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689B1 -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689B1
KR101388689B1 KR1020130066860A KR20130066860A KR101388689B1 KR 101388689 B1 KR101388689 B1 KR 101388689B1 KR 1020130066860 A KR1020130066860 A KR 1020130066860A KR 20130066860 A KR20130066860 A KR 20130066860A KR 101388689 B1 KR101388689 B1 KR 10138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bus
child
receiving
terminal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윤
Original Assignee
박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윤 filed Critical 박정윤
Priority to KR102013006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학버스 운전자석측으로 설치되고, RF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된 RF수신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RF수신영역에 따라 어린이의 승하차 표시 및 부저음을 발생하도록 소정의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RF수신단말기(100)와; 통학버스를 승하차하는 어린이의 고유ID를 갖고,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RF수신영역내에 진입시 상기 RF수신단말기(100)와 양방 교신하는 RF발신단말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RF수신단말기(100)는 승차수신영역(IN)이 설정되도록 통학 버스 내부 전후에 설치되고, 어린이 승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승차감지센서(110)와; 하차수신영역(OUT)이 설정되도록 통학버스 외측으로 도어측 및 전후에 설치되고, 어린이 하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함과 함께 수신이 종료되면 수신종료신호를 발생하는 하차감지센서(120)와; 상기 승차감지센서(110)와 상기 하차감지센서(120)로부터 수신된 RF발신단말기(100)의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고,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어린이의 승하차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Children get on and off the school bus safety system}
본 발명은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가 승차시 탑승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어린이가 하차시 통학버스로부터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차량운행 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어린이가 승하차 함을 인지하도록 하여 안전한 통학버스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유치원, 학원 등에서는 집과 유치원, 학원 등을 연계하는 많은 어린이 통학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학버스의 운행은 유치원, 학원 등에서 많은 원생을 모집하고, 보다 넓은 지역까지 자신의 유치원, 학원 등으로 어린이 수강생을 빠르고 신속하게 연계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학버스는 통상 어린이 수강생을 위한 노선이 정해지고, 이를 기준으로 어린이 수강생을 승하차시키면서 운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이러한 통학버스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한 어린이 사망사고, 상해사고 등으로 인한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어린이 사망사고 또는 상해사고 등은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정부에서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운행에 관한 법률 등을 제정하고 이를 통해 어린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함에 있으나, 실상 통학버스에 의한 안전사고는 이러한 법률적 기준만으로는 방지할 수 없다.
즉, 실상 통학버스를 운전하는 운저자가 주의하지 않으면 법률적 잣대를 적용하기전에 어린이 안전사고는 계속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이러한 운저자의 주의를 상기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개시되고 있는 부분으로는 통학버스의 승하차 도어에 사람이 감지되면 부저음이 발생되거나, 차량의 승하차 도어 외측으로 안전가림막을 설치하여 지나가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으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는 최근 일어나는 사고경향을 살펴볼 때, 어린이의 가방이나 옷이 문틈에 끼여 어린이가 차량운행에 의해 일정거리를 끌려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는 방지할 수 없고, 후자의 안전가림막은 어린이의 승하차시 외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으로부터의 보호이외에는 사실상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통학버스의 운전자에게 어린이가 승하차함을 인지하여 항상 주의깊게 운전이 가능하도로 하기 위한 RF수신단말기가 구비되고, 승하차하는 어린이에게는 RF수신단말기와 통신하는 RF발신단말기가 제공되어 어린이가 승하차시 운전자에게 어린이가 승하차함을 알려주도록 구비되어 어린이 승차시에는 RF발신단말기와 근접통신되는 설정된 범위내로 RF수신단말기가 위치되면 승차표시 및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주의하여 운전하도록 알려주고, 어린이가 하차시에는 RF수신단말기와 RF발신단말기의 통신이 통학버스로부터 설정된 안전거리를 벗어나면 하차표시 및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주의하여 운전하도록 알려줌으로써, 어린이 승하차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통학 버스의 어린이 안전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통학버스 운전자석측으로 설치되고, RF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된 RF수신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RF수신영역에 따라 어린이의 승하차 표시 및 부저음을 발생하도록 소정의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RF수신단말기(100)와; 통학버스를 승하차하는 어린이의 고유ID를 갖고,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RF수신영역내에 진입시 상기 RF수신단말기(100)와 양방 교신하는 RF발신단말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RF수신단말기(100)는 승차수신영역(IN)이 설정되도록 통학 버스 내부 전후에 설치되고, 어린이 승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승차감지센서(110)와; 하차수신영역(OUT)이 설정되도록 통학버스 외측으로 도어측 및 전후에 설치되고, 어린이 하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함과 함께 수신이 종료되면 수신종료신호를 발생하는 하차감지센서(120)와; 상기 승차감지센서(110)와 상기 하차감지센서(120)로부터 수신된 RF발신단말기(100)의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고,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어린이의 승하차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F발신단말기(200)와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송수신거리는 통학버스로부터 2~3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고유ID가 저장된 