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04A -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04A
KR20190030404A KR1020170117800A KR20170117800A KR20190030404A KR 20190030404 A KR20190030404 A KR 20190030404A KR 1020170117800 A KR1020170117800 A KR 1020170117800A KR 20170117800 A KR20170117800 A KR 20170117800A KR 20190030404 A KR20190030404 A KR 20190030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vehicle
rail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615B1 (ko
Inventor
정재철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7011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과, 로우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홀 중 일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핀을 갖는 록킹핀 어셈블리와, 어퍼레일에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작동레버와, 로우레일에 고정되며 복수의 록킹홀에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보강부재는, 복수의 관통홀에 각각 연장되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의 충돌시 록킹핀에 의해 록킹홀이 변형되더라도 보강부재에 의해 록킹핀이 차량 전방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을 더 큰 부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Locking Device Of Vehicle Seat Rail}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로우레일의 록킹홀에 끼워진 록킹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레일은 시트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과, 로우레일을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어퍼레일을 포함한다.
이 시트레일은 어퍼레일을 로우레일에 대해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록킹장치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했을 때 불편하지 않도록 시트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적절한 위치에 시트를 시트레일에 대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레일 록킹장치에 대한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레일 록킹장치는, 어퍼레일(미도시)에 결합되는 록킹핀 어셈블리(1)와, 록킹핀 어셈블리(10)의 록킹핀(11)이 끼워지도록 로우레일(2)에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2a)과, 어퍼레일에 결합되되 록킹핀 어렘블리(10)의 록킹핀(11)을 작동시키는 작동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핀 어셈블리(10)는 다수의 록킹핀(11)이 록킹 가이드(1)에 의해 어퍼레일에 고정되되, 다수의 록킹핀(11)이 작동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수의 록킹핀(11)은 탄성부재(12)에 의해 탄력 지지되되 록킹홀(2a)을 향해 이동되도록 지지된다. 즉, 탄성부재(12)는 시트의 록킹해제시 록킹핀(11)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록킹홀(2a)에서 이탈될 때 탄성력을 발생하여 록킹시 록킹핀(11)을 록킹홀(2a)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레일 록킹장치는 시트레일의 록킹시 다수의 록킹핀 (11)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핀(11)이 록킹홀(2a)에 끼워져서 어퍼레일이 로우레일(2)에 대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우선, 록킹홀(2a)에 다수의 록킹핀(11) 중 하나의 록킹핀(11)이 끼워진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전방 쪽의 록킹홀(2a) 내주면에 밀착된 하나의 록킹핀(11)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변형을 발생하게 되고, 차량의 충돌 하중이 클 경우에는 록킹핀(11)이 변형되면서 록킹홀(2a)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록킹핀(11) 중 두개의 록킹핀(11)이 록킹홀(2a)에 각각 끼워지는 시트레일 록킹장치의 경우 두개의 록킹핀(11) 중 하나의 록킹핀(11)이 차량 전방 쪽의 록킹홀(2a) 내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록킹홀(2a)의 내주면에 밀착된 록킹핀(11)은 차량의 전방쪽으로 밀리면서 변형을 발생하게 되고 다른 록킹핀(11)이 록킹홀(2a)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트레일의 록킹구조는 록킹 강도 증대에 한계가 있고, 충격으로 록킹핀(11)이 변형으로 기울어지는데 록킹핀(11)이 과다하게 변형될 경우 록킹홀(2a)에서 록킹핀(11)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록킹홀(2a)에서 록킹핀(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해결책이 요구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83356
따라서, 본 발명은, 록킹핀이 끼워지는 록킹홀이 형성된 로우레일에 강도를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를 결합하여 다단계 변형을 유도하여 록킹핀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과, 로우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홀 중 일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핀을 갖는 록킹핀 어셈블리와, 어퍼레일에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작동레버와, 로우레일에 고정되며 복수의 록킹홀에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보강부재는, 복수의 관통홀에 각각 연장되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장홀은, 복수의 록킹핀 중 차량의 전방쪽 록킹핀이 접촉되는 연장홀에서 차량의 전방 쪽 내주면에서 차량의 전방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홀은, 폭이 록킹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록킹핀에 의해 록킹홀이 변형되더라도 보강부재에 의해 록킹핀이 차량 전방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을 더 큰 부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레일 록킹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강도보강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시트레일 강도 보강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강도 보강구조에서 차량 충돌에 따른 변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강도보강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트레일 강도 보강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강도 보강구조에서 차량 충돌에 따른 변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시트레일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과, 로우레일의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어퍼레일과, 로우레일에 대해 어퍼레일이 이동되지 않도록 어퍼레일을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는 로우레일(101)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102)과, 어퍼레일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홀(102) 중 적어도 하나의 록킹홀(102)에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핀(111)으로 구성된 록킹핀 어셈블리(110)와, 복수의 록킹핀(111)을 상하 이동시키는 작동레버와, 로우레일(101)에 고정되며 록킹홀(102)에 연통되되, 차량의 전방쪽으로 록킹홀(102)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통홀(121)이 구비되는 보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복수의 록킹홀(102)은, 로우레일(101)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록킹홀(102)은 복수의 록킹핀(111) 중 하나의 록킹핀(111)이 끼워져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홀로 구성된다.
