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03Y1 - 파우치용 펀칭 캡 - Google Patents

파우치용 펀칭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003Y1
KR200487003Y1 KR2020160006641U KR20160006641U KR200487003Y1 KR 200487003 Y1 KR200487003 Y1 KR 200487003Y1 KR 2020160006641 U KR2020160006641 U KR 2020160006641U KR 20160006641 U KR20160006641 U KR 20160006641U KR 200487003 Y1 KR200487003 Y1 KR 200487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unching
body portion
cap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522U (ko
Inventor
양승범
민선웅
강민지
이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6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0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용기에 부착되는 펀칭 캡에 있어서,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펀칭부재가 구비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펀칭부재와 마주하는 타면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토출구가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파우치형 용기의 일 영역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펀칭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용기가 뚫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우치용 펀칭 캡{Punching cap for pouch}
본 고안은 파우치용 펀칭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형 용기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파우치용 펀칭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의 식품, 음료, 샴푸, 린스, 세제 등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라스틱 용기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전량 폐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용기가 일회성 용기로 사용되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의 제작 비용에 따른 경제적인 문제점과, 많은 용기의 폐기로 인한 자원 낭비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리필용 파우치형 용기에 세제 등의 내용물을 임시로 수용하고 밀폐하여 생산한 후, 빈 플라스틱 용기에 내용물을 주입하여 플라스틱 용기를 재활용하고 있다.
파우치형 용기는 일측 모서리를 절취하여 개방되는 개방부를 통해 플라스틱 용기의 주입구에 내용물을 주입한다. 하지만, 파우치형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플라스틱 용기에 담는 과정에서 파우치형 용기의 외부면으로 흘러내리거나 플라스틱 용기 외부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측 모서리가 절취된 파우치형 용기의 보관 시 내용물이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토출구 및 토출구 마개가 구비된 파우치형 용기가 개발되었지만, 플라스틱 사출물을 제작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수납된 파우치형 용기를 뚫을 수 있는 펀칭부재 및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함에 의해 보다 간편한 방식에 의하여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파우치용 펀칭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출구에 마개를 구비함에 의해 파우치형 용기에 수납된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용 펀칭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용기에 부착되는 펀칭 캡에 있어서,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펀칭부재가 구비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펀칭부재와 마주하는 타면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토출구가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파우치형 용기의 일 영역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펀칭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용기가 뚫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각각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일면 및 타면의 마주하는 각각 하나의 모서리를 연결시키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타면으로부터 이어지는 면 중에서 상기 힌지부재와 인접한 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타면과 반대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는,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토출구에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용 펀칭 캡은, 내용물이 수납된 파우치형 용기를 뚫을 수 있는 펀칭부재 및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토출구를 포함한 파우치형 용기에서 플라스틱 사출물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수거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용 펀칭 캡은, 토출구에 마개를 구비하여 토출구에서 발생하는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펀칭 캡이 장착된 파우치형 용기의 배송 또는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이 파우치형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의 토출구에 마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용기(40, 도 3 참조)에 부착되는 펀칭 캡(100)은, 제1 몸체부(10) 및 제2 몸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10) 및 제2 몸체부(20)는 각각 육면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부(10)의 일면(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펀칭부재(11)가 일면(13)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펀칭부재(11)는 원형의 칼날 형태를 띨 수 있다.
그리고,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에는 펀칭부재(11)와 대응하는 영역에 펀칭부재(11)가 삽입되도록 관통홀(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20)의 외측에는 토출구(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출구(22)는 관통홀(21)로부터 제2 몸체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21) 및 토출구(22)는 제2 몸체부(20)의 상이한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몸체부(10)의 일면(13) 및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의 마주하는 각각 하나의 모서리에는 힌지부재(30)가 구비되어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20)가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0)의 일측 모서리에 일정 길이의 제1 힌지부재(31)가 구비되고, 제1 몸체부(10)의 일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제2 몸체부(20)의 타측 모서리에 제1 힌지부재(31)의 양단을 수용하며 결합되는 제2 힌지부재(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은 힌지부재(30)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제2 몸체부(20)의 토출구(22)는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으로부터 이어지는 면 중에서 힌지부재(30)와 인접한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몸체부(20)는 관통홀(21)로부터 토출구(22)까지 연장된 유로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는, 펀칭 캡(100)이 파우치형 용기(40, 도 3 참조)에 부착된 후 내용물(50, 도 3 참조)이 유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에는 각각 접착부재(12, 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12, 23)는 양면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에 각각 접착부재(12, 23)가 구비됨에 의해 파우치형 용기(40)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펀칭 캡(100)을 파우치형 용기(40)에 부착할 시, 힌재부재(30)에 의해 연결된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20)가 일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그 사이에 파우치형 용기(40)의 일 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이 마주하도록 양측에서 가압하면 제1 몸체부(10) 및 제2 몸체부(20)가 접착부재(12, 23)에 의해 파우치형 용기(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몸체부(10)의 펀칭부재(11)가 제2 몸체부(20)의 관통홀(21)에 삽입됨에 의해 파우치형 용기(40)의 일 영역이 뚫릴 수 있다.
이때, 관통홀(21)은 펀칭부재(11)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홀(21)은 펀칭부재(1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이 점차적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펀칭부재(11)와 제2 몸체부(20)의 타면(24)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용기는 상부 일측을 가위 등으로 잘라서 내용물을 따르게 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여러 불편함 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토출구가 구비된 파우치형 용기는 제조 공정이 추가됨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반면,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100)을 파우치형 용기(40)에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착과 동시에 파우치형 용기(40)에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그 구멍을 이용하여 내용물(50)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우치형 용기(4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이 파우치형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100)이 파우치형 용기(4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파우치형 용기(40)를 일정 각도로 기울임에 따라 내용물(50)이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펀칭 캡(100)은 파우치형 용기(40)를 기울임에 따라 내용물(50)이 토출되도록 파우치형 용기(40)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우치형 용기(40)를 사이에 두고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을 밀착시킴에 따라 펀칭 캡(100)이 파우치형 용기(4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펀칭부재(11)가 관통홀(21)에 삽입되면서 파우치형 용기(40)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형 용기(40)에 구멍을 뚫은 후 제1 몸체부(10) 및 제2 몸체부(2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0)의 일면(13)과 제2 몸체부(20)의 타면(24)은 각각 파우치형 용기(40) 일 영역의 양측에 부착되어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몸체부(20)는 관통홀(21)로부터 토출구(22)까지 이어지는 유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파우치형 용기(40)를 기울임에 의해 내용물(50)이 관통홀(21)로 유입된 후 유로를 따라 토출구(2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50)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샴푸, 린스, 물비누 등의 욕실용품과 주방 세제, 세탁 세제, 화장품 및 음료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음료수가 담긴 파우치형 용기에 빨대를 꽂을 때 힘을 주면 음료수가 상측으로 새어나오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100)을 음료수가 담긴 파우치형 용기(40)에 적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의 토출구에 마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펀칭 캡(100)의 제2 몸체부(20)에는 토출구(22)를 폐쇄하는 마개(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펀칭 캡(100)에 의해 구멍이 뚫린 상태의 파우치 용기(40)는 내용물(50)이 외부로부터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우치형 용기(4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토출구(22)를 폐쇄하도록 마개(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22)로부터 마개(60)가 분리된 경우, 마개(6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몸체부(20)에는 마개(6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몸체부(20)는 타면(24, 도 2 참조)과 반대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개(60)는 고정부(61), 연결부(62) 및 끼움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61)는 돌출부(2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2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63)는 토출구(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부(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부(62)는 고정부(61)와 끼움부(63)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개(60)는, 파우치형 용기(40)로부터 내용물(50)을 토출하거나 토출하지 않는 경우에 모두 제2 몸체부(20)의 돌출부(25)에 고정부(61)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마개(6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22)에 마개(60)가 구비됨으로써, 파우치형 용기(40)의 이동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의 펀칭 캡(100)은, 파우치형 용기(40)에 수납된 내용물(50)이 소진되는 경우에 파우치형 용기(4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파우치형 용기(40)와 별도로 분리수거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제1 몸체부 11 : 펀칭부재
12, 23 : 접착부재 20 : 제2 몸체부
21 : 관통홀 22 : 토출구
25 : 돌출부 30 : 힌지부재
31 : 제1 힌지부재 32 : 제2 힌지부재
40 : 파우치형 용기 50 : 내용물
60 : 마개 61 : 고정부
62 : 연결부 63 : 끼움부
100 : 펀칭 캡

