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53Y1 -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53Y1
KR200253153Y1 KR2020010025464U KR20010025464U KR200253153Y1 KR 200253153 Y1 KR200253153 Y1 KR 200253153Y1 KR 2020010025464 U KR2020010025464 U KR 2020010025464U KR 20010025464 U KR20010025464 U KR 20010025464U KR 200253153 Y1 KR200253153 Y1 KR 200253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torage container
liquid storage
sealed space
typ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근
Original Assignee
최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근 filed Critical 최용근
Priority to KR2020010025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53Y1/ko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액체를 저장가능한 밀폐공간과, 상기 밀폐공간과 격리되도록 밀봉된 격리실과, 상기 격리실에 마련된 절취부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및 상기 밀폐공간과 격리실이 선택적으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융착되며, 상기 밀폐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 외력으로 상기 절취부를 절취하여 상기 밀폐공간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개봉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A spout for pouch-type liquid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용기의 밀폐공간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는 열융착 또는 접착 방식에 의해 밀봉 가능하며, 소정 액체 예컨대, 음료수, 주류, 한약 등의 음용수와 리필용 식용유, 화장품, 세제 등을 포함하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파우치 용기와, 용기의 상단에 융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스파우트를 구비한다.
종래의 파우치형 스파우트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24392호의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에 제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의 상단에 융착되는 몸체와, 몸체에 삽입되어 상,하 동작에 의해 몸체의 유입공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폐쇄돌부가 형성된 유출구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파우치형 스파우트는 폐쇄돌부를 가진 유출구의 가공이 어렵고, 그 유출구를 몸체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조립하기가 복잡하여 그에 따른 인적/물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정 중량을 가지는 스파우트가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시각적으로 불균형한 느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용기의 밀폐공간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체저장용기 12... 밀폐공간
14... 격리실 16... 절취부
20... 배출부 22... 배출공
30... 유입부 32... 유입공
34... 연통라인 40... 융착부
42... 센터 44... 에지부
46... 융착돌기 50... 알루미늄 박판
52... 손잡이 60... 캡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액체를 저장가능한 밀폐공간과, 상기 밀폐공간과 격리되도록 밀봉된 격리실과, 상기 격리실에 마련된 절취부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및 상기 밀폐공간과 격리실이 선택적으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융착되며, 상기 밀폐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 외력으로 상기 절취부를 절취하여 상기 밀폐공간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개봉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봉수단은: 상기 용기의 절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밀폐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공이 마련된 배출부; 상기 배출공이 상기 밀폐공간과 통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유입공이 마련된 유입부; 및 상기 액체저장용기의 내측면에 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와 유입부 사이에 마련된 융착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는, 상기 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공의 상단부에 부착된 알루미늄 박판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는, 상기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공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부재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개봉 동작이 간단하고, 인적/물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시각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개봉장치는 소정 액체를 저장가능한 밀폐공간(12)과, 밀폐공간(12)과 격리되도록 밀봉된 격리실(14)과, 격리실(14)에 마련된 절취부(16)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10)와, 밀폐공간(12)과 격리실(14)이 선택적으로 통할 수 있도록 용기(10)의 내측면에 융착되며, 밀폐공간(12)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 외력으로 절취부(16)를 절취하여 밀폐공간(12)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개봉수단(100)을 구비한다.
상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10)는 수지, 종이 등과 같은 플랙시블 재질에 의해 성형되며, 스포츠 음료, 드링크제, 우유, 한약, 화장품, 세재, 식용유 등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테두리가 융착된 밀폐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액체저장용기(10)의 격리실(14)은 도면의 'A'부분의 가로 길이와 동일한 폭 및 용기(10)의 상측 테두리까지 연장된 높이를 가진다. 즉, 상기 격리실(14)은 용기(10)의 'A'부분이 후술되는 융착부(40)에 융착되고, 그 융착부(40)의 양단으로부터 상측 테두리까지 용기(10)의 내측면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된 격리영역을 가진다.
상기 개봉수단(100)은 용기(10)의 절취부(16)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밀폐공간(12)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공(22)이 마련된 배출부(20)와, 배출공(22)이 밀폐공간(12)과 통할 수 있도록 배출부(20)에 연장 형성되고 배출공(22)과 연통되는 유입공(32)이 마련된 유입부(30)와, 액체저장용기(10)의 내측면에 융착될 수 있도록 배출부(20)와 유입부(30) 사이에 마련된 융착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20)는 용기(10)의 격리실(14) 내에 밀봉되며, 용기(10)의 격리실(14)에 마련된 절취부(16)를 통해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배출부(20)는, 사용자에 의해 격리실(14)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절취부(16)를 절취하고 그 절취부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유입부(30)는 배출공(22)과 연통라인(34)으로 연결되며, 용기(10)의 밀폐공간(12)으로 향하는 유입공(32)을 갖도록 배출부(20)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융착부(40)는 배출부(20)가 격리실(14) 내에 위치됨과 동시에, 유입부(30)가 용기(10)의 밀폐공간(12) 내에 위치되도록 배출부(20)와 유입부(30) 사이에 마련되어 용기(10)의 내측면 즉, 도면의 'A'부분에 융착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통형이고 중앙에 상기 연통라인(34)이 마련된 센터(42)와, 센터(42)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에지부(44)를 포함하여 단면이 대략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융착부(40)의 외표면에는 적어도 3개의 융착돌기(46)가 마련된다. 상기 융착돌기(46)는 용기(10)와의 열융착 작업시 그 융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봉장치는 배출공(22)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제거 동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52)를 가진 알루미늄 박판(50)과, 배출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배출공(22)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원터치식으로 착탈되는 캡부재(60)를 더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캡부재(60)는 원터치식으로 착탈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암수의 나선 결합에 의해 배출공(22)을 개폐시킬 수도 있다. 미설명된 참조부호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개봉장치의 조립 공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10)에 절취부(16)를 형성하고, 상측 테두리가 개방되도록 열융착유니트를 이용하여 용기(10)를 융착한 다음, 상기 용기(10)와 개봉수단(100)을 결합시키기기 위해 개봉수단(100)을 용기(10) 내부로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열융착유니트에 의해 개봉수단(100)의 융착부(40)는 용기(10)의 'A'부분에 융착된다. 이와 동시에 융착부(40)의 단부로부터 상측 테두리 부분까지 용기(10)의 내측면이 융착됨에 따라 격리실(14)과 밀폐공간(12)이 구획된다.
마지막으로, 용기(10)의 밀폐공간(12)에 필요한 액체를 충진한 후, 상측 테두리 부분을 융착하여 밀봉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조립된 개봉장치의 개봉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용기(10)의 'A'부분을 잡고, 다른 손으로 격리실(14)의 상측 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배출부(20)측을 상방으로 밀고, 동시에 격리실(14)의 상측 부분을 뒤로 젖힌다. 그러면, 배출부(20)의 선단은 격리실(14)의 내측에서 절취부(16)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력에 의해 절취부(16)가 절취되면서 그 절취부위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60)를 분리시킨 뒤, 배출공(22)의 상단부에 부착된 알루미늄 박판(50)의 손잡이(52)를 잡고 알루미늄 박판(50)을 떼어 낸다.
따라서, 용기(10)의 밀폐공간(12)에 수용된 액체는 유입공(32)을 통해 유입됨과 동시에, 연통라인(34)을 따라 배출공(22)으로 배출된다.
한편, 액체저장용기(10) 내에 저장된 액체의 잔량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캡부재(60)를 배출공(22)측에 결합하여 배출공(22)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용기의 밀폐공간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개봉 동작이 간단하다.
둘째, 배출부와 유입부가 일체로 마련되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별도의 조립공정이 배제되어 인적/물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배출부 및 유입부가 용기 내에 수용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시각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Claims (4)

