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01Y1 -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01Y1
KR200486901Y1 KR2020180002225U KR20180002225U KR200486901Y1 KR 200486901 Y1 KR200486901 Y1 KR 200486901Y1 KR 2020180002225 U KR2020180002225 U KR 2020180002225U KR 20180002225 U KR20180002225 U KR 20180002225U KR 200486901 Y1 KR200486901 Y1 KR 200486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unit
sea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송하
Original Assignee
최송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송하 filed Critical 최송하
Priority to KR2020180002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은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각 좌석에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좌석 탑승 감지부와;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감지하는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모두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되었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출발 신호를 발생하는 출발 신호 발생부;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 상기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중 어느 한 좌석이라도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 되지 않았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 벨트 미착용에 대한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 차량 내 승객들이 모두 하차한 다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하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 상기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각 좌석에 설치된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 중 어느 한 개 이상으로부터 탑승이 감지되면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한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 및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 출발 신호 발생부,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The voice guide system for checking remained child in child care vehicle}
본 고안은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동 보호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나 하차 시 아동 보호 차량에 남아 있는 어린이의 존재 유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종 언론을 통해 어린이집 차량에서 질식사한 아동이 한참 후에야 발견되는 사고가 보도되곤 한다.
어린이집 차량에 탑승한 아동이 졸거나 잠이 들어 내려야 할 곳에서 내리지 못하는 경우, 차량안에 갇혀 질식사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인솔 교사나 어린이집 측에서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한참 후 부모에 의해 발견되기도 한다.
의사가 명확하지 않은 아동들을 인솔 교사나 운전자가 세심하게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되며, 이러한 사고는 특단의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 한 재발을 막을 수 없다.
어린이집 차량에 누가 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인솔교사나 운전자와 같은 사람에 의해 살펴보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어린이집 차량의 탑승인원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여 어린이집 차량에 남게되는 아동이 없도록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선행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83811"호의 "아동 보호 차량 탑승 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아동 보호 차량 탑승 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는 아동 보호차량의 시동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는 차량 시동 감지 모듈과; 상기 차량 시동 감지 모듈에서 실시간 감지되는 시동 상태가 켜짐이 되면, 아동 보호차량의 승하차 정보를 실시간 감지하고, 실시간 감지된 승하차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는 승하차인원 감지 모듈; 상기 승하차인원 감지 모듈로부터 승하차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승하차 정보에 따라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을 실시간 계수하고, 실시간 계수된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을 이용하여 현재 탑승인원을 산출하여 실시간 표시하는 현재 탑승인원 산출 및 표시 모듈; 상기 현재 탑승인원 산출 및 표시 모듈로부터 실시간 표시된 현재 탑승인원이 1명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 시동 감지 모듈에서 실시간 감지되는 시동 상태가 꺼짐이 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비상등 제어 모듈; 상기 현재 탑승인원 산출 및 표시 모듈로부터 실시간 표시된 현재 탑승인원이 1명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 시동 감지 모듈에서 실시간 감지되는 시동 상태가 꺼짐이 되면, 경적(horn)이 경적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경적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388689 (2014.04.2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83811 (2017.06.27)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교통 사고 시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아동 보호 차량에 남아 있는 아동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자칫 차량 운행이 종료된 다음 아동 보호 차량에 어린이가 잔류하는 일이 없도록 한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은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각 좌석에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좌석 탑승 감지부와;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감지하는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모두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되었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출발 신호를 발생하는 출발 신호 발생부;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 상기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중 어느 한 좌석이라도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 되지 않았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 벨트 미착용에 대한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 차량 내 승객들이 모두 하차한 다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하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 상기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각 좌석에 설치된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 중 어느 한 개 이상으로부터 탑승이 감지되면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한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 및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 출발 신호 발생부,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은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교통 사고 시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아동 보호 차량에 남아 있는 아동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자칫 차량 운행이 종료된 다음 아동 보호 차량에 어린이가 잔류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의 제어 블록도,
