지지 파이프의 둘레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 1 걸림홈이 형성된 제 1 삽입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 1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제 1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해제되도록 상기 제 1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고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제 1 삽입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삽입단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2 삽입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삽입단의 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부재에 고정되는,
    고정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제 1 삽입단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홈에는 상기 제 1 삽입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고정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제 2 삽입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 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홈은 상기 제 1 삽입홈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고정 기구.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단에는 제 2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 2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제 2 삽입단이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해제되도록 상기 제 2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고정 기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단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 돌기는 상기 제 1 삽입단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제 1 삽입단이 상기 제 1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기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 1 삽입단의 일측 둘레면, 상기 제 2 삽입단의 일측 둘레면, 상기 제 2 삽입단의 타측 둘레면, 및 상기 제 1 삽입단의 타측 둘레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고정 기구.
KR2020170006749U 2017-12-27 2017-12-27 고정 기구 KR200491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49U KR200491193Y1 (ko) 2017-12-27 2017-12-27 고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49U KR200491193Y1 (ko) 2017-12-27 2017-12-27 고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9U KR20190001709U (ko) 2019-07-05
KR200491193Y1 true KR200491193Y1 (ko) 2020-03-02

Family

ID=6722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749U KR200491193Y1 (ko) 2017-12-27 2017-12-27 고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9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836A (ja) * 1998-07-23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用足場
KR200259818Y1 (ko) * 2001-10-16 2002-01-05 이성환 자물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5871A (ja) * 1996-03-04 1997-09-09 Kobe Steel Ltd 枠組足場のブレース兼用手摺枠
KR101516293B1 (ko) 2012-09-12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836A (ja) * 1998-07-23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用足場
KR200259818Y1 (ko) * 2001-10-16 2002-01-05 이성환 자물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9U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1514A1 (en) Corrugated tube clamp
US8403272B2 (en) Clip
JP5191813B2 (ja) 固定具、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被固定部材の固定方法及び固定具の固定解除方法
JP5957453B2 (ja) 車の乗員保護システム用の装置
JP6284668B1 (ja) ボルト連結具
JP201026856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公差吸収構造
US8141898B2 (en) Airbag module with an airbag and a tubular gas generator that can be fastened to a module housing
KR200491193Y1 (ko) 고정 기구
JP2019124309A (ja) 同心位置決め仮固定治具
KR200487704Y1 (ko)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KR102001077B1 (ko) 배선용 클립
CN108173182B (zh) 电力管的管枕
JP2016163433A (ja) ワイヤハーネス
JP7316991B2 (ja) 固定構造
JP2014128072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18179280A (ja) ボルト連結具
JP200528727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取付構造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1172779A (ja) 綱支持用具
JP2016163432A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8162821B (zh) 用于车辆座椅的座椅壳的旋转安装式安装的紧固件及方法
KR20180055080A (ko) 와이어 하네스 분리지그
JP443869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持構造
JP2008215602A (ja) ホース接続装置
KR101867046B1 (ko) 케이블용 고정 장치를 구비한 벨트 버클
KR102317148B1 (ko) 족장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