  1. 소정 액체를 저장가능한 밀폐공간과, 상기 밀폐공간과 격리되도록 밀봉된 격리실과, 상기 격리실에 마련된 절취부를 가진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및
    상기 밀폐공간과 격리실이 선택적으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융착되며, 상기 밀폐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 외력으로 상기 절취부를 절취하여 상기 밀폐공간과 외부를 강제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개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수단은:
    상기 용기의 절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밀폐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공이 마련된 배출부;
    상기 배출공이 상기 밀폐공간과 통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유입공이 마련된 유입부; 및
    상기 액체저장용기의 내측면에 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와 유입부 사이에 마련된 융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공의 상단부에 부착된 알루미늄박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공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KR2020010025464U 2001-08-22 2001-08-22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KR200253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464U KR200253153Y1 (ko) 2001-08-22 2001-08-22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464U KR200253153Y1 (ko) 2001-08-22 2001-08-22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153Y1 true KR200253153Y1 (ko) 2001-11-22

Family

ID=7310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464U KR200253153Y1 (ko) 2001-08-22 2001-08-22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8125B2 (ja) 抽出及び/又は煎じ出しによる飲料の即席生成にも使用可能な、飲料保存流通缶
US5191988A (en) Pack with peripheral seam for flowable contents
US20060060589A1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ITTV20030058A1 (it) Capsula monodose in plastica per caffe&#39; in polvere e simili.
JP2006520722A (ja) 飲食用容器
US20090065503A1 (en) Multi-chambered beverage container
JP2015145281A (ja) 飲料容器
KR200253153Y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JP4226161B2 (ja) 液体ディスペンサーとそれに使用するカートリッジ式容器
JP2002240856A (ja) 詰め替え袋用容器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EP3016877A2 (en) Container lid co 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3815134B2 (ja) 包装容器
KR200174370Y1 (ko) 두개의 흡음구가 구비된 음료수 캔
KR200225681Y1 (ko) 절첩식 음료수 페트병
KR200191415Y1 (ko) 음료수 캔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200219778Y1 (ko) 튜브형 식품포장 용기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KR200424838Y1 (ko) 매트형 음료용기
KR200241713Y1 (ko) 음료수용 팩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KR960006493Y1 (ko) 이종(異種)의 물질보관을 위한 용기를 내장하는 병
KR200244222Y1 (ko) 액체용기
KR200188691Y1 (ko) 음료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