도면 2는 좌석 탑승 감지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3은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의 제어 회로도,
도면 4는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의 제어 회로도,
도면 5는 60Hz 감쇄부와 전압 비교 회로부 및 비교기 출력 필터의 제어 회로도,
도면 6은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의 제어 회로도,
도면 7은 전원 공급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8은 전원 공급부의 제어 회로도,
도면 9는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10은 음성 신호 증폭부와 가청 주파수 필터부의 제어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각 좌석에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좌석 탑승 감지부(1)와;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감지하는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모두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되었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출발 신호를 발생하는 출발 신호 발생부(5);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 상기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중 어느 한 좌석이라도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 되지 않았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 벨트 미착용에 대한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 차량 내 승객들이 모두 하차한 다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하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 상기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각 좌석에 설치된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 중 어느 한 개 이상으로부터 탑승이 감지되면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한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 및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 출발 신호 발생부(5),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는 좌석에 앉은 승객의 무게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무게가 설정된 임계값을 넘어섰을 때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는 안전 벨트에 갖추어진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가 안전 벨트 버클(Buckle)에 끼워졌을 때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는 안전 벨트 버클에 텅 플레이트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는 금속 감지 센서 또는 텅 플레이트가 삽입되었을 때 텅 플레이트에 밀려 스위치 온 되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출발 신호 발생부(5)는 동일 좌석에 설치된 좌석 탑승 감지부(1)의 디지털 출력 신호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앤드(And) 연산한 결과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에서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다면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에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29) 또는 램프를 통해 운전자에게 출발해도 좋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는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승객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동일 좌석에 설치된 좌석 탑승 감지부(1)의 디지털 출력 신호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앤드(And) 연산한 결과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 중 어느 한 좌석만이라도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다면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 중에 안전 벨트가 체결되지 않은 좌석이 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29) 또는 램프를 통해 승객 중 안전 벨트 미착용 승객이 있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는 상기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차량 내 모든 좌석에 설치된 좌석 탑승 감지부(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오어(OR) 연산한 결과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면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29) 또는 램프를 통해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있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내 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때 승객의 무게를 승객의 무게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게 감지 센서(17)와,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차동 증폭함과 동시에 DC 옵셋(Offset) 전압을 조정하는 신호 증폭 및 옵셋(Offset) 전압 조정부(19);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는 감쇄하는 반면, 소정 주파수 미만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2차 증폭하는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 상기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60Hz 신호를 감쇄하는 60Hz 감쇄부(23); 소정 레벨의 플러스(+) 레퍼런스(Reference) 전압을 출력하는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Positive Voltage Reference);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한 결과 만약,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다 높을 경우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다 낮을 경우 로우(Low)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 회로부(27);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다다렀을 때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억제하는 비교기 출력 필터(29); 및 상기 비교기 출력 필터(29)로부터 출력되는 하이(High) 디지털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 출력하는 전압 레벨 변환부(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는 4선식 로드셀(Load cell)로서 2가닥의 전선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2가닥의 신호 출력선 사이의 전압차는 좌석에 앉은 승객의 무게에 비례한다.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Offset) 전압 조정부(19)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연장된 2가닥의 신호 출력선 사이의 전압차를 증폭하고, 출력 신호의 DC 옵셋 레벨(Dc offset level)을 조정한다.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의 두 신호 출력선 중 어느 한 신호 출력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1 레퍼런스(Reference) 저항(35)과; 일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게인(Gain) 저항(37); 일단이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의 두 신호 출력선 중 제1 레퍼런스 저항(35)과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한 신호 출력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1 저항(39); 일단이 상기 제1 오피 앰프(33)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2 저항(41); 일단이 상기 제2 저항(4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3 저항(43); 일단이 제2 저항(41)의 타단에 연결된 제4 저항(45); 두 입력단에 각각 플러스 전원(+V)과 마이너스 전원(-V)이 입력되고 분압 출력단이 상기 제4 저항(45)의 타단에 연결된 옵셋 전압 레벨 조정용 가변 저항(47); 및 상기 제2 저항(41)과 제3 저항(43)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게인 저항(37)값과 같을 때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1