RF발신단말기(200)의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어린이 성명, 성별, 나이, 집주소,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132)와; 수신 및 수신이 완료된 RF발신단말기(200)의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분류식별하는 정보추출부(134)와; 상기 정보추출부(134)를 통해 추출된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13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해당어린이의 승하차여부가 확인되면 이동통신망 내지는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어린이의 승하차 여부를 유치원, 학원의 메인컨트롤러 또는 인터넷상으로 정보를 발신하는 무선전달 발신부가 더 형성되어 승하차해야 할 어린이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학버스의 운전자에게 어린이가 승하차함을 인지하여 항상 주의깊게 운전이 가능하도로 하기 위한 RF수신단말기가 구비되고, 승하차하는 어린이에게는 RF수신단말기와 통신하는 RF발신단말기가 제공되어 어린이가 승하차시 운전자에게 어린이가 승하차함을 알려주도록 구비되어 어린이 승차시에는 RF발신단말기와 근접통신되는 설정된 범위내로 RF수신단말기가 위치되면 승차표시 및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주의하여 운전하도록 알려주고, 어린이가 하차시에는 RF수신단말기와 RF발신단말기의 통신이 통학버스로부터 설정된 안전거리를 벗어나면 하차표시 및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주의하여 운전하도록 알려줌으로써, 어린이 승하차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전체를 도시한 시스템구성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의한 감지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전체를 도시한 시스템구성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의한 감지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제어부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운전자로 하여금 어린이의 승하차를 인지함과 함께 어린이 하차시, 어린이가 차량으로부터 안전한 거리로 벗어나는 것을 바로 확인하여 운행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수신단말기(100), RF발신단말기(200)를 통해 어린이가 승차 및 하차함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어린이가 통학버스에 정확히 승차 및 하차하였는지 여부를 운전자에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으로부터 안전한 거리로 벗어남을 운전자에게 확인하여 통학버스의 승하차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RF수신단말기(100)는 통학버스 운전자석측으로 설치되고, RF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된 RF수신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RF수신영역에 따라 어린이의 승하차 표시 및 부저음을 발생하도록 소정의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상기 RF수신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승차감지센서(110), 하차감지센서(120), 제어부(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차감지센서(110)는 통학버스 내부가 승차수신영역(IN)으로 설정되도록 통학 버스 내부 전후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차감지센서(110)에 의해 설정된 승차수신영역(IN)은 후술되는 RF발신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통학버스 내에 어린이가 승차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어린이 승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하차감지센서(120)는 통학버스 외부 일정거리 내를 하차수신영역(OUT)이 설정되도록 통학버스 외측으로 도어측 및 전후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차감지센서(120)는 어린이가 통학버스로부터 설정된 하차수신영역을 벗어나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여 차량운행을 재게하는 것으로, 어린이 하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함과 함께 수신이 종료되면 수신종료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하차수신영역(OUT)은 통학버스로부터 어린이가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는 거리로, 상기 RF발신단말기(200)와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송수신거리는 통학버스로부터 2~3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근 빈번하게 발생되는 어린이가 도어에 옷이 끼이거나, 가방이 끼인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으로 발생되는 안전사고 내지는 차량 인근에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 어린이가 존재함을 운전자가 확인하되 RF수신단말기와 RF발신단말기간의 수신이 종료되면 이를 근거로 RF발신단말기가 최종 수신종료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라는 것을 확인하는 표시 내지는 부저음을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승차감지센서(110)와 상기 하차감지센서(120)로부터 수신된 RF발신단말기(100)의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고,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어린이의 승하차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저장부(130), 정보추출부(134), 출력부(136)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정보저장부(132)는 상기 고유ID가 저장된 RF발신단말기(200)의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어린이 성명, 성별, 나이, 집주소,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후술되는 RF발신단말기를 소지한 어린이가 하차수신영역(OUT)으로 위치됨과 함께 RF수신단말기(100)와 송수신하면서 해당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어린이 정보를 상기 정보추출부(134)를 통해 분류식별하여 추출하고, 계속해서 어린이가 통학버스로 탑승하여 승차수신영역(IN)으로 위치되면 상기 정보추출부(134)를 통해 추출된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출력부(136)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해당어린이의 승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승하차 여부를 확인한 RF수신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 내지는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유치원, 학원 등의 메인컨트롤러(도시없음), 인터넷상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승하차해야 할 어린이의 정보를 유치원, 학원 등에서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RF발신단말기는 통학버스를 승하차하는 어린이의 고유ID를 갖고,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RF수신영역내에 진입시 상기 RF수신단말기(100)와 양방 교신하는 것으로, 어린이에게 가방이나 목걸이, 명찰 등과 같은 부분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승하차 시스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어린이의 가방이나 목걸이, 명찰 등에 구비되는 RF발신단말기가 결합된다. 이를 어린이는 유치원에 통학하기 위해 통학버스가 있는 곳에서 대기하고, 통학버스가 도착하면 하차수신영역(OUT)으로 RF발신단말기를 가진 어린이가 걸어 진입한다.