록킹핀 어셈블리(110)는 어퍼레일()의 하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어퍼레일을 로우레일(101)에 임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록킹핀(111)과, 복수의 록킹핀(111)을 어퍼레일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브래킷(미도시), 복수의 록킹핀(111)을 각각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록킹핀 어셈블리(110)는 로우레일(101)과 어퍼레일 사이에서 어퍼레일에 결합되며 어퍼레일의 이동시 어퍼레일과 함께 이동된다.
복수의 록킹핀(111)은 3개 또는 4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 숫자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결합브래킷은 어퍼레일에 고정되되, 어퍼레일에서 복수의 록킹핀(11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어퍼레일에 대해 복수의 록킹핀(11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12)는 복수의 록킹핀(111)에 각각 끼워져서 록킹핀(111)을 어퍼레일에 탄력 지지한다. 탄성부재(112)는 록킹핀(111)의 하단이 로우레일(101)의 록킹홀(102)에 끼워지도록 로우레일(101) 쪽(하측)으로 밀어내도록 록킹장치의 언록킹 작동시 탄성력이 발생한다. 즉, 탄성부재(112)는 록킹장치의 언록킹시 록킹핀(111)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축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되, 시트의 고정시 즉, 록킹장치의 록킹시 록킹장치의 언록킹시 발생된 탄성력으로 록킹핀(111)을 로우레일(101) 쪽으로 밀어낸다.
여기서, 탄성부재(112)는 록킹핀(111)의 외주에 끼워져서 록킹핀(111)의 외주 중간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이 어퍼레일의 밑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보강부재(120)는 로우레일(101)의 록킹홀(102)에 끼워져 관통되는 록킹핀(111)이 관통되도록 로우레일(101)의 복수의 록킹홀(102)에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121)을 가지고,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로우레일(101)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보강부재(120)는 로우레일(101)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되, 로우레일(101)의 밑면에 용접이나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된다. 또한, 보강부재(120)는 로우레일(101)의 윗면에 용접 고정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강부재(120)는 차량의 충돌시 시트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쏠릴 때 로우레일(101)의 록킹홀(102)이 일정 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록킹홀(102)에 끼워진 록킹핀(1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부재(120)의 관통홀(121)에는, 록킹장치의 록킹시 록킹핀(111)이 밀착 지지되는 차량 전방쪽의 록킹홀(102) 내주면에서 차량의 전방쪽으로 연장하는 연장홀(122)이 형성된다.
즉, 연장홀(122)은 복수의 록킹핀(111) 중 차량 전방쪽의 록킹핀(111)이 끼워져 밀착되는 관통홀(121)에서 차량 전방쪽 내주면에서 차량의 전방쪽으로 형성된다.
즉, 보강부재(120)의 관통홀(121)에는 차량의 전방쪽으로 연장되는 연장홀(122)이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전방쪽 록킹홀(102)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있던 록킹핀(111)에 의해 충격에 의해 차량의 전방쪽 록킹홀(102)의 내주면이 변형되면서 차량의 전방쪽으로 이동될 때 연장홀이 확장되어 록킹핀을 저지하여 차량의 전방 쪽 록킹홀(102)의 내주면이 더 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록킹홀(102)에서 록킹핀(1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 하중을 처음 받는 록킹핀(111) 즉, 복수의 록킹핀(111) 중 차량의 전방 쪽에 위치하는 록킹핀(111)의 변형을 유도하여 도 5와 같이, 차량 전방 쪽에 위치하는 록킹핀(111)에 차량의 전방 쪽의 록킹홀(102)의 내주면과 보강부재의 관통홀(121) 내주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다른 록킹홀(102)에 끼워지는 다른 록킹핀(111)이 록킹홀(102)의 차량 전방쪽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록킹장치에서 록킹시와 충돌사고시의 보강부재(120)와 록킹핀(111) 사이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주행 중 탑승자가 착석한 시트는 록킹 상태인, 복수의 록킹핀(111) 중에서 일부 록킹핀(111)이 도면에서는 2개의 록킹핀(111)이 로우레일(101)의 록킹홀(102)에 끼워져서 시트가 이동되지 않도록 록킹상태에 있다.