배 증폭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출력되는 DC 오프셋 레벨(DC Offset Level)을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2
범위만큼 조절하는 제1 오피 앰프(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5 저항(49)과, 일단이 상기 제5 저항(49)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오피 앰프(51)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6 저항(53), 한쪽 전극이 상기 제5 저항(49)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제2 오피 앰프(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55), 한쪽 전극이 상기 제2 오피 앰프(51)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커패시터(57), 일단이 상기 제2 오피 앰프(51)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레퍼런스(Reference) 저항(59), 일단이 상기 제2 오피 앰프(51)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오피 앰프(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게인 저항(61), 및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3
배만큼 증폭하고,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4
이상의 신호를 감쇄하는 제2 오피 앰프(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60Hz 감쇄부(23)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7 저항(63)과, 일단이 제7 저항(63)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오피 앰프(65)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8 저항(67), 일단이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69), 일단이 상기 제3 커패시터(69)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오피 앰프(65)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4 커패시터(71), 일단이 제7 저항(63)의 타단에 연결된 제5 커패시터(73); 일단이 제5 커패시터(73)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커패시터(69)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9 저항(75);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3 오피 앰프(65);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출력 단자가 제5 커패시터(73)의 타단에 연결된 제4 오피 앰프(79); 및 탭(Tap)의 위치에 따라 저항비가 달라지고 저항의 일단이 각각 제3 오피 앰프(65)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며 저항의 타단이 접지되고 분압 출력단이 제4 오피 앰프(79)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큐 팩터(Q Factor) 조정용 가변 저항(81)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7 저항(63)과 제8 저항(67) 및 제9 저항(75)값이 같고, 제3 커패시터(69)와 제4 커패시터(71) 및 제5 커패시터(73)의 용량이 같을 때 제3 오피 앰프(6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5
의 교류 신호를 감쇄 후 출력하며 큐 팩터 조정용 가변 저항의 탭 위치에 따라 Q Factor가 변화된다.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반전(+) 입력단에 상기 60Hz 감쇄부(23)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에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비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60Hz 감쇄부(23)의 출력 전압이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의 출력 전압보다 높을 경우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비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60Hz 감쇄부(23)의 출력 전압이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의 출력 전압보다 낮을 경우 로우(Low)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오피 앰프(83)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Positive Voltage Reference)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이 전원 연결된 제10 저항(85)과; 캐소드(Cathode) 단이 상기 제10 저항(85)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87)(Zener Diode); 입력단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87)의 캐소드 단에 연결된 제11 저항(89); 일단이 상기 제11 저항(8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분압 출력단이 제6 오피 앰프(95)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레퍼런스(Reference)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93); 일단이 상기 레퍼런스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93)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2 저항(91); 및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6 오피 앰프(95)로 이루어져, 상기 제너 다이오드(87)의 캐소드 단으로 제너 다이오드(87)의 제너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레퍼런스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93)은 제너 다이오드(87)의 제너 전압을 분압한 다음, 분압 전압을 제6 오피 앰프(95)의 비반전 입력 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제6 오피 앰프(95)는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된 분압 전압을 감쇄없이 그대로 제6 오피 앰프(95)의 출력단으로 내보낸다.
상기 비교기 출력 필터(29)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3 저항(97)과, 한쪽 전극이 상기 제13 저항(97)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6 커패시터(99)로 이루어져,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이상의 신호를 감쇄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5)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맥동률을 낮춰 직류 전원을 평활화시키는 제1 평활부(101)와, 상기 제1 평활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레벨을 낮춰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 출발 신호 발생부(5)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에 공급하는 DC-DC 변환부(103), 및 상기 DC-DC 변환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맥동률을 낮춰 직류 전원을 평활화시키는 제2 평활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평활부(101)는 한쪽 전극이 배터리의 플러스(+)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2개 이상의 제1 평활용 커패시터(107)를 포함한다.
