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838Y1 - 매트형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매트형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838Y1
KR200424838Y1 KR2020060015050U KR20060015050U KR200424838Y1 KR 200424838 Y1 KR200424838 Y1 KR 200424838Y1 KR 2020060015050 U KR2020060015050 U KR 2020060015050U KR 20060015050 U KR20060015050 U KR 20060015050U KR 200424838 Y1 KR200424838 Y1 KR 200424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t
single container
type beverage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숙
이재성
이재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60015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와 같이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단독용기를 여러개 연결한 구조로서, 각 단독용기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할 수 있고, 음료 섭취후에는 매트, 쿠션, 방석, 놀이용 튜브, 응원도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매트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측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음용구 및 마개가 부착된 튜브 형태의 단독용기를 구비하고, 하나의 단독용기의 결합돌기를 다른 하나의 단독용기의 결합홈에 끼워주는 연속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단독용기가 일렬 또는 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매트형 음료용기, 결합돌기, 결합홈, 단독용기, 쿠션, 방석

Description

매트형 음료용기{Mat type beverag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원형으로 말아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단독용기에 서로 다른 음료가 충진된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a,5b,5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를 여러개 연결하여, 등받이쿠션/방석/베개 등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에 스트로 보관구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에 손주머니가 형성된 상태 및 응원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를 스트로를 이용하여 묶어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를 그 길이방향으로도 더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독용기 12 : 결합돌기
14 : 결합홈 16 : 음용구
18 : 마개 20 : 스트로 보관주머니
22 : 손 주머니 24 : 스트로
26 : 요부 28 : 철부
본 고안은 매트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와 같이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단독용기를 여러개 연결한 구조로서, 각 단독용기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할 수 있고, 음료 섭취후에는 매트, 쿠션, 방석, 놀이용 튜브, 응원도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매트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커피, 우유, 홍차, 녹차, 각종 주스나 드링크제, 탄산음료 등)등이 저장된 음료용기는 소비자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대부분 1회용 용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1회용 용기는 보통 캔이나 병, 플라스틱, 종이 등으로 제작되며,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각기 다른 밀봉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음료용기는 그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소비자가 음료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스트로를 용기에 부착시킨 구조, 원터치로 뚜껑을 여는 구조, 알루미늄 포일로 입구를 융착시킨 구조, 잔여 음료 보관을 위해 입구에 개폐 가능한 뚜껑이 부착된 구조 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용기들은 대부분 1회용 용기이기 때문에 그대로 버려지고 있으며, 이렇게 1회용 용기로 버려지고 있는 캔, 병, 플라스틱, 종이 재질의 용기들에 대한 재활용 수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의 원인을 감안하여, 단순히 음료를 섭취하고 보관하기 위한 음료용기의 한계에서 벗어나, 음료의 섭취후에도 여러가지 다른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에, 주지된 바와 같은 보통의 음료용기에서 탈피하여, 좀 더 차별화된 형태의 구조가 가미되어 소비자의 흥미를 크게 유발하면서도 음료 제품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음료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튜브 형태의 단독용기를 구비함과 함께 이 단독용기에 분리 및 연결을 위한 조립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각 단독용기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할 수 있고, 음료 섭취후에는 매트, 쿠션, 방석, 놀이용 튜브, 응원도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트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음용구 및 마개가 부착된 튜브 형태의 단독용기를 구비하고, 하나의 단독용기의 결합돌기를 다른 하나의 단독용기의 결합홈에 끼워주는 연속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단독용기가 일렬 또는 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결합돌기는 단독용기의 일측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단독용기의 타측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홈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홈의 일끝 입구에서 반대쪽으로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단독용기의 일표면에는 스트로 보관주머니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단독용기의 일표면에는 손 주머니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독용기의 음용구가 형성된 쪽 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반대쪽면에 철부를 형성하여, 단독용기가 그 길이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튜브형 단독용기를 여러개 연결하여, 각 단독용기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할 수 있고, 음료의 섭취후에는 여러가지 기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을 하는 플라스틱 종류의 재질을 이용한 단독용기를 구비한 점 그리고 이 단독용기를 여러개 연결한 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독용기(10)는 음료 또는 공기가 충진되면 팽창하여 타원형의 단면을 이루게 되고, 음료 또는 공기가 완전 배출되면 겉커버끼리 밀착되면서 직사각의 면적을 갖는 시트 형태가 된다.
특히, 상기 단독용기(10)의 일측단부에는 결합돌기(12)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선단부 소정 위치에는 음용구(16) 및 이 음용구(16)를 개폐하는 마개(18)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12)는 단독용기(10)의 일측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돌기 형태로 일체가 되며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4)은 단독용기(10)의 타측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홈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단독용기(10)의 결합돌기(12)를 다른 하나의 단독용기(10)의 결합홈(14)에 끼워주는 연속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단독용기(10)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결합되어진다.
즉, 하나의 단독용기(10)의 결합돌기(12)를 다른 하나의 단독용기(10)의 결합홈(14) 일끝 입구에서부터 그 반대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삽입해줌으로써, 각 단독용기(10)끼리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나의 단독용기(10)의 결합돌기(12)를 다른 하나의 단독용기(10)의 결합홈(14)에 끼워주는 연속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단독용기(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조립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구조를 갖는 각 단독용기에는 도 4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가 충진될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 음료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단독용기(10)를 분리하여 음용할 수 있다.
물론, 음용 대상이 여러명인 경우에는 서로 결합되어 있던 복수개의 단독용기(10)를 결합홈(14)으로부터 결합돌기(12)를 빼내는 동작으로 각각 분리하여 하나씩 나누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단독용기(10)의 일표면 소정 위치에는 음료를 빨아 먹을 수 있는 스트로 보관주머니(20)가 더 부착되고, 또한 상기 단독용기(10)의 일표면 소정 위치에는 손 주머니(22)가 더 부착되어 경기장내에서 응원을 위한 막대풍선과 같은 도구로 재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매트형 음료용기에 충진된 음료를 모두 음용한 후에는 기존의 용기와 달리 그대로 버려지지 않고 하기와 같이 여러가지 기구로 재활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5a, 5b, 5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를 여러개 연결하여, 등받이쿠션/방석/베개 등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독용기(10)를 여러개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도 5a에서 보듯이 등받이 쿠션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는 도 5b에서 보듯이 야외(경기장 등)에서 방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c에서 보듯이 캠핑 등의 소풍을 갔을 때 베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단독용기(10)를 더 많이 연결하게 되면 매트리스 대용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첨부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에 스트로 보관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유아나 노인들의 경우 스트로 보관주머니에 구비된 스트로를 단독용기내의 음용구로 넣은 다음, 음료를 보다 편안하게 음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에 손주머니가 형성된 상태 및 응원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각 단독용기(10)내의 음료를 모두 섭취한 후, 공기를 넣어 팽창시킨 다음, 상기 손 주머니(22)로 손을 넣어 박수치는 동작을 하면서 경기장내에서 응원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매트형 음료용기는 음료의 섭취후, 등받이 쿠션 대용, 방석 대용, 베개 대용, 응원도구 대용 등 여러가지 도구로 재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매트형 음료용기를 버리지 않고 보관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단독용기(10)를 말아준 다음, 끈이 없는 경우 에 스트로 보관주머니(20)에 저장된 스트로(24)를 이용하여 묶어서 보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를 그 길이방향으로도 더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독용기(10)의 음용구가 형성된 면에 요(凹)부(26)를 형성하고, 반대쪽면에 철(凸)부(28)를 형성하여, 단독용기(10)가 그 길이방향으로도 더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 등에서 매트리스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독용기(10)를 그 길이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결합수단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독용기(10)의 음용구(16) 및 이 음용구(16)를 개폐하는 마개(18)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요부(26)와 철부(28)간의 결합시 들뜨게 되는 간섭요인이 되므로, 물놀이용 튜브에 적용된 마개와 같이 상기 음용구(16)와 마개(18)를 단독용기(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각 단독용기(10)의 표면에 유아용 또는 한약(오전,오후용) 등의 표기를 하여, 일정량을 공급해야하는 유아용 음료 또는 액상의 한약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트형 음료용기에 의하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튜브 형태의 단독용기를 여러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는 구조를 통하여, 각 단독용기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 및 다양성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음료 섭취후에는 매트, 쿠션, 방석, 놀이용 튜브, 응원도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섭취후 여러가지 도구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그대로 버려짐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에 일조할 수 있다.