이때, 진입과 동시에 RF발신단말기는 통학버스의 외측에 형성된 하차감지센서(120)와 송수신하면서 RF수신단말기로 어린이의 고유ID를 제공한다. 이후, 제공된 고유ID를 통해 RF수신단말기의 제어부(130)에 구비되는 정보저장부(132)의 정보와 대조하고, 메칭되는 정보를 상기 정보추출부(134)를 통해 추출한다.
다음으로, 어린이가 통학버스에 탑승하여 승차수신영역(IN) 내에 진입하면 하차감지센서(120)와 송수신이 차단되고, 통학버스 내부에 설치된 승차감지센서(110)와 송수신하면서 최종 승차신호를 RF수신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어린이의 승차를 운전자에게 표시 내지는 부저음의 형태로 나타내어 운전자가 운행을 재게한다.
이후, 통학버스가 목적지에 도달되면 RF발신단말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승차수신영역(IN)에서 하차수신영역(OUT)으로 진입한다. 이후, 하차수신영역(OUT)의 하차감지센서(120)와 RF발신단말기는 송수신을 재게하고, 최종 RF발신단말기가 설정된 영역 예를 들면 2~3m의 영역을 벗어나면 RF발신단말기는 RF수신단말기와의 송수신을 종료하면서 최종종료신호를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운행재게를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운전자가 확보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커버하고, 어린이가 완전히 통학버스로부터 하차하여 일정거리 이상 떨어질 때 비로서 통학버스의 운행 재게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 스스로가 어린이 승하차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고, 승하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RF발신단말기의 고유ID에 해당되는 어린이의 승하차 정보를 RF수신단말기가 전달받아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부모의 휴대폰으로 어린이 승하처 정보를 전송하거나 유치원이나 해당 목적지의 메인컨트롤러 등으로 전송하여 어린이 승하차를 정확히 확인하여 체크가 가능하고, 인터넷상에 정보를 공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어린이가 안전하게 통학버스로부터 승하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해당어린이의 승하차여부가 확인되면 이동통신망 내지는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어린이의 승하차 여부를 유치원, 학원의 메인컨트롤러 또는 인터넷상으로 정보를 발신하는 무선전달 발신부(140)가 더 형성되어 승하차해야 할 어린이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RF수신단말기 110 : 승차감지센서
120 : 하차감지센서 130 : 제어부
132 : 정보저장부 134 : 정보추출부
136 : 출력부 140 : 무설발신부
200 : RF발신단말기

Claims (4)

  1. 통학버스 운전자석측으로 설치되고, RF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된 RF수신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RF수신영역에 따라 어린이의 승하차 표시 및 부저음을 발생하도록 소정의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RF수신단말기(100)와; 통학버스를 승하차하는 어린이의 고유ID를 갖고,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RF수신영역내에 진입시 상기 RF수신단말기(100)와 양방 교신하는 RF발신단말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RF수신단말기(100)는 승차수신영역(IN)이 설정되도록 통학 버스 내부 전후에 설치되고, 어린이 승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승차감지센서(110)와;
    하차수신영역(OUT)이 설정되도록 통학버스 외측으로 도어측 및 전후에 설치되고, 어린이 하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발신단말기(200)의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함과 함께 수신이 종료되면 수신종료신호를 발생하는 하차감지센서(120)와;
    상기 승차감지센서(110)와 상기 하차감지센서(120)로부터 수신된 RF발신단말기(100)의 수신영역을 승차수신영역(IN)과 하차수신영역(OUT)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고,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어린이의 승하차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승하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발신단말기(200)와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송수신거리는 통학버스로부터 2~3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승하차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수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고유ID가 저장된 RF발신단말기(200)의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어린이 성명, 성별, 나이, 집주소,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132)와;
    수신 및 수신이 완료된 RF발신단말기(200)의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분류식별하는 정보추출부(134)와;
    상기 정보추출부(134)를 통해 추출된 고유ID값에 대응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13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승하차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해당어린이의 승하차여부가 확인되면 이동통신망 내지는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어린이의 승하차 여부를 유치원, 학원의 메인컨트롤러 또는 인터넷상으로 정보를 발신하는 무선전달 발신부(140)가 더 형성되어 승하차해야 할 어린이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승하차 시스템.