상기 DC-DC 변환부(103)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렉터(Collector) 단자가 제1 평활부(10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Base) 단자로 공급되는 PWM 제어부(109)의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Turn-On) 되거나 턴 오프(Turn-Off)되는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와, 캐소드(Cathode) 단이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의 에미터(Emitter) 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며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가 반복적으로 턴 온(Turn On)되거나 턴 오프(Turn Off) 될 때 인덕터(113)가 포화되지 않도록 환류 패스를 만들어주는 환류(Free wheeling) 다이오드(115), 입력단이 상기 환류 다이오드(115)의 캐소드 단에 연결된 인덕터(113)(Inductor), 한쪽 전극이 인덕터(11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되어 인덕터(113)와 함께 저역 통과 필터인 LC 필터를 구성하여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의 이미터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리플(Ripple)을 저감하는 커패시터(117)(Capacitor), 및 상기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의 베이스 단자에 PWM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PWM(Pulse Width Modultation) 제어부(109)로 이루어져,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6
식에 의해 도출된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7
는 DC-DC 변환부(103)의 출력 전압이고,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8
는 PWM 제어부(10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Duty-ratio)이며,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09
는 DC-DC 변환부(103)의 입력 전압이다.
상기 제2 평활부(105)는 한쪽 전극이 DC-DC 변환부(10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평활용 커패시터(121)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중 어느 한 좌석이라도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 되지 않았다면 내부 저장된 안전 벨트 미착용 경고 음성 메시지와 맞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레코더(123)(Recorder)와, 상기 음성 레코더(123)로부터 출력되는 안전 벨트 미착용 경고 음성 메시지와 맞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소정 이득 증폭하는 음성 신호 증폭부(125); 상기 음성 신호 증폭부(125)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전기 신호는 통과시키는 반면,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신호는 감쇄하는 가청 주파수 필터부(127); 및 상기 가청 주파수 필터부(127)로부터 출력되는 안전 벨트 미착용 경고 음성 메시지와 맞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129)(Speak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 증폭부(125)는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NPN 트랜지스터(131)(Transistor)와; 한쪽 전극이 안전 벨트 미착용 경고 음성 메시지와 맞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레코더(1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이미터(Emitter) 단자에 연결되어 음성 레코더(12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성분은 차단하는 반면 교류 성분은 통과시키는 입력측 AC 커플러(133)(Coupler); 일단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베이스(Base) 단자에 연결된 제14 저항(135); 일단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제14 저항(135)으로 입력된 직류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베이스 단자로 공급하는 제15 저항(137); 한쪽 전극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되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베이스 단자로 공급되는 교류 성분을 접지로 내보내는 베이스단 커패시터(139); 일단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이미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저항값에 따라 상기 음성 신호 증폭부(125)의 신호 전압 이득에 반비례하는 NPN 트랜지스터(131)의 내부 이미터 저항값(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0
)을 조정하는 제16 저항(141); 일단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컬렉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4 저항(135)의 일단에 연결되어 저항값에 따라 상기 음성 신호 증폭부(125)의 신호 전압 이득을 비례적으로 조절하는 제17 저항(143); 및 한쪽 전극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컬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상기 가청 주파수 필터부(127)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직류 성분은 차단하고 교류 성분은 통과시키는 출력측 AC 커플러(145)(Coupl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6 저항(141)의 전류값은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1
이고, 상기 NPN 트랜지스터(131)의 내부 이미터 저항값(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2
)은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3
이며, 상기 음성 신호 증폭부(125)의 신호 전압 이득(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4
)은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5
이다.