Claims (5)

  1. 일측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음용구 및 마개가 부착된 튜브 형태의 단독용기를 구비하고;
    하나의 단독용기의 결합돌기를 다른 하나의 단독용기의 결합홈에 끼워주는 연속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단독용기가 일렬 또는 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단독용기의 일측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단독용기의 타측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단면의 홈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홈의 일끝 입구에서 반대쪽으로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독용기의 일표면에는 스트로 보관주머니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독용기의 일표면에는 손 주머니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독용기의 음용구가 형성된 쪽 면에 요부를 형성하고, 반대쪽면에 철부를 형성하여, 단독용기가 그 길이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음료용기
KR2020060015050U 2006-06-05 2006-06-05 매트형 음료용기 KR200424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050U KR200424838Y1 (ko) 2006-06-05 2006-06-05 매트형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050U KR200424838Y1 (ko) 2006-06-05 2006-06-05 매트형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838Y1 true KR200424838Y1 (ko) 2006-08-25

Family

ID=4177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050U KR200424838Y1 (ko) 2006-06-05 2006-06-05 매트형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8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4001C2 (ru) Сжимаемая бутылк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готовки для такой бутылки и система выдачи бутылок, наполненных напитком
US6372270B1 (en) Drink mix apparatus for making personal quantities of beverage
US10016079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US20050023292A1 (en) Liquid dispenser
US20060283194A1 (en) Absorbent container cover
KR20010043691A (ko) 개별 음료수 용기용 마개
US20150173557A1 (en) Tea bag storage case for mineral water bottle having integrated cap
US20090041395A1 (en) Packaging bag comprising an external packaging
US20100038361A1 (en) Disposable cup which may be used as pack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US20200223589A1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KR200424838Y1 (ko) 매트형 음료용기
JPH0725341Y2 (ja) ストロー内蔵型飲料入り容器
KR200424839Y1 (ko) 주름형 다용도 음료용기
US20230075480A1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KR100456030B1 (ko) 빨대가 내장된 스탠딩 용기
CN211167758U (zh) 一次性饮品杯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JP5046112B2 (ja) 包装容器及びストロー
KR200430531Y1 (ko) 스트로 부착형 캔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430099Y1 (ko) 나선형 스트로 타입의 음료 용기
KR200358174Y1 (ko) 접힘이 가능한 컵
KR200253153Y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의 개봉장치
CN207417519U (zh) 食品容器的改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