KR1020130066860A 2013-06-12 2013-06-12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10138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60A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3-06-12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60A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3-06-12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689B1 true KR101388689B1 (ko) 2014-04-24

Family

ID=5065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860A KR101388689B1 (ko) 2013-06-12 2013-06-12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8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295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KR101602250B1 (ko) 2014-12-26 2016-03-1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KR20160106010A (ko) 2016-08-19 2016-09-09 전대연 스마트 승하차 확인앱 시스템
CN106394460A (zh) * 2016-09-22 2017-02-15 山东华旗新能源科技有限公司 安全智能校车系统
KR200486901Y1 (ko) 2018-05-24 2018-07-11 최송하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KR20190116778A (ko) 2018-04-05 2019-10-15 (주)로뎀기술 지능형 승하차 알림 장치를 이용한 어린이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5199A (ko) 2018-08-03 2020-02-12 김현 통학버스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29722A (ko) 2018-09-11 2020-03-19 한상택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KR20200045697A (ko) 2018-10-23 2020-05-06 김혜정 통학버스 아동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76246A (ko) 2018-12-19 2020-06-29 소치재 원생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59A (ko) * 2005-06-24 2006-12-29 박인정 탑승객 관리방법 및 장치
JP2008065759A (ja)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乗降支援システムおよび乗降支援方法
KR20100058123A (ko)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업앤온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0783A (ko) * 2009-05-07 2010-11-17 조재현 전동차용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59A (ko) * 2005-06-24 2006-12-29 박인정 탑승객 관리방법 및 장치
JP2008065759A (ja)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乗降支援システムおよび乗降支援方法
KR20100058123A (ko)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업앤온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0783A (ko) * 2009-05-07 2010-11-17 조재현 전동차용 제어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295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KR101637670B1 (ko) * 2014-08-25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KR101602250B1 (ko) 2014-12-26 2016-03-1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KR20160106010A (ko) 2016-08-19 2016-09-09 전대연 스마트 승하차 확인앱 시스템
CN106394460A (zh) * 2016-09-22 2017-02-15 山东华旗新能源科技有限公司 安全智能校车系统
KR20190116778A (ko) 2018-04-05 2019-10-15 (주)로뎀기술 지능형 승하차 알림 장치를 이용한 어린이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486901Y1 (ko) 2018-05-24 2018-07-11 최송하 아동용 차량 잔류 인원 알려주는 음성 시스템
KR20200015199A (ko) 2018-08-03 2020-02-12 김현 통학버스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29722A (ko) 2018-09-11 2020-03-19 한상택 통학버스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시스템
KR20200045697A (ko) 2018-10-23 2020-05-06 김혜정 통학버스 아동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76246A (ko) 2018-12-19 2020-06-29 소치재 원생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689B1 (ko) 통학버스의 어린이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101478053B1 (ko)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CN106358142A (zh) 车辆紧急情况广播
JP2019511413A (ja) 鉄道車両に基づくドア制御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US9620013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lane position through inter-vehicle communication
US201600394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 following vehicle from driving up on a vehicle driving directly in front and use of the system
US10029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tential accident situations with a car
US11311066B2 (en) System comprising a flexible electronic control unit for helmet strap with functionalities of safety, emergency and driving assistance
CN104097606B (zh) 一种车窗关闭系统
US11186257B2 (en) Automobile driver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GPS services
US11679763B2 (en) Vehicle accident surrounding information link apparatus
KR20150083227A (ko) 교통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CN105513235A (zh) 一种电梯机房入侵检测系统
KR20220122814A (ko)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1647625B1 (ko) 차량 내부의 영상 확인 기능을 갖는 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안전 시스템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KR102219898B1 (ko)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KR20140106338A (ko)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KR20210020463A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19533A (ko) 통학버스 어린이 승하차 지원 시스템
KR101931371B1 (ko) 차량 내 승객 미하차 방지 시스템
US11956695B2 (en) Server for automatic emergency reporting system of vehicle
KR101699937B1 (ko) 차량 주위의 사람을 알려주는 차량 안심 서비스 장치, 차량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차량 안심 서비스 방법
KR20200045697A (ko) 통학버스 아동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49583B1 (ko)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