상기 가청 주파수 필터부(127)는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전극이 음성 신호 증폭부(125)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7 커패시터(147)와; 일단이 제7 커패시터(147)의 다른 한쪽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8 저항(149); 일단이 제7 커패시터(147)의 다른 한쪽 전극에 연결된 제19 저항(151); 및 한쪽 전극이 상기 제19 저항(151)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8 커패시터(153)로 이루어져,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6
이상의 신호는 통과시키는 반면,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7
이상의 신호는 감쇄한다.
이때,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8
는 20Hz가 되도록 제7 커패시터(147) 용량과 제18 저항(149)값을 설정하고,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19
는 20Khz가 되도록 제8 커패시터(153) 용량과 제19 저항(151)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은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교통 사고 시 아동 보호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아동 보호 차량에 남아 있는 아동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자칫 차량 운행이 종료된 다음 아동 보호 차량에 어린이가 잔류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1. 좌석 탑승 감지부 3.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
5. 출발 신호 발생부 7.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
9.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 11.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
13.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 15. 전원 공급부
17. 무게 감지 센서 19.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
21.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 23. 60Hz 감쇄부
25.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 27. 전압 비교 회로부
29. 비교기 출력 필터 31. 전압 레벨 변환부
33. 제1 오피 앰프 35. 제1 레퍼런스 저항
37. 제1 게인 저항 39. 제1 저항
41. 제2 저항 43. 제3 저항
45. 제4 저항 47. 옵셋 전압 레벨 조정용 가변 저항
49. 제5 저항 51. 제2 오피 앰프
53. 제6 저항 55. 제1 커패시터
57. 제2 커패시터 59. 제2 레퍼런스 저항
61. 제2 게인 저항 63. 제7 저항
65. 제3 오피 앰프 67. 제8 저항
69. 제3 커패시터 71. 제4 커패시터
73. 제5 커패시터 75. 제9 저항
79. 제4 오피 앰프 81. 큐 팩터(Q Factor) 조정용 가변 저항
83. 제5 오피 앰프 85. 제10 저항
87. 제너 다이오드 89. 제11 저항
91. 제12 저항 93. 레퍼런스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
95. 제6 오피 앰프 97. 제13 저항
99. 제6 커패시터 101. 제1 평활부
103. DC-DC 변환부 105. 제2 평활부
107. 제1 평활용 커패시터 109. PWM 제어부
111.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 113. 인덕터
115. 환류 다이오드 117. 커패시터
121. 제2 평활용 커패시터 123. 음성 레코더
125. 음성 신호 증폭부 127. 가청 주파수 필터부
129. 스피커 131. NPN 트랜지스터
133. 입력측 AC 커플러 135. 제14 저항
137. 제15 저항 139. 베이스단 커패시터
141. 제16 저항 143. 제17 저항
145. 출력측 AC 커플러 147. 제7 커패시터
149. 제18 저항 151. 제19 저항
153. 제8 커패시터

Claims (2)

  1.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각 좌석에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좌석 탑승 감지부(1)와;
    차량 내 좌석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감지하는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모두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되었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출발 신호를 발생하는 출발 신호 발생부(5);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
    상기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탑승이 감지된 좌석 중 어느 한 좌석이라도 안전 벨트 착용이 감지 되지 않았을 때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 벨트 미착용에 대한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
    차량 내 승객들이 모두 하차한 다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하는지 점검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
    상기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각 좌석에 설치된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 중 어느 한 개 이상으로부터 탑승이 감지되면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존재한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
    및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 출발 신호 발생부(5),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는 좌석에 앉은 승객의 무게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무게가 설정된 임계값을 넘어섰을 때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는 안전 벨트에 갖추어진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가 안전 벨트 버클(Buckle)에 끼워졌을 때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발 신호 발생부(5)는 동일 좌석에 설치된 좌석 탑승 감지부(1)의 디지털 출력 신호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앤드(And) 연산한 결과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에서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다면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에 안전 벨트가 착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29) 또는 램프를 통해 운전자에게 출발해도 좋다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는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에 