Claims (7)

  1. 파우치형 용기에 부착되는 펀칭 캡에 있어서,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펀칭부재가 구비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펀칭부재와 마주하는 타면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토출구가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파우치형 용기의 일 영역의 외부면 양측에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펀칭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용기가 뚫리며,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의 마주하는 각각 하나의 모서리를 연결시키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펀칭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각각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펀칭 캡.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타면으로부터 이어지는 면 중에서 상기 힌지부재와 인접한 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펀칭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펀칭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타면과 반대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펀칭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토출구에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펀칭 캡.
KR2020160006641U 2016-11-15 2016-11-15 파우치용 펀칭 캡 KR200487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41U KR200487003Y1 (ko) 2016-11-15 2016-11-15 파우치용 펀칭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41U KR200487003Y1 (ko) 2016-11-15 2016-11-15 파우치용 펀칭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22U KR20180001522U (ko) 2018-05-24
KR200487003Y1 true KR200487003Y1 (ko) 2018-07-24

Family

ID=6229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41U KR200487003Y1 (ko) 2016-11-15 2016-11-15 파우치용 펀칭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0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33Y1 (ko) * 2004-10-29 2005-01-15 주식회사 산청 정화통 보관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6496B2 (ja) * 1997-06-24 2006-09-27 凸版印刷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33Y1 (ko) * 2004-10-29 2005-01-15 주식회사 산청 정화통 보관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22U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305A (en) Unit dose spoon
CN201362419Y (zh) 具有盖体保护的封闭物
US7963712B2 (en) Disposable dispensing device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EP3303173B1 (en) Collapsible fluid dispensing package and valve fitment for dispensing fluid such as foodstuffs
KR200487003Y1 (ko) 파우치용 펀칭 캡
KR101569709B1 (ko) 샴푸린스 용기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US11530078B2 (en) Contents container
JP4689998B2 (ja) 2剤混合容器
JP6253262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
JP4929591B2 (ja) スパウト
JP2009234611A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JP2006335366A (ja) 容器
JP2006341861A (ja) 容器
JP2014213930A (ja) 詰め替え用キャップおよび該キャップを有する包装容器
JPH07330003A (ja) ポンプ容器
JP3652467B2 (ja) 液体噴出容器用のキャップ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0300855B1 (ko)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0467265B1 (ko)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
KR200485444Y1 (ko) 용기 뚜껑
KR200253153Y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KR200306886Y1 (ko)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KR101433858B1 (ko) 이종 물질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