이때, 록킹홀(102)에 끼워진 2개의 록킹핀(111) 중 차량 전방 쪽 록킹핀(111)이 차량 전방쪽 록킹홀(102)의 전방쪽 내주면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시트레일의 록킹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에,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이 전방으로 쏠리면서 시트의 하중이 차량 전방 쪽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록킹홀(102)에 끼워진 록킹핀(111)도 차량 전방 쪽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전방쪽 록킹핀(111)이 록킹홀(102)과 관통홀(121)의 연장홀(122)을 변형시키면서 차량 전방쪽으로 이동하여 연장홀(121)에 밀착되면서 지지된다. 여기서, 록킹핀(111)은 로우레일(101)의 록킹홀(102) 내주면과 연장홀(122) 내주면에 동시에 2점 지지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2점 지지되는 록킹핀(111)이 변형으로 인하여 도 5와 같이, 차량 후방으로 휘어지면서 록킹핀(111)이 차량 전방 쪽으로 조금 더 이동된다. 그러면, 록킹홀(102)에 끼워진 다른 록킹핀(111)도 함께 이동하면서 록킹홀(102)의 전방 내주면에 지지됨에 따라 록킹핀 어셈블리는 로우레일(101)에 3점 지지됨으로서 록킹핀(111)이 록킹홀(102)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 로우레일
102 : 록킹홀
110 : 록킹핀 어셈블리
111 : 록킹핀
112 : 탄성부재
120 : 보강부재
121 : 관통홀
122 : 연장홀

Claims (3)

  1. 차량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과,
    로우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홀 중 일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록킹핀을 갖는 록킹핀 어셈블리와,
    어퍼레일에 결합되며 복수의 록킹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작동레버와,
    로우레일에 고정되며 복수의 록킹홀에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보강부재는, 복수의 관통홀에 각각 연장되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장홀은,
    복수의 록킹핀 중 차량의 전방쪽 록킹핀이 접촉되는 연장홀에서 차량의 전방 쪽 내주면에서 차량의 전방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홀은,
    폭이 록킹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170117800A 2017-09-14 2017-09-14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35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800A KR102350615B1 (ko) 2017-09-14 2017-09-14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800A KR102350615B1 (ko) 2017-09-14 2017-09-14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04A true KR20190030404A (ko) 2019-03-22
KR102350615B1 KR102350615B1 (ko) 2022-01-14

Family

ID=6594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800A KR102350615B1 (ko) 2017-09-14 2017-09-14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2377A (zh) * 2021-03-01 2021-06-22 宁波精成车业有限公司 一种座椅电机驱动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56A (ko)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 로킹장치
KR20080109870A (ko) * 2006-03-24 2008-12-1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운송수단 의자용 트랙
KR100899675B1 (ko) * 2008-01-18 2009-05-28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록킹 장치
KR20120082740A (ko) * 2011-01-14 2012-07-2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KR20140068661A (ko) * 2012-11-28 2014-06-09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56A (ko)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 로킹장치
KR20080109870A (ko) * 2006-03-24 2008-12-1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운송수단 의자용 트랙
KR100899675B1 (ko) * 2008-01-18 2009-05-28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록킹 장치
KR20120082740A (ko) * 2011-01-14 2012-07-2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KR20140068661A (ko) * 2012-11-28 2014-06-09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2377A (zh) * 2021-03-01 2021-06-22 宁波精成车业有限公司 一种座椅电机驱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615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4102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0132035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901894A1 (en) Head rest
KR20170008097A (ko) 에어백 장착장치
KR20190030404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6361484B2 (ja) 運転者保護装置
JP6775445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6822201B2 (ja) 乗物シート用クッションフレーム
KR20190030378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5430331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装置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構造
JP5768730B2 (ja) エアバッグ組付構造
JP5724698B2 (ja) サイドサポート装置
JP5473660B2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構造
JP4153786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US7452020B2 (en) Self locating bracket
JP2010116060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981288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313196B1 (ko) 차량의 시트이탈방지구조
JP675992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509669B2 (ja) 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JP2007238035A (ja) 車両用フットレスト構造
JP7035700B2 (ja) 内装部品取付構造
KR10190808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3167677U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218031001U (zh) 索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