의해 승객 탑승이 감지된 좌석에 한해 동일 좌석에 설치된 좌석 탑승 감지부(1)의 디지털 출력 신호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앤드(And) 연산한 결과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 중 어느 한 좌석만이라도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다면 승객이 탑승한 모든 좌석 중에 안전 벨트가 체결되지 않은 좌석이 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29) 또는 램프를 통해 승객 중 안전 벨트 미착용 승객이 있다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는 상기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로부터 점검 확인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차량 내 모든 좌석에 설치된 좌석 탑승 감지부(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오어(OR) 연산한 결과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면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129) 또는 램프를 통해 차량 내 잔류 인원이 있다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는 차량 내 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때 승객의 무게를 승객의 무게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게 감지 센서(17)와,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차동 증폭함과 동시에 DC 옵셋(Offset) 전압을 조정하는 신호 증폭 및 옵셋(Offset) 전압 조정부(19);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소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는 감쇄하는 반면, 소정 주파수 미만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2차 증폭하는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
    상기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60Hz 신호를 감쇄하는 60Hz 감쇄부(23);
    소정 레벨의 플러스(+) 레퍼런스(Reference) 전압을 출력하는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Positive Voltage Reference);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한 결과 만약,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다 높을 경우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다 낮을 경우 로우(Low)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 회로부(27);
    상기 60Hz 감쇄부(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다다렀을 때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억제하는 비교기 출력 필터(29);
    및 상기 비교기 출력 필터(29)로부터 출력되는 하이(High) 디지털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 출력하는 전압 레벨 변환부(31)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는 4선식 로드셀(Load cell)로서 2가닥의 전선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2가닥의 신호 출력선 사이의 전압차는 좌석에 앉은 승객의 무게에 비례하며,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Offset) 전압 조정부(19)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연장된 2가닥의 신호 출력선 사이의 전압차를 증폭하고, 출력 신호의 DC 옵셋 레벨(Dc offset level)을 조정하며,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는 일단이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의 두 신호 출력선 중 어느 한 신호 출력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1 레퍼런스(Reference) 저항(35)과;
    일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게인(Gain) 저항(37);
    일단이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의 두 신호 출력선 중 제1 레퍼런스 저항(35)과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한 신호 출력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33)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1 저항(39);
    일단이 상기 제1 오피 앰프(33)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2 저항(41);
    일단이 상기 제2 저항(4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3 저항(43);
    일단이 제2 저항(41)의 타단에 연결된 제4 저항(45);
    두 입력단에 각각 플러스 전원(+V)과 마이너스 전원(-V)이 입력되고 분압 출력단이 상기 제4 저항(45)의 타단에 연결된 옵셋 전압 레벨 조정용 가변 저항(47);
    및 상기 제2 저항(41)과 제3 저항(43)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게인 저항(37)값과 같을 때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0
    배 증폭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17)로부터 출력되는 DC 오프셋 레벨(DC Offset Level)을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1
    범위만큼 조절하는 제1 오피 앰프(33)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증폭 및 저주파 통과부(21)는 일단이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5 저항(49)과,
    일단이 상기 제5 저항(49)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오피 앰프(51)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제6 저항(53),
    한쪽 전극이 상기 제5 저항(49)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제2 오피 앰프(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55),
    한쪽 전극이 상기 제2 오피 앰프(51)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커패시터(57),
    일단이 상기 제2 오피 앰프(51)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레퍼런스(Reference) 저항(59),
    일단이 상기 제2 오피 앰프(51)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오피 앰프(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게인 저항(61),
    및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2
    배만큼 증폭하고, 상기 신호 증폭 및 옵셋 전압 조정부(19)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3
    이상의 신호를 감쇄하는 제2 오피 앰프(5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는 비반전(+) 입력단에 상기 60Hz 감쇄부(23)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에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비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60Hz 감쇄부(23)의 출력 전압이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의 출력 전압보다 높을 경우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비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60Hz 감쇄부(23)의 출력 전압이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된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의 출력 전압보다 낮을 경우 로우(Low)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오피 앰프(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티브 볼티지 레퍼런스(25)(Positive Voltage Reference)는 입력단이 전원 연결된 제10 저항(85)과;
    캐소드(Cathode) 단이 상기 제10 저항(85)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87)(Zener Diode);
    입력단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87)의 캐소드 단에 연결된 제11 저항(89);
    일단이 상기 제11 저항(8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분압 출력단이 제6 오피 앰프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레퍼런스(Reference)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93);
    일단이 상기 레퍼런스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93)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2 저항(91);
    및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6 오피 앰프(95)로 이루어져,
    상기 제너 다이오드(87)의 캐소드 단으로 제너 다이오드(87)의 제너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레퍼런스 전압 조정용 가변 저항(93)은 제너 다이오드(87)의 제너 전압을 분압한 다음, 분압 전압을 제6 오피 앰프(95)의 비반전 입력 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제6 오피 앰프(95)는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된 분압 전압을 감쇄없이 그대로 제6 오피 앰프(95)의 출력단으로 내보내고,
    상기 비교기 출력 필터(29)는 일단이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3 저항(97)과,
    한쪽 전극이 상기 제13 저항(97)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6 커패시터(99)로 이루어져,
    상기 전압 비교 회로부(27)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4
    이상의 신호를 감쇄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15)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맥동률을 낮춰 직류 전원을 평활화시키는 제1 평활부(101)와,
    상기 제1 평활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레벨을 낮춰 상기 좌석 탑승 감지부(1)와 안전 벨트 착용 감지부(3) 출발 신호 발생부(5) 안전 벨트 점검 신호 발생부(7) 안전 벨트 착용 경고 발생부(9) 잔류 인원 점검 신호 발생부(11) 잔류 인원 경고 발생부(13)에 공급하는 DC-DC 변환부(103),
    및 상기 DC-DC 변환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맥동률을 낮춰 직류 전원을 평활화시키는 제2 평활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활부(101)는 한쪽 전극이 배터리의 플러스(+)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2개 이상의 제1 평활용 커패시터(107)를 포함하며,
    상기 DC-DC 변환부(103)는 컬렉터(Collector) 단자가 제1 평활부(10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Base) 단자로 공급되는 PWM 제어부(109)의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Turn-On) 되거나 턴 오프(Turn-Off)되는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와,
    캐소드(Cathode) 단이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의 이미터(Emitter) 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며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가 반복적으로 턴 온(Turn On)되거나 턴 오프(Turn Off) 될 때 인덕터(113)가 포화되지 않도록 환류 패스를 만들어주는 환류(Free wheeling) 다이오드(115),
    입력단이 상기 환류 다이오드(115)의 캐소드 단에 연결된 인덕터(113)(Inductor),
    한쪽 전극이 인덕터(11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되어 인덕터(113)와 함께 저역 통과 필터인 LC 필터를 구성하여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의 이미터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리플(Ripple)을 저감하는 커패시터(117)(Capacitor),
    및 상기 DC 변환용 NPN 트랜지스터(111)의 베이스 단자에 PWM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PWM(Pulse Width Modultation) 제어부(109)로 이루어져,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5
    식에 의해 도출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평활부(105)는 한쪽 전극이 DC-DC 변환부(10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평활용 커패시터(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6
    는 DC-DC 변환부(103)의 출력 전압이고,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7
    는 PWM 제어부(10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Duty-ratio)이며,
    상기
    Figure 112018050767660-utm00028
    는 DC-DC 변환부(103)의 입력 전압이다.
KR2020180002225U 2018-05-24 2018-05-24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KR200486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25U KR200486901Y1 (ko) 2018-05-24 2018-05-24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25U KR200486901Y1 (ko) 2018-05-24 2018-05-24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01Y1 true KR200486901Y1 (ko) 2018-07-11

Family

ID=6290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25U KR200486901Y1 (ko) 2018-05-24 2018-05-24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994B1 (ko) 2019-01-10 2019-07-05 조정로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KR20200053851A (ko) 2018-11-09 2020-05-19 박현근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602U (ko) * 1995-12-05 1997-07-29 신원 확인이 가능한 열쇠
KR20040053982A (ko) * 2002-12-16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용 안전벨트 경고시스템 및 그 경고방법
KR20040083811A (ko) 2003-03-25 2004-10-06 모빌라인(주) 무선모뎀장치에 내장된 보조 전원장치
KR20070040715A (ko) * 2005-10-12 2007-04-17 엘리시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점유자 센서 및 좌석 벨트 등의 모니터링 방법
JP2011016398A (ja) * 2009-07-07 2011-01-27 Aisin Seiki Co Ltd 着座判定装置および着座判定方法
JP2012188035A (ja) * 2011-03-11 2012-10-04 Suzuki Motor Corp 子供置き去り警報装置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4-04-24 박정윤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200483811Y1 (ko) * 2017-05-23 2017-06-27 김보근 아동 보호차량 탑승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
KR101756102B1 (ko) * 2017-01-20 2017-07-11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탑승자 안전 확인 시스템
KR101800613B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602U (ko) * 1995-12-05 1997-07-29 신원 확인이 가능한 열쇠
KR20040053982A (ko) * 2002-12-16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용 안전벨트 경고시스템 및 그 경고방법
KR20040083811A (ko) 2003-03-25 2004-10-06 모빌라인(주) 무선모뎀장치에 내장된 보조 전원장치
KR20070040715A (ko) * 2005-10-12 2007-04-17 엘리시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점유자 센서 및 좌석 벨트 등의 모니터링 방법
JP2011016398A (ja) * 2009-07-07 2011-01-27 Aisin Seiki Co Ltd 着座判定装置および着座判定方法
JP2012188035A (ja) * 2011-03-11 2012-10-04 Suzuki Motor Corp 子供置き去り警報装置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4-04-24 박정윤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101800613B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
KR101756102B1 (ko) * 2017-01-20 2017-07-11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탑승자 안전 확인 시스템
KR200483811Y1 (ko) * 2017-05-23 2017-06-27 김보근 아동 보호차량 탑승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851A (ko) 2018-11-09 2020-05-19 박현근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KR101996994B1 (ko) 2019-01-10 2019-07-05 조정로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901Y1 (ko)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CN103465859A (zh) 用于监测车内人员生命体征的智能系统及智能安全带
KR101906785B1 (ko)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CN204713012U (zh) 儿童汽车安全座系统
CN104517400A (zh) 基于3g网络的汽车内防止中暑的监测报警方法及系统
US5726544A (en) Spe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car
CN207328380U (zh) 汽车占座、安全带系扣识别远程监控装置及系统
CN106828307A (zh) 一种车内人员安全检测保护装置
KR101834509B1 (ko) 구난 경보용 후레쉬
CN204586666U (zh) 客车的预警装置和系统
KR101376510B1 (ko) 철도차량의 운전자 경계장치 및 그 철도차량
CN205871982U (zh) 一种防止儿童被遗忘在车内的安全装置
CN204915312U (zh) 一种多功能防醉驾系统
CN204296633U (zh) 一种汽车安全带锁扣的安装装置
KR102175359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KR101401226B1 (ko) 열차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7045234U (zh) 汽车停驻座椅占用报警装置
CN209417941U (zh) 一种电子防护器、交通障碍预警系统
EP0835202A1 (en) Self-signaling short circuit link for a protected railway section
CN216583643U (zh) 一种轿厢检测乘客长时间滞留自动报警装置
KR20170101434A (ko)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H04277191A (ja) エスカレーターの制御装置
CN211592392U (zh) 一种卫生间救助装置
CN204870766U (zh) 一种用于汽车的智能踏板
KR20240074159A (ko) 혼잡도를 측정하여 탑승여부를 통제